KR930006962B1 - 반도체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962B1
KR930006962B1 KR1019900011826A KR900011826A KR930006962B1 KR 930006962 B1 KR930006962 B1 KR 930006962B1 KR 1019900011826 A KR1019900011826 A KR 1019900011826A KR 900011826 A KR900011826 A KR 900011826A KR 930006962 B1 KR930006962 B1 KR 930006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lsi
output terminals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062A (ko
Inventor
아이이치로 사쿠모토
아키라 마수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0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96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시험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시험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반도체 시험방법에 관한 각 신호의 상태를 나타낸 타이밍 챠트.
제3도는 종래의 반도체 시험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 반도체 시험장치(테스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의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출력단자를 가지는 반도체장치의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LSI의 선별 등의 테스트는 반도체 시험장치(테스터)를 이용해서 행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LSI를 테스트하는 경우, 그 LSI의 단자수에 상당하는 단자를 테스터측에 갖추어 놓던가, 또는 테스터측의 단자수가 LSI의 단자수에 미달인 때에는 릴레이 등을 이용함으로써 피측정 단자를 분할하여 측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3도는 종래의 시험방법의 일례로서, 릴레이를 이용해서 피측정 단자를 분할하여 측정을 행하는 경우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Figure kpo00001
n(n=1, 2, …)은 출력단에 출력해야 할 데이터의 반전신호, SWn(n=1, 2, …)는 LSI와 테스터간에 삽입된 릴레이, On(n=1, 2, …)은 LSI의 출력단자, En(n=1, 2, …)은 테스터에 인가되는 신호이다.
즉, LSI의 출력단자(On)는 릴레이(SWn)를 매개함으로써 그 2개씩이 공통 접속되어 있고, 그 접속점은 테스터(101)의 측정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테스터의 측정 단자수 보다 많은 출력단자를 가지는 LSI의 시험을 행할 수 있다. 또, 릴레이를 바꿈으로써 모든 출력단자에 대해서 시험을 행할 수 있다. 이때에, 테스터(101)에 인가되는 신호[Em(m=1, 2, …)]는 릴레이(SW(2m-1))가 온상태, 또, 릴레이(SW2m)가 오프상태인 때에는 I(2m-1)로 된다. 또한, 릴레이(SW(2m-1))가 오프상태, 또, 릴레이(SW2m)가 온상태인 때에는 I2m으로 된다.
그렇지만,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따라서, LSI는 고집적화 되고 있고, 동시에 그 단자수도 다단자화가 현저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LSI이 시험을 행하는 테스터의 개발은 LSI의 급격한 다단자화에 대응할 수 없으므로 대대적인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가격이 비싸지고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릴레이 등을 이용해서 피측정단자를 분할하여 테스트를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LSI의 다단자화에 따라서 테스터의 측정단자수와 릴레이의 능력, 시험 특성, 신뢰성, 배선의 복잡화 등의 관계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는 LSI의 다단자화에 따라서 그 테스트가 곤란하게 되어, LSI를 개발하는데 문제로 되고 있었다.
[발명의 목적]
여기서, 본 발명은 측정단자가 적은 테스터에 있어서도, 다단자(특히 다출력단자)를 가지는 LSI의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반도체 시험방법은 우선, 출력단자를 이네이블/디스에이블 상태로 하는 기능과 그 출력단자의 이네이블/디스에이블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반도체장치를 준비하고, 그 반도체장치의 복수의 출력단자를 공통 접속한다. 또, 그 접속점을 반도체 시험장치의 측정단자에 접속한다. 이후에, 상기 공통 접속된 복수의 출력단자중 피측정단자를 이네이블 상태로 하고, 그 이외의 단자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하여 시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작용]
이와 같은 시험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출력단자를 공통 접속하고, 그 공통 접속된 출력단자중 피측정단자만을 이네이블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그 시험을 행할 수 있다. 또, 이네이블 상태로 하는 출력단자를 순차적으로 바꾸는 것에 의해 모든 단자의 시험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측정단자수가 적은 테스터에 있어서도, 다출력단자를 가지는 LSI를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반도체 시험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기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In(n=1, 2, …)은 출력단자로 출력하기 위한 입력데이터, T1~T4는 출력단자의 이네이블/디스에이블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On(n=1, 2, …)은 LSI의 출력단자, En(n=1, 2, …)은 테스터에 인가되는 신호이다.
출력단자(O1~O4)는 공통 접속되어 제1의 블럭을 구성하고 있다. 또, 그 접속점은 반도체 시험장치(테스터; 102)의 측정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각 출력단자(O1~O4)는 예를들면 클럭 제어된 인버터(clocked inverter)에 의한 제어신호(T1~T4)에 의해, 각각 이네이블/디스에이블 상태가 제어되고 있다.
또 출력단자(O5~O8)는 공통 접속되어 제2의 블럭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접속점은 반도체 시험장치(102)의 측정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각 출력단자(O5~O8)는 예를들면 클럭 제어된 인버터에 의한 제어신호(T1~T4)에 의해 각각 이네이블/디스에이블 상태가 제어되고 있다.
더욱이, 세번째 이후의 블럭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각각 4개의 출력단자가 공통 접속되어 블럭을 구성하고, 그 접속점은 반도체 시험장치(102)의 측정단자에 접속되고 있다.
또, 각 출력단자는 예를들면, 클럭 제어된 인버터에 의한 제어신호(T1~T4)에 의해 각각 이네이블/디스에이블 상태가 제어되고 있다.
한편, 1블럭내에 있어서, 제어신호가 2개 이상의 출력단자를 동시에 선택할 수는 없다. 또, 제어신호(T1~T4)는 LSI의 외부로부터 주어져도 좋고, 또는 LSI의 내부에서 생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출력단자를 공통 접속하여 이것을 1블럭으로 한 것으로, 각 출력단자는 제어신호(T1~T4)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이네이블/디스에이블 상태가 제어된다. 즉, 이네이블 상태로 하는 출력단자를 순차적으로 새로 바꾸는 것에 의해, 모든 단자의 시험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측정단자가 적은 테스터에 있어서도 다출력단자를 가지는 LSI의 테스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반도체 시험방법에 관한 각 신호의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제2도 및 상기 제1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반도체 시험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어신호(T1)를 "H"레벨(이네이블상태)로 하고, 그 이외의 제어신호(T2~T4)를 "L"레벨(디스에이블상태)로 한다. 이때에, 제1의 블럭에서는 입력데이터(I1)가 신호 E1으로서 반도체 시험장치(테스터; 102)에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출력단자(O1)의 기능 및 전기적 특성이 시험되고, 다른 출력단자는 하이임피던스(Hi-Z) 상태로 된다. 또, 제2의 블럭에서는 입력데이터(I5)가 신호 E2로서 반도체 시험장치(102)에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출력단자(O5)의 기능 및 전기적 특성이 시험되고, 다른 출력단자는 하이 임피던스(Hi-Z) 상태로 된다. 더욱이, 세번째 이후의 블럭에 있어서도, 제어신호(T1)에 의해 선택된 그 블럭내의 어떤 출력단자에 대해서 시험이 행해진다.
또, 제어신호(T2)를 "H"레벨로 하고, 그 이외의 제어신호(T1, T3및 T4)를 "L"레벨로 한다. 이때, 제1의 블럭에서는 입력데이터(I2)가 신호 E1로서 반도체 시험장치(102)에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출력단자(O2)의 기능 및 전기적인 특성이 시험되고, 다른 출력단자는 하이 임피던스(Hi-Z) 상태로 된다. 또, 제2의 블럭에서는 입력데이터(I6)가 신호 E2로서 반도체 시험장치(102)에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출력단자(O6)의 기능 및 전기적 특성이 시험되고, 다른 출력단자는 하이임피던스(Hi-Z) 상태로 된다. 더욱이, 세번째 이하의 블럭에 있어서도, 제어신호(T2)에 의해 선택된 그 블럭내의 어떤 출력단자에 대해서 시험이 행해진다.
더욱이, 제어신호(T3및 T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H"레벨로 함으로써, 그 제어신호(T3또는 T4)에 의해 선택된 그 블럭내의 모든 출력단자에 대해서 시험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제어신호(T1~T4)가 각각 제어하는 4개의 출력단자를 1블럭으로 하고 있다. 또, 그 블럭내의 출력단자중의 피측정단자를 이네이블 상태로 하고, 그 이외의 단자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하여 시험을 행하고 있다.
이때문에 반도체 시험장치(102)의 측정단자의 수는 시험을 행하려 하는 LSI의 출력단자의 1/4만 되어도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제어신호(T1~T4)가 각각 제어하는 4개의 출력단자를 1블럭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데이터의 측정단자에 맞춰서 1블럭의 단자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5개의 제어신호(T1~T5)를 이용함으로써, 5개의 출력단자를 1블럭으로 해도 좋고, 그 이상인 갯수의 출력단자를 1블럭으로 해도 좋다. 단, 제어신호는 1블럭내의 2개이상의 출력단자를 동시에 선택할 수가 없다.
그런데, 시험이 종료된 LSI를 실제의 동작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출력단에 있어서 블럭마다의 접속을 떼고, 제어신호를 모두 "H"레벨로 하면 문제는 없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시험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즉, 반도체장치의 복수의 출력단자를 공통 접속하여, 피측정단자를 이네이블 상태로 하고, 다른 단자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함으로써, 반도체장치의 시험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 시험장치의 측정단자수가 LSI의 출력단자수에 미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기능 및 전기적 특성의 시험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릴레이 등의 소자를 LSI와 테스터간에 설치하는 것보다도, 특성이나 신뢰성이 향상되고, 또, 배선을 간략화할 수 있다.

Claims (1)

  1. 출력단자를 이네이블 또는 디스에이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반도체장치의 시험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출력단자(O1~O8)를 공통 접속하고, 그 접속점을 반도체 시험장치(102)의 측정단자에 접속하며, 상기 공통 접속된 복수의 출력단자중 피측정단자를 이네이블 상태로 하고, 그 이외의 단자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하여 시험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시험방법.
KR1019900011826A 1989-08-03 1990-08-01 반도체 시험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30006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01853A JP2633692B2 (ja) 1989-08-03 1989-08-03 半導体試験方法
JP89-201853 1989-08-03
JP1-201853 1989-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062A KR910005062A (ko) 1991-03-29
KR930006962B1 true KR930006962B1 (ko) 1993-07-24

Family

ID=1644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826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6962B1 (ko) 1989-08-03 1990-08-01 반도체 시험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33692B2 (ko)
KR (1) KR930006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5034A (ja) * 1996-08-21 1998-03-06 Ngk Spark Plug Co Ltd 電子部品用配線基板及び電子部品パッケー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25B2 (ja) * 1983-05-11 1994-05-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端子電子回路の特性テ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33692B2 (ja) 1997-07-23
KR910005062A (ko) 1991-03-29
JPH0365674A (ja) 1991-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061B1 (ko) 입력/출력 접속부 및 장치 검사방법
WO2001079863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signal paths between an integrated circuit wafer and a wafer tester
KR100512218B1 (ko) 검사 장치
US5487074A (en) Boundary scan testing using clocked signal
US4743842A (en) Tri-state circuit tester
US5132614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the same
KR930006962B1 (ko) 반도체 시험방법
KR20070086393A (ko) 고전압 기능부를 가진 핀 전자기기
JPH01129432A (ja) 集積回路
JPH02290573A (ja) 半導体集積回路
US20020011866A1 (en) Apparatus for testing a semiconductor and process for the same
JPH0438846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機能試験方法
JPH0261717B2 (ko)
JPH10275835A (ja) ウエハ検査装置
JPH09101330A (ja) プルアップ抵抗及びプルダウン抵抗の自動試験器
JPH03115873A (ja) 半導体集積回路
JP2002243810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JPH0658994A (ja) Lsiの出力回路試験方法
JPH04355383A (ja) 半導体集積回路
JPS62293736A (ja) 試験回路つき集積回路
JPS60196954A (ja) 集積回路
JPH04270978A (ja) Icテスタ
JPH0235382A (ja) 集積回路の検査プログラムの作成方法及び集積回路の検査方法
JPH03293572A (ja) 基板部品検査回路
JPH05196699A (ja) 半導体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7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72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