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644Y1 - 분리형 포밍앤빌 - Google Patents

분리형 포밍앤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644Y1
KR930006644Y1 KR2019900018819U KR900018819U KR930006644Y1 KR 930006644 Y1 KR930006644 Y1 KR 930006644Y1 KR 2019900018819 U KR2019900018819 U KR 2019900018819U KR 900018819 U KR900018819 U KR 900018819U KR 930006644 Y1 KR930006644 Y1 KR 930006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vil
forming
fixed
screw
cov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8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407U (ko
Inventor
정관호
김강산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8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644Y1/ko
Publication of KR920010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4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6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50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e.g. power bus, number of l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리형 포밍앤빌
제1a도는 기존의 포밍앤밸의 부분정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밍앤빌 2 : 커버블록
3 : 삽입블록 4A 및 4B : 스크류
10 : 상부앤빌 20 : 하부앤빌
20A : 요부 20B : 돌출부
30A 및 30B : 스크류
본 고안은 반도체 제조용 포밍앤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앤빌을 상하 분리구성하여 파손시 교환을 용이하도록 구성한 분리형 포밍앤빌에 관한 것이다.
포밍앤빌(Forming Anvil)은 성형이 완료된 패캐이지의 리드를 절곡시키는 공정(Forming Process)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앤빌상에 패캐이지를 안착시킨 뒤, 팬치를 가압하게 되면 패캐이지의 리드는 앤빌의 형태로 포밍시킨다.
일반적인 포밍앤빌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1a도는 기존 포밍앤빌의 부분정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평면도로서, 부재 전길이에 걸쳐 상부(2A) 및 하부(2B)를 제외한 부분이 사각요부로 구성된 커버블록(2)에 포밍앤빌(1) 및 삽입블록(3, Insert Block)이 장착됨을 도시한다.
즉, 포밍앤빌(1)의 중앙부는 커버블럭(2)의 요부에 수용된 상태이며, 연장된 그 양단부는 스크류(4A)로 커버블록(2)에 고정된다. 포밍 앤빌(1)의 평면은 커버블록(2)상으로 돌출되며, 포밍 앤빌(1)과 또다른 포밍앤빌간에는 삽입블록(3)이 커버블록(2)의 요부내에 고정되므로서, 양포밍앤빌(1)의 좌우유동을 방지한다. (삽입블록(3)은 스크류(4B)를 이용하여 커버블록(2) 상하부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로 커버블록에 고정된 포밍앤빌은 포밍공정시 발생할 수 있는 상단의 리드 대응부(A부)파손 발생시, 각 스크류를 풀고 삽입블록과 커버블록을 분리시킨 뒤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각 부재의 분리후 또다시 조립할 경우 교환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며, 포밍앤빌과 편치와의 최초 셋팅(Setting)에 편차가 발생되어 리드의 포밍에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포밍앤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밍앤빌을 상부와 하부앤빌로 분리구성하여 기존포빙앤빌의 문제점을 보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밍앤빌은 상하단부가 스크류(30A)를 통하여 커버블록(30)상에 고정되고, 중앙돌출부(20B) 표면에는 요부(20A)를 구성하여 그 표면에 소정깊이의 나사부를 형성한 하부앤빌(20)과, 저부에는 상기 하부앤빌(20)이 요부에 삽입, 수용되는 철부(10A)가 구성되고, 상구 좌우측단에는 패캐이지 리드가 대응하는 리드 대응부(10B)를 구성하며, 상기 리드대응부(10B)간의 평면부에 소정깊이의 나사부를 구성한 상부앤빌(10)로 이루어져, 상기 각 앤빌(10,20)의 여부(20A)와 철부(10A)를 일치시킨 뒤 스크류(30B)를 통하여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는 기존 포밍앤빌의 부분정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평면도로서, 명세서 서두에서 설명하였기에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부분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커버블록(제1a도의 3)상에 스크류(30A)로 상하 양단이 체결, 고정되는 하부앤빌(20)과, 하부앤빌(20)상에 또다른 스크류(30B)로 체결, 고정되는 상부앤빌(10)로 고정된다.
하부앤빌(20)의 중앙부는 소정높이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20B)에는 길이방향으로의 요부(20A)가 구성되어 있다. 상부앤빌(10)의 저면은 하부앤빌(20)의 요부(20A)에 삽입되는 철부(10A)가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은 패캐이지의 리드와 대응하는 리드 대응부(10B)가 구성된다.
상부앤빌(10)의 저면에 구성된 나사부와 하부엔빌(20)의 상부에 구성한 나사부는 서로 연통되어 스크류(30B)를 통하여 서로 일체화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하부앤빌(20)을 커버블록 설정위치(펀치와의 초기 셋팅 위치)에 스크류(30A)를 통하여 고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부앤빌(10)을 철부(10A)와 하부앤빌(20)의 요부(20A)를 서로 일치시킨 뒤 스크류(30B)를 통하여 하부앤빌(20)과 고정시킨다. (본 도면에서는 1조의 포밍앤빌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여러조의 포밍앤빌이 커버블록 상기 고정됨).
포밍작업시 상부앤빌(10)의 양단 리드 대응부(10B)가 파손될 경우 파손된 상부애빌(10)을 하부앤빌(20)에서 분리한후, 또다른 새로운 상부앤빌을 하부애빌(20)상에 고정한다.
따라서, 파손된 상부앤빌(10)의 교체시에도 하부앤빌(20)은 커버블록(30)상에서 초기 셋팅위치를 유지하므로서, 교체된 상부앤빌은 펀치와 편차가 발생되지 않으며, 파쇤된 앤빌의 교체시간도 상당히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커버블록상에 고정되는 포밍앤빌에 있어서, 상하단부가 스크류(30A)를 통하여 커버블록(30)상에 고정되고, 중앙돌출부(20B) 표면에는 길이 방향의 요부(20A)를 구성하여 그 표면에 소정깊이의 나사부를 형성한 하부앤빌(20)과, 저부에는 상기 하부앤빌(20)의 요부에 사입, 수용되는 철부(10A)가 구성되고, 상부 좌우측단에는 패케이지 리드가 대응하는 리드 대응부(10B)를 구성하며, 상기 리드대응부(10B)간의 평면부에 소정깊이의 나사부를 구성한 상부앤빌(10)로 이루어져, 상기 각 앤빌(10,20)의 요부(20A)와 철부(10A)를 일치시킨 뒤 스크류(30B)를 통하여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포밍앤빌.
KR2019900018819U 1990-11-30 1990-11-30 분리형 포밍앤빌 KR930006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819U KR930006644Y1 (ko) 1990-11-30 1990-11-30 분리형 포밍앤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819U KR930006644Y1 (ko) 1990-11-30 1990-11-30 분리형 포밍앤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407U KR920010407U (ko) 1992-06-17
KR930006644Y1 true KR930006644Y1 (ko) 1993-10-04

Family

ID=1930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8819U KR930006644Y1 (ko) 1990-11-30 1990-11-30 분리형 포밍앤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6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407U (ko)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495A (ko) 반도체장치,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DK614587A (da) Kantkonnektor, derer stoebt i et samt kontakter, maskine og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denne
EP047219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tic molded semiconductor devic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930006644Y1 (ko) 분리형 포밍앤빌
US5474459A (en) Inner plug core of a molded power plug
JPH0142587B2 (ko)
JPH0722555A (ja) 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構造及びその切断方法
JPS5865525A (ja) ダイ
CN100403612C (zh) 保险丝孔插头和保险丝盒装置
USD271660S (en) Molded frame maker mitre box with clamps
KR850003213Y1 (ko) 안경테 성형구의 렌즈홈 형성장치
JPH05253Y2 (ko)
KR0117077Y1 (ko) 피엘씨씨 팩케이지 핀포켓트가공용 방전전극
KR910002044Y1 (ko) 리드프레임 메거진
DE20100762U1 (de) Lampenfassung für Niederspannungsglühbirnen
JPH02273486A (ja) 電気部品列の製造型
KR0132013Y1 (ko) 배터리함의 배터리 터미널 취부구조
USD274025S (en) Towel-tie bar
JPS6033579Y2 (ja) 多極コネクタ
CH647102A5 (en) Hermaphrodite connector block and set
KR960000465Y1 (ko) 리드프레임
KR900011068Y1 (ko) 안경테의 랜즈삽입링 곡률 성형기
JPH01175189A (ja) インサート成形器
JPS6315431A (ja) 半導体装置製造用モ−ルド金型
KR910000211Y1 (ko) 반도체금형의 캐비티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