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563B1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563B1
KR930006563B1 KR1019910007136A KR910007136A KR930006563B1 KR 930006563 B1 KR930006563 B1 KR 930006563B1 KR 1019910007136 A KR1019910007136 A KR 1019910007136A KR 910007136 A KR910007136 A KR 910007136A KR 930006563 B1 KR930006563 B1 KR 93000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oking
rice
rice cooker
in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098A (ko
Inventor
박성규
이진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563B1/ko
Publication of KR92002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밥솥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기밥솥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기밥솥 제어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상세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타이머회로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열부 20 : 온도제어부
30 : 타이머부
본 발명은 취사와 보온을 겸한 전기밥솥에 있어서, 적절한 온도제어에 의해 밥솥용기 내의 밥을 누릉지로 만들 수 있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취반기(전기밥솥)는 대개 취반 종료후 일정온도가 하강한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뜸을 지우고 재차 일정온도가 더 내려가면 보온동작을 개시하여 보온을 유지토록 되어 있으며, 단지 밥을 더욱 맛있게 짓기 위해서 취반 종료후의 밥주위에 밀착해 있는 여분의 수분을 제거하고, 쌀 전분 α화(쌀 알맹이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를 촉진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 구체적인 예로써, 일본국 특허공보 소화 62-51609호의 전기취반기를 들 수 있으나, 상기 전기취반기는 취반히터를 갖추고 취반이 완료되면 취반가열이 자동적으로 정지되고, 소정 시간 후 추가 취사가열을 행할 수 있는 전기 취반기에 있어서, 취반히터와, 주 스위치와, 밥이 다되면 작동하는 자동복귀형 응동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가 교류전원간에 접속됨과 동시에, 콘덴서가 정류소자 및 수동조작 자동복귀형 스위치를 통해서 교류전류 사이에 접속되며 이 콘덴서에는 상기 자동복귀형 열 응동스위치에 연동하는 방전스위치가 저항을 통해서 병렬접속되며, 상기 주 스위치는 상기 콘덴서의 전압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서, 정전되거나 콘센트를 뺀경우에도 그 사이에 자동복귀형 열 응동 스위치는 온도저하에 의해 폐성되므로 다시 전기를 공급한 경우에는 즉시 다시 끓일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일정 온도로 일정시간 동안 지연하면서 계속해서 가열시키는 수단이 없으므로 누릉지 따위를 만들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취사 종료후 뜸지우기가 행해지면 일정시간 동안 높은 열량이 재 발열되도록 제어하여 밥솥내부용기 하부에 누릉지를 만들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밥솥은 전압을 인가받아서 일정용량의 열을 발생함으로써 내부용기에 수용된 쌀을 익히는 발열부를 갖춘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에 의한 취사종료후 일정 시간동안 보온동작이 행해지도록 시간을 지연시키는 타이머부와, 상기 타이머부에 의해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 발열부에 의해 내부용기를 재차 가열해서 누릉지가 만들어지도록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기밥솥의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전기밥솥 블록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상세회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타이머회로의 파형도이다.
제1도내지 3도에 있어서, (10)은전압을 인가시켜 밥을 지은 후 누릉지를 만들 수 있도록 밥짓기히터(5), 보온 및 뜸지우기히터(11), 제1SCR(21), 트랜지스터(TR3), 릴레이(10-1)등으로 구성된 발열부이고, (20)은 취사종료후 용기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이하로 내려가면 그 상태에서 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저항(R1-R10), 써미스터(TH1,TH2), 트랜지스터(TR1,TR2), 제2SCR(32), 콘덴서(C1), 다이오드(D1∼D4)로 구성된 온도제어부이고, (30)은 취사종료후 일정시간동안 온도가 하강한 상태가 지속된 후 상기 발열부(10)에 의해 재가열이 행해지도록 카운터(40), 저항(R11,R12), 콘덴서(C2,C3)로 구성된 타이머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취반기는, 쌀과 물을 내부용기(6)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용기(6)를 외부용기(2)내에 수납하여 열판(4)에 올려두고 뚜껑을 닫은후 스위치레버(15)의 1단을 누르면 스위치레버(15)의 타단이 위로 밀어올려져서 써모스탯(13)이 온되고 밥짓기히터(5)에 전기가 통해서 열판(4)을 가열함으로써 내부용기(6)가 가열된다.
상기 내부용기(6)가 가열됨에 따라 수분이 쌀에 흡수되고 내부용기(6)내의 수분이 증발하여 내부용기(6)내의 온도가 140℃로 급격하게 상승되면, 써모스탯(13)이 이를 감지하여 오프됨으로써 밥짓기히터(5)의 발열이 정지된다.
즉, 내부용기(6) 내의 온도가 상승되므로 온도제어부(20)의 써미스터(TH₁)의 저항치는 작아지고, 써미스터(TH₂) 및 저항(R7)에 의해서 분압되는 트랜지스터(TR1)는 그 에미터전위가 베이스전위와 비교해 고전위이므로 온 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전류가 공급되어 온 되므로 보온 및 뜸 지우기 히터(11), 밥짓기 히터(5), 트랜지스터(TR3), 릴레이(10-1)가 오프되어 발열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써모스탯(13)이 오프되어 발열이 정지됨으로써 내부용기(6) 내의 온도가 서서히 저하되는바, 이 온도가 100℃ 보다 약간 더 저하되면, 써미스터(TH₁)의 저항치가 증가하므로 트랜지스터(TR1)는 그 베이스전위가 상승하여 오프되고, 트랜지스터(TR2)도 역시 오프된다. 그러나, 제1SCR(29)은 온 되므로 밥짓기 히터(5) 및 뜸 지우기 히터(11)가 발열됨으로써 뜸 지우기가 행해진다.
뜸 지우기가 행해짐에 따라 내부용기(6)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게 되고, 내부용기(6)내의 온도가 100℃보다 약간 높아지게 되면 써미스터(TH₂)가 온 되므로 밥짓기 히터(5)와 보온 및 뜸 지우기히터(11)를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밥짓기 히터(5)와 보온 및 뜸 지우기히터(11)의 발열이 정지되므로 써미스터(TH₂)의 저항치 변화에 의해서 평균온도가 100℃에서 일정시간 동안 강제적으로 뜸 지우기가 행해진다.
이와같이, 강제적인 뜸 지우기가 행해짐으로써 밥짓기가 완료되면, 저항(R11,R12) 및 콘덴서(C3)에 의해 기준 주파수가 발생되어 카운터(40)에 의해 카운트를 개시하게 되고, 일정시간동안의 카운트가 종료할 때까지 제2SCR(32)의 캐소드극에 접속된 출력단자(O1)에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
즉,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운트(40)의 단자(O3,O4)는 오프시키고, 단자(O2)는 온 시키므로 시간(t1) 상태일 때 저항(R11,R12)을 통해 콘덴서(C3)는 충전되고, 하한전압(VLT)은가 되어 주기[t=0.7(R11,2R12)C3]만큼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이후, 카운터(40)가 출력단자(O1)를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TR3)를 온 시킨다.
이에 따라, 릴레이(10-1)가 구동되어 써모스탯(13)이 온 되므로 발열부(10)에 의한 재가열 동작이 행해진다.
즉, 취반완료된 밥을 일정온도로 재 가열하므로 수분의 증발이 더욱 촉진되어 누릉지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전기취반기에 의하면 취사종료후에도 일정시간 동안 재차 고열이 내부용기에 가열되도록 제어하여 누릉지를 만들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전압을 인가받아서 일정용량의 열을 발생함으로서 내부용기에 수용된 쌀을 익히는 발열부를 갖춘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에 의한 취사종료후 일정시간동안 보온동작이 행해지도록 시간을 지연시키는 타이머부와, 상기 타이머부에 의해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 내부용기를 발열부에 의해 재차 가열해서누릉지가 만들어지도록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19910007136A 1991-05-02 1991-05-02 전기밥솥 KR93000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136A KR930006563B1 (ko) 1991-05-02 1991-05-02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136A KR930006563B1 (ko) 1991-05-02 1991-05-02 전기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098A KR920021098A (ko) 1992-12-18
KR930006563B1 true KR930006563B1 (ko) 1993-07-21

Family

ID=1931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136A KR930006563B1 (ko) 1991-05-02 1991-05-02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5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098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50939B (zh) 一种蒸烤箱控制方法、装置及蒸烤箱
JPS62202490A (ja) 電子レンジ
KR930006563B1 (ko) 전기밥솥
JPH0421994B2 (ko)
JPH01185222A (ja) 炊飯器
JPS6016334Y2 (ja) 沸騰形電気ポツト
JPS5917229Y2 (ja) 電気圧力調理器のヒ−タ回路
JP2970551B2 (ja) 電気炊飯器
JPH0789989B2 (ja) 電気炊飯器
JPH028727B2 (ko)
JPS5841880Y2 (ja) ジヤ−炊飯器
JP2890398B2 (ja) 炊飯器
JPH0124509Y2 (ko)
JPS594583Y2 (ja) 電気炊飯器
JP2890397B2 (ja) 炊飯器
JPH06277145A (ja) 炊飯器
JPS6241005B2 (ko)
JPH06277144A (ja) 炊飯器
JPS6041855Y2 (ja) 電気圧力調理器のヒ−タ回路
JPS6317389Y2 (ko)
JPS5846757Y2 (ja) 蒸らし状態確認式の電気炊飯器
JPH11187975A (ja) 調理器
JPS6325766B2 (ko)
JPS6016335Y2 (ja) 沸騰形電気ポツト
JPH0366320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