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028B1 - 전기 접속기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028B1
KR930006028B1 KR1019850007085A KR850007085A KR930006028B1 KR 930006028 B1 KR930006028 B1 KR 930006028B1 KR 1019850007085 A KR1019850007085 A KR 1019850007085A KR 850007085 A KR850007085 A KR 850007085A KR 930006028 B1 KR930006028 B1 KR 930006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s
passage
protrusions
hous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882A (ko
Inventor
베르나아두스 리브렉츠 후베르투스
길베르투스 요하네스 반 네스 코오넬리스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늘드 에이 호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늘드 에이 호우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6000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접속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기의 두개의 하우징 부분들을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기의 단면도.
제4a-g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기가 다심 케이블의 끝에 설치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부 부분 11,12 : 측벽
13 : 바닥 14,26 : 구멍
15 : 안내 리브 16 : 절연물 관통 접촉부
17 : 칸막이 18,19,24 : 홈
20 : 뚜껑 부분 21,22 : 돌출 리브
23 : 돌출부 25 : 돌기
27,28 : 보강 리브 29 : 얇은 막
30 : 케이블 31 : 절연 도선
34 : 내부 도체 35 : 절연층
39 : 걸림 부재 40 : 전도성 층
본 발명은 재킷으로 둘러싸여진 다수의 절연된 도선들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끝에 부착되는 전기 접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조립된 상태에서, 삽입 단부에서 보았을 때, 케이블의 재킷에 둘러싸인 끝부분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제1부분과, 재킷으로부터 돌출한 절연된 도선들을 수용하도록 더 안쪽에 위치한 제2부분을 가지는 통로를 형성하는 두개의 하우징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고, 두개의 하우징 부분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블 재킷에 작용하는 응력 제거 요소를 제1부분에 가지고 있고, 하우징 부분들중 하나는 제2부분에 각각의 도선을 위한 절연물 관통 접촉부를 가지며, 그 절연물 관통 접촉부는 절연된 도선들이 상기 통로의 제2부분내로 방해없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부터 상기 관통 접촉부가 도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되어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 전기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 접속기는 미국특허 제4,193,658호에 공지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들 각각은, 접속기의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블 재킷에 압착되고 케이블 재킷을 부분적으로 변형시켜서 케이블 재킷을 견고하게 붙잡는 리브(rib)형태의 응력 제거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케이블 재킷에 대한 응력을 완화시킨다. 조립중에는, 절연물 관통 접촉부들 각각은 도선이 그 관통 접촉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되도록 눌려 끼워진다.
절연물 관통 접촉부와 도선 사이에서의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장기간 보장하기 위하여, 도선이 어떠한 기계적 인장 응력도 받지 않아야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전기 접속기가 부착된 케이블을 사용하는 동안, 절연 도선이 재킷내에서 어느정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인장력이 절연물 관통 접촉부에서 접속기에 부여되는데, 이것은 절연물 관통 접촉부와 도선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음을 뜻한다. 이것은 전기적 접촉의 손상을 가져오고 결국 완전한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적으로 절연된 도선들 각각을 위한 부가적인 응력 제거 요소가 제공되도록 상기한 유형의 전기 접속기를 개량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한 유형의 접속기의 하우징 부분에서 통로의 제2부분에 원추형 돌기들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돌기들은 단면 방향에서 접속기에 직각으로 통로 벽으로부터 돌출하고, 접속기의 조립된 상태에서 절연 도선들의 단면적보다 작은 통로 면적을 가지는 구멍들이 통로의 상기 제2부분에 형성되도록 다른 하우징 부분의 통로벽에서 뻗어나와 있다. 그리하여, 접속기의 조립된 상태에서 돌기들이 각각의 절연 도선을 위한 응력 제거 요소를 양호하게 형성하도록 도선의 잔여 절연물을 물어 고정하도록 한다.
케이블 재킷에 작용하는 응력 제거 요소와 각 절연 도선들에 작용하는 또다른 응력 제거 요소를 가지는 접속기가 영국 특허 제1,559,572호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지된 접속기는 하우징이 하나의 일체화된 유니트로 만들어진 유형이다. 각 응력 제거 요소들은 케이블 재킷 또는 각 도선의 절연물에 대한 소망의 맞물림이 얻어지도록 경첩(hinge)효과 또는 변형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하우징의 부분들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접속기 하우징의 전체적 구조는 상당히 복잡하고, 여러가지 응력 제거 요소들들 동작시키는데는 특수한 공구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 전기 접속기는, 통로 벽에서 돌출한 돌기들의 길이가 통로의 제2부분의 단면 크기보다 크고, 접속기가 조립된 상태에 있을때 돌기들의 끝을 수용하는데 충분한 깊이를 가진 구멍들이 다른 하우징 부분의 벽에 제공되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의 크기는, 돌기들의 끝이 다른 하우징 부분의 벽의 상기 구멍들내에 삽입될때까지는 도선들의 절연물에 대한 고정 작용이 실제로 시작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구멍들은 도선들에 대한 고정 작용이 시작되기 전에 절연 도선들 각각에 대해 먼저 형성되어, 돌기들의 끝과 대향 통로벽 사이에 절연물이 끼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돌기를 원추체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형태는 도선들의 절연물이 잘려나가지 않고 변형되게 한다. 또한, 사출성형 공정에 있어서 원추형의 돌기는 금형의 제작과 사용된 금형으로부터 특정 하우징 부분의 분리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하우징 부분의 상기 구멍들은, 하우징 부분의 외벽으로부터 통로의 제2부분 직전까지 연장하여 한쪽이 막혀있는 구멍으로서 설계되고, 각 구멍과 통로의 제2부분 사이의 격벽의 두께는 접속기의 조립중에 돌기들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게 형성된다.
이것은 통로의 제2부분의 벽이 절연 도선들을 삽입할 때 매끄럽고 연속적이어서, 그러한 삽입이 장애없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기의 하우징의 두 부분들, 즉, 기부 부분(10)과 뚜껑 부분(2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기부 부분(10)은 대략적으로, 측벽들(11,12)과 바닥(13)으로 둘러싸인 요홈부를 가진 적당한 재질의 장방형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왼편에는 벽이 없으나, 제1도의 오른편에는 다수의 평행한 구멍들이 형성된 비교적 두꺼운 벽 부분이 있는데, 그 구멍들중의 하나가 참조번호 14로 표시되어 있다. 이 구멍들은 기부 부분의 오른편으로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 한쪽이 막힌 구멍들이거나, 또는 관통 구멍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구멍들(14)은 피복 케이블의 개개의 절연 도선들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도선들의 삽입중에 도선들을 양호하게 안내하고 위치시키기 위하여, 구멍들(14) 바로 앞에는 다수의 안내 리브(rib)들이 제공되어 있고, 그 리브들 중의 하나가 참조 번호 15로 표시되어 있다.
기부 부분(10)의 오른편 단부의 비교적 넓은 벽 부위에는, 기다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각 구멍들에는 절연물 관통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다. 절연물 관통 접촉부들중 하나가 참조 번호 16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절연물 관통 접촉부들의 양호한 안내를 위하여, 수직의 칸막이들(17)이 그 절연물 관통 접촉부들(16)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도에서, 절연물 관통 접촉부(16)들의 하측부의 뾰족한 끝들이 구멍들(14)안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그 절연물 관통 접촉부들이 상승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측벽들(11,12)에는 길이 방향으로 파여진 홈들(18,19)이 형성되어 있고, 홈들(18,19)위에서 측벽들(11,12)의 상단부는 경사져 있다.
뚜껑 부분(20)은 그의 길이 방향 측벽들 상에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 리브들(21,22)을 가지고 있고, 그 돌출 리브들은 홈들(18,19)의 헝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도에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측의 뚜껑 부분(20)은 기부 부분(10)에 압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경사진 돌출 리브들(21,22)이 측벽들(11,12)의 경사진 상단부를 따라 미끌어져어 홈들(18,19)속에 맞물리게 된다.
뚜껑 부분(20)이 기부 부분(10)에 결합된 때, 이들 두 부분들은 조립된 전기 접속기의 좌측부에서 케이블의 피복된 부분을 수용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그 피복된 부분은, 기부 부분(10)의 바닥(13)에 제공된 홈(24)을 향하도록 뚜껑 부분(20)의 아래면에서 돌출하여 있는 돌출부(23)로 이루어진 응력 제거 요소들에 의해 고정된다. 이 홈(24)은 한쪽이 막힌 공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기부 부분(10)은 폐쇄된 아래면을 가지게 되지만, 그 홈은 또한 관통 통로로써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것이 제3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3도로부터, 케이블의 재킷이 일측부에서 뚜껑 부분(20)의 돌출부(23)에 의해 물려지고, 그 결과, 일측부에서 부분적으로 변형되는 한편, 반대 측부에서는 국부적으로 홈(24)내로 눌려 들어간다. 이러한 고정 작용에 의해 케이블(30)의 재킷에 대한 응력이 제거된다.
뚜껑 부분(20)은 또한, 케이블의 개개의 절연 도선들에 대한 응력을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데, 그 수단은 일련의 돌기들 형태로 되어 있다. 그 돌기들중 하나가 참조번호 25로 표시되어 있다. 이 돌기들(25)은 안내 리브들(15)과 정렬되도록 위치되어 있는데, 바꿔말하면, 이 돌기들은, 전기 접속기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구멍들(14)에 삽입되는 케이블(30)의 개개의 절연 도선들이 이 돌기들 사이에 있도륵 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돌기들(25)의 길이는, 전기 접속기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돌기들의 끝이 기부 부분(10)의 바닥(13)까지 또는 그에 인접한 곳까지 이르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돌기를 가지는 구조는 개개의 절연 도선들이 적어도 돌기들의 위치에서 물리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그 돌기들의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 전기 접속기의 조립중에 한개 혹은 그 이상의 도선들의 절연물 부분이 이 돌기들의 아래면과 기부 부분(10)의 바닥(13) 사이에 끼일 위험이 있는데, 이것은 접속기의 조립을 어렵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돌기들(25)은 조립된 상태에서 뚜껑 부분(20)의 아래면과 기부 부분(10)의 바닥(13)의 윗면 사이의 거리보다 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립된 상태에서 돌기들(25)은 기부 부분(10)의 바닥(13)에 형성된 구멍들(26)속으로 돌출한다. 제1도에서는 이 구멍들중 하나가 참조번호 26으로 지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돌기는 한편으로는, 돌기들의 끝이 구멍들(26)내로 들어갈 때 개개의 도선들에 누름작용이 부여되지 않아서, 개개의 도선들 사이에서의 돌기들의 양호한 안내와 그에 따른 도선들의 양호한 위치결정이 보장되는 이점을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예를들어 여러가지 유형의 평케이블의 경우와 같이 얇은 재질의 브릿지(bridge)들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절연 도선들에 이 돌기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돌기들은 접속기의 조립중에 이 얇은 재질의 브릿지들을 관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뚜껑 부분(20)은 한편으로는, 이것을 기부 부분(10)에 압착하여 결합시킬 때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소정의 경도를 가져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압착된 상태에서 응력 제거요소들은 케이블 재킷이나 개개의 도선들에 의해 가해지는 반대압력에 의해 뚜껑 부분이 불룩하게 되어, 응력 제거 요소들의 효과가 접속기의 양 측부에서 보다 접속기의 중간부에서 상당히 더 작게 됨이 없이, 접속기의 전체폭에 걸쳐 균일한 효과를 가지고 그들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이런 것들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부분은 충분한 경도가 얻어질 수 있게 하는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도 및 3도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볼 재킷을 위한 응력 제거 요소들에서, 특히 돌출부(23)에서, 뚜껑 부분은 형태와 관련하여 적절한 경도를 이미 가지고 있고, 따라서 부가적인 예방 조처가 취해질 필요는 없다. 그러나, 돌기들(25)에서, 뚜껑 부분은 원칙적으로 평면상이지만, 평면상의 뚜껑 부분은 적은 경도를 가지기 때문에 돌기들(25)에서의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개의 보강 리브들이 뚜껑 부분(20)의 상면에 일체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보강 리브들이 참조번호 27 및 28로 나타내어져 있다.
제4a-g도에, 케이블 끝 부분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기를 장착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4a도는 재킷(32)에 의해 둘러싸여진 다수의 절연 도선(31)으로 이루어진 케이블(30)을 도시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재킷(32)은 부분적으로 노출된 차폐층(시일드 층)(33)을 가지고 있다. 길이(L)에 걸쳐, 재킷(32)(차폐층(33)을 포함하여) 이 개개의 도선(31)들로부터 벗겨진다.
케이블(30)이 평케이블인 경우에, 개개의 도선들은 접속기의 기부부분(10)의 구멍들(14)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자연히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도선들은 제4b도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들어 일종의 클립(clip)과 같은 형태의 별도의 물림 공구(41)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 클립은 절연 도선들(31)이 끝 부분들의 길이(L')가 구멍들(14)에 완전히 삽입되는데 충분하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구멍들(14) 모두 혹은 일부가 막힌 구멍인 경우, 다시 말해서 절연 도선들의 끝 부분들이 접속기의 후방으로 나올 수 없게된 경우, 절연 도선들의 끝 부분들이 제4b도에 나타낸 길이(L')로 단축되어야 한다.
제4c도는 절연 도선들(31)의 평행한 끝 부분들이 기부 부분(10)의 구멍들(14)속으로 삽입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조립 공정중의 이 시점에서, 절연물 관통 접촉부들(16) 모두는 그들의 하측부의 뽀족한 끝 부분들이 도선들의 끝 부분들을 구멍들(14)안으로 삽입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상승된 위치에 있다. 이때, 안내 리브들(15)(제1도)은 절연 도선들의 끝부분들을 위한 안내 요소들로 작용한다.
제4c도를 보면, 기부 부분(10)의 바닥(13)에 있는 구멍들(26)은 어떤 상황에서는 도선 끝 부분들의 삽입중에 장애물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도선 끝 부분들이 구멍들(26)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멍들(26)은, 기부 부분(10)의 외부로부터 연장하고, 바닥(13) 내측에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는 얇은 벽 혹은 얇은 막에서 끝나는 막힌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얇은 벽 혹은 얇은 막의 두께는, 뚜껑 부분을 기부 부분에 대해 압착시킬 때 돌기(25)가 이벽 혹은 막을 쉽게 관통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제3도는 돌기(25)에 의해 관통된 후의 상기 얇은 막(29)의 잔여부를 나타낸다.
제4d도에서, 케이블은 그의 재킷(32)이 기부 부분(10)의 바닥(13) 상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제4e도에 나타낸 단계에서, 뚜껑 부분(20)은 그의 돌출 리브들(21,22)이 기부 부분(10)의 홈들(18,19)에 맞물릴 때까지 기부 부분(10)내로 하방으로 압착된다. 뚜껑 부분(20)의 압착 과정에서, 돌기들(25)은, 얇은 막(29)을 관통한 후, 바닥(13)의 구멍들(26)내로 삽입된다. 돌기들(25)은 원추형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쌍의 돌기들 사이의 최종적으로 남는 공간의 단면이 절연 도선의 단면보다 작기 때문에 그 돌기들 사이의 자유 공간이 감소되어지고, 따라서 서로 대면하는 각 쌍의 돌기들의 측면들은 그 돌기들 사이에서 맞물리는 도선의 절연물 내로 침투한다. 그 결과, 이 절연물은 부분적으로 변형되고 견고한 물림이 그 도선에 얻어지는데, 이것은 이 도선으로부터 응력이 제거됨을 의미한다.
그 돌기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겠지만, 그 돌기는 완전히 원추형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개개의 도선들의 절연물내로 침투하는 돌기 벽들이 매끄러운 모양을 가지며, 절연물을 절단하지 않게 된다. 또한, 하우징 부분들을 만들기 위해 사출성형 공정 또는 이와 유사한 공정이 사용될 때, 매끄러운 원추형의 돌기는 그러한 사출 성형 공정에서 요구되는 금형 제작의 관점에서 볼 때 이점을 가지며, 사출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하우징 부분을 떼어낼때도 유리하다.
조립 과정의 다음 단계는, 제4f도에 나타낸 것처럼, 절연물 관통 접촉부들(16)을 제3도에 도시된 위치로 압착하는 것이다. 이 위치에서, 절연물 관통 접촉부(16)의 뾰족한 끝 부분들(16a,16b)은 절연 도선(31)의 절연층(35)과 내부 도체(34)를 관통하여, 절연물 관통 접촉분(16)와 절연 도선(31)의 내부 도체(34)사이에 양호한 접촉이 달성된다. 최종적으로 달성된 상태가 제4g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서, 참조번호 40은 뚜껑 부분(20)의 표면 일부분에 제공된 전도성층을 나타내며, 그 전도성층은 기부 부분(10)의 표면 일부분에도 제공될 수 있다. 제 3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응력 제거 요소인 돌출부(23)는 조립 과정중에 이 돌출부가 차폐층(33)과 접촉할만큼 케이블(30)의 재킷(32)내로 침투한다. 이 돌출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도성층을 가지는 경우, 이렇게 하여 접속기의 차폐부분과 케이블 재킷의 차폐층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도 및 2도는 이 전기 접속기의 측면상의 걸림 부패(39)를 나타내지만, 그 부재에 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이 걸림 부재(39)는 이 접속기가 수용되는 하우징내에 그 접속기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걸림 부재의 세부는 예를들어 앞에서 언급된 특허공보들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 접속기내 각 도선들로부터 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응력 제거요소를 제공한다. 끝에 접속기가 달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접속기에 삽입된 케이블의 끝에서 케이블 재킷과 절연물 관통 접촉부(16) 사이에 길이 방향 움직임이 발생하고 각 내부 도체(34)가 절연물 관통 접촉부(16)의 뾰족한 끝부분들(16a,16b)에 의해 드러나는 것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3도에서 명확히 보여지는 바처럼, 내부도체의 좌우에서의 약간의 응력은 절연물 관통 접촉부(16)의 뾰족한 끝부분과 내부 도체(34)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그들 사이의 접촉에 손상을 주거나 완전한 분리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돌기(25)에 의해 제공되는 응력 제거 요소는, 각 절연 도선의 좌측(제3도에서)에 발생한 응력이 접촉 접속부에 절단되지 않게 한다.

Claims (6)

  1. 재킷에 의해 둘러싸인 한개 이상의 도선들을 가지는 케이블의 끝 부분에 부착되는 전기 접속기로서,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블 재킷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는 제 1부분과 재킷에서 돌출하는 절연 도선들을 수용하는 제2부분을 갖는 통로를 형성하는 두개의 하우징 부분들로 이루어지고, 각 하우징 부분은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블 재킷에 작용하는 응력 제거 요소들을 상기 통로의 제1부분에 가지고 있고, 하우징 부분들중의 하나는 상기 통로의 제2부분에 각 도선들에 대한 절연물 관통 접촉부를 가지며, 그 절연물 관통 접촉부는 상기 도선들이 상기 통로의 제2부분내로 방해없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절연물 관통 접촉부가 도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제2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전기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분들중 하나가, 상기 통로의 제2부분에, 상기 하우징 부분들이 조립된 때 상기 하나의 하우징 부분의 통로벽으로부터 상기 통로내로 도선들에 직각으로 돌출하고 다른 하나의 하우징 부분의 통로벽까지 연장하는 원추형 돌기들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돌기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그 돌기들이 상기 도선들의 절연물을 물어 그 도선들을 고정시킴으로써 각 도선을 위한 응력 제거를 제공하도록 그 돌기들 사이 공간의 단면이 도선들의 단면적보다 작게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의 길이가 상기 통로의 제2부분의 단면 크기보다 크고, 조립된 상태에서 돌기들의 끝을 수용하는데 충분한 깊이를 가진 구멍들이 상기 다른 하나의 하우징 부분의 벽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 접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이 회전 원추체 형상으로된 전기 접속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우징 부분의 상기 구멍들이 그 하우징 부분의 외벽으로부터 상기 통로의 제2부분 직전까지 연장하여 얇은 벽에서 끝나는 막힌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막힌 구멍의 끝과 상기 통로의 제2부분 사이의 상기 얇은 벽의 두께는 접속기의 조립중에 상기 돌기에 의해 관통되는데 충분하게 작게된 전기 접속기.
  5. 제1항에 있어서, 도선들 사이가 연결된 평케이블의 끝에 부착되기 위해, 상기 돌기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평케이블의 도선들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고, 상기 돌기들의 크기는 조립된 상태에서 돌기들이 실제의 도선들과 접촉함이 없이, 도선들 사이를 연결하는 물질을 관통하도록 선택되는 전기 접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들을 가진 하우징 부분이 그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돌기들의 반대편의 외벽에 한개 이상의 보강 리브를 가지는 전기 접속기.
KR1019850007085A 1984-09-27 1985-09-26 전기 접속기 KR930006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402949 1984-09-27
NL8402949A NL8402949A (nl) 1984-09-27 1984-09-27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882A KR860002882A (ko) 1986-04-30
KR930006028B1 true KR930006028B1 (ko) 1993-07-01

Family

ID=1984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085A KR930006028B1 (ko) 1984-09-27 1985-09-26 전기 접속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618202A (ko)
EP (1) EP0178712B1 (ko)
JP (1) JPS6182683A (ko)
KR (1) KR930006028B1 (ko)
AT (1) ATE41272T1 (ko)
AU (1) AU573156B2 (ko)
BR (1) BR8504712A (ko)
CA (1) CA1235203A (ko)
DE (1) DE3568672D1 (ko)
HK (1) HK24490A (ko)
IL (1) IL76339A0 (ko)
MX (1) MX157995A (ko)
NL (1) NL8402949A (ko)
SG (1) SG65389G (ko)
ZA (1) ZA857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8201A (en) * 1984-07-16 1986-10-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tact with a high count twisted pair cable
NL8402949A (nl) * 1984-09-27 1986-04-16 Du Pont Berg Electronics Div Connector.
US4767355A (en) * 1984-09-28 1988-08-30 Stewart Stamping Corp. Jack and connector
NL8503347A (nl) * 1985-12-04 1987-07-01 Du Pont Nederland Connector.
US5057028A (en) * 1986-11-18 1991-10-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ceptacle having a nosepeice to receive cantilevered spring contacts
US4824383A (en) * 1986-11-18 1989-04-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erminator and corresponding receptacle for multiple electrical conductors
US4887977A (en) * 1988-06-15 1989-12-19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ble connector haing a resilient cover
US4950176A (en) * 1988-11-18 1990-08-21 At&T Bell Laboratories Modular plug for terminating cordage
US5005284A (en) * 1988-11-18 1991-04-09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of assembling terminals with modular plug
US4927375A (en) * 1989-02-23 1990-05-22 Northern Telecom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s
DE3941663A1 (de) * 1989-12-16 1991-06-20 Ivocla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zahnersatzteilen und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geeignetes arbeitsmodell
US5147215A (en) * 1990-03-08 1992-09-15 Amp Incorporated Connector with integral wire management system
US5575681A (en) * 1994-12-16 1996-11-19 Itt Corporation Connector termination to flat cable
TW435873U (en) * 1998-12-08 2001-05-16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US6305981B1 (en) * 1999-03-09 2001-10-23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ntact securing flap
US6706970B2 (en) * 2002-01-04 2004-03-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train relief for electrical cable
ITFI20050043A1 (it) * 2005-03-17 2006-09-18 Belisario Pini Dispositivo bloccacavi
DE102017105682A1 (de) * 2017-03-16 2018-09-2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träger, 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onfektionierten Kabel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60555A (de) * 1932-03-30 1933-03-15 Adolf Feller Aktien Ges Fabrik Steckervorrichtung.
GB545692A (en) * 1940-11-28 1942-06-08 Frank George Gillar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couplings
GB838241A (en) * 1956-10-22 1960-06-22 Cie Financiere Immobiliere E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ble-protecting devices for electrical apparatus
US3998515A (en) * 1975-09-25 1976-12-21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Hermetic electrical penetrator
US3998514A (en) * 1975-10-06 1976-12-21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Device armed with a terminal for mak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conductor
CA1072649A (en) * 1976-01-07 1980-02-26 Robert H. Frantz Insulated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JPS5713672A (en) * 1980-06-30 1982-01-23 Tokyo Shibaura Electric Co Connector
JPS5914864A (ja) * 1982-07-14 1984-01-25 ヤマハ株式会社 ゴルフ用ウツドクラブヘツドの製法
US4460228A (en) * 1982-10-12 1984-07-17 Amp Incorporated Pitch change connector
US4506944A (en) * 1983-07-11 1985-03-26 Stewart Stamping Corporation Modular connector for terminating EMI/RFI shielded cordage and cord terminated thereby
NL8402949A (nl) * 1984-09-27 1986-04-16 Du Pont Berg Electronics Div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35203A (en) 1988-04-12
HK24490A (en) 1990-04-06
BR8504712A (pt) 1986-07-22
ZA857443B (en) 1987-05-27
MX157995A (es) 1988-12-29
AU573156B2 (en) 1988-05-26
US4618202A (en) 1986-10-21
EP0178712A1 (en) 1986-04-23
DE3568672D1 (en) 1989-04-13
JPS6182683A (ja) 1986-04-26
KR860002882A (ko) 1986-04-30
AU4787385A (en) 1986-04-10
SG65389G (en) 1990-03-09
EP0178712B1 (en) 1989-03-08
JPS6227507B2 (ko) 1987-06-15
ATE41272T1 (de) 1989-03-15
IL76339A0 (en) 1986-01-31
NL8402949A (nl) 1986-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028B1 (ko) 전기 접속기
US421146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on cords with improved locking means
US5030136A (en) Connector for cables
US5074808A (en) Molded strain relief in back shell
US3954320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s for terminating cords
US5766033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4310208A (en) Molded electrical connector
JP3136263B2 (ja) モジュラープラグ用ガイドプレート
US3936128A (en)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insulated wires
US5761805A (en) Method of making a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KR880002191B1 (ko) 전기 코넥터
US4171858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for a flat multi-conductor cable
JPH03141561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US6250959B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with very fine conductors
US4824394A (en) IDC connectors with rotated conductor pairs and strain relief base molded onto cable
US4820191A (en) Connection device
US3990759A (en) Insulators
US3977754A (en) Electrical connector
US5520549A (en) Connector apparatus, housing, and connecting element
US5211575A (en) Insulated pigtail device
EP0890203B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KR940002217Y1 (ko) 고밀도 전기접속기
JPH11121108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S60182671A (ja) 多重ワイヤ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US5044999A (en) Flat cable-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