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968B1 - 각도 절단선 결정수단을 가진 직각자 - Google Patents

각도 절단선 결정수단을 가진 직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68B1
KR930005968B1 KR1019860000821A KR860000821A KR930005968B1 KR 930005968 B1 KR930005968 B1 KR 930005968B1 KR 1019860000821 A KR1019860000821 A KR 1019860000821A KR 860000821 A KR860000821 A KR 860000821A KR 930005968 B1 KR930005968 B1 KR 930005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arcuate
hole
arm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684A (ko
Inventor
더블유. 비즈 실베스터
Original Assignee
더 스탠리 웍스
로버트 에이. 맥팔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스탠리 웍스, 로버트 에이. 맥팔래인 filed Critical 더 스탠리 웍스
Publication of KR86000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56Gaug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e.g. conical calipers
    • G01B3/566Squa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각도 절단선 결정수단을 가진 직각자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서까래 구성 직각자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분도기 아암의 일부가 잘려진 서까래 구성 직각자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1 및 2도에 도시된 직각자의 측면 모서리에서 바라본 모서리 입면도.
제4도는 제1 및 2도에 도시된 직각자의 기부 모서리에서 바라본 모서리 입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선 5-5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6도는 표시가 생략된 서까래 구성 직각자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직각자가 서까래에 상단 절단선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부분 개략도.
제8도는 직각자가 서까래에 하단 절단선을 그리는데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부분 개략도.
제9도는 직각자가 공작물에 각도를 그리는데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부분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몸체 4 : 분도기 아암
6 : 피버트 수단 8 : 활주 고정 수단
10 : 제1측면 12 : 제2측면
16 : 제3측면 18 : 피버트 구멍
20 : 아치형 슬롯 22 : 아치형 구멍
24 : 아치형 측면 30,32 : 아암 요소
48 : 제1척도 54 : 제2척도
58 : 제3척도 64 : 제4척도
70 : 제5척도
본 발명은 지붕 서까래의 절단선을 설계하는데 사용되는 구성 직각자에 관한 것이다.
지붕을 구성할 때, 서까래의 끝은 지붕의 피치, 즉 보통 건물 설계시에 정하는 지붕 서까래의 단위 길이당 상승 단위(unit rise)에 따라 변하는 각도에 맞추어 절단하여야 한다. 게다가, 각도 절단선의 성질은 지붕이 추녀마루(hip roof)이거나 또는 지붕마루(valley)를 가질때에는 공통 미치로된 지붕의 절단선과는 다르게 변할 것이다.
서까래의 두끝에 관한 각도를 용이하게 그리기 위하여 지붕 서까래의 단위 길이당 상승 단위를 각도 관계로 변환시키는 구성 직각자(framing square)가 다수 제작되어 있다. 이러한 직각자중 몇개는 직각자의 레그를 따라가는 표시로써 데이타를 가진 일람표를 제공하고, 보드의 한 모서리에서 기부지점을 바르게 정렬하고 다음에 하나의 레그에 있는 적절한 표시가 보드의 다른 모서리와 정렬될 때까지 직각자를 선회시킴으로써 절단해야 할 보드에 직각자를 놓는다. 그때 그 레그를 따라 화선을 그린다.
다른 구성 직각자는 각도를 배열하기 위하여 분도기 형태를 사용한다. 이러한 구성 직각자중 어떤 것에는 길이마다 상승하는 변환표가 제공되어 있고, 다른 것에는 아치형 표면을 따라가는 적절한 위치에 이러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어떤 구성 직각가에는 필요한 각 위치를 규정하고 선형 모서리를 제공하도록 선회될수 있는 피버트식 아암이 제공되어 있는데, 선형 모서리를 따라 화선을 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통 지붕, 추녀마루 및 지붕마루를 위해 각도 절단선을 설계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되며 자유자재로 응용할 수 있는 신규의 지붕 구성 직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필요한 각도의 설계 및 화선을 그릴 수 있고 일정한 선형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지붕 구성 직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비교적 저렴하게 제작되고, 구조가 튼튼하고, 내구성이 있는 직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제1 내지 6도에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서까래 구성 직각자는 직각 삼각형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몸체(2), 기다란 분도기 아암(4), 피버트 수단(6) 및 활주 고정 수단(8)을 구비한다. 평평한 몸체(2)는 지점(14)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1측면(10) 및 제2측면(12)과, 대향 단부 사이를 연장하는 제3측면(16)으로 규정된 직각삼각형의 모양을 가진다. 피버트 구멍(18)은 제2측면(12)의 길이를 따라가며 제1측면(10)에서 이격되어 있고 또, 제2측면(12)의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볼록한 아치형 슬롯(20)은 제3측면(16)에 인접하여 몸체(2)에 제공되고, 피버트 구멍(18)을 반경 중심점으로 하여 반경이 정해진다. 피버트 구멍(18)과 아치형 슬롯(20)사이에 배치한 아치형 구멍(22)은, 아치형 슬롯(20)에 인접한 아치형 측면(24)과, 단부에서 연장하면서 피버트 구멍(18)에 인접하게 직각에서 교차하는 한쌍의 선형측면(26,28)을 가진다.
분도기 아암(4)은 한쌍의 기다란 아암요소(30,32)로 구성되고, 직각의 아암 요소 두께는 몸체(2)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평평한 외면으로 되어 있다. 분도기 아암의 한단부에 인접하게 피버트 구멍(18)에 겹쳐지는 요면(34)에는 피버트 수단 또는 보스(6)가 일렬로 정렬되어서 정착된다. 분도기 아암의 다른 단부에 있는 구멍(36,38)은 아치형 슬롯(20)과 일렬로 정렬되고, 또, 활주 고정 수단(8)으로된 나사식 패스너의 몸대(40)를 정착시킨다. 도시된 바와같이 활주 고정수단은 조절이 용이하도록 표면이 울퉁불퉁한 기다란 헤드(42)를 가진다. 아암 요소(32)에 있는 구멍(38)은 몸대(40)의 나사형 단부와 나사 접속식으로 연결된다. 아암 요소(30)에 있는 구멍(36)은 축소된 폭부분에 몸대(4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키이홈 형태를 가진다. 활주 고정 수단(8)을 조일 때, 활주 고정 수단은 몸체(2)의 대향표면에 대하여 2개의 아암요소(30,32)를 단단히 끌어 당겨서 분도기 아암(4)을 마찰식으로 압박하여 고정위치에 고정시킨다.
제1 및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도기 아암(4)의 상부 모서리(44)는 선형 측면(26)위에서 아치형 구멍(22)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또 아암의 하단부 위에서 아치형 슬롯(20)을 가로질러 연장하며, 하부 모서리(46)는 상부 모서리 아래에 있다. 분도기 아암의 길이는 아치형 슬롯(20)을 지나서 연장할 정도이고, 피버트식 원호의 중간지점에서 최소한 제3측면(16)과 인접하게 연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치형 구멍(22)의 아치형 측면(24)을 따라 제1척도(48)가 배치되는데, 제1척도는 분도기 아암이 제1측면(10)에 평행하게 연장할 때 분도기 아암(4)의 상부 모서리(44)에 접하는 지점에서 시작하여 접선 방향으로 각도(50)가 2°간격으로 증가하고, 수치(52)는 0°에서 70°까지 10°씩 증가한다. 선형의 각도(50)는 분도기 아암(4)이 아치형 측면(24)의 길이를 따라 선회할때 상부 모서리(44)와 평행하게 된다.
아치형 슬롯(20)의 내부 모서리를 따라 제2척도(54)가 배치되는데, 제2척도는 분도기 아암(4)의 상부모서리(44)에 접선방향으로 선형 눈금(55)을 가지며, 수치는 0에서 시작하여 초기에는 4까지 1씩 증가한다. 아치형 슬롯(20)의 외부 모서리를 따라 제3척도(58)가 배치되는데, 제3척도는 선형 각도(60)와 초기에 6까지 1씩 증가하는 수치(62)를 가진다. 상기 제2 및 제3척도(54,58)는 선을 그어 표시해야 할 서까래 노선의 단위 길이당 상승단위의 수치를 나타내고, 제2척도(54)는 추녀마루 및 지붕마루 서까래에서 사용되고, 제3척도(58)는 공통 서까래 또는 가짓자보(jack rafter)에서 사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및 제3척도(54,58)에 도시된 상승 단위는 인치이며, 이에따라 길이의 단위를 피이트이다. 필요한 각 관계에 따라 제2 및 제3척도(54,58)의 눈금을 배열하기 위한 0마크 또는 기선은 피버트 구멍(18)의 중심에서 분기하여 제1측면(10)에 평행한 선이다.
상기 2개의 척도에 있는 숫자 표시에 따라 상기 0°기부 위치로부터 제3기지수(각도 증분)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기 표가 사용된다.
[표 1]
Figure kpo00001
제4척도(64)는 분도기 아암(4)의 0°위치에 일치하는 선에서 몸체(2)의 후면에 있는 제2측면(12)을 따라 연장한다. 상기 제4척도(6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치로서 증가하는 눈금(66) 및 숫차(68)로 구성된 선형 거리자이다. 이것은 직각자를 단거리 측정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제1척도의 연장으로서 제1척도(48)와 협동하는 제5척도(70)는 몸체(2)의 제3측면(16)을 따라 간다. 제5도는 분도기 아암의 0°위치에서 0°마크를 가지며 선형 눈금(72) 및 숫자(74)를 포함한다. 아치형 구멍(24)의 원호는 70°보다 약간 많이 연장하고, 제1척도(48)는 0°에서 70°까지 표시되어 있다. 제5척도(70)는 분도기의 각이 제3측면(16)과 제2측면(12)간의 교차점에서 90°가 되게 연장하도록 제3측면(16)의 상단부를 따라 표시된 숫자(74)와 눈금(72)를 가진다.
지붕을 구성할 때는 먼저 단위 길이당 상승 높이, 즉 피트 길이당 상승인치로서 피치를 결정한다. 다음에, 분도기 아암(4)를 선회시켜 적절한 척도(54,58)에서 상승단위에 해당하는 눈금에 접선방향으로 상부 모서리(44)를 둔다. 이 위치에서 활주 고정수단(8)을 조여서 분도기 아암(4)을 안전하게 고정시킨다.
하단 절단을 위해, 즉 계획한 서까래의 하단부에서 절단하기 위하여,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도기 아암의 하부 모서리(46)가 보드(82)의 상부 모서리에 확고하게 정착되도록 직각자를 보드(82)에 놓는다. 다음에, 보드(82)를 교차하는 절단선을 규정하기 위하여 제1측면(10)을 따라 연필(도시하지 않음)로 그린다.
상단 절단을 위해, 즉 계획한 서까래의 상단부에서 절단하기 위하여,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도기 아암(4)의 상부 모서리(44)가 보드(82)의 하부 모서리에 확고하게 정착되도록 보드(82)에 직각자를 놓는다. 절단을 위한 화선을 제2측면(12)을 따라 그린다.
또한, 직각자는 제1척도에서 필요한 각을 선택하고 그 모서리에 분도기 아암(4)을 높음으로써 각도 절단선을 그리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제9도에는 80°각도를 그리기 위한 직각자의 사용법이 도시되어 있다. 절단해야 할 보드(82)에 놓인 분도기 아암(4)의 선회된 모서리와 제5척도(70)에서의 선형 눈금(72)은 보드(82)의 모서리와 일렬로 정렬시킨다. 제2측면(12)을 따라 화선을 그린다.
70°또는 이보다 적은 각도로 화선을 그리는데 직각자를 사용할 때, 분도기 아암(4)의 상부 모서리(44)는 제1척도(48)의 적절한 표시까지 선회시킨다. 각도 절단에 필요한 방향에 의존하면서, 몸체(2)의 적절한 표면을 상향에서 배치하고, 분도기 아암(4)의 상부 모서리(44)를 공작물에 놓아서, 제2측면(12)을 따라 화선을 그린다.
직각자 및 분도기 아암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테이트 및 폴리 페닐렌 옥사이드와 같은 섬유 보강 합성수지와 알루미늄, 강철 및 황동과 같은 내구성의 안정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알루미늄은 강도, 안정성 및 경량을 공평하게 제공하므로 양호하다. 분도기 아암은 절단해야할 보드의 측면에 안정된 배치를 할 수 있도록 비교적 두꺼운 모서리 표면을 제공하면서,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내부 표면에 공동을 가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평판원료로 기계가공되거나 다이캐스트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까래 구성 직각자는 최소의 계산으로 여러가지 서까래 절단선을 만드는데 사용하기 용이하고 자유자재로 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서까래 구성 직각자는 길이 데이타당 공지된 상승 높이로부터 각도 절단선을 결정하여 그리는 간단하면서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하고, 또한 다른 목적을 위해 필요한 각도의 절단 화선을 그릴 수 있다. 직각자는 제작이 간단하고, 튼튼하므로 비교적 수명이 긴 조립체를 제공한다.

Claims (9)

  1. 서까래 절단선을 배열하는데 사용하는 직각자에 있어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1 및 제2측면(10,12)과 두 측면의 대향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3측면(16)을 가진 직각 삼각형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몸체(2)는 교차점에서 제2측면을 따라 상기 제2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간격이 유지된 피버트 구멍(18)을 가지고, 또 상기 몸체는 제1 및 제2측면(10,12)의 직각 교차점에서 간격이 유지되면서 반경 중심점으로서 피버트 구멍을 가지는 반경에 의하여 규정된 볼록한 아치형 슬롯(20)을 가지고, 상기 아치형 슬롯(20)은 피버트 구멍(18)보다 제1측면(10)에 더 접근하여 간격이 유지된 지점에서 연장하고, 또한 상기 몸체(2)는 아치형 슬롯(20)과 피버트 구멍(18)사이에서 아치형 구멍(22)을 가지고, 상기 아치형 구멍은 아치형 슬롯(20)에 인접한 아치형 측면(24)과 피버트 구멍(18)에 인접하게 교차하는 한쌍의 직선형 측면(26,28)을 가지고, 상기 아치형 측면(24)은 반경 중심점으로서 피버트 구멍(18)을 가지는 반경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체(2)는 아치형 구멍(22)의 아치형 측면(24)을 따라 간격이 유지된 각 눈금 표시의 제1척도(48)와 아치형 측면(24)에 인접한 아치형 슬롯(20)의 측면을 따라 간격이 유지된 눈금 표시의 제2척도(54)와 아치형 슬롯(20)의 다른 측면을 따라 간격이 유지된 눈금 표시의 제3척도(58)를 가지고, 제2 및 제3척도(54,58)는 표시해야할 서까래 노선의 단위 길이당 상승단위에 해당하고, 제3척도(58)는 공통 서까래 가짓자에서 사용하기 위한 눈금이 새겨져 있고, 제2척도(54)는 추녀마루 및 지붕마루 서까래의 가짓자에서 사용하기 위한 눈금이 새겨져 있고, 분도기 아암(4)은 상기 몸체(2)의 대향 표면을 따라 연장하면서 피버트 구멍(18) 및 아치형 슬롯(20)을 덮어 씌우는 기다란 한쌍의 아암요소(30,32)를 구비하고, 피버트 수단(6)은 피버트 구멍(16)을 통과하면서 상기 아암 요소(30,32)에 연결되고, 활주 고정수단(8)은 아암 요소(30,32)에 정착되어 아치형 슬롯에서 활주가능하고, 몸체(2)의 대향 표면에 대해 아암 요소(30,32)를 압박하며 결합시키고 제2척도 및 제3척도(54,58)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표시로 분도기 아암(4)을 이동시키기 위해 압박 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조정이 가능하고, 이러한 조정에 의하여 몸체(2)의 제2측면(10)에 인접한 분도기 아암(4)의 세로 모서리는 절단해야할 서까래의 상부 모서리에 놓여지면서 몸체(2)의 제1측면(10)이 하단절단을 위해 절단해야 할 회전을 제공하고, 또한 분도기 아암(4)의 다른 세로 모서리는 절단해야할 서까래에 놓여지면서 몸체(2)의 제2측면(12)이 상단 절단을 위해 절단해야 할 화선을 제공하고, 또한 분도기 아암(4)은 제1측면(10)에 의하여 규정된 다른 각도 절단선을 규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2측면(12)을 따라 간격이 유지된 단위길이 눈금을 가진 제4척도(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고정 수단(8)은 아암요소(32)에 있는 나사 구멍(38)과 다른 아암요소(30)에 있는 구멍(36)에 정착된 나사부재(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아암요소(30)에서의 구멍(36)은 나사부재를 내측으로 고정시키는 키이홈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재(42)는 표면이 거칠고 확대된 헤드와 나사구멍(38)에 결합된 나사부분을 가지는 몸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자.
  6. 제1항에 있어서, 아암 요소(30,32)는 서까래 모서리에 놓을 수 있는 안정된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몸체(2)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제각기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자.
  7. 제1항에 있어서, 제1척도(54)와 제2척도(58)와 제3척도(64)의 각각의 영(zero) 눈금은 제1측면(10)과 평행할 때 분도기아암(4)의 다른 세로 모서리와 일렬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자.
  8. 제1항에 있어서, 제3측면(16)은 제1척도(54)의 각 눈금과 협동하는 각 눈금을 구비하면서 제3측면의 일부분을 따라가는 제5척도(7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자.
  9. 제8항에 있어서, 제1척도(54)는 90°보다 적은 원호에 걸쳐 연장하고, 제5척도(70)는 제1척도(54)의 마지막 표시에서 90°까지 연장하는 표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자.
KR1019860000821A 1985-02-07 1986-02-06 각도 절단선 결정수단을 가진 직각자 KR930005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930485A 1985-02-07 1985-02-07
US699,304 1985-02-07
US699304 1985-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684A KR860006684A (ko) 1986-09-13
KR930005968B1 true KR930005968B1 (ko) 1993-06-30

Family

ID=2480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821A KR930005968B1 (ko) 1985-02-07 1986-02-06 각도 절단선 결정수단을 가진 직각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2) JPS61182501A (ko)
KR (1) KR930005968B1 (ko)
AU (1) AU583278B2 (ko)
CA (1) CA1232129A (ko)
DE (1) DE3534223C2 (ko)
FR (1) FR2576947B1 (ko)
GB (1) GB2170916B (ko)
MX (1) MX1628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0727B2 (en) 2007-02-21 2012-07-17 Seowon Co., Ltd Pressure-compensation drip ta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92676B2 (en) * 1987-10-06 1990-01-18 Michael V. Rhatigan Roofing protractor
AU592479B2 (en) * 1987-10-27 1990-01-11 Reginald Cecil Robinson Adjustable set-square
GB9025211D0 (en) * 1990-11-20 1991-01-02 Hodger Kevin C Method of and means for constructing timber roofs
DE9411958U1 (de) * 1994-07-23 1994-10-06 Busch Juergen Anschlagwinkel
FR2760081B1 (fr) * 1997-02-27 1999-04-09 Guy Hosteing Dispositif de releve et d'indications de coupes d'angles
US6082723A (en) * 1999-01-12 2000-07-04 Pmd Corporation Tile cap base for cutting pre-defined angles
GB2389666A (en) * 2002-05-23 2003-12-17 Jeremy Kent A cutter alignment tool
US7398601B2 (en) 2006-06-05 2008-07-15 Morrell Michael F Carpenter's pitch square
US7743521B2 (en) * 2008-09-29 2010-06-29 Innovative Dynamics Llc Professional layout tool
FR2963904B1 (fr) * 2010-08-17 2014-04-11 Julien Maurice Jacques Vaidis Equerre rapporteuse d'angles
US20140090261A1 (en) * 2012-09-30 2014-04-03 Nelson Travis Jones Combination tool
GB2545016B (en) * 2015-12-04 2020-12-09 Martin Mctaggart Shane Roofing tool
US11142018B2 (en) * 2018-11-08 2021-10-12 Brien Logan Construction square
DE102020133008B4 (de) 2020-12-10 2023-02-02 Frank Straußfeld Schablone zur Anfertigung einer Markierung für eine in ein Profil einzubringende Aussparung
US11858291B2 (en) * 2022-01-11 2024-01-02 Woodpeckers, Llc Carpenter square
USD1002403S1 (en) 2022-01-11 2023-10-24 Woodpeckers, Llc Carpenter square
USD1001660S1 (en) 2022-01-11 2023-10-17 Woodpeckers, Llc Carpenter squa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90745C (de) * 1930-01-31 Arthur Patschke Zeichendreieck
US1821103A (en) * 1931-09-01 Roof framing tool
US1091978A (en) * 1913-06-30 1914-03-31 Louis Spies Bevel-square.
US1126310A (en) * 1914-05-18 1915-01-26 Louis Spies Bevel-square.
US1451572A (en) * 1921-03-18 1923-04-10 William R Green Measuring instrument
DE592160C (de) * 1933-01-19 1934-02-02 Richard Riemer Geraet zum Anreissen der Sparren von Dachstuehlen
US2528633A (en) * 1948-07-21 1950-11-07 W F Mckinley Roofing and calculating square
GB916241A (en) * 1961-11-11 1963-01-23 Harry Wooton Sine protractor
GB1384987A (en) * 1973-05-23 1975-02-26 Boocock E S Separate drawing instrument for geometric and engineering drawing
FI772940A (fi) * 1977-10-05 1979-04-06 Sune Lundin Linjalanordning foer uppdelning av en straecka
JPS58204301A (ja) * 1982-05-24 1983-11-29 Tadayoshi Takeuchi 筋違い用切込みの墨入れ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0727B2 (en) 2007-02-21 2012-07-17 Seowon Co., Ltd Pressure-compensation drip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62812A (es) 1991-06-26
FR2576947A1 (fr) 1986-08-08
GB8519149D0 (en) 1985-09-04
CA1232129A (en) 1988-02-02
KR860006684A (ko) 1986-09-13
JPS62148901U (ko) 1987-09-21
GB2170916A (en) 1986-08-13
DE3534223A1 (de) 1986-08-07
GB2170916B (en) 1987-09-16
FR2576947B1 (fr) 1992-08-14
AU583278B2 (en) 1989-04-27
JPH043207Y2 (ko) 1992-02-03
AU4424885A (en) 1986-08-14
DE3534223C2 (de) 1994-09-15
JPS61182501A (ja) 1986-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968B1 (ko) 각도 절단선 결정수단을 가진 직각자
US6134797A (en) Device and method to define angles on a workpiece
US3212192A (en) Measuring instrument
US6868616B2 (en) Builder's measuring and marking tool
US4607437A (en) Adjustable level
US7228636B1 (en) Pivoting rafter square with multiple insignia
US7854070B1 (en) Framing square
US4420891A (en) Framing and layout square
US4641435A (en) Combination square
US4736524A (en) Framing T-square and protractor
US5384967A (en) Collapsible rafter square
US6725555B1 (en) Pivoting rafter square
US6694633B1 (en) Common rafter and hip layout tool
CA1120255A (en) Metric rafter square and method of using same
US3289301A (en) Carpenter's tool
US6243961B1 (en) Deck tool
US6105266A (en) Carpenter's roof pitch measuring device
US4509398A (en) Block guide cutter
US6199288B1 (en) Tool for marking large flat building material sheets
US4651434A (en) Carpenter's template
US7437826B1 (en) Adjustable framing tool for laying out hip and valley rafters
GB2250101A (en) Tool for constructing timber roofs
US1980765A (en) Roof framing tool
US2529939A (en) Rafter gauge
US937202A (en) Carpenter's squ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