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919Y1 - 상수도 배관용 엘보관체 - Google Patents

상수도 배관용 엘보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19Y1
KR930005919Y1 KR2019900008299U KR900008299U KR930005919Y1 KR 930005919 Y1 KR930005919 Y1 KR 930005919Y1 KR 2019900008299 U KR2019900008299 U KR 2019900008299U KR 900008299 U KR900008299 U KR 900008299U KR 930005919 Y1 KR930005919 Y1 KR 930005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bow
water
nut
fresh wat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808U (ko
Inventor
오경근
Original Assignee
오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근 filed Critical 오경근
Priority to KR2019900008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919Y1/ko
Publication of KR920000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19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수도 배관용 엘보관체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설치상태의 정면도.
제4도는 공지된 형상의 일부절결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보관체 2 : 체결너트
3 : 수도콕 접관부 4 : 나사공
5 : 환상편 6 : 체결너트
7 : 나사부 8 : 고정판
9 : 접관설 10 : 협지링
11 : 세멘트몰탈층
본 고안은 건축시에 욕실이나 주방등 온,냉수를 개별라인으로 배관한후 온냉수혼합밸브가 조립될수 있도록 연결을 시켜주기 위하여 건물벽체에 매설하는 온, 냉수 공급용 엘보관체의 구조를 보다 실용적인 구조로 개선한 것이다.
종래의 수도배관용 엘보 관체는 주로 2매를 1조로하여 건물 벽면에 매설한 수도관과 접관을 시키고 수도콕이 접관되는 출구관부를 벽체의 밖으로 노출되도록 고정을 시킨다음 벽체의 마감 몰탈시공을 하게되고 차후에 이들 출구관부에 온냉수 혼합변을 결합하므로서 수도배관이 종료된바 이경우 엘보관체는 벽체에 매설되는 간격이 온냉수혼합변에 연결하기위한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어야 하고 또한 벽체 세멘몰탈 작업시 엘보관체의 위치가 유동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엘보관체는 2매를 1조를 배관하는 경우 이들의 접설지지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단과 벽체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강구되지 않아 배관작업시 상당한 애로점을 느끼게 되고 대부분 철사줄등으로 2개의 엘보관체를 붙들어매어 벽체 몰탈시공시까지 고정시키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에 착안하여 엘보관체의 구조를 개량하므로서 건축벽시공시 이의 고정이 용이하게 하여 전술한 결점을 일시에 시정 보완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보관체(1)의 구성에 있어서 종래의 공지된 구조는 제4도와 같이 하측에 엘셀파이프등이 연결될수 있도록 접관너트(2)가 결합되고 상부에는 내부나조부(4)를 갖는 수도콕 연결관부(3)가 관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은 상기 공지된 엘보관체(1)의 수도콕 연결관부(3)측에 외주면으로 환상지지편(5)을 돌설하고 이 지지편(5)의 외측으로 나사부(7)를 형성하여 보조너트(6)를 체결할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일정두께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판으로된 고정판(8)을 별개체로 형성하여 상기 엘보관체의 연결관부(3)가 온냉수 혼합수도콕의 온수 및 냉수 공급측에 정확히 일치될수 있도록 규정된 접설간격(W)을 유지한 결합공(8a)(8b)을 천공하여 이들 결합공(8a)(8b)에 상기 수도콕 연결관부(3)를 끼워 넣어 보조너트(6)로 고정시키게하고 고정판(8)의 외주면에는 수개의 고정구멍(8c)을 천설하여 세멘트못등으로 시공을 요하는 벽면에 고정시킬수 있게 한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고안은 공지된 엘보관체의 구성과는 달리 수도콕 연결관부(3)측에 외주면으로 환상지지편(5)이 돌설되고 나조부(7)에 의해 보조너트(6)를 결합할수 있어서 건축시 벽면에 수도관을 배관할시 제2도와 같이 엘보관체(1)의 하측접관너트 (23)측에는 엘셀파이프등으로 수도관을 연결하고 상부측의 수도콕 연결관부(3)측은 보조너트(6)를 풀어서 고정판(8)의 결합공(8a)(8b)에 끼워넣은 다음 보조너트(6)를 원위치로 결합하면 2개의 엘보관체(1)는 그접설간격(W)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고정이 된다.
이상태에서 고정판(8)을 세멘트못등으로 벽면(주로 블록벽면)에 잠정고정을 시키고 그외부에 다시 세멘트몰탈층(11)으로 마감시공을 하면 수도관의 매설공사가 끝나고 나중에 온냉수 혼합수도콕을 양측연결관부(3)측에 결합시켜 주기만하면 내부수도 공사가 끝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 엘보관체의 연결관부(3)측에 고정판(8)이 결합될수 있도록 환상지지편(5)과 보조너트(6)의 설치 구조를 부가하고 또한 일정한 배관접설간격 (W)을 갖는 고정판(8)과 연결을 시켜 벽체에 고정을시키므로서 엘보관체(1)의 벽면시공에 따른 작업의 능률성보장과 간격유지의 정확성을 기할수 있어서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접관너트(2)를 갖는 통상의 엘보관체(1)의 수도콕 연결관부(3)측에 외주면으로 지지편(5)을 돌설하고 보조너트(6)를 나조부(7)에 의해 결합되게하므로서 일정한 .접설간ㄱ겨(W)을 갖는 고정판(3)이 결합공(8a)(8b)에 상기 배출관부(3)를 삽설하여 보조너트(6)로 고정할 수 있게한 상수도 배관용 엘보관체.
KR2019900008299U 1990-06-11 1990-06-11 상수도 배관용 엘보관체 KR930005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299U KR930005919Y1 (ko) 1990-06-11 1990-06-11 상수도 배관용 엘보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299U KR930005919Y1 (ko) 1990-06-11 1990-06-11 상수도 배관용 엘보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808U KR920000808U (ko) 1992-01-27
KR930005919Y1 true KR930005919Y1 (ko) 1993-09-04

Family

ID=1929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299U KR930005919Y1 (ko) 1990-06-11 1990-06-11 상수도 배관용 엘보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9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923B1 (ko) * 1999-12-22 2002-05-16 박광수 엘보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808U (ko) 199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97058A (en) Plumbing fixture
US3371679A (en) Fitting adapter and nozzle assembly
KR930005919Y1 (ko) 상수도 배관용 엘보관체
JPH102477A (ja) 配管接続具セット
US7043777B2 (en) Single control faucet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50127664A1 (en) Integral barbed fitting
JPH11148588A (ja) 給水管分岐用の回転式ヘッダ
KR20120034343A (ko)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AU2008202427A1 (en) A coupler for plumbing fixtures
KR20210069993A (ko) 냉온수 수전용 편심연결관
JP2002115283A (ja) 給水設備における壁付機器の施工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継手管
JP3499492B2 (ja) 排水管のスラブ上配管システム
JPH0623811Y2 (ja) 二重配管の接続部
CN112789384B (zh) 管道组件
JPH051750Y2 (ko)
KR20070076632A (ko) 수전이음관
JPH02248792A (ja) 水栓・ガス栓用防食継手
KR200224121Y1 (ko) 싱크수전의 배관고정수단을 갖는 분배기
KR920003577Y1 (ko) 목욕탕 온.냉수 급수 배관장치
JPH0439881Y2 (ko)
JPH09328790A (ja) 水栓設置構造
JP2001280549A (ja) 管継手
JP3317474B2 (ja) ボルトを用いて固定される湯水混合栓への給水および給湯管接続機構
KR930001318Y1 (ko) 수전엘보 고정장치
JP3015359B1 (ja) 壁出しタイプの給水栓に用いる分岐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