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343A -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343A
KR20120034343A KR1020100095822A KR20100095822A KR20120034343A KR 20120034343 A KR20120034343 A KR 20120034343A KR 1020100095822 A KR1020100095822 A KR 1020100095822A KR 20100095822 A KR20100095822 A KR 20100095822A KR 20120034343 A KR20120034343 A KR 20120034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cold
hot wat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244B1 (ko
Inventor
봉진식
Original Assignee
봉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봉진식 filed Critical 봉진식
Priority to KR1020100095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2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34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온수의 개폐밸브가 각각 갖추어져 있는 수전금구의 배관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하나의 개폐레버를 사용하여 냉온수를 혼합시켜 주는 수전금구를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전면이 개방되는 상태로 하여 요입홈부를 갖고, 외부로부터 요입홈부와 연통되는 유입관 및 배출관을 갖는 각각의 밸브시이트가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수단과, 상기 배관수단의 밸브시이트에 싱글레버 수전금구에 갖추진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을 체결시 벽면에 매설된 밸브이시트의 깊이에 따라 제2체결관의 길이를 연장시켜 밸브시이트의 깊이에 구애됨이 없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장부재와, 상기 제2체결관 또는 연장부재에 끼워지는 상태로 하여 나선 체결되어 유입관과 밀착되는 상태로 연통시켜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냉,온수가 누수됨이 없이 연결요소를 거쳐 싱글 레버 수전금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조절수단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Plumbing fitting}
본 발명은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온수의 개폐밸브가 각각 갖추어져 있는 수전금구의 배관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하나의 개폐레버를 사용하여 냉온수를 혼합시켜 주는 수전금구를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금구는 건물의 벽면에 매립되어 있는 각각의 냉,온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온수의 토출량을 조절시켜 토출되는 냉,온수의 유량으로 인해 사용온도를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전금구 배관시스템은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는 배관수단(10)과, 상기 배관수단으로 유입되는 각각의 냉,온수를 급,단수시켜 주는 냉,온수조절수단(20,20A)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관수단(10)은 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냉,온수조절수단(20,20A)이 체결되도록 요입홈부(12)를 갖춘 밸브시이트(11)를 갖추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밸브시이트에는 요입홈부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냉,온수공급관(30,30a)이 연결되는 유입관(13)과 유입된 냉,온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14)으로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배출관(14)에는 밸브시이트(11)의 요입홈부(12)에 체결되어 있는 냉,온수조절수단(20,20A)의 조절에 의해 허락된 냉,온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도관(15)이 연결되어 있어며, 상기 배출도관의 중앙에는 각각의 밸브시이트를 통해 배출된 각각의 냉,온수가 혼합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수배출도관(16)이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온수조절수단(20,20A)은 중앙에 나선공(22)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요입홈부(12)내에 나선체결되는 체결관(21)을 갖추고, 상기 체결관의 나선공에는 조절레버(24)에 의해 회전되는 이동축(23)을 갖추며, 상기 이동축의 끝단에는 유입관(13)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판(2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수전금구 시스템은 밸브시이트(11)의 전면 부분이 벽면(1)과 동일선상이 되도록 배관수단(10)을 벽면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벽면의 전면에 타일(2)을 부착시켜 주게된다.
따라서, 밸브시이트(11)의 선단부는 타일(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에 있게되는데, 밸브시이트(11)가 위치하는 지점의 타일(2)은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밸브시이트(11)의 전면을 통해 요입홈부(12)내에 냉,온수조절수단(20,20A)에 갖추어져 있는 체결관(21)이 긴밀하게 나선체결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냉,온수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는 상태일 경우에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20,20A)를 일측방향으로 돌려 체결관(21)에 나선체결 되어 있는 이동축(23)이 요입홈부(12)의 내부로 이동하여 이동축의 끝단부에 갖추여져 있는 개폐판(25)이 요입홈부의 끝단부에 연통되어 있는 유입관(13)을 긴밀하게 차단시켜 주므로서, 유입되는 냉,온수의 유입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레버(24)를 전자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관(21)의 나선공(22)에 나선체결되어 있는 이동축(23)이 반대의 반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부로 이동하여 이의 끝단부에 갖추어져 유입관(13)을 긴밀하게 차단시켜 주고 있던 개폐판(25)이 유입관으로부터 이격되므로서, 유입관을 통한 각각의 냉,온수가 요입홈부(12)내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개폐판(25)의 개폐간격으로 인해 냉,온수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것이며, 요입홈부(12)로 유입된 각각의 냉,온수는 배출관(14)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각각의 냉,온수는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있는 배출도관(15)을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배출도관으로 빠져나온 각각의 냉,온수는 중앙에서 서로 혼합된 혼합수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혼합된 혼합수는 배출도관(15)의 중앙에 연결되어 있는 혼합수배출도관(16)을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므로서, 혼합수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시스템은 배관수단이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상태이고, 각각의 냉,온수가 유입되는 밸브시이트에 갖추어져 있는 냉,온수조절수단의 조작에 의해 혼합수의 온도를 조절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수시로 각각의 냉,온수조절수단을 각각 조절 혼합수의 온도를 맞추어주어야 함은 물론, 물의 급,단수시에도 두 개의 조절수단을 조작시켜 물의 급,단수를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취급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나의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물의 급,단수와 냉,온수의 유입량을 조절시켜 줄 수 있는 싱글레버 수전금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수전금구의 배수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어 벽면을 헐어 벽면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배관수단을 완전히 철거시켜 준 다음 싱글레버에 맞는 배관수단을 장착후 뜯어낸 벽면을 마감시켜 준 상태에서 싱글레버 수전금구를 장착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서,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이로인해 시공에 따라 경제적 부담이 많았던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의 출원인이 기존에 사용되어 오고있는 냉,온수조절레버가 각각 갖추어져 있는 수전금구 배관시스템에서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수단을 그대로 사용한 상태에서 싱글레버 수전금구를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PCT출원 제KR2008-6800호가 소개된바 있다.
이는 도3 및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배관수단(10)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수단에 싱글레버 수전금구(40)를 장착시켜 주되 밸브시이트(11)의 요입홈부(12)내로 유입된 냉,온수가 배출관(14)으로 배출되지 않고, 싱글레버 수전금구(40)로만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배관수단(1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관수단(10)인 밸브시이트(11)에 싱글레버 수전금구(40)에 갖추어져 있는 연결요소(41)를 체결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요소(41)는 싱글레버 수전금구(40)의 몸체(42) 후면 양측에 각각 갖추어진 냉,온수유입구와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선단부 전면에 제1체결관(43)이 갖추어지고, 하단 후면에는 밸브시이트(11)의 요입홈부(12)에 나선체결 될 수 있는 제2체결관(44)이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요소(41)의 제2체결관(44) 내주연에 나선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제2체결관의 내주연에 나선 체결된 상태에서 밸브시이트(11)의 유입관(13)을 통해 유입되는 냉,온수가 배출관(14)으로 배출되지 않고 연결요소(41)를 통해 싱글레버 수전금구(40) 측으로만 흐를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관체(50)을 갖추어준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관체(50)의 일단에는 외주연에 오링(52)이 갖추어진 연장관체(51)를 갖추어 제2체결관(44)의 내주연과 연장관체(50) 사이를 오링(52)이 긴밀하게 밀폐시켜 주어 연결관체(50)를 통해 유입되는 냉,온수가 제2체결관(44)과 이의 내주연에 나선체결되어 있는 연결관체(50) 사이를 통해 누수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며, 연결관체의 타측면에는 패킹(53)을 갖추어 상기 패킹이 유입관(13)측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냉,온수가 요입홈부(12)측으로 누수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먼저 연결요소(41)의 제2체결관(44) 내주연에 연결관체(50)가 나선 체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관(44)의 선단부분이 밸브시이트(11)의 요입홈부(12)에 나선 체결이 되는 상태로 하여 냉,온수가 유입되는 각각의 밸브시이트에 연결요소(41)를 체결시켜 준 다음 상기 연결요소의 선단부 전면에 갖추어진 제1연결관(43)이 싱글레버 수전금구의 몸체 후면 양측에 갖추어진 통공(도시되지 않음)에 위치하도록 연결요소(41)의 각도를 조절시켜 준 상태에서 수전금구 몸체의 후면 양측에 갖추어진 통공측에 연결된 체결너트에 제1체결관(43)이 체결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싱글레버 수전금구의 체결이 완료되면 연결요소(41)의 하단부 전면에 갖추어져 있는 마개(45)를 열어 상기 마개에 의해 개방된 제2연결관(44)을 통해 공구를 사용하여 연결관체(50)를 일측 방향을 회전시켜 주게 되면 상기 제2연결관(44)과 나선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연결관체(50)가 후방으로 전진하게 되어 연결관체(50)의 후면에 갖추어져 있는 패킹(53)이 요입홈부(12)의 내면을 긴밀히 밀착시켜 줌에 따라 유입관(13)을 통해 유입되는 냉,온수가 요입홈부측으로 누수됨이 없이 연결관체(50)를 통해 연결요소(41)를 거쳐 수전금구 몸체로 냉,온수가 각각 유입되어 혼합된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관시스템은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각각의 조절레버에 의해 냉,온수의 급단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배관수단(10)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싱글레버 수전금구를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상기 싱글레버 수전금구에서 몸체와 냉,온수가 공급되는 밸브시이트와 체결되는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이 단순히 밸브시이트에만 나선체결이 이루어지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체결관을 소정의 길이로 제작 사용하고 있는데, 건물의 신축이 오래된 경우 실내의 인테리어를 할 때 욕실의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을 제거시켜 준 후에 새로운 타일을 부착시켜 주었을 경우에는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이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시이트에 나선 체결될 수 있으나, 기존에 사용되어왔던 타일을 제거시켜 주지 않고, 타일 위에 새로운 타일을 부착시켜준 공법으로 하여 인테리어를 할 경우 덮 부쳐지는 타일의 두께에 의해 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시이트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어져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이 밸브시이트에 나선 체결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결요소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최근에는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2체결관의 길이보다 다소 길이가 길어진 제2체결관을 별도로 제작 생한하여 두었다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이 밸브시이트에 나선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길이가 길어진 제2체결관의 연결요소를 사용하여 체결시켜 주고 있는 실정으로서, 싱글레버를 판매시 제2체결관의 길이가 다른 두개의 연결요소를 함께 준비할 수가 없음에 따라 사용자는 싱글레버 수전금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인 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시이트의 깊이를 미리 확인하거나, 기본적인 연결요소가 있는 수전금구를 구입하여 연결요소를 연결시켜 제2체결관의 길이가 짧을 경우 구입처에서 제2체결관의 길이가 긴 연결요소로 대체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취급상의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만약 길이가 짧은 제2연결관의 연결요소를 밸브시이트에 체결시켜 주었다가 체결이 안될 경우, 길이가 긴 제2체결관의 연결요소를 사용하게 되는데, 먼저 연결시켜 주었던 연결요소에 사용흔적이 있어 상품의 가치가 떨어져 재판매할 수 없게 되는 등의 경제적 손실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시이트의 깊이에 구애됨이 없이 싱글레버 수전금구의 연결요소를 밸브시이트에 체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결요소가 밸브시이트에 나선 체결시 밸브시이트내로 유입되는 냉,온수가 누수됨이 없이 수전금구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는 상태로 하여 요입홈부를 갖고, 외부로부터 요입홈부와 연통되는 유입관 및 배출관을 갖는 각각의 밸브시이트가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수단과, 상기 배관수단의 밸브시이트에 싱글레버 수전금구에 갖추진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을 체결시 벽면에 매설된 밸브이시트의 깊이에 따라 제2체결관의 길이를 연장시켜 밸브시이트의 깊이에 구애됨이 없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장부재와, 상기 제2체결관 또는 연장부재에 끼워지는 상태로 하여 나선 체결되어 유입관과 밀착되는 상태로 연통시켜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냉,온수가 누수됨이 없이 연결요소를 거쳐 싱글 레버 수전금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조절수단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는 제2체결관의 내주연에 나선 체결될 수 있는 제1연장관체와;
상기 연장관체의 일측에 일체로 하여 밸브시이트의 요입홈부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장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의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일측에 연장시켜 제2체결관의 내주연 또는 연장부재의 제2연장관체의 내주연에 나선 체결됨과 아울러, 유입관과 연통되어 냉,온수가 연결요소로 급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온수의 조작레버를 갖추고 있는 냉,온수조작레버가 장착되는 밸브시이트를 갖추고 있는 배관수단이 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종래의 배관시스템을 사용하다가 싱글레버 수전금구로 대체 장착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수단을 그대로 이용하여 싱글레버 수전금구를 장착 사용하도록 함에 있어서,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시이트의 깊이가 깊지 않아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이 밸브시이트와 직접적으로 체결될 경우에는 싱글레버 수전금구에 갖추어져 있는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에 조절수단중 연결부재를 체결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을 하면되는 것이고, 만약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시이트의 깊이가 깊어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이 밸브시이트와 직접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제2체결관에 조절수단중 연장부재를 제2체결관에 체결시켜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연장부재가 밸브시이트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이시트의 깊이에 따라 각기 다른 길이를 갖는 제2체결관을 갖춘 연결요소를 별도로 제작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음은 물론,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종래 제1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종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 는 종래 제2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수전금구 배관시스템은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는 배관수단(100)과, 상기 배관수단인 각각의 밸브시이트에 싱글레버 수전금구(200)에 갖추어진 연결요소(210)와, 상기 연결요소에 나선 체결되어 밸브시이트로 유입되는 물이 배출관으로 누수됨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벽면의 깊이에 구애됨이 없이 연결요소가 밸브시이트에 나선체결 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수단(300)으로 갖추어진다.
상기 배관수단(100)은 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요입되어 연결요소(210)가 체결되도록 요입홈부(120)를 갖춘 밸브시이트(110)를 갖추고, 상기 밸브시이트에는 요입홈부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각각의 냉,온수공급관(400)이 연결되는 유입관(130)과 유입된 냉,온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140)으로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140)에는 밸브시이트(110)의 요입홈부(120)내로 유입되는 냉,온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도관(15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도관의 중앙에는 각각의 밸브시이트를 통해 배출된 각각의 냉,온수가 혼합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수배출도관(160)이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배관수단(100)은 각각의 밸브시이트(110)에 냉,온수조절수단이 체결되어 이들의 조작에 의해 밸브시이트내로 유입되는 각각의 냉,온수가 혼합배관내로 유입되어 혼합된 혼합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벽면에 매설되어 있는 종래의 배관수단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배관수단(100)인 밸브시이트(110)에 싱글레버 수전금구(도시되지 않음)에 갖추어져 있는 연결요소(210) 싱글레버 수전금구의 몸체(220) 후면 양측에 각각 갖추어진 냉,온수유입구와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선단부 전면에 제1체결관(210a)이 갖추어지고, 하단 후면에는 밸브시이트(110)의 요입홈부(120)에 나선체결 될 수 있는 제2체결관(210b)이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 싱글레버 수전금구와 연결요소(210)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벽면(1)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수단(100)인 밸브시이트(110)의 요입홈부(120)에 연결요소(210)의 제2체결관(210b)을 나선체결시켜 줄 경우 유입관(130)을 통해 요입홈부(120)내로 유입되는 냉,온수가 밸브시이트의 일측면에 갖추어져 요입홈부와 연통되어 있는 배출관(140)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어 상기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210b)에 조절수단(300)을 체결시켜 유입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냉,온수가 배출관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연결요소를 통해 수전금구로만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수단(300)은 연결요소(210)의 제2체결관(210b) 내주연에 나선 체결되는 연장부재(310)와, 상기 연장부재의 내측에 끼워지는 상태로 하여 체결되어 유입관(130)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유입되는 냉,온수가 연결요소로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320)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재(310)는 외주연에 나선이 갖추어져 제2체결관(210b)의 내주연에 나선체결될 수 있는 제1연장관체(310a)를 갖추고, 상기 제1연장관체의 일단에 연장되어 밸브시이트(110)의 요입홈부(120)내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장관체(310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20)는 연장부재의 제2연장관체(310b) 내주연에 나선체결되어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냉,온수가 연결요소로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320a)을 갖추고, 상기 연결관에 연장되어 제2체결관 내주연에 긴밀히 끼워지는 연장관(320b)을 갖추되, 상기 연장관의 외주연에 오링(320c)을 갖추어 제2체결관의 내주면과 이에 긴밀하게 끼워져 있는 연장관(320b)의 틈새를 긴밀하게 차단시켜 주어 냉,온수의 누수를 차단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20a)의 끝단에는 패킹(320d)를 갖추어 유입관(130)측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냉,온수의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장부재의 제1연장관체(310)와 연결부재의 연결관(320a)의 외주연은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관(210b)이 밸브시이트(110)에 체결될 경우에는 연결부재(320)의 연결관(320a)이 제2체결관(210b)의 내주연에 직접적으로 나선체결되도록 하고, 벽면에 매설된 밸브시이트(110)의 깊이가 깊어 상기 제2체결관(210b)가 밸브시이트와 나선체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관(210b)에 연장부재(310)의 제1연장관체(310a)를 나선체결시켜 준 다음 제2연장관체(310b)의 내주연에 연결부재(320)의 연결관(320a)을 나선 체결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은 벽면(1)내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수단(100)의 각 밸브시이트(110)에 장착되어 있는 종래의 냉,온수조절레버를 제거시켜 준 상태에서 본 발명인 조절수단(300)이 체결되어 있는 연결요소(210)를 밸브시이트(110)에 나선 체결시켜 준 다음 상기 연결요소를 싱글레버 수전금구와 연결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는 각 냉,온수조절레버의 조작으로 인해 혼합수의 온도를 조작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싱글레버의 조작으로 편리하게 급,단수와 혼합수의 온도조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수단(100)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배출관(140)으로 각각의 냉,온수가 배출되지 않고 싱글레버 수전금구로만 냉,온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우선, 배관수단(100)인 각각의 밸브시이트(110)에 장착되어 있는 종래의 냉,온수조절레버를 제거시켜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절수단(300)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요소(210)의 제2체결관(210b)을 밸브시이트(110)에 체결시켜 주게 되는 것으로서, 벽면(1)의 전면에 단층의 타일(2)이 부착되어 있어 벽면(1)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시이트(110)에 제2체결관(210b)가 직접적으로 나선 체결될 경우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수단(300)중 연결부재(320)를 제2체결관(210b)에 체결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즉, 연결요소(210)의 제2체결관(210b) 내부에 연결부재(320)의 연장관(320b)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관(320a)을 제2체결관(210b) 내주연과 나선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장관(320b)는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인 제2체결관(210b)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 있게되는 것이며, 연장관의 외주연에 갖추어진 오링(320c)이 제2체결관(210b)의 내주연을 긴밀히 밀착시켜 주고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유입되는 냉,온수가 제2체결관과 연장관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체결관(210b)에 연결부재(320)가 나선 체결되면 상기 제2체결관(210b)을 벽면(1)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시이트(110)의 요입홈부(120)에 나선 체결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연결요소(210)의 선단부측에 갖추어져 있는 제1체결관(210a)이 싱글레버 수전금구 후면에 갖추어져 있는 통공과 일치할 수 있도록 연결요소의 각도를 조절시켜 싱글레버 수전금구가 연결요소와 연결되도록 한 다음, 제2체결관(210b)의 전방부인 연결요소(210)에 갖추어져 있는 마개(220)를 열어 육각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연결부재(320)를 일측 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제2체결관(210b) 내주연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연결관(320a)이 회전 이동하면서 이의 끝단면에 갖추어져 있는 패킹(320d)이 유입관(130)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패킹이 유입관(130)에 긴밀하게 밀착되면 공구를 제거시켜 준 상태에서 마개(220)를 막아주기만 하면 싱글레버 수전금구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으로서, 유입관(130)을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는 상기 유입관(130)과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연통되어 있는 연장부재(320)와 연결요소(210)를 거쳐 수전금구측으로 공급이 이루어져 통상적인 수전금구의 싱글레버 조작에 의해 냉,온수의 급,단수와 상기 냉,온수의 유입량을 조절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한 온도의 혼합수가 급수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단수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시이트(110)에 갖추어져 요입홈부(120)와 연통되어 있는 유입관(130)과 배출관(140)중 유입관(130)에 제2체결관(210b)과 나선체결 되어 있는 연결부재(320)가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연통되어 있어 유입관(130)을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는 배출관(140)으로 흐르지 못하고, 연결부재(320)를 거쳐 수전금구측으로만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벽면(1)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시이트(110)의 깊이가 깊어 제2체결관(210b)이 체결되지 않을 경우 즉, 건물을 신축 또는 증축시 배관수단(100)이 벽면(1)의 내부에 매설되도록 한 상태에서 벽면(1)의 표면에 타일(2)을 부착시켜 주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을 하다가 실내의 인테리어 등과 같은 공사를 할 때, 보편적으로는 벽면(1)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2)을 제거시켜 준 상태에서 새로운 타일을 부착시켜 주게 되는데, 시공의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해 벽면(1)에 부착되어 있는 타일(2)을 제거시켜 주지 않고, 상기 타일의 전면에 새로운 타일(2)을 부착시켜 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부착되는 타일에 의해 벽면(1)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밸브시이트(110)의 깊이는 더욱더 깊어지게 되어 연결요소(210)의 제2체결관(210b)이 밸브시이트(110)의 요입홈부(120)에 나선 체결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관(210b)에 조절수단(300)중 연장부재(310)의 제1연장관체(310a)가 나선 체결되도록 하면, 상기 제1연장관체(310a)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2체결관(210b)과 동일한 외주연을 갖고 있는 제2연장관체(310a)가 제2체결관(210b)의 후단에 연장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연장관체(310b)의 내주연을 통해 연결부재(320)의 연장관(320b)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로 하여 연결관(320a)을 제2연장관체(310a)에 나선 체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요소(210)의 제2체결관(210b)을 밸브시이트(110)에 체결시켜 주게 되면, 상기 제2체결관(210b)의 후단부에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재(310)의 제2연장관체(310b)가 밸브시이트(110)의 요입홈부(120)와 나선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요소(210)의 선단부측에 갖추어져 있는 제1체결관(210a)이 싱글레버 수전금구 후면에 갖추어져 있는 통공과 일치할 수 있도록 연결요소의 각도를 조절시켜 싱글레버 수전금구가 연결요소와 연결되도록 한 다음, 제2체결관(210b)의 전방부인 연결요소(210)에 갖추어져 있는 마개(220)를 열어 육각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연결부재(320)를 일측 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제2체결관(210b) 내주연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연결관(320a)이 회전 이동하면서 이의 끝단면에 갖추어져 있는 패킹(320d)이 유입관(130)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서, 싱글레버 수전금구의 사용은 전자와 동일한 것이다.
110:밸브시이트 120:요입홈부
130:유입관 210:연결요소
210b:제2체결관 300:조절수단
310:연장부재 310a:제1연장관체
310b:제2연장관체 320:연결부재
320a:연장관 320b:연결관

Claims (5)

  1. 전면이 개방되는 상태로 하여 요입홈부를 갖고, 외부로부터 요입홈부와 연통되는 유입관 및 배출관을 갖는 각각의 밸브시이트가 벽면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수단과, 상기 배관수단의 밸브시이트에 싱글레버 수전금구에 갖추진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을 체결시 벽면에 매설된 밸브이시트의 깊이에 따라 제2체결관의 길이를 연장시켜 밸브시이트의 깊이에 구애됨이 없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장부재와, 상기 제2체결관 또는 연장부재에 끼워지는 상태로 하여 나선 체결되어 유입관과 밀착되는 상태로 연통시켜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냉,온수가 누수됨이 없이 연결요소를 거쳐 싱글 레버 수전금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조절수단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제2체결관의 내주연에 나선 체결될 수 있는 제1연장관체와;
    상기 연장관체의 일측에 일체로 하여 밸브시이트의 요입홈부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연장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요소의 제2체결관의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일측에 연장시켜 제2체결관의 내주연 또는 연장부재의 제2연장관체의 내주연에 나선 체결됨과 아울러, 유입관과 연통되어 냉,온수가 연결요소로 급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관의 끝단부에 유입관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냉,온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킹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의 외주연에 제2체결관의 내주연과 제1연장관체의 내주연에 긴밀히 밀착되어 냉,온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링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KR1020100095822A 2010-10-01 2010-10-01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KR101319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822A KR101319244B1 (ko) 2010-10-01 2010-10-01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822A KR101319244B1 (ko) 2010-10-01 2010-10-01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343A true KR20120034343A (ko) 2012-04-12
KR101319244B1 KR101319244B1 (ko) 2013-10-16

Family

ID=4613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822A KR101319244B1 (ko) 2010-10-01 2010-10-01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2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5152A (zh) * 2015-06-02 2015-09-09 佛山市家家卫浴有限公司 一种新型进水阀本体
KR102625557B1 (ko) * 2022-10-13 2024-01-16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냉,온수 수전용 편심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056B1 (ko) 2019-12-04 2021-06-30 송병규 냉온수 수전용 편심연결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978B1 (ko) 2005-04-26 2007-12-17 장명석 수관의 벽체 설치 시스템
KR200443008Y1 (ko) * 2007-04-30 2008-12-26 주재한 수전금구인 몸체와 연결리플과의 연결장치
JP4431839B2 (ja) 2008-08-28 2010-03-17 株式会社カクダイ 単水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5152A (zh) * 2015-06-02 2015-09-09 佛山市家家卫浴有限公司 一种新型进水阀本体
KR102625557B1 (ko) * 2022-10-13 2024-01-16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냉,온수 수전용 편심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244B1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134B2 (en) Valve fitting with integral stops
CA2629149C (en) Valve for tankless water heater
KR101319244B1 (ko)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US11028942B2 (en) Fluid control valve
US7810521B2 (en) Sanitary fitting
KR101546573B1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KR100478083B1 (ko) 보조공급수 연결용 튜브가 접속되는 수도꼭지 연결구
KR200442311Y1 (ko) 분기용 밸브캡 조립체
AU2008100674B4 (en) Plumbing Fitting
KR200420699Y1 (ko) 밸브를 겸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구
AU2009100154A4 (en) Mixer fitting
JPS6131228Y2 (ko)
JP6682061B1 (ja) パッキン型逆止弁
AU2019261680B2 (en) Mixer Test Cartridge
US10921832B2 (en) Hot water valve with integral thermostatic mixing cartridge
KR100817878B1 (ko) 밸브기능을 갖는 엘보우
US5427148A (en) Three way faucet
JP6854424B2 (ja) 水栓
GB2516897A (en) A Thermostatic Mixing Valve
AU2003100311A4 (en) Plumbing fitting
JPH0430465Y2 (ko)
US20070246675A1 (en) Sill cock assembly
US20030140973A1 (en) Multi-way hydraulic distributor with an interception unit
AU2007101110A4 (en) Plumbing Fitting
AU2008101245A4 (en) Plumbing Apparatus with Flow-Rate Limi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