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854Y1 - C면 가공기 - Google Patents

C면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854Y1
KR930005854Y1 KR2019880010301U KR880010301U KR930005854Y1 KR 930005854 Y1 KR930005854 Y1 KR 930005854Y1 KR 2019880010301 U KR2019880010301 U KR 2019880010301U KR 880010301 U KR880010301 U KR 880010301U KR 930005854 Y1 KR930005854 Y1 KR 930005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blade
collar
spindle
main body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0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420U (ko
Inventor
오사히꼬 미야자기
야스오 가자마
Original Assignee
닛또 고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 고오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0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C면 가공기
제1도는 회전칼날 설치부의 일부를 파단면으로서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상의 절단화살표방향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화살표 방에서 본 직교 안내피니과 그 탈착조작용 레버를 나타낸 평면도로 스핀들과 회전칼날을 분리한것.
제4도는 제3도의 C-C선상의 절단 화살표방향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D-D선상의 절단 화살표방향.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면 가공기본체 3 : 회전칼날
8 : 하우징 통부 9 : 칼라
10 : 직교 안내판 어셈블리 14 : 보스부
16 : 소 브래킷 18, 19 : 조작레버
18a, 19a : 편심캠 22 : 탄선칼라
본 고안은, 회전칼날의 외주면에서 C면 가공을 행하는 면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하면 안내판의 탈착,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이로서 회전 연절삭마구(이하, 회전칼날이라 함)의 탈착, 연절삭 위치의 변경을 용이하게만 면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에어 모터나 절기모터를 회전구동원으로 하는 C면 가공기의 회전 칼날은 피가공재의 각부 양면에 대는 직교 안내판 어셈블리 협각부 중앙에서 일부 표면을 노출 시켜서 스핀들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면 가공기의 상기 직교안내 어셈블리와 회전 칼날의 상대 위치는 작업중 불변이라야 함으로 회전 칼날은 스핀들에 대해서 나사로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나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부분은 당연히 세트된 특징의 위치만이므로 당해 특정부분의 소모는 격심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칼날이 무디어 진다.
그래서, 종전부터 회전칼이 무디어지게 되면 상기 안내판 어셈블리를 회전칼날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당해 칼날의 작용위치를 축방향으로 바꾸는 것이 행해져 있다.
그 일에는, 면가공기 하우징에 상기 직교안내판 어셈블리 스핀들의 둘레에 나사로서 감합한 것인데 회전칼날이 무디게 되었을때는 당해 직교안내판 어셈블리를 스핀들의 둘레에서 회전시켜 그 나사의 위치를 회전칼날의 칼날면에 따라서 축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서 회전칼날과의 상대적 위치를 바꾸어서 상기 작용부위를 축방향으로 변화시켜 칼날면의 전체를 사용코져 하는 것이었다.
회전칼날과 직교안내판 어셈블리와의 축방향의 상대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게한 종래의 면 가공기에서는 회전 칼날이 무디게 되었을 때마다 직교안내판 어셈블리를 들러야만 하는데 다시 세트를 할때마다 당해 안내판 어셈블리를 별도로 고정나사로서 고정 해제해야만 조정에 수고가 크다는 결점이 있어서 이것이 해결해야만 문제로서 남겨져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의 C면 가공기의 직교 안내판 어셈블리의 세트시의 사이에서와 같은 불편함을 전면적으로 해소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의 C면 가공기를 본체내에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스핀들을 끼워장치하여 보존하는 하우징통부를 고착설치히고, 스핀들의 선단부에 상기 본체에서 돌출하는 회전칼날을 같은 축에 끼워 떼기 가능하게 끼워부착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회전칼날의 돌출측에 이 회전 칼날에 45°각도로 경사하고 또, 서로 직교함과 동시에 직교부에 상기 회전칼날은 관통시키는 공축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2매 안내판과 이들 안내판을 유지하는 브래킷으로 구성되는 직각 안내판 어셈블리를 상기 본체에 끼우고 떼기 자유롭게 설치하고, 외주면에 직경방향 반대측에 횡단면이 원호상으로 측방으로 연장되는 1쌍의 홈부를 형성한 칼라를 상기 하우징 통부에 끼워장치하여 고정하고, 이 브래킷부에 상기 스핀들의 측에 직각으로 연장하고 또 서로 직경방향의 반대측에 돌출하는 1쌍의 소브래킷을 갖고, 상기 칼라에 상기 스핀들의 상기 측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끼워장치는 보소부를 설치하고, 이 소브래킷에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레버를 설치하고, 이 끼워맞추는 편심도가 최대인 호형부분을 갖고, 회전 중심에서 대응하는 상기 소브래킷에 축지되는 편심캠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브래킷 각각에 상기 스핀들의 상기 축에 팽창한 핀 구멍을 형성하고, 이 핀 구멍에 대응하는 상기 편심캠을 상기 회전중심에서 유지하는 핀을 끼워통하게 하고, 이 핀과 이 핀구멍과의 사이에 탄성칼라를 설치할 수 있다.
직교안내판을 하우징의 통부에 장착할대는 먼저 레버를 서로 상반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레버의 기부에 형성한 편심 캠의 긴 직경부를 스핀들 표면에서 멀게 한다. 이어서, 2매의 직교하는 안내판이 고정된 브래킷의 보스부 하우징 통부에 끼워맞추고 레버를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운동 시킨다. 이 레버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편심 캠의 긴직경부가 하우징통부에 끼워장치 고정된 칼라를 구심방향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누른다.
브래킷과의 보스부의 소브래킷에 형성된 핀구멍과 레버 추축과의 사이에 붓쉬를 개재시키면 레버의 회전운종은 보다 원활히 행해지며 편심 캠에서 칼라를 개재하여 하우징 통보를 끼워부착 한다.
소브래킷의 핀구멍과 레버 추축과의 사이에 다시 탄성 칼라를 개재시키면 레버 조작시에 회전운동하는 편심캠의 움직임에 대응해서 탄성 칼라가 반경방향으로 약간 변형에서 상기 편심캠에 의해 하우징 통부를 끼워부착할때 레버의 소정위치로서 잠금을 보다 확실하게 한다.
다음에, 직교안내판 어셈블리 끼움각내에서 회전칼날의 실지의 먼처리 가공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직교 안내판 어셈블리의 브래킷 통부에 대한 상기 편심캠과 하우징 통부와의 대향 위치로 바꾸므로서 실시된다.
직교안내판 어셈블리를 하우징으로 부터 떼에낼때는 상기 편심 캠의 해방시에 해당 안내판 어셈블리를 하우징 통부에서 빼내면되며, 이 때는 회전칼날은 생크(Shank)부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하우징 밖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나사 맞춤을 풀면 회전칼날을 스핀들로 부터 떼낼 수가 있다. 그 후는 종전대로의 조작으로 회전칼날의 교환을 한다.
이하, 본 고안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C면 가공기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회전 칼날 설치부의 일부를 판단면으로서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상 절단 화살표 방향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직교 안내판과 그 탈착조작용 레버를 나타낸 평면도로 스핀들과 회전칼날을 분리한것 제4도는 제3도의 C-C선상 절단화살표 방향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D-D선상 절단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제1도에, (1)은 C면 가공기 본체(간단히「본체」라고 하는 수도 있다)이며, 이 본체(1)는 회전 구동원으로서 에어모터(2a)를 내장하고 있으며, 우산모양 기어기구(2b)를 통해서 스핀들(2)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3a,3b)는 에어 모터 및 스핀들의 볼 베어링이다.
스핀들(2)의 선단부는 본체(1)에서 외부로 돌출하여 회전칼날(3)의 생크부(4)의 끼워넣음구멍(5)을 형성하며 또 당해 선단부 둘레에는 수나사(5a)를 형성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2, 3개의 금으로 갈라진 홈(6)이 형성되고 반경방향으로 가용성을 가지게 하고 있다. 이 선단부에 캡너트 모양의 척너트(7)를 나사결합하므로서 스핀들(2)의 선단부에 회전칼날(3)을 고정한다.
(8a,8b)는 회전칼날(3)의 탈착시에 스핀들을 회전정이 시키는 핀을 통하게 하는 구멍으로 하우징통부(8)에 평행하게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칼날(3)의 탈착시에 구멍(8a) 또는 (8b)에 삽입한 핀을 스핀돌(2)의 외주면부를 평행으로 2면 가공항 평면부에 외접(外接)시켜서 스핀들(2)의 회전장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칼날(3)로서는 외주면부에 다수조의 절삭칼날을 헬리컬 기어 모양으로 형성한 원통기기어나 원주기어가 사용된다. 또, 연마에 사용되는 원주형의 회전숫돌도 회전칼날속에 들 수 있다.
상기 본체(1)에서 돌출된 스핀들(2)의 둘레면부를 둘러싸는 원통 모양의 하우징 통부(8)가 그 상단부에서 C면 가공기 본체(1)에 나사로 끼워맞추어지고, 동 하우징 통부(8)의 둘레에는 후술하는 직교 안내판 어셈블리(10)의 외부에 설치한 브래킷(13)의 보수(14)를 끼워맞추는 칼라(9)가 스핀들(2)에 대하여 합심 상태로 끼워맞추어 져서 나사(9')에 의해 하우징통부(8)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통부(8)의 둘레면 원주상에는 상기 나사(9')의 고정부위에 대응해서 원주홈(8c)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칼라(9)가 하우징 통부(8)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나사(9')의 선단이 당해 원주홈(8c)에 까지 달해 있다. (9a,9b)는 180°의 위상을 빗나가서 칼라(9)의 외주면의 축방향으로 형성한 원호상의 얇은 홈부에서 편심캠(18a,19a)의 긴직경부(편심량이 큰 부분)의 원호와 대응하는 곡면을 각지고 있고(제3도), 상기 홈부(9a,9b)에는 그들의 측방향으로 이어지는 맞춤핀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에 하우징통부(8)를 설치하고 이 하우징통부(8)에 칼라(9)를 홈부(9a,9b)가 전후에 위치하도록 끼워장치하고, 맞춤선에서 편심캠(18a,19a)이 홈부(9a,9b)에 맞도록하여 브래킷(13)의 보스부(14)를 칼라(9)에 끼워 장치하고, 맞춤선에서 편심캠(18a,19a)이 홈부(9a,9b)에 맞도록하여 브래킷(13)의 보수부(14)를 칼라(9)에 끼워장치하여 브래킷(13)을 본체(1)에 성치한다.
직교안내판 어셈블리(10)는 2매의 안내판(11,12)을 서로 직교하도록 T자형으로 결합시킨것과, 보스부(14)를 갖고 이들 안내판(11,12)을 유지하는 보스부(14)가 설치된 브래킷(13)으로 구성된다.
동 어셈블리(10)의 구조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통형상의 브래킷(12)의 전단상부에 칼라(9)상에 끼워장치되는 통형상의 보스부(14)를 갖는다.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이 안내판(12)이 그 하면에서 전방경사 리브부에 고정되 직각 앵글(50)의 후방경사 리브부를 다른쪽의 안내판(11)의 하면의 중앙부에 닿음에 있어서, 직각 앵글(50)의 후방경사리브루의 후단부와 안내판(11)의 후단부 및 브래킷(13)의 하단부와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핀(13a) 및 나사(13b)로 직각 앵글 (50)을 브래킷(13)에 고정하므로서 양 안내판(11,12)이 브래킷(13)에 서로 직각으로 설치된다. 또, 이 경우 양 안내판(11,12)은 브래킷(13)으로 보스부(14)를 칼라(9)에 끼워장치 시키므로써 직각안내판 어셈블리(10)를 본체(1)에 설치했을대 회전칼날(13)의 축에 대해서는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양쪽 안내판(11,12)이 직교하는 부분을 직교안내판 어셈블리(10)의 끼움각부(28) 중앙부에 공통의 관통구멍(15)이 형성되어 있고, 직각 안내판 어셈블리(10)가 본체(1)에 접속되었을때에는 회전칼날(3)이 구멍(5)에 삽입되어 그 측벽면의 일부가 끼워각부(28)의 상기 중앙부에 맞닿도록 되어있다.
브래킷(13)의 받이부(51)의 상단부에 형성된 보스부(14)의 길이는 칼라(19)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있다. 이 돌출양은 상기 브래킷(13)측에 따라서 설치된 안내판(11)을 핀(13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시킴으로서 조정한다. (13b)는 안내판(11)을 브패킷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이다.
보수부(14)에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명백한 것처럼 한쌍의 수평한 소브래킷(16,16)을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면 대칭으로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당해 소 브래킷(16,16)의 양단부에 축지지된 핀(17,17)에는 기부에 편심캠(18a,19b)을 형성한 한쌍이 조작레버(18,19)를 추지한다.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17)을 축지하는 각 소브래킷(16)(16)의 핀 구멍(20)의 직경은 핀(17)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각 핀 구멍(20)의 속에 내경이 핀(17)의 직경과 같은 금속제 부시(21)와 이 부시(21)에 끼워장치되고 외경이 핀 구멍(20)의 내경과 같고 내경이 부시(21)의 외경과 같은 고무로 된 칼라(22)를 삽입하고 있어 상기 편심캠(18a,18b)이 회전하여 핀(17)이 약간 변위하면 이 변위 금속제 부시(21)에서 크게 변환하여 그 변위량을 고무로 칼라(22)로 전달하고, 이 칼라(22)에서 흡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시(21)와 칼라(22)의 길이는 동일하나 소브래킷(16)의 폭보다는 짧게 형성되며 당해 부시(21)와 칼라(22)의 양단면에는 각각 외경이 작은 브래킷(16)의 핀구멍(20)의 내경과 같고, 내경이 핀(17)의 직경보다 크고(바꾸어 말하면 부시(21)의 내경보다 크고) 칼라(22)의 내경보다 작은 평와셔(23)를 맞닿게 정하고 다시 핀(17)의 양단은 링(24)을 통해서 정지 스프링고리(25)에 의해 고정되어 무제 칼라(22)의 소브래킷(16)의 핀구멍(20)의 측 방향으로의 팽출을 억제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기술한다.
먼저, C면 가공기본체(1)에 직교안내 어셈블리(10)를 설치할때는 좌우의 조작레버(18,19)를 핀(17,17)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시켜서 편심캠(18a,19a)을 보스부(14)의 내경면에서 본체내로 퇴피 시킨다.
이어서, 직교안내판 어셈블리(10)의 보스부(14)를 C면 가공기 본체(1)의 하우징통부(8)에 끼워넣는다. 그후 레버(18,19)를 상기 회전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 시키면 편심캠(18a,19a)의 긴직경(18a,19a)가 보수부(14)의 내경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칼라(9)의 외주면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원호상의 홈부(9a,9b)내로 돌출하여 칼라(9)를 끼워눌러 꽉 쥔다. 여기서, 핀(17)을 소브래킷(16)의 핀구멍(20)에 삽입해서 단순히 소브래킷(16)에 고정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작용은 충분히 행해지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브래킷(16)에 형성된 핀구멍(20)내에 끼워맞춤 금속 제1부시(21)가 편심캠(18a,19a)이 회전운동함에 따라서 좌우의 핀(17,17)의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며 금속제 부시(21)를 둘러싼 고무제 칼라(22)를 탄성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편심캠(18a,19b)의 긴 직경부(18a,19b)가 칼라(9)의 홈부(9a,9b)를 한계 상태로 눌러도 조작레버(18,19)의 회전운동조작은 원활하고도 용이하게 행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계속해서 조작레버(18,19)가 사점을 넘어서 회전했을때 상기 입력이 약간 약해진 상태에서, 감기고, 이때문에 다소의 진동이 생기더라도 되돌아가는 일은 없다.
또 고무재 칼라(22)는 축방향 단면부까지도 평와셔(23)에 의해서 봉해져 있기 때문에 핀(17)의 축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억제하며 탄성변형을 반경방향으로 한정시킴으로서 칼라(9)에 대한 편심캠(18a,19a)의 클램프는 확실한 것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직교안내판(10)을 C현가공기 본체(1)에 설치하면 보통의 C면 가공기와 마찬가지로 직교 안내판(10)을 피가공재의 능선부에 대므로서 C면 가공 작업이 행해진다.
상기, 회전칼날(6)의 가공성능이 저하했을때는 레버(18,19)를 상반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 시켜서 편심팸(18a,19a)을 칼라(9)의 원호상홈부(9a,9b)에서 퇴피시키고 해당 칼라(9)를 보스부(14)에서 이탈시킨다. 이상태에서 편심캠(18a,19a)과 일체의 조작레버(18,19)를 지지하는 직교안내판 어셈블리(10)를 회전칼날(3)의 축방향으로 변휘시키면 양안내판(11,12)의 끼움각부(28)의 회전칼날(3)의 외표면에 대한 위치가 회전칼날(3)의 축방향으로 어긋난다. 이렇게 하여 회전칼날(3)을 회전시키면서 가공물의 능선부에 대면 먼저 무디어진 회전칼날(3)의 부분과는 칼날 부분이 직교안내판 어셈블리(10)의 끼움각부(28) 내에 나타나 가공물의 C면 가공을 실행하게 된다. 본체(1)의 외주면 축방향에 눈금을 붙여두면 레버(18,19)의 정착 위치를 한눈에 알게된다. 이와 같이 해서 직교안내판 어셈블리(10)의 끼움각부(28)중앙에서 일부 표면을 보게하는 회전칼날(3)의 위치를 소정량 변위시킨 곳에서 조작레버(18)(19)를 상기와는 반대방향로 조작해서 편심캠(18a,19a)을 제3도에서 도시하는 위치까지 회전운동 시켜서 이 캠면에 의해 칼라(9)의 원호상 홈부(9a,9b)를 끼워눌러 꽉 잡게 한다. 이 레버조작시에도 상기 금속제 부시(21)와 고무제의 슬리브(22)는 상기와 같이 작용해서 레버조작은 제3도에서 도시하는 상태를 정확하게 접속한다.
이렇게 해서, 직교안내판 어셈블리(10)의 끼움각부(28)에 노출하는 회전칼날(6)위치는 정된다.
회전칼날을 교환할때는 상기에서와 같이 조작레버(18,19)와 일체의 편심캠(18a,19a)을 칼라(9)로 부터 느슨하게 하고 그 뒤는 직교 안내판(11,12)을 칼라(9)에서 빼내면 된다.
이와 같이, 직교 안내판 어셈블리(10)를 면가공기 본체(1)에서 떼어내면 회전칼날(3)의 전체가 그 형태를 나타내므로 하우징 통부(8)에 평행하게 형성한 (8a) 또는 (8b)에 도시하지 않는 핀을 통하여 스핀들(2)의 회전정지를 한후 스핀들 선단둘레에 형성한 수나사(5a)에 결합한 척너트(7)를 스퍼너등의 공구로서 조여서 스핀들(2)의 삽입구멍(5)에서 회전칼날(3)을 떼어낸다.
그리고, 도면중(26)은 핸들로서 직교안내판 어셈블리(10)에 면가공기 본체(1)의 긴쪽 방향과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또 직교 안내판 어셈블리(10)에는 일단이 수액공급원에 접속되고 타단은 브래킷(16)의 내부에 여리는 파이프(17)가 일체로 설치되어 절삭연마 작업중에 상기 파이프(27)에서 물을 공급해서 피가공물에서 떨어진 분진들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C면 가공기는 조작레버의 회전운동 조작만으로서 편심캠을 통해서 C면 가공기 본체와 직교 안내판 어셈블리를 결합, 분리할 수 있고, 그 조작성은 향상된다. 따라서, 하우징 통부에 대해서 직교 안내판 어셈블리를 나사로 끼워맞춤 종전의 C면 가공기와 같이 직교 안내판 어셈블리를 스핀들의 두레를 회전 시키지 않더라도 재빠르게 또한 확실하게 직교안내판 어셈블리를 C면 가공기 본체에서 탈착시킬 수가 있으며 또 직교안내판 어셈블리에서 돌출한 회전칼날의 칼날면을 미사용부위로 바꿀때도 상기 레버의 조작과 느슨하게 했을때의 직교 안내판 어셈블리의 이동만으로 칼말면의 측방향으로의 조정을 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편심캠의 회전중심이 되는 핀의 지지부에 탄성칼라를 통하에 함으로서 편심캠의 회전시에 핀을 탄성적으로 후퇴시킬 수가 있으므로 회전시에서의 마찰저항이 적어져서 레버 조작을 원활하고도 또한 확실한 것으로 할수가 있다.

Claims (2)

  1. 본체(1)내에 구동장치(2a)에 의해 회전되는 스핀들(2)을 끼워장치하여 유지하는 하우징 통부(8)를 고정 설치하고, 스핀들(2)의 선단부에 상기 본체(1)에서 돌출하는 회전칼날(3)을 같은 축에 끼우고 떼기 가능하게 끼워부착하고, 상기 본체(1)의 상기 회전칼날(3)의 돌출측에 이 회전칼날(3)에 45°의 각도로 경사하고 또 서로 직교함과 동시에 직교부에 상기 회전칼날(3)을 관통시키는 공통의 관통구멍(15)이 형성된 2매의 안내판(11,12)과 이들 안내판을 유지하는 브래킷(13)으로 구성되는 직교안내판 어셈블리(10)를 상기 본체(1)에 끼우고 떼기 자유롭게 설치한 C면 가공에 있어서, 둘레면에 직경방향 반대쪽에 횡단면이 원호상으로 축방향로 이루어지는 1쌍의 홈부(9a,9b)를 형성한 칼라(9)를 상기 하우징통부(8)에 끼워장치 고정하고, 이 브래킷(13)에 상기 스핀들(2)의 축에 직각으로 어지지고 또 서로 직경바향의 반대쪽에 돌출하는 1쌍의 브래킷(16)을 갖고, 상기 칼라(9)에 상기 스핀들(2)의 상기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끼워장치되는 보스부(14)를 설치하고, 이 소브래킷(16)에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레버(18,19)를 설치하고, 이 조작레버의 기부를 이 조작레버의 회전운동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 홈부(9a,9b)에 걸어맞추는 편심도가 최대의 호형상부분(18b,19b)을 갖고, 회전중심에서 대응하는 상기 소브래킷(16)에 추지되는 편심캠(18a,19a)으로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C면 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브래킷(16) 각각에 상기 보스부(14)의 축에 평행한 핀구멍(20)을 형성하고, 이 핀구멍에 대응하는 상기 편심캠(18a,19a)을 상기 회전중심에서 보존하는 핀(17)을 삽입통과시키고, 이 핀(17)과 이 핀구멍(20)의 사이에 탄성칼라(2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면가공기.
KR2019880010301U 1988-06-07 1988-06-29 C면 가공기 KR93000585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75465 1988-06-07
JP1988075465U JPH0727048Y2 (ja) 1988-06-07 1988-06-07 面取り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420U KR900000420U (ko) 1990-01-17
KR930005854Y1 true KR930005854Y1 (ko) 1993-09-01

Family

ID=1357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0301U KR930005854Y1 (ko) 1988-06-07 1988-06-29 C면 가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7048Y2 (ko)
KR (1) KR9300058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9402A (en) * 1980-02-27 1981-09-19 Bunka Buro Sangyo Kk Solid fuel combustion furnace
JPS6011006A (ja) * 1983-06-30 1985-01-21 Ishida Tekkosho:Kk 廃材ペレツトの燃焼方法並び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093U (ko) * 1974-12-19 1976-06-22
JPH0333378Y2 (ko) * 1985-10-25 1991-07-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7048Y2 (ja) 1995-06-21
KR900000420U (ko) 1990-01-17
JPH0216U (ko) 1990-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4315B2 (ja) 被加工物に孔を形成するための携帯型穿孔機械又は切削機械を型板に固定する装置、そのような孔を形成するためのオービタル機械加工装置及び径方向オフセット機構
PT1943098E (pt) Ferramenta de fresar e/ou tornear
JP4216807B2 (ja) 切削加工工具
KR930005854Y1 (ko) C면 가공기
JPH0529772Y2 (ko)
US5607266A (en) Speed reducer assembly
JP2656936B2 (ja) 工具アダプタ着脱固定装置
KR20180039353A (ko) 컵형 와이어 브러쉬를 장착한 자동 면취기의 구조
JPH0541384B2 (ko)
JPH10309663A (ja) ワークドライブ装置
KR20040077237A (ko) 연마 가공물 고정용 지그
JPH0529773Y2 (ko)
JPH0222192Y2 (ko)
JPS62271667A (ja) シリンダライナ内面研削装置
JP2005103706A (ja) 切削工具
JPH0718515Y2 (ja) 工具用ホルダ
KR100626746B1 (ko) 곡면 가공홀의 버 제거 장치
JPS6142753Y2 (ko)
KR200249724Y1 (ko) 코어드릴에 장착되는 중심고정체
RU1816260C (ru) Держатель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ой головки
JPS62166935A (ja) 回転工具の支持装置
JPH0911016A (ja) ピンミーリングカッタ
JPS5837549Y2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チヤツク
KR810001602B1 (ko) 원심 주조 금형의 전단 캡 착탈장치
KR19990041603U (ko) 드릴날의 교환이 용이한 드릴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