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739Y1 -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739Y1
KR930005739Y1 KR2019880005715U KR880005715U KR930005739Y1 KR 930005739 Y1 KR930005739 Y1 KR 930005739Y1 KR 2019880005715 U KR2019880005715 U KR 2019880005715U KR 880005715 U KR880005715 U KR 880005715U KR 930005739 Y1 KR930005739 Y1 KR 930005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ver
photosensitive drum
developer unit
unit
develo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518U (ko
Inventor
조진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05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739Y1/ko
Publication of KR890021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7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유지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단면도로서, 제1도는 본체를 열고 현상유니트를 드럼에서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본체를 닫고 현상유니트를 드럼에 붙인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 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3 : 상하부체
4 : 힌지핀 5 : 감광드럼
6 : 현상기 유니트 7, 8 : 상하측 가이드
9 : 간격유지링 19 : 캠레버
20 : 축 21 : 스프링 고정부
22 : 압축코일스프링 23 : 정지편
24 : 작동봉
본 고안은 크램셀 타입(clamshell type)의 전자 복사기나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기 유니트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를 열고 닫을때 현상기가 감광드럼에서 자동으로 분리되고 자동으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한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체가 상하로 개폐가능하게 된 크램셀 타입의 원고대 이동식 복사기의 일반적인 실시형태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본체(1)의 상부체(2)와 하부체(3)가 힌지축(4)을 기준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체(2)에는 감광드럼(5)이 설치되고, 그 일측에 현상기 유니트(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기 유니트(6)는 상하가이드(7)(8)에 의하여 지지되게 조립되어 있으며, 현상기 유니트(6)에는 감광드럼(5)과 일정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 링(9)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측가이드(7)는 상부체(2)에 고정되어 있고 하측가이드(8)는 상부체(2)에 고정된 고정축(10)에 안내장공(11)으로 끼워지고 인장코일스프링(17)으로 탄력지지 되어있다.
또한 현상기 유니트(6)의 일측에는 그를 밀어주는 캠(12)을 양측에 고정한 캠축(1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캠축(13)의 단부에는 로킹손잡이(14)가 고정되어 있다.
도면에서 15는 현상기 유니트(6)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롤형 현상슬리브로서 그 현상슬리브(15)의 축(16)은 현상기 유니트(6)의 양측벽(6')에 고정된 부시(도시되지 않음)에 양측부가 축착되고, 현상슬리브 축(16)의 양단부에 상기 간격유지링(9)이 고정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체(1)의 상부체(2)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간격유지링(9)이 감광드럼(5)에 점촉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현상기 유니트(6)를 본체(1)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체(2)를 제1도와 같이 열고 로킹손잡이(14)를 시계방향으로 제끼어 현상기 유니트(6)를 누르고 있던 캠(12)을 회동시키면 현상기 유니트(6)의 눌림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하측가이드(8)를 인장스프링(17)이 잡아당겨서 감광드럼(5)에 접촉되어 있던 간격유지링(9)이 감광드럼(5)에서 떨어진다. 이와 같이 한 후 현상기 유니트(6)를 그의 양측벽(6')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18)를 잡고 본체(1)외부로 분리한다.
역으로 현상기 유니트(6)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현상기 유니트(6)를 상하측 가이드(7)(8)를 따라조립하면 하측 가이드(8)가 인장스프링(17)에 의해서 우측으로 당겨져 있으므로 조립시 현상기 유니트(6)의 간격유지링(9)이 감광드럼(5)에 접촉하는 문제없이 조립된다. 현상기 유니트(6)가 완전히 밀려 들어간 다음에 제1도의 상태에서 로킹손잡이(14)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캠(12)이 인장스프링(17)의 탄력을 이기고 현상기 유니트(6)를 밀어서 간격유지링(9)을 감광드럼(5)에 접촉시킴에 따라 감광드럼(5)과 간격유지링(9)보다 직경이 작은 현상슬리브(15)사이에는 현상간격이 자동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현상기 유니트 간격유지장치는 현상기 유니트를 본체에서 분리할 경우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여야만 하고 또한 현상기 유니트를 조립할 경우에도 손잡이로 로킹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만약 로킹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은채 현상기 유니트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 유지링이 감광드럼 표면에 접촉하면서 분리조립되는 과정에서 감광드럼에 기계적 마모가 생기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체의 상부체에는 현상기 유니트를 압착시키는 캠레버를 축착함과 아울러 압축스프링으로 탄력지지하고 하부체에는 캠레버를 작동하는 작동봉을 설치하여 본체의 개폐에 따라 현상기 유니트가 감광드럼에서 자동으로 분리되거나 접촉되게 한 것인바, 이러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의하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하부체(2)(3)가 힌지핀(4)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체(2)에는 감광드럼(5)이 설치되며, 그 일측에 현상기 유니트(6)가 상하측 가이드(7)(8)에 지지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그 현상기 유니트(6)에는 간격유지링(9)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유니트(6) 일측에 캠레버(19)를 축(2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캠레버(19)와 그 상측의 스프링 고정부(21) 사이에는 그 캠레버(19)를 시계방향으로 탄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22)을 설치함과 아울러 캠레버(19)의 회동을 규제하는 정지편(23)을 고정하며, 하부체(3)에는 캠레버(19)를 압축코일스프링(22)에 대향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그 캠레버(18)를 현상기 유니트(6)에 압착시키는 작동봉(24)을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에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체(1)의 상하부체(2)(3)가 닫혀있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에는 하부체(3)에 고정된 작동봉(24)에 캠레버(19)가 밀려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캠레버(19)가 밀려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캠레버(19)에 의해 현상기 유니트(6)가 압착되어 그의 간격유지링(9)이 감광드럼(5)에 접촉되므로서 현상슬리브(15)와 감광드럼(5)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어 있다(제1, 2, 3도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4도와 같이 본체(1)의 상부체(2)를 개방하면 캠레버(19)가 작동봉(24)에서 분리됨에 따라 그 캠레버(19)가 압축스프링(22)의 탄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현상기 유니트(6)에서 이탈되면서 하측가이드(8)가 인장스프링(17)의 탄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현상기 유니트(6)의 간격유지링(9)이 감광드럼(5)에서 분리되며 이때 캠레버(19)는 그 단부가 정지편(23)에 접촉되어 회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감광드럼(5)에서 간격유지링(9)이 떨어진 상태에서 현상기유니트(6)를 본체(1)외부로 분리한 후, 다시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상기 유니트(6)를 상하측가이드(7)(8)를 따라 조립하며, 이때에는 하측가이드(8)가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간격유지링(9)이 감광드럼(5)에 접촉됨이 없이 조립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이후에 상부체(2)를 닫게되면 캠레버(19)가 하부체(3)의 작동봉(24)에 밀려 회동하면서 현상기 유니트(6)를 압착하고 이에따라 간격유지링(9)이 감광드럼(5)의 표면에 접촉되어 제5도의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체의 상부체를 개방하면 캠레버가 작동봉에서 이탈되면서 현상기 유니트가 감광드럼에서 분리되고, 본체의 상부체를 닫으면 캠레버가 작동봉에 밀리면서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유지링이 감광드럼에 접촉되는 구조로서 본체의 열고닫음에 따라 현상기 유니트가 감광드럼에 자동으로 분리접촉되는 것이므로 사용이 간편용이하고, 종래에는 로킹손잡이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현상기 유니트를 조립, 분리하면 현상간격 유지링이 감광드럼 표면에 손상을 입히는 결함이 있었으나 이러한 결함이 완전히 해결되었다.

Claims (1)

  1. 본체(1)의 상하부체(2)(3)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체(2)에는 감광드럼(5)이 설치되며 그 일측에 현상기 유니트(6)가 상하가이드(7)(8)에 지지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현상기 유니트(6)에는 간격유지링(9)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유니트(6)일측에 캠레버(19)를 축(2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캠레버(19)와 그 상측의 스프링 고정부(21) 사이에는 그 캠레버(19)를 탄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22)을 설치함과 아울러 캠레버(19)의 회동을 규제하는 정지편(23)을 고정하며 하부체(3)에는 캠레버(19)를 현상기 유니트(6)에 압착시키는 작동봉(24)을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유지장치.
KR2019880005715U 1988-04-20 1988-04-20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유지장치 KR930005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715U KR930005739Y1 (ko) 1988-04-20 1988-04-20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715U KR930005739Y1 (ko) 1988-04-20 1988-04-20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518U KR890021518U (ko) 1989-11-02
KR930005739Y1 true KR930005739Y1 (ko) 1993-08-27

Family

ID=1927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715U KR930005739Y1 (ko) 1988-04-20 1988-04-20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7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518U (ko) 198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166B1 (ko) 레이져빔프린터의 현상기착탈장치
JPS61277525A (ja) 用紙カセツト
JPH02210464A (ja) 画像形成装置
KR930005739Y1 (ko) 현상기 유니트의 간격유지장치
KR920006821B1 (ko) 원고 압착판의 개폐장치
KR100695070B1 (ko) 셔터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감광드럼유닛 및 이를 구비한화상형성장치
JPH10171324A (ja) 画像形成装置の交換部材着脱機構
KR100385586B1 (ko) 프린터용 클램쉘 장치
KR0148025B1 (ko) 뚜껑체 개폐장치
JPH0470767A (ja) 画像形成装置
JP2927828B2 (ja) 現像器
JPS62291Y2 (ko)
JPH11174765A (ja) 画像形成装置
JP3271450B2 (ja) カバーロック機構
US10845731B2 (en) Developer cartridge mountable to a drum cartridge
KR960006221Y1 (ko)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정착기 구조
JPH07125384A (ja) 事務処理機器
JP2619158B2 (ja) 現像プロセスユニット支持装置
KR0170836B1 (ko) 헤드폰 카세트의 도어 개폐장치
KR930005371Y1 (ko) 전자사진 복사기의 현상기 장,탈착장치
KR930004872Y1 (ko) 전자 사진 응용 기기의 토너(Toner)보급 장치
JPH0631473Y2 (ja) 画像形成装置
JPH06194885A (ja) 画像形成装置の騒音防止装置
KR920004418Y1 (ko) 토너 공급장치
JPH0581854U (ja) 現像器の退避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