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380Y1 -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380Y1
KR930005380Y1 KR2019900011135U KR900011135U KR930005380Y1 KR 930005380 Y1 KR930005380 Y1 KR 930005380Y1 KR 2019900011135 U KR2019900011135 U KR 2019900011135U KR 900011135 U KR900011135 U KR 900011135U KR 930005380 Y1 KR930005380 Y1 KR 930005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signal
pulse
output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516U (ko
Inventor
김경서
Original Assignee
금성계전 주식회사
백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계전 주식회사, 백중영 filed Critical 금성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1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380Y1/ko
Publication of KR920003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03K19/21EXCLUSIVE-OR circuits, i.e. giving output if input signal exists at only one input; COINCIDENCE circuits, i.e. giving output only if all input signals are iden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
제1도는 종래 전동기의 검출회로도.
제2a도 내지 c도는 종래 전동기의 검출회로에 대한 각부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도.
제4a도 내지 k도는 본 고안 전동기의 검출회로에 관한 각부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어펄스발생부 102 : 회전신호발생부
FF1-FF4 : 플립플롭 XOR1-XOR3 : 익스클루시브오아게이트
AND1-AND4 : 앤드게이트 OR1 : 오아게이트
NOT1, NOT2 : 인버터
본 고안은 전동기 축에 연결된 펄스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동기의 정/역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밀도를 향상시켜 공작기계 주축이나 서어보, 로보트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동기의 검출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D형플립플롭(FF3)의 데이타입력단자(D), 클럭입력단자(CLX)에 각각 기준펄스인 A상펄프(A), 90°위상차를 갖는 펄스인 B상펄스(B)를 공급하여 출력단자(Q)의 신호를 정/역회전신호로 사용하게 되어있는 것으로, 고전위 출력일때 정회전, 저전위 출력일때 역회전으로 판단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검출회로는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B상펄스(B)를 플립플롭(FF3)의 클럭신호로 사용하여 클럭의 상승에지(edge)에서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A상펄스(A)가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단자(Q)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a-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t1)에서 전동기의 회전방향이 바뀌면, B상펄스(B)에서 상승에지가 발생되는시점(t2)에서 플립플롭(FF3)의 출력단자(Q)에 출력되는 신호가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바뀌면, 이때 정,역회전방향신호도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바뀌게 되어 전동기가 역회전됨을 판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검출회로에 있어서는 B상펄스의 상승에지에서만 플립플롭의 출력이 바뀌게 되어 실제전동기 회전이 바뀐시점(t1)과 정,역회전판별회로 출력이 바뀌는 시점(t2)사이에는 시간차이가 생기게 되므로 신속한 정역판별이 어렵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펄스발생기의 A상, B상의 상승, 하강에지를 모두 이용하여, 정,역판별신호가 빨리 바뀌도록 함으로써 전동기의 속도 및 위치제어에서 속용성 및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럭신호(CLX)가 동시 공급되는 플립플롭(FF1,FF2)을 통해 펄스발생기의 A상펄스(A), B펄스(B) 시간지연된 신호(Ad)(Bd)로 만들고, 이를 다시 상기 A,B상펄스(A),(B)와 함께 익스클루시브오아게이트(XOR1,XOR2)를 통해 조합하여 제어펄스(Ap)(Bp)를 만들며, 이를 오아게이트(OR1)를 통해 합성하여 4배의 주파수를 갖는 제어펄스신호(P4)를 만들게한 제어펄스발생부(101)와, 상기 제어펄스(Ap,Bp)를 앤드게이트(AND1,AND4)에서 A상펄스(A)와, 각기 논리곱하고, 상기 A상펄스(A)를 인버터(NOT1,NOT2)를 각기 통한 후 앤드게이트(AND2,AND3)에서 상기 제어펄스(Bp,Ap)의 논리곱하며, 상기 앤드게이트(AND1,AND2), (AND3,AND4)의 출력신호를 노아게이트(NOR1),(NOR2)에서 각기 논리합하여 세트신호(Se), 리세트신호(Re)를 만들며, 이의 신호에 의해 플립플롭(FF4)에서 B상기준신호(Bref)를 만든후 익스클루시브오아게이트(XOR3)에서 상기 제어펄스(B)와 논리합하여, 정/역신호(Berr)를 발생하고, 상기 B상펄스(P4)에 의해 클럭동작되는 플립플롭(FF3)을 통해 정/역방향 신호(F/R)로 발생하게 한 회전신호발생부(102)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플립플롭(FF1-FF3)(FF4)은 D형, R/S형 플립플롭이다.
제4a도 내지 k도는 제3도 각부 파형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b도는 A,B상펄스(A,B), (c-e)는 제어펄스(Ap,Bp,P4), e,f는세트, 리세트신호(Se,Re), g는 B상기준신호(Bref), h는 정/역신호(Berr), k는 정/역방향신호(F/R)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제4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클럭신호(CLK)에 의해클럭동작되는 플립플롭(FF1,FF2)에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A상펄스(A) 및 B상펄스(B)를 입력하여 시간지연된 신호(Ad),(Pd)를 만들며, 이 신호(Ad),(Bd)가 상기 A상펄스(A), B상펄스(B)와 익스클루시브오아게이트(XOR1,XOR2)를 통해 조합되어, 제4c,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펄스(Ap),(Bp)가 발생한다. 이 제어펄스(Ap,Bp)가 오아게이트(OR1)를 조합되어 제4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4배 주파수의 제어펄스(P4)가 출력된다.
한편, 상기 A상펄스(A)가 고전위상태에서 상기 제어펄스(Ap)가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신호로 출력되고, 상기 A상펄스(A)가 인버터(NOT1)를 통해 반전되므로 그 A상펄스(A)까 저전위상태에서 상기 제어펄스(Bp)가 앤드게이트(AND2)의 출력신호로 출력되며, 이 앤드게이트(AND1),(AND2)의 출력신호가 노아게이트(NOR1)에서 조합되어, 제4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세트신호(Se)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A상펄스(A)가 저전위상태에서 제어펄스(Ap)가 앤드게이트(AND3)의 출력신호로 출력되고, A상펄스(A)가 고전위상태에서 제어펄스(Bp)가 앤드게이트(AND4)의 출력신호로 출력되며, 이 앤드게이트(AND3),(AND4)의 출력신호가 노아게이트(NOR2)에서 조합되어, 제4g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리세트신호(Re)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세트신호(Se) 및 리세트신호(Re)에 의해 플립플롭(FF4)이 세트 및 리세트되므로 그의 출력단자(Q)에 제4h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B상기준신호(Berf)가 출력되며, 이 B상기준신호(Bref)는 전동기가 정방향 회전할때는 B상펄스(B)와 반대위상을 갖게되고, 역방향 회전할때는 B상펄스(B)와 동일위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B상기준신호(Bref)는 익스클루시브오아게이트(XOR3)에서 B상펄스(B)와 조합되어, 제4i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역신호(Berr)로 출력된다.
그러나, 게이트 지연에 의해 제4a-k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리치(glitch)가 발생하므로 상기 제어펄스(P4)를 클럭신호로 공급받는 플립플롭(FF3)을 통해 상기 정/역신호(Berr)를 입력하여 클리치를 제거하며, 제4k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최종적인 정/역회전신호(F/R)가 출력된다.
결국, 정/역회전신호(F/R)가 바뀌는 시점(t2)은 실제 전동기 회전방향이 바뀌는 시점(t1)으로부터 A상, B상 펄스의 다음 상승에지 혹은 하강에지로 되고, 이는 종래의 검출방식보다 최대 270°빠르게 신호가 바뀌어 속도가 개선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펄스발생기의 A,B상의 상승, 하강에지를 이용하여 전동기의 정/역회전시에 그를 곧바로 검출하게 되므로 정밀도 및 속도가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클럭신호(CLK)를 공통인가받고 A상, B상펄스(A,B)를 입력받아 시간지연신호(Ad,Bd)로 출력하는 플립플롭(FF1,FF2)과, 상기 시간지연 신호(Ad,Bd)를 상기 A상, B상펄스(A,B)와 논리합하여 제어펄스(Ap,Bp)로 출력하는 익스클루시브오아게이트(XOR1,XOR2) 및 그 제어펄스(Ap,Bp)를 논리합하여 제어펄스(P4)로 출력하는 오아게이트(OR1)와, 상기 제어펄스(Ap,Bp)를 상기 A상펄스(A)와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AND1,AND4) 및 상기 A상펄스(A)를 인버터(NOT1,NOT2)를 통한후 상기 제어펄스(Bp,Ap)와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AND2,AND3)와, 상기 앤드게이트(AND1,AND2), (AND3,AND4)의 출력신호를 논리합하여 세트신호(Se) 및 리세트신호(Re)로 출력하는 노아게이트(NOR1),(NOR2)와, 상기 세트신호(Se) 및 리세트신호(Re)를 입력받아 B상기준신호(Bref)로 출력하는 플립플롭(FF4)과, 상기 B상기준신호(Bref)를 상기 B상펄스(B)와 논리곱하여 정/역회전(err)로 출력하는 익스클루시브오아게이트(XOR3)와, 상기 제어펄스(P4)를 클럭신호로 인가받고 상기 정/역신호(Berr)를 입력받아 정/역회전신호(F/R)를 출력하는 플립플롭(FF3)으로 구성하여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
KR2019900011135U 1990-07-27 1990-07-27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 KR930005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135U KR930005380Y1 (ko) 1990-07-27 1990-07-27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135U KR930005380Y1 (ko) 1990-07-27 1990-07-27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516U KR920003516U (ko) 1992-02-25
KR930005380Y1 true KR930005380Y1 (ko) 1993-08-16

Family

ID=1930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135U KR930005380Y1 (ko) 1990-07-27 1990-07-27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3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516U (ko) 199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4993A (en) Sensorless brushless motor
US4507590A (en) Brushless DC motor
Lygouras et al. High-performance position detection and velocity adaptive measurement for closed-loop position control
JPS61226807A (ja) 数値制御工作機械
JPH0447765B2 (ko)
KR930005380Y1 (ko)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
KR900002511B1 (ko) 속도 검출 방식
JPH05276775A (ja) サーボモータの回転数計数回路
KR100411666B1 (ko) 모터의방향판별회로
KR0169842B1 (ko) 전동기 제어용 엔코더에 의한 회전방향 판별회로
JPS59204769A (ja) 移動方向検出回路
SU125127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направлени вращени вала вентиль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KR890004858Y1 (ko) 모우터의 회전 방향 판별 및 회전수 카운팅 회로
JPH11248727A (ja) 速度および位置信号発生器
JPS61120968A (ja) 回転方向パルスの発生回路
SU9913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скорости вращени вала
SU547802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угловых перемещений в код
SU1295522A2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угла поворота вала в код
SU756451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угла поворота вала в код i
SU11097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угла поворота вала
JPS59120962A (ja) 速度信号検出装置
KR970003646Y1 (ko) 고속 카운트 회로
JPH05248893A (ja) バックアップ式絶対位置エンコーダ
GB2274363A (en) Commutating a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JPH02346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