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1666B1 - 모터의방향판별회로 - Google Patents

모터의방향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1666B1
KR100411666B1 KR1019960068034A KR19960068034A KR100411666B1 KR 100411666 B1 KR100411666 B1 KR 100411666B1 KR 1019960068034 A KR1019960068034 A KR 1019960068034A KR 19960068034 A KR19960068034 A KR 19960068034A KR 100411666 B1 KR100411666 B1 KR 100411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output
phase
phases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333A (ko
Inventor
박진세
Original Assignee
디지털 비디오 시스템스 인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지털 비디오 시스템스 인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디지털 비디오 시스템스 인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1996006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6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8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tor
    • H02P2203/03Determination of the rotor position, e.g. initial rotor position, during standstill or low speed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 센서나 인크리멘탈 인코더 등을 사용하지 않고 모터에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방향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 모터의 방향 판별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3상 모터의 경우 각 상당 2π/3 의 위상지연으로 회전자계를 구성하여 모터를 구성시키므로 모터의 3상중 2상(U상과 V상)을 이용하여 이를 인버터부(10), 비교부(20), 플립플롭(FF)을 통하여 출력시켜 하이레벨이 출력될 때에는 모터(M)의 정회전으로 검출하고, 로우레벨이 출력될 때에는 모터(M)의 역회전으로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모터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모터의 방향 판별 회로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 센서(HALL SENSOR)나 인크리멘탈 인코더(INCREMENTAL ENCODER) 등을 사용하지 않고 모터에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방향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 모터의 방향 판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정, 역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구적인 인크리멘탈 디코더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사용하였다.
즉, 발광소자(1)와 수광소자(2) 사이에 슬릿(3)을 가진 회전디스크(4)와 A상 슬릿(5), B상 슬릿(6), C상 슬릿(7)을 가진 고정 슬릿판(8)을 위치시켜 회전디스크(4) 회전시 회전디스크(4)에 형성된 슬릿(3)이 고정슬릿판(8)의 슬릿(5-7)과 일치될 때 발광소자(1)의 빛이 수광소자(2)에 전달되어 구형파가 발생되므로 결국 전기적으로 정, 역방향을 검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모터의 방향 검출 장치에 있어서는, 고가의 기구적인 인크리멘탈 디코더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사용하므로 원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3상 모터의 경우 각 상당 2π/3 의 위상지연으로 회전자계를 구성하여 모터를 구성시키므로 별도의 외부적인 도움 없이 정역회전의 검출을 할 수 있도록 한 모터의 방향 판별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 U상과 V상의 출력을 인버팅시키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와 인버터를 통하지 않고 입력되는 모터의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일출력을 클럭으로 하고 타출력을 입력신호로 하여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부와, 상기 에지 검출부의 출력으로부터 정/역 회전을 검출하는 정역회전 검출부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모터의 방향 판별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방향 판별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모터의 위상차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모터의 정회전시 비교부 출력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모터의 역회전시 비교부 출력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버터부
20 : 비교부
30 : 정역회전 검출부
FF : 플립플롭
I1 : 제1 인버터
I2 : 제2 인버터
CO1 : 제1 비교기
CO2 : 제2 비교기
도 2는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로, 모터(M)의 3상중 선택된 2상(예를 들어 U상과 V상)의 출력을 인버팅시키는 제1, 제2 인버터(I1)(I2)로 된 인버터부(10)로 된 인버터부(10)와, 상기 인버터부(1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와 인버터부(10)를 통하지 않고 입력되는 모터의 U상의 신호를 비교하는 제1 비교기(CO1)와, 상기 인버터부(1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와 인버터부(10)를 통하지 않고 입력되는 모터의 V상의 신호를 비교하는 제2 비교기(CO2)로 구성된 비교부(20)와, 상기 비교부의 일출력을 클럭으로 하고 타출력을 입력신호로 하여 에지를 검출하는 디플립플롭(FF), 상기 디플립플롭(FF)이 출력으로부터 정/역 회전을 검출하는 정역회전 검출부(3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터(M)로부터 3상의 위상이 출력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중에서 U상과 V상을 선택한다.
이러한 모터(M)의 U상과 V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와 V+간에 2π/3 의 위상차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2π/3의 위상차를 갖는 U상과 V상의 출력이 인버터부(10)의 제1 인버터(I1) 및 제2 인버터(I2)에 입력되어 인버팅된 후 비교부(20)에 입력되는 한편 모터(M) 출력이 상기 제1, 제2 인버터(I1)(I2)를 거치지 않고 비교부(20)에 입력된다.
따라서, 비교부(20)에서는 제1 인버터(I1)를 거치지 않은 U+ 상과 제1 인버터(I1)를 거친 U- 상이 제1 비교기(CO1)를 통하여 비교되고, 또한 제2 인버터(I2)를 거치지 않은 V+ 상과 제2 인버터(I2)를 거친 V- 상이 제2 비교기(CO2)를 통하여 비교되어 비교된 결과가 출력되는데, 제1 비교기(CO1)의 출력은 디플립플롭(FF)의 입력단자(D)에 입력되고 제2 비교기(CO2)의 출력은 디플립플롭(FF)의 에지 검출용으로 클럭단자(CLK)에 입력된다.
이때, 모터(M)의 정회전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립플롭(FF)의 출력(Q)이 하이레벨이 되고 모터(M)의 역회전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립플롭(FF)의 출력이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디플립플롭(FF)의 출력레벨 상태에 따라 모터(M)의 정, 역방향을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별도로 고가의 인크리멘탈 디코더 및 발광, 수광소자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모터의 정역방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모터(M)의 3상중 선택된 2상의 출력을 인버팅시키는 제1, 제2 인버터(I1)(I2)로된 인버터부(10)와;
    상기 인버터부(1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와 인버터부(10)를 통하지 않고 입력되는 모터의 U상의 신호를 비교하는 제1 비교기(CO1)와, 상기 인버터부(1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와 인버터부(10)를 통하지 않고 입력되는 모터의 V상의 신호를 비교하는 제2 비교기(CO2)로 구성된 비교부(20)와;
    상기 비교부(20)의 일출력을 클럭으로 하고 타출력을 입력신호로 하여 에지를 검출하는 디플립플롭(FF)과;
    상기 디플립플롭(FF)의 출력레벨로부터 정/역 회전을 검출하는 정역회전 검출부(3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방향 판별 회로.
KR1019960068034A 1996-12-19 1996-12-19 모터의방향판별회로 KR10041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034A KR100411666B1 (ko) 1996-12-19 1996-12-19 모터의방향판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034A KR100411666B1 (ko) 1996-12-19 1996-12-19 모터의방향판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333A KR19980049333A (ko) 1998-09-15
KR100411666B1 true KR100411666B1 (ko) 2004-03-31

Family

ID=4938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034A KR100411666B1 (ko) 1996-12-19 1996-12-19 모터의방향판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927B1 (ko) * 2001-09-20 2005-01-24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스핀들 모터의 회전 방향 및 속도 검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333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4993A (en) Sensorless brushless motor
US4507590A (en) Brushless DC motor
JP3630410B2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異常検出装置
JP2008151665A (ja) ホール素子を用いた回転位置検出方法およびホール素子レゾルバ
KR100411666B1 (ko) 모터의방향판별회로
JPH0447765B2 (ko)
JP4037392B2 (ja) 異常検出装置
KR920015324A (ko) 스핀들 모터 이상 회전 방지 회로
US5867023A (en) Converter circuit for rotary transformer sensing devices
KR930005380Y1 (ko) 전동기의 정/역회전 검출회로
JPH0580066A (ja) エンコーダ機能を併設したコミユテーシヨンセンサ
JPS62290380A (ja) アブソリユ−トエンコ−ダ
KR890002501B1 (ko) 3상모터 회전방향 검출회로
KR100466927B1 (ko) 스핀들 모터의 회전 방향 및 속도 검출장치 및 방법
KR0169842B1 (ko) 전동기 제어용 엔코더에 의한 회전방향 판별회로
JP2000314639A (ja) Acサーボモータ用エンコーダ
JPH0614580A (ja) モータの制御装置
JPH0583869B2 (ko)
JP3302864B2 (ja) モータ回転速度検出回路
JP3131975B2 (ja) ディジタル三相pwm波形発生装置
KR0182012B1 (ko)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의 전류 회로
KR100234953B1 (ko) 브러시리스 직류모터의 속도검출회로
JPS644624B2 (ko)
JP2001124592A (ja) 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
JPH09121581A (ja) 同期電動機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