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890Y1 - 테이프 접착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접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890Y1
KR930004890Y1 KR2019860016228U KR860016228U KR930004890Y1 KR 930004890 Y1 KR930004890 Y1 KR 930004890Y1 KR 2019860016228 U KR2019860016228 U KR 2019860016228U KR 860016228 U KR860016228 U KR 860016228U KR 930004890 Y1 KR930004890 Y1 KR 930004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ox
roller
adhesiv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723U (ko
Inventor
요셉 카바나그 미카엘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870006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7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8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65B51/067Applying adhesive tape to the closure flaps of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4Supporting web roll cantile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13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and applying the article or the web by adhesive to a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17Means feeding plural workpieces to be joined
    • Y10T156/1343Cutting indefinite length web after assembly with discrete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78Cutter actuated by or secured to bond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접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테이프접착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측단면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로 상자에 테이프를 접착시키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제2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착장치 12 : 테이프
16 : 상자 18 : 프레임
24 : 접착로울러 31 : 캐리지
32 : 칼날 34 : 절단날
45 : 오목부 46 : 캠부재
54 : 접촉로울러 56 : 칼지지체
60 : 브래킷 68 : 시일드
본 고안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지나 예정된 경로를 따라서 운반되는 상자와 같은 직사각형 몰체에 압감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로 피복된 테이프를 접착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중 테이프 공급길이에서 물체에 접착된 테이프를 절단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미합중국 특허 제3,915,786호, 제3,954,550호, 및 제4,238,269호에 기재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들은 손이나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장치를 지나서 운반된 상품으로 채워진 직사각형 상자를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장치들은 테이프단부가 상자와 접촉할 접촉위치의 밖으로 테이프 접착부의 단부를 지지하는 로울러와 같은 접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와 같이 접촉할때 테이프 단부가 상자에 접착된다. 게다가 장치가 상자의 외형에 테이프를 내리누르는 동안 그때의 상자의 이동은 상자와 접착구재 사이에서 장치로부터 테이프를 끌어당긴다. 그후 장치의 절단수단이 테이프 공급길이로부터 테이프의 접착된 길이를 절단하고, 그 절단 수단은 다시 절단된 단부에 인접한 테이프와 접속해서 장치를 지나 이동된 새로운 상자와 접촉하기 위해 접촉위치로 접착부재와 함께 상기 테이프를 이동시킨다.
전형적인 절단수단은 상자의 경로의 한 모서리에 장착된 톱날을 가진 칼을 구비하고, 상자에 접착되어 있는 테이프의 예정된 길이가 상기 칼을 지나서 끌어당겨진 후에 톱날끝이 테이프를 관통해서 테이프를 절단하도록 칼을 이동시킨다. 상자들이 장치를 지나서 비교적 느리고,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어질 때(흔히 있듯이 상자들이 컨베이어에 의해 장치를 지나 이동될때) 절단수단은 매우 잘 작동하지만, 상자들이 장치를 지나 손으로 이동될 때와, 상자들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그 장치를 통과할 때는 문제점들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톱날이 테이프를 뚫고 나아갈때 본래 고정된 위치에 있는 톱날의 끝을 지나서 테이프의 경로를 따라 테이프가 빨리 이동하고 있는데, 테이프의 이러한 빠른 이동은 칼의 날카로운 모서리, 특히 톱날을 따라서 끝부분을 부서뜨려 그 칼을 무뎌지게 하여 테이프를 울퉁불퉁하게 자르거나 테이프를 자르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비교적 느린 속도로 콘베이어로 이동되고 있는 상자들에 접착된 테이프를 절단하는데 6개월을 견딘 칼날이 손으로 빨리 이동된 주당 동일한 숫자의 상자들에 테이프를 접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매주 교환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공급된 테이프 길이에서 테이프의 예정된 길이를 절단하는 수단이 물체들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장치를 지나갈때 조차도 톱니형 절단칼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유지시킬 수 있는 상술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서 장치를 지나서 제1방향의 예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시킨 직사각형 물체들, 즉 상자들의 둘레에 계속하여 공급한 테이프 길이에서 압감 접착제로 피복된 테이프를 접착시키도록 형성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아치형 주연부를 가지는 접착부재, 즉 접착로울러와; 접착로울러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접착제로 피복된 접착로울러의 주연부에 대해 테이프 공급길이의 테이프 경로를 한정하기 위해 형성된 수단과; 상자의 전면에 테이프를 접착시키는 제1방향의 경로를 따라 이동된 상자의 전면과 접착로울러를 따라 배치된 테이프의 길이 사이에 접촉을 제공하기 위한 경의 접착로울러와의 접촉위치에서 테이프가 상자의 전면을 누르는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장치의 프레임 위에 접착로울러를 장착시키는 수단과; 칼날의 절단날이 테이프의 공급 길이로부터 상자에 저착되어지는 테이프의 길이를 절단하도록 경로를 따라서 예정된 위치를 지나 상자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되고, 절단날을 가지는 칼날을 구비한 프레임 위에 장착된 절단수다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는 장치에 있어서, 칼날의 절단날이 테이프의 공급길이로 부터 상자에 접착되고 있는 테이프의 길이를 절단하도록 하는 수단은 테이프와 절단날의 접속중에 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테이프가 이동하는 속도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절단날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은 상자가 접착로울러를 지나간 후에 상자의 측면과 감소하는 예각을 형성하는 접착로울러와 상자의 전면사이에서 경로부를 따라서 상자에 접착될 테이프를 접착로울러가 안내하도록 하기 위해 제2위치의 접착 로울러를 지나서 상자의 앞면이 이동한 후에 경로와 이격된 접착로울러에 대한 제3위치로 접착로울러를 이동시키는 상자와 접속하도록 형성된 캠수단과, 절단날이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서 경로부를 따라서 테이프와 교차하는 동안 경로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테이프와 동시에 일반적으로 칼날의 절단모서리를 이동시키는 접착로울러를 지나서 경로를 따라 상자의 전면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된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경로부를 따라 이동하는 테이프와 동시에 칼날의 절단날을 이동시키는 접착로울러를 지나서 그 경로를 따라서 상자 전면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된 수단은, 접착 로울러에서 그 경로를 따라 이격된 부분에서 경로의 접촉부재의 신장된 위치와 물체의 측면을 따라서 접촉부재의 후퇴된 위치사이에 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에서 상기 후퇴된 위치까지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상자의 전면과 접촉 하므로써 이동되는 접촉부재, 즉 접촉로울러를 장착하는 수단과; 접촉부재를 장착하는 수단과, 접촉부재가 이동하는 상자의 전면과 접촉하므로써 그 접촉부재가 접촉부재에 대해 신장된 위치에서 접촉부재에 대해 후퇴된 위치까지 이동될때 절단날의 테이프를 가로지르는 동안에 상자의 전면과 제3위치의 접착로울러 사이에 연장하고 상자와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와 동시에 일반적으로 칼날의 절단날의 운동을 야기시키는 칼날 사이에 결합된 수단을 구비한다.
도면은 본 고안에 따르는 장치(10)이 도시되어 있는데, 장치(10)은 장치(10)을 지나 연속해서 제1방향(화살표로 표시됨)의 예정된 통로를 따라서 이동된 직사각형 물체, 즉 상자(16)의 주변 모서리둘레에 테이프(12)의 공급길이에서 압감접착제로 피복된 테이프(12)의 L형태의 길이로 접착시키기 위해 형성되었다.
일반적으로, 장치(10)은 상자(16)의 경로를 한정하는 평면(20)을 가진 판재를 구비한 프레임(18)과, 그 평면(20)의 대향측에 있는 판재에서 이격되어 거의 직각으로 돌출하고, 그 판재를 통하여 구멍옆에 있는 평행한 측벽(22)를 구비하고, 측벽들(22)사이에는 장치(10)의 여러가지 이동가능한 요소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이동 가능한 요소들은 아치형이나 원통형 주연부를 가지는 접착부재, 즉 접착롤러(24)와, 접착로울러(24)에서 이격되어 배치된 테이프(12)상에 피복한 접착제를 가진 접착로울러(24)의 주연부에 테이프(12)공급길이의 테이프 경로를 한정 하는 일련의 허브, 및 로울러들(25,26,27,28,29,30)을 구비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수단은 상자(16)의 전면에 테이프(12)의 단부를 접착시키는 제1방향의 경로를 따라 이동된 상자들(16)중 하나의 전면과 접착로울러(24)를 따라서 배치된 테이프(12)의 단부 사이에 접촉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자들(16)의 경로에서 접착부재(24)와의 접촉위치(제1도 및 제2도)에서 상자(16)의 전면에 대해 테이프(12)를 누르는 제2위치로 그리고 다시 접촉위치로 되돌아가는 캐리지(31)과 접착로울러(24)의 직선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프레임(18)위에 접착로울러(24)를 장착하는 캐리지(31)의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절단날(34)를 가진 칼날(32)를 구비한 프레임(18)에 장착되고, 경로를 따라서 예정된 위치를 지나 상자(16)이 이동하므로써 칼날(32)의 절단날(34)가 테이프(12)의 공급길이로 부터 상자(16)에 접착되어 있는 테이프(12)의 길이를 절단하도록 형성된 수단과; 접착로울러(24)가 접촉위치에 있을때와 제2위치에서 다시 접촉위치로 접착로울러(24)가 운동하는 동안에, 접착로울러(24)가 인접한 테이프(12)의 공급길이의 단부의 위치를 정해주는 접착로울러(24)에 인접한 테이프 경로로 돌출한 마주보는 삼각 귀모양 부재(36)의 수단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장치에 있어서, 칼날(32)의 절단날(34)가 테이프(12)의 공급길이로 부터 상자(16)에 접착되어 있는 테이프(12)의 길이를 절단하게 하는 수단은 테이프(12)가 테이프(12)와 절단날(34)의 접속중에 테이프(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과 거의 동일한 속도록 장치(10)을 빨리 통과할때 절단날(34)의 마모를 상당히 감소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특히, 접착로울러(24)의 주연부에 대해 테이프(12)공급길이의 테이프 경로를 한정하는 장치(10)에 있어서 그 수단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18)에 장착되어 있고, 허브(25)의 한 단부에 제각기 고정되며 허브(25)상에 테이프(12)의 로울(39)의 중심을 마찰결합시키고 해제가능하게 유지시키도록 바깥쪽으로 치우친 말단부를 가진 두개의 판스프링(28)을 지탱하는 허브(25)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임(18)에 장착되어 있고, 테이프 주연부에 거의 180°를 돌아서 테이프(12)의 역행에 의해 접촉되는 제1안내로울러(26); 및 프레임(18)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며, 제어가능한 마찰브레이크에 의해서 프레임(18)과 연결되고, 테이프(12)의 압감접착제에 의해 약 180°정도 접촉된 축방향으로 톱니가 있는 중합체(즉 델린(Delrin))주연부를 가지는 브레이크 로울러(27)를 구비한다. 테이프(12)는 브레이크 로울러(27)로부터 제각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캐리지(31)에 장착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일렬로 배열된 세개의 안내 로울러들(28,29,30)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캐리지에는 접착로울러(24)가 테이프(12)배면과 접촉하는 바깥쪽 안내 로울러들(28,30) 및 테이프(12)위에 피복한 접착제에 의해서 접촉된 축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된 중합체 주연부를 가지는 중앙의 안내로울러(29)와 함께 장착되어 있다. 안내로울러(30)으로 부터의 테이프(12)는 브레이크로울러(27)과 안내로울러(29)와 함께 부착로울러(24)에 인접한 테이프(12)의 단부를 위치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삼각 귀모양부재(36)에 인접한 접착제 피복에 따라 부착로울러(24)에 대해 캐리지(31)의 평탄부(40)을 따라 뒷전으로써 이동한다. 브레이크 로울러(27)과 안내로울러(29)는 테이프(12)의 길이방향운동을 그 경로를 따라서 제한하며, 그 귀모양부재(36)은 접착로울러(24)에서 테이프(12)단부의 구부러짐을 제한한다.
캐리지(31)에서 접촉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직선운동을 제공하도록 프레임(18)에 접착로울러(24)를 장착하는 수단은 측벽(22)와 대향하게 고정되고 평면(20)에 대해 약 45°정도로 배치된 길다란 트랙(42)와, 길다란 트랙(42)의 길이방향 오목부(45)내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된 캐리지(31)의 각 측부상에 두개의 간격을 둔 로울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접촉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접착로울러(24)와 캐리지(31)의 직선운동의 성분은, 여기에 설명된 미합중국 특허 제4,238,269호에 기재된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그 경로를 따라서 상자들(16)이 이동하는 제1방향에 있도록 트랙(42)가 배치된다.
장치(10)에 있어서, 테이프(12)와 절단날(34)의 접속중에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테이프(12)가 이동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속도로 절단날(34)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트랙(42)가 측벽들(22)사이에서 그 경로와 이격된 접착로울러(24)에 대하여 제2위치를 지나서 제3위치로 접착로울러(24)의 이동을 제공할 정로 충분히 길고; 상기 장치(10)은 제2위치에서 접착로울러(24)를 지나서 상자(16)전면의 이동후에 장치(10)이 제3위치(제3도, 제4도 및 제5도)로 접착로울러(24)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그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자(16)에 의해 접속되도록 형성된 아치형면(47)를 가지며, 접착로울러(24)의 대향단부를 지나서 돌출한 간격진 캠부재(46)의 형태로 캠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자(16)의 전면이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접착로울러(24)를 따라서 위치한 테이프 단부의 접착면과 접촉되고, 그 경로를 따라서 상자(16)의 다른 이동이 접착로울러(24)가 테이프(12)를 따라 이동해서 상자(16)의 전면에 대해서 테이프를 누르도록 캐리지(31)과 프레임(18)에 제각기 고정된 대향 단부들을 가진 아치형 코일스프링(50)으로 제공된 미는 수단에 대하여 트랙(42)를 따라서 제2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31)과 접착로울러(24)를 이동시킨 후에, 상자(16)의 전면은 상자(16)의 측면이 캠부재(46)의 단부들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서 측벽들(22)사이에서 그 경로와 떨어진 제3위치로 접착로울러(24)를 이동시켜 유지시키면서 이격된 캠부재(46)의 아치형면(47)를 따라 이동할 것이다. 제3위치(제3도)에서, 접착로울러(24)는 상자(16)이 접착로울러(24)를 지날때 그 경로를 따라서 상자(16)의 측면과 감소하는 예각을 형성하는 접착로울러(24)와 상자(16)의 전면 사이에서 경로부를 따라, 캠부재들(46)사이에서 상자(16)에 접착될 테이프(12)를 유도할 것이다.
또한 절단날(34)로 하여금 브레이크 로울러(27)에 의해 경로부를 따라서 인장된 테이프(12)를 가로질러서 절단하게 하면서, 일반적으로 그 경로부와 동시에 칼날(32)의 절단날(34)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접착로울러(24)를 지나 그 경로를 따라 상자(16)의 전면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된 수단은, 테이프(12)와 절단날(34)의 접속중에 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테이프(12)가 이동되는 것과 거의 동일한 속도로 절단날(34)을 이동시키는 수단에 구비되어진다.
전술한 것처럼, 일반적으로 경로부와 동시에 칼날(32)의 절단날(34)를 이동시키는 접착로울러(24)를 지나 그 경로를 따라 상자(16)전면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된 수단은, 상자(16)에 접착된 테이프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아치형 또는 원통형 가압면을 가지는 접촉부재, 즉 접촉로울러(54)와; 제1방향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상자(16)의 전면과 접촉로울러(54)가 접촉됨으로써 접촉로울러(54)가 경로에 위치하는 신장된 위치(제1,2,3도)로부터 접촉 로울러(54)가 상자(16)의 측면에 위치하는 후퇴된 위치(제4,5도)로 이동되는 형태로 신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접촉로울러(54)가 이동되도록 프레임(18)위에 접촉로울러(54)를 장착시키는 수단과; 상기 후퇴된 위치에서 접촉로울러(54)가 상자(16)의 측면에 접착되고 있는 테이프(12)를 누르도록 상기 신장된 위치쪽으로 접촉로울러(54)를 미는수단; 및 접촉로울러(54)가 이동하는 상자(16)의 전면과 접촉하므로써 신장된 위치에서 후퇴된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절단날(34)을 테이프(12)와 교차시키면서, 제3위치의 접착로울러(24)와 상자(16)의 전면사이로 연장하고 상자(16)과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12)와 동시에 칼날(32)의 절단날(34)를 이동시키기 위해 접촉로울러(54)를 장착시키는 수단과 칼날(32)를 연결하는 수단을 구비합니다.
그리고, 칼날(32)와 접촉로울러(54)를 장착시키는 수단을 연결하는 수단은, 상자(16)의 전면이 접착로울러(24)를 지나서 이동될때 제3위치에서의 접착로울러(24)와 상자(16)사이로 연장하고, 상자(16)과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 경로와 교차하는 원호를 따라 칼날(3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선회운동용핀(57)로 프레임(18)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고정된 칼날(32)를 가지는 칼지지체(56)과; 접촉로울러(54)가 상자(16)의 전면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접촉위치에서 후퇴된 위치로 이동할때 칼날(32)를 테이프(12)와 함께 이동시키고 테이프(12)와 교차시키도록 칼지지체(56)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접촉로울러(54)를 장착시키는 수단과 칼 지지체(56)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캠수단을 구비한다.
도시된 것처럼, 접촉로울러(54)를 장착시키는 수단은 일단부에 접촉로울러(54)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브래킷(60)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측벽(22)에 선회할 수 있도록 핀(61)에 의해 장착된 대향단부를 가지며, 접촉로울러(54)와 핀(61)사이로 연장하고 측벽(22)에 인접해서 이격된 다리부를 가진다. 접촉로울러(54)는 상자(16)의 전면과 접촉로울러 사이의 접촉이 벽(22)사이에서 후퇴된 위치(제4도와 제5도)로 이동시키도록 핀(61)로부터 제1항향으로 그 경로를 따라서 이격되어 있다. 칼 지지체(56)은 브래킷(60)을 선회할 수 있게 장착시킨 핀(61)로부터 제1방향의 경로를 따라, 선회할 수 있게 장착배치된 칼지지체(56)을 핀(57)에 의해서 칼지지체(56)이 브래킷(60)의 다리 사이에 배치된다. 브래킷(60)과 칼지지체(56)사이에서 캠수단은 브래킷(60)의 다리에 대향한 관계로 장착된 로울러베어링(64)와 베어링(64)가 수용된 길다란 홈(65)를 형성하는 칼지지체(56)의 벽을 구비한다. 접촉로울러(54)가 신장된 위치(제3도)로부터 후퇴된 위치(제4도)로 이동할때 브래킷(60)과 로울러 베어링(64)의 운동이 상자(16)의 제1운동방향의 아치형 경로를 따라서 처음 위치에서 마지막 위치로 칼날(32)를 이동시키기 위해 칼지지체(56)을 이동시키도록 베어링(64)와 홈(65)가 배치된다. 벽(22)와 칼지지체(56)사이에 연결되고 핀(61)를 둘러싸는 코일스프링(도시되지 않음)형태의 베어링 수단이 칼지지체를 칼날(32)의 처음위치로 밀기위해 제공되며, 그것에 의해 캠수단을 통하여 접촉 로울러(54)를 신장된 위치로 미는 수단을 제공한다.
접촉로울러(54), 브래킷(60), 칼지지체(56), 칼날(32), 피벗핀(61,57), 로울러베어링(64), 및 홈(65)를 포함한 여러가지 성분들의 모양과 위치는 장치를 통과하는 상자(16)의 이동이 어떤 속도에 대해서 칼날(32)의 절단날(34)와 테이프(12)의 속도가 톱니형 절단날(34)의 끝이 테이프(12)와 접촉할때 거의 정확하게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컴퓨터의 도움으로 설계된다.
또한 칼날(32)가 테이프(12)를 자르기 위해 운동할때를 제외하고 칼날(32)의 절단날(34)를 덮는 안전수단이 장치(10)에 구비되어 있다. 그 안전수단은 핀(56)에 대해 선회된 증시뭅와, 경로와 마주보는 칼날(32)의 측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돌출단부와, 보호단부가 칼날(32)와 접촉할때 절단날(34)에 인접해서 돌출할 말단립(70), 및 보호 단부와 마주보는 아치형 작동단부(72)를 가지는 일반적으로 U자형 박판의 시일드(shield)(68)을 구비한다. 시일드(68)은 작동단부(72)가 접촉로울러(54)의 신장된 위치에서 제1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경로로 돌출하고, 칼날(32)가 최초위치에 있을때, 보호단부가 칼날(32)의 측부와 접촉하는 제1위치와; 작동단부(72)가 측벽들(22)사이의 경로 축부에 있고, 그 칼날(32)가 최종위치에 있을때 그 보호단부가 칼날(32)의 측부에 기대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선회운동하는 핀(56)에 선회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장치의 작동은 경로를 다라 상자(16)이 이동하는 동안 설명될 것이다.
상자(16)이 제2도의 경로를 따라서 이동될때 상자의 전면이 접착로울러(24)를 따라서 위치하는 테이프(12)의 단부의 접착제로 피복된 면과 먼저 접촉할 것이며, 그리고나서 테이프단부가 상자(16)에 접착될 것이다.
또한 상자(16)의 이동은 접착로울러(24)와 그것이 장착된 캐리지(31)를 접착로울러(24)가 측벽들(22) 사이의 경로에서 제2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접착로울러(24)가 상자(16)의 전면을 따라서 테이프(12)를 누르면서 이동하도록 캐리지(31)은 스프링(38)에 대향하여 장착되어 있는 트랙(42)를 따라 이동시킬 것이다. 이어서, 트랙(42)를 따라서 접착로울러(24)가 경로와 덜어져 있는 제3위치(제3도)로 캐리지(31)을 이동시키고, 상자(16)의 전면은 캠부재(46)의 아치형면(47)를 따라서 이동되며, 상자(16)의 측면과 캠부재(46)의 단부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자(16)의 추가 이동중에 제3위치에서 캐리지(31)이 유지될 것이다. 접착로울러(24)가 제3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자(16)의 추가 이동중에 제3위치에서 캐리지(31)이 유지될 것이다. 접착로울러(24)가 제3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자(16)의 추가이동은 브레이크 로울러(27)에 의해 가해진 인장하에서 공급로울(39)로부터 테이프(12)를 끌어당기고, 접착로울러(24)는 상자(16)이 접착로울러(24)를 지나갈때 그 경로를 따라서 상자(16)의 측면에 대하여 감소하는 예각을 형성하는 접착로울러(24)와 상자(16)의 전면 사이에서 그 경로부를 따라서 캠부재들(46) 사이에 있는 상자(16)에 접착될 테이프(12)를 유도할 것이다. 그후, 상자(16)의 전면은 접촉로울러의 신장된 위치에서 후퇴된 위치(제4도)로 접촉로울러를 핀(61)둘레로 선회시키면서 처음의 신장된 위치에서 접촉로울러(54)와 접촉할 것이다. 브래킷(60)의 이러한 선회는 로울러(64)에 의해 제공된 캠수단과 홈(65)를 형성하는 벽으로 하여금 핀(57)에 대해서 칼지지체를 선회시키도록 한 것이며, 절단날(34)로 하여금 테이프(12)를 교차하여 절단하도록 하는 반면에, 상자(16)의 전면과 접착로울러(24)사이에서 연장하고 상자(16)과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12)와 동시에 칼날(32)의 절단날(34)의 이동을 야기시킨다. 그후, 접촉로울러의 신장된 위치쪽으로 접촉로울러(54)를 이동시키며 상자(16)의 측면에 대해서 누르게 한다. 연속하여 상자(16)의 전면은 시일드(68)의 보호단부가 최종위치에서 칼날(32)의 측면과 접촉하고 팁(70)이 그 절단날(34)(제5도)를 다시 덮도록 핀(57)에 대하여 선회시키면서 시일드(68)의 작동단부(72)와 접촉할 것이다. 그후, 시일드(68)이 칼날(32)를 최종위치로 유지하며, 캠수단을 통해서 상자(16)의 견이 모서리가 작동단부(72)를 지나갈때까지 접촉로울러(54)를 후퇴된 위치로 유지하고, 그후에 접촉로울러를 미는 수단이 시일드(68), 칼날(32) 및 접촉로울러(54)를 제각기 제1위치, 처음위치 및 신장된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다. 작동단부(72)를 지나가기전에, 상자의 모서리는 그 경로를 따라 이동된 다음 상자와 접속할 준비를 갖춘 접착로울러(24)에 인접해 위치한 테이프(12)의 새로 절단된 단부를 그것과 함께 운반하면서 스프링(38)이 캐리지(31)과 접착로울러(24)를 다시 접촉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캐리지(31)에서 캠부재(46)을 지나갈 것이다.
본 고안은 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기술적으로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으면서 기술된 실시예에 많은 변화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본 출원에 기재된 구성으로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단지 청구범위의 용어와 이 구성들의 등가물에 의해 제한될 것이 틀림없다.

Claims (4)

  1. 프레임(18)과; 아치형 주연부를 갖는 접착로울러(24)와; 상기 접착로울러(24)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접착제로 피복된 상기 접착로울러(24)의 아치형 주연부에 테이프(12)의 공급길이의 테이프 경로를 한정하도록 형성된 수단(25,26,27,28,29,30)과; 상자(16)의 전면에 테이프(12)를 접착시키기 위해 제1방향의 경로를 따라 이동된 상기 상자(16)의 전면과 상기 접착부재(24)를 따라 배치된 테이프(12)를 접촉시키기 위한 상기 경로의 상기 접착부재(24)와의 신장된 위치로 부터 상자(16)의 전면에 대해 테이프(12)를 누르면서 후퇴된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다시 상기 신장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18)에 상기 접착로울러(24)를 장착시키는 수단과; 칼날(32)의 절단날(34)에 의하여 테이프(12)의 공급길이에서 상자(16)에 접착된 테이프(12)의 길이를 절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로를 따라서 예정된 위치를 지나 물체(16)을 이동시키므로써 작동되며, 절단날(34)를 가진 칼날(32)를 구비하는 상기 프레임(18)에 장착된 수단들을 포함하며; 제1방향으로 예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된 직사각형 상자(16)의 주연부에 압감 접착제로 피복된 테이프(12)를 계속해서 접착시키는 테이프 접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칼날(32)의 절단날(34)에 의하여 상기 테이프(12)의 공급길이에서 테이프(12)의 접착된 길이를 절단하는 수단은, 상기 테이프(12)와 절단날(34)의 접촉중에 테이프(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테이프의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절단날(34)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접착로울러(24)를 지나서 경로를 따라 상자(16)의 전면이 이동되는 것에 의해 작동되며,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테이프(12)와 동기하여 칼날(32)의 절단날(34)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날(34)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접촉로울러(54)와; 상기 경로를 따라서 이동되는 상자(16)의 전면과 접촉로울러(54)가 접촉됨으로써 접촉로울러(54)가 경로에 위치하는 신장된 위치와 접촉로울러(54)가 상자(16)의 측면에 위치하는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접촉로울러(54)가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18)에 상기 접촉로울러(54)를 장착시키는 수단과; 상기 접촉로울러의 후퇴된 위치에서 상기 접촉로울러(54)가 상자(16)의 측면에 대하여 접착되고 있는 테이프(12)를 누르도록 상기 신상된 위치쪽으로 상기 접촉로울러(54)를 미는 수단과; 상기 접촉로울러(54)가 이동하는 상자(16)의 전면과 접촉하므로써 상기 신장된 위치에서 후퇴된 위치로 이동할때 절단날(34)로 하여금 테이프(12)를 교차하게 하면서 제3위치의 상기 접착로울러(24)와 상자(16)사이로 연장하고 상기 상자(16)과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12)와 동시에 칼날(32)의 절단날(34)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접촉로울러(54)를 장착시키는 상기 수단과 상기 칼날(32)를 연결하는 수단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접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로울러(24)를 장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경로에서 이격된 상기 접착로울러(24)와 함께 제3위치로 상기 접착로울러(24)의 이동을 제공하며, 상기 장치(10)은 상자(16)이 접착로울러(24)를 자나간 후에 상자(16)의 측면과 감소하는 예각을 형성하는 접착로울러(24)와 상자(16)의 앞면사이에서 경로부를 따라 상자(16)에 접착될 테이프(12)를 접착로울러(24)가 유도하도록 상기 제2위치에 있는 상기 접착로울러(24)를 지나는 상기 상자(16)전면의 이동후에 상기 제3위치로 상기 접착롤러(24)를 이동시키는 상자(16)에 의해 접속되도록 형성된 캠수단(4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접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8)에 상기 접착로울러(24)를 장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제1방향에 있는 접착로울러(24)의 운동성분과 함께 상기 접촉위치와 상기 제3위치 사이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상기 접착로울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접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로울러(54)를 장착하는 상기 수단과 상기 칼날(32)를 연결하는 상기 수단은 상자(16)전면이 상기 접착로울러(24)를 지날때 상기 제3위치의 상기 접착로울러(24)와 상자(16)사이로 연장하고, 상자(16)과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12)의 경로와 교차하는 원호를 따라 상기 칼날(32)를 이동시키기 위해선회운동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8)에 장착되어 있으며, 일단부를 따라 고정된 상기 칼날(32)를 가지는 칼지지체(56)과; 상기 접촉로울러(54)가 상자(16)의 앞면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접촉위치에서 후퇴된 위치로 이동할때 제1방향에서 상기 원호를 따라 상기 칼날(32)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칼지지체(56)을 이동시키고, 상기 접촉로울러(54)를 장착시키는 상기 수단과 상기 칼지지체(56)사이에서 설치되어 있는 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접착장치.
KR2019860016228U 1985-10-25 1986-10-24 테이프 접착장치 KR9300048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91,407 US4642157A (en) 1985-10-25 1985-10-25 Tape applying device
US791,407 1985-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723U KR870006723U (ko) 1987-05-09
KR930004890Y1 true KR930004890Y1 (ko) 1993-07-26

Family

ID=2515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228U KR930004890Y1 (ko) 1985-10-25 1986-10-24 테이프 접착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42157A (ko)
EP (1) EP0220942B1 (ko)
JP (1) JPH0617807Y2 (ko)
KR (1) KR930004890Y1 (ko)
BR (1) BR8605169A (ko)
CA (1) CA1269611A (ko)
DE (1) DE3668293D1 (ko)
DK (1) DK161444C (ko)
ES (1) ES1000642Y (ko)
MX (1) MX1613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22975B (it) * 1987-10-23 1990-09-12 Augusto Marchetti Dispositivo di taglio del nastro adesivo per unita' nastrante
US5228943A (en) * 1990-06-04 1993-07-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ow impact tape applying device
US5223075A (en) * 1991-12-03 1993-06-29 Sims Manufacturing Co., Inc. Corrugated carton sealing apparatus
IT1254218B (it) * 1992-02-25 1995-09-14 Augusto Marchetti Macchina a carta gommata per la sigillatura di scatole parallelepipede a falde ribaltabili
CA2117504A1 (en) * 1993-09-20 1995-03-21 Karl M. Kropp Box sealing machine with tape applicator sensor system
US5683058A (en) * 1996-03-05 1997-11-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oll supporting hub
US20060021708A1 (en) * 2004-08-02 2006-02-02 Ez-Tek Industries, Inc. Tape cutting mechanism
US7836932B2 (en) * 2007-09-14 2010-1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ping head
US7937905B2 (en) * 2008-02-29 2011-05-10 Illinois Tool Works Inc. Tape guide plate and finger plate with integral rollers
US8176959B2 (en) * 2009-01-12 2012-05-15 Lamus Enterprises Inc. Multi-functional tape applicator
US8327902B2 (en) 2010-06-04 2012-12-11 Lamus Enterprises Inc Tape delivery system for a tape applicator
CN102189711A (zh) * 2011-03-30 2011-09-21 合肥华东包装有限公司 一种纸板表面胶带粘贴装置
US9975724B2 (en) 2011-08-25 2018-05-22 Lamus Enterprises Inc. Tape applicator
US8875769B2 (en) 2012-07-03 2014-11-04 Cory Lee Dean Walker One-handed combination tape dispenser and applicator
CN108528845B (zh) * 2018-06-13 2021-03-30 苏州全新机械配件有限公司 高效高速封箱机的机芯及其使用方法
USD973451S1 (en) * 2020-07-22 2022-12-27 Richard Vela Knife caddy
CN114751021B (zh) * 2022-04-01 2023-07-18 江苏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物流用包裹封装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0131A (en) * 1945-06-26 1950-06-06 Ind Tape Corp Adhesive tape applier
DE1092368B (de) * 1958-09-24 1960-11-03 Georges Dubois S A Ets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Klebstreifenabschnitten auf zwei aufeinanderstossendeFlaechen von Schachteln, Paketen od. dgl.
US3079977A (en) * 1958-11-06 1963-03-05 Adhesive Tapes Ltd Tape-applying machine
DE2047073C3 (de) * 1970-09-24 1979-12-13 Wella Ag, 6100 Darmstadt 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von Gegenständen, z.B. Kartons, mittels eines Klebebandes
US3915786A (en) * 1974-10-10 1975-10-28 Minnesota Mining & Mfg Tape applying device
US3954550A (en) * 1974-10-10 1976-05-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pe applying device
US4238269A (en) * 1978-11-13 1980-12-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pe apply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723U (ko) 1987-05-09
EP0220942A1 (en) 1987-05-06
JPH0617807Y2 (ja) 1994-05-11
ES1000642U (es) 1988-03-16
CA1269611A (en) 1990-05-29
BR8605169A (pt) 1987-07-21
EP0220942B1 (en) 1990-01-17
DK504686D0 (da) 1986-10-21
US4642157A (en) 1987-02-10
DK504686A (da) 1987-04-26
ES1000642Y (es) 1988-08-16
JPS6274648U (ko) 1987-05-13
DK161444B (da) 1991-07-08
DK161444C (da) 1991-12-23
DE3668293D1 (de) 1990-02-22
MX161353A (es) 199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890Y1 (ko) 테이프 접착장치
US4781782A (en) Web applicator
US3963557A (en) Article transferring apparatus
JP3406426B2 (ja) 粘着テープ供給装置
US4582558A (en) Decorative tape dispensing and applying apparatus
JPH0446810B2 (ko)
US3472724A (en) Apparatus for severing tape
US3935057A (en) Apparatus for securing the free end of a roll of fibrous web material
JPH04239430A (ja) テープ貼着装置
CN111604987A (zh) 双向纸板分切机
JPH06293454A (ja) 帯状材料を接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S6227959B2 (ko)
FR2587982B1 (fr) Derouleur de bobines
EP1785243B1 (en) Edge banding apparatus
US4052240A (en) Taping device and method of taping
JPH11263319A (ja) 包装テープ貼着ユニット
US5223075A (en) Corrugated carton sealing apparatus
US3930927A (en) Tape dispenser for double-coated tape
US4310378A (en) Tape splicing machine, in particular for magnetic tapes for loading into cassettes
US2500157A (en) Applier for applying a length of an adhesive tape to a surface
JPH062542B2 (ja) テープ接合機構
JPS60183323A (ja) 包装装置への包装材料送給装置
EP0395028B1 (en) Joining device for strip-like material
JP2736236B2 (ja) 粘着テープ貼付器
US3527635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easured lengths of tape at regular timed interv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