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827B1 -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 Google Patents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827B1
KR930004827B1 KR1019900011481A KR900011481A KR930004827B1 KR 930004827 B1 KR930004827 B1 KR 930004827B1 KR 1019900011481 A KR1019900011481 A KR 1019900011481A KR 900011481 A KR900011481 A KR 900011481A KR 930004827 B1 KR930004827 B1 KR 93000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pixel
phase
pix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786A (ko
Inventor
히또시 후지모또
아끼라 테지마
가즈유끼 사이구사
고우지 가네꼬
신야 요꼬다테
다쯔히꼬 미즈시마
에스 후렛챠 게이리
미라 쟈넷트
디 에몬즈 로오렌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1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transmission or protocol signal prior to or subsequent to the image data transmission, e.g. in digital identification signal [DIS], in non standard setup [NSS] or in non standard field [NS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 reproduction or befo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에서 출력된 화상프레임 신호의 화소어긋남 검출신호의 파형과 제4의 사이클과 제5의 사이클 사이의 경계에 존재하는 변화점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장치내의 화상프레임 신호의 송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장치의 송신처리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제5도는 제1도의 장치의 수신처리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제6도는 제5도의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8도는 제7도의 장치에서 출력된 스크린 화상프레임 신호의 송신시스템과 위상반전검출신호가 각각의 화상블럭으로 들어가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7도의 장치의 수신처리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제10도는 제7도의 장치의 1블럭에 대해 신호를 수신하는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제11도는 반전블럭을 보정하는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13도는 제12도의 장치에서 출력된 스크린 화상프레임 신호에 포함된 위상반전검출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제12도의 장치의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의 송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제12도의 장치의 송신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제16도는 제12도의 장치의 수신처리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18도는 제17도의 장치에서 출력된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의 송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제17도의 장치의 행화상 블럭신호와 색차신호를 포함하는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의 송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제20도는 종래의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21도는 제20도의 장치에서 출력된 화소신호를 변조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제22도는 제20도의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의 송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01,301,401 :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102,202,302,402 : TV카메라 105,205,305,405 : 망제어부
104,204,304,404 : 변조부 106,206,306,406 : 복조부
107,207,307,407 : CPU 108,208,308,408 : 화상메모리
109,209,309,409 : D/A 변환기 110,210,310,410 : 디스플레이
111,211,311,411 : 클럭추출회로 112,412 : 카운터
103,113,203,213,303,313,403,413 : A/D 변환기
114,214,314 : 검출회로 115,215,315 : 판별회로
116 : 차동회로 117 : 리로딩회로
118 : 화소어긋남 검출신호 발생회로 119,219,319 : APSK 변조회로
120,220,320 : 삽입수단 221,321 : 위상반전 검출신호 발생회로
222 : 반전정보 메모리 223 : 제1의 보정회로
224 : 제2의 보정회로 325 : 반전회로
326 : A/D 변환기 414 : 스컵핑회로
415 : 세틀링 신호삽입수단
본 발명은 통화중에 TV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정지 화상을 전화회선을 거쳐서 송수신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수단과 수신수단을 향상하여 송신선을 거쳐서 보내지는 저하된 화상신호를 보정하도록 한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TV 전화는 정지화상데이타가 음성대역신호로 변조되어 전화통신회선을 거쳐서 전달되는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제20도는 텔레비젼 기술, 1988년 9월에 발행된 “Details of TTC Standard TV Telephone System”, p.31에 기재된 이 종류의 정지화상 텔레비젼전화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0도에서 (1)은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2)는 전화통신회선, (3)은 외부전화기, (4)는 화상정보를 입출력하고, TV 전화장치와 외부전화기(3)사이의 접속을 전환하는 망제어부, (5)는 전화통신회선을 거쳐서 데이타를 전송하도록 화상데이타를 변복조하는 변복조회로, (6)은 변복조회로(5)에서 사용하는 타이밍을 작성하는 복조타이밍 작성회로, (7)은 변복조회로(5)에서 복조한 아날로그 데이타를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8)은 송신 및 각종 동작을 트리거하는 키패드, (9)는 자화상 및 상대화상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10)은 텔레비젼 카메라, (11)은 화상정보메모리, (12)는 화상정보메모리(11)로의 화상데이타의 라이트/리드와 디스플레이(9)로의 화상신호의 출력 및 텔레비젼 카메라(10)에서의 화상신호의 입력을 실행하는 화상제어회로, (13)은 화상 제어회로(12)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화상신호로 변환해서 디스플레이(9)로 보내는 D/A 변환기, (14)는 텔레비젼 카메라(1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디지탈 화상신호로 변환해서 화상제어회로(12)로 보내는 A/D 변환기, (15)는 ROM이나 RAM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고, TV 전화장치를 통해서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 한다)이다.
제21도는 제20도의 TV 전화장치에 의해 화상데이타를 변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 종류의 변조방법은 진폭정보와 위상정보가 조합으로 송신되는 APSK(Amplitude Phase Shift Keying)변조방법에 따르고 있다. “16”의 휘도의 화소를 갖는 화소데이타의 변조를 제21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2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인곡선형의 제1의 위상과 제1의 위상으로 부터 180° 어긋난 사인곡선형의 제2의 위상의 2개의 위상이 있고, 각각의 제1 및 제2의 위상은 8레벨 진폭을 갖는 신호로 형성된다.
또, 신호의 1사이클의 특정위상 및 특정진폭은 각각의 특정휘도에 대응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각의 위상이 8사이클, 즉 전체 17사이클이다. 제21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제1의 위상의 최대진폭의 신호 “0”은 흑색에 대응한다. 중간신호 “1”~“14”는 각각의 휘도의 회색에 대응한다. 제2의 위상의 최대진폭의 신호 “15”는 백색에 대응한다.
제22도는 종래의 화상데이타포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22도에서 (16)은 화상신호를 수신하는 이득제어신호와 화상모드신호를 갖는 화상제어정보이고, (17)은 화상데이타, (18)은 화상데이타(17)의 도착을 통보하는 발신음, (19)는 화상데이타(17)의 도착을 통보하는 하드웨어 프리앰블이다. 스크린의 상부 좌측에서 화소의 화상데이타(17)이 먼저 송출되고, 계속되는 화소의 화상데이타가 계속해서 오른쪽 측면으로 송출되고, 그들이 가장 우측부분까지 도달한 후 1행째 아래의 행의 가장 좌측에서 송출된다.
다음에 제20도의 종래의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스피커는 외부전화기(3)의 다이얼을 돌려서 전화통신회선을 거쳐서 원하는 장소에 연결한다. 다음에 키패드(8)상의 “송신”버튼을 누르면, CPU(15)가 화상의 송신처리를 개시한다. CPU(15)는 망제어부(4)를 제어해서 외부전화기(3)에서의 입출력신호를 인터럽트하고, 변복조회로(5)에서의 화상신호를 전화통신회선(2)에 출력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그후 CPU(15)는 화상제어정보(제22도)를 변복조회로(5)를 거쳐서 전화통신회선(2)에 출력한다. 또, CPU(15)는 화상제어회로(12)를 거쳐서 화상정보메모리(11)에서 순차적으로 화상데이타를 수신하여 변복조회로(5)에 화상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1화상분의 화상데이타가 송신되면, 망제어부(4)에 의해 전화기에 대해 접속이 전환된다.
다음에 정지화상을 수신하기 위하여, 제17도에 도시한 화상 제어정보중의 발신음(18) 또는 하드웨어 프리앰블 중의 하나를 변복조회로(5)가 검출하였을 때 CPU(15)는 전화통신회선에 접속되어 정보의 수신을 개시한다. 이때 CPU(15)는 망제어부(4)를 화상수신상태로 전환한다. 수신된 화상신호는 변복조회로(5) 및 복조타이밍 작성회로(6)에 의해 복조되고, A/D 변환기(7)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되어서 CPU(15)로 보내진다. CPU(15)로 보내진 1화상분의 화상데이타는 순차적으로 화상제어회로(12)를 거쳐서 화상정보메모리(11)에 기억된다.
이 화상정보메모리(11)에 기억된 화상데이타는 화상제어회로(12)를 거쳐서 순차적으로 리드되고, 디스플레이(9)로 송출해서 디스플레이상에 화상을 표시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피커는 상대방에서 보내진 정지화상을 보면서 통화할 수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에서는 다음의 문제점이 있었다.
(1) 다수의 불특정한 신호가 순차적으로 화소신호로써 수신될때, 변복조회로내의 클럭재생 PLL 회로에 의해 출력된 클럭이 송신경로상의 진폭/위상변조파의 잡음 또는 대역 이동에 의해 1화소분 어긋나서 화상이 경사진 상태로 수신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2) 수신된 화소신호의 위상이 잡음등에 의해 반전한 경우, 종래의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는 화상데이타의 위상의 반전을 검지하는 수단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위상이 반전한 채로 화상이 표시된다. 즉, 위상이 반전한 이후의 화소신호는 제1위상과 제2위상(제21도)이 반전상태로 수신되므로 디스플레이상에서는 백색과 흑색이 역으로 된 수신화상이 표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3) 화소신호를 수신할 때 잡음등의 요인으로 변복조회로내의 반송파재생 PLL 회로가 출력하는 클럭이 180° 어긋나고 마는 경우라도 수신측에서 이러한 것을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그 결과, 제1위상과 제2위상을 잘못 인식하게 되어 디스플레이상에 백색과 흑색이 반전해서 표시되고 만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4) 정지화상의 우측끝과 다음의 행의 좌측끝의 화소신호가 연속해서 송출되게 되지만, 일반적으로 인접한 화소간의 신호는 상관이 높고, 이들의 화소신호는 가까운 것으로 되어, 화상의 양끝등이 떨어진 화소간의 상관은 낮고 휘도 또는 색의 차에 의해 신호파형이 크게 다르고, 그 때문에 이들의 화소신호가 서로 영향을 끼치게 되어 신호파형이 왜곡되는 일이 있어 화면의 우측 및 좌측에서 수신한 화상의 휘도나 색이 흐트러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명한 정지화상을 재생할 수 있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개념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전화회선을 거쳐서 송수신하는 송신수단과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송신수단은 TV 카메라에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수단, 디지탈 신호의 위상 및 진폭을 변조하고, 다수의 화소신호로 되는 다수의 화상블럭군을 갖는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를 작성하고,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각각의 화소신호 또는 화상블럭에 화상보정신호를 부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수신수단은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화상프레임 신호를 복조하고, 프레임신호를 D/A 변환하고, 정지화상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수단, 수신된 스크린 화상 프레임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는 수단,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의 화소신호를 화소데이타로 복조하는 수단, 클럭을 계수하여 계수된 값을 어드레스로서 사용하여 화소데이타를 기억하는 화상메모리, 추출된 화상보정신호의 상태에 따라 화상메모리내의 화소데이타를 보정하는 보정수단을 포함한다.
이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에서 화상보정신호는 2개의 서로 다른 소정의 위상 및 진폭을 갖는 1쌍의 화소어긋남 검출신호이다. 이 1쌍의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는 다수의 사이클을 갖는 화소신호이다. 1쌍의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는 각각 백색 및 흑색의 화소데이타에 대응하는 2개의 서로 다른 화소신호이다.
보정수단은 수신된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내의 1쌍의 화소신호의 소정의 변화점과 계속되는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내의 1쌍의 화소신호의 다른 하나의 변화점 사이의 클럭의 수를 계수하는 카운터수단, 계수된 클럭의 수가 2개의 변화점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의 클럭의 수와 동일한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수단, 상기 2개의 클럭의 수가 서로 동일하지 않을 때 그곳에 화소어긋남이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계수된 클럭수와 2개의 변화점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의 클럭수 사이의 차를 산출하는 차동수단, 화소어긋남이 발생되는 화소메모리에 계속되는 화소메모리내에 저장된 화소데이타의 차동어드레스를 보정하여 리로딩하는 리로딩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의 구성에 의해 재생된 클럭의 수는 임의의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내의 화소데이타의 하나의 변화점과 계속되는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내의 화소데이타의 다른 하나의 변화점 사이에서 계수된다. 계수된 클럭의 수가 소정의 값과 다르고 있으면, 화소의 어긋남이 보정된다.
본 발명의 제2의 개념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전화회선을 거쳐서 송수신하는 본 발명의 제1개념과 유사한 송신수단과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송신수단은 또 각각의 화소신호 또는 화상블럭에 화상보정신호를 부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수신수단은 또 수신된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는 수단, 스크린화상 프레임신호의 화소신호를 화소데이타로 복조하는 수단, 화소데이타를 기억하는 화상메모리, 수신된 위상반전검출신호에 따라 위상반전유무를 판정하고, 위상반전이 일어난 화소수를 기억하는 반전정보메모리, 위상반전메모리에 기억된 위상반전정보에 따라 화상메모리에서 화소데이타를 보정하는 보정수단을 포함한다.
위상반전검출신호는 소정의 위상과 진폭을 갖는 화소신호이다. 보정수단은 위상반전이 일어난 화상블럭에 계속되는 화소블럭의 위상을 반전하고, 화상메모리내의 화상블럭을 리로딩하는 제1의 보정수단을 포함한다. 보정수단은 또 화상메모리내에 위상반전된 화상블럭의 데이타를 반전정보메모리에 기억된 화상블럭수에 따라 정상적인 화상블럭 전후에 가장 인접하는 화상블럭의 데이타로써 치환하는 제2의 보정수단을 포함한다.
이 제2의 구성에 의해 반전된 위상을 갖는 화상데이타 블럭에 계속되는 화상데이타블럭의 위상이 보정되고, 위상반전이 실제로 발생된 화상데이타블럭도 보정되므로, 실질적으로 왜곡에 대한 염려가 없이 정지화상을 표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개념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전화회선을 거쳐서 송수신하는 송신수단과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들 수단은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송신수단은 또 각각의 화소신호 또는 화상블럭에 위상반전검출신호를 부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수신수단은 또 수신된 스크린화상프레임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는 수단, 수신된 위상반전 검출신호를 추출된 클럭에 따라 화소데이타로 복조하는 수단, 화소데이타의 값이 위상 반전검출신호로써 마련된 소정의 화소데이타의 값과 동일한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수단, 2개의 데이타가 서로 동일하지 않아 위상반전이 일어났을 때 클럭위상을 반전하는 수단, 위상반전검출신호에 계속되는 화송신호를 화소데이타로 복조하는 수단, 복조된 화소데이타를 화상 메모리에 기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위상반전검출신호는 소정의 위상과 진폭을 갖는 화소 신호이다.
본 발명의 제3의 개념에 의하면, 수신된 신호에서 추출되는 재생클럭에 의해 위상반전 검출신호가 복조될 때의 소정의 값과 화소데이타의 값이 서로 다를 때 재생클럭의 위상반전을 검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개념에 의하면, 송신수단은 또 화일 화상블럭의 바로 앞 또는 각 행에 대해서 행 또는 화일 화상블럭의 선두에 화소신호와 동일한 제1의 세틀링 신호와 화일화상블럭의 바로 앞 또는 행에 대해서 화일화상블럭 또는 행의 최후에 화소신호와 동일한 제1의 세틀링 신호와 화일화상블럭의 바로 앞 또는 행에 대해서 화일화상블럭 또는 행의 최후에 화소신호와 동일한 제2의 세틀링신호를 부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수신수단은 또 수신된 스크린 화상프레임 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는 수단, 화상프레임신호의 제1의 세틀링신호와 제2의 세틀링신호를 스킵핑하는 수단, 나머지 화소신호를 클럭에 따라 화소데이타로 복조하는 수단, 복조된 화소데이타를 기억하는 화상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의 개념에 의하면, 행 또는 화일화상블럭의 선두 또는 최후에서 화소신호는 중복된 관계로 전송된다. 중복된 화소신호는 이들 신호가 서로 다른 파형을 가질 때 서로 영향을 끼친다. 그 결과, 행 또는 화일화상블럭의 선두 또는 최후의 화상데이타는 이들 중복신호에 의해 영향이 미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으로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특히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정지화상 텔레비젼장치에 대한 송신 및 수신시스템에 적용하였을 때 유효하다. 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제1도~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지화상 전화장치(101)은 망제어부(105), 변조부(104), 복조부(106), 중앙처리장치(CPU)(107), 화상메모리(108), A/D 변환기(103), D/A 변환기(109), 디스플레이(110) 및 TV 카메라(102)를 포함한다.
변조부(104)는 화소어긋남 검출신호 발생회로(118), 진폭/위상시프트키 변조회로(119)(이하, APSK 변조회로라 한다) 및 삽입회로(120)을 포함한다.
복조부(106)은 클럭추출회로(111), 카운터(112), A/D 변환기(113), 검출회로(114), 판별회로(115), 차동회로(116), 리로딩회로(117) 및 화상메모리(108)을 포함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송신동작을 설명한다.
TV 카메라(102)에서 출력된 아날로그화상신호는 A/D 변환기(103)으로 출력되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탈신호는 CPU(107)과 APSK 변조회로(119)로 출력된다.
CPU(107)은 입력된 디지탈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어드레스신호를 형성해서 화소어긋남 검출신호 발생회로(118)로 출력한다.
회로(118)은 입력된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1쌍의 화소 어긋남 검출신호를 삽입회로(120)으로 출력한다. 1쌍의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2개의 서로 다른 진폭과 위상을 갖고, 다수의 사이클을 갖는 화소신호와 백색 및 흑색의 화소데이타에 대응하는 2개의 화소신호로 형성된다(제4도의 스텝 S103).
APSK 변조회로(119)는 입력된 디지탈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조하여 삽입회로(120)으로 출력한다(제4도의 스텝 S104).
삽입회로(120)은 소정의 화소신호마다 또는 화상블럭마다에 대해서 상기 화소어긋남 검출신호와 TV 전화 식별신호를 입력된 변조파에 삽입한다(제4도의 스텝 S101 및 S102). 이렇게 해서 얻어진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는 망제어부(105)로 출력된다(제4도의 스텝 S105).
망제어부(105)는 입력된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를 특정진폭레벨로 조정하고, 전화통신회선으로 그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프레임신호의 송신시스템을 도시한 제3도를 참조한다.
다음에 수신동작을 설명한다.
망제어부(105)는 전화통신회선에서 입력된 스크린화상 프레임신호의 진폭레벨을 조정하고, TV 전화식별신호와 제어정보신호를 수신하고(제5도의 스텝 S106, S107), 이들 신호를 복조부(106)내의 클럭추출회로(111)과 검출회로(114)로 출력한다.
클럭추출회로(111)은 입력된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여 카운터(112), CPU(107), A/D 변환기(113), 검출회로(114)로 출력한다.
A/D 변환기(113)은 입력된 아날로그 화상프레임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탈신호를 화상메모리(108)로 출력한다.
화상메모리(108)은 CPU(107)에 의해 처리되어 입력된 클럭으로 된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입력된 디지탈신호를 기억한다.
검출회로(114)는 입력된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를 클럭에 따라 체크하고, 소정의 위치에 삽입된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내의 흑색 화소신호에서 백색 화소신호까지의 변화점을 검출한다(제5도의 스텝 S108, 제6도의 스텝 S112).
흑색화소신호와 백색 화소신호 사이의 변화점은 일반적으로 흑색에서 백색에서 갑자기 변화하는 정지화소신호가 없으므로 용이하게 검출되어, 다른 화소신호에서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를 식별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제1의 변화점을 검출하는 검출회로(114)는 검출신호를 카운터(112)로 출력한다. 검출회로(114)는 항상 이후의 변화점을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를 카운터(112)로 출력한다.
카운터(112)는 입력된 클럭에 따라 입력된 검출신호의 간격을 계수한다. 계수된 값은 판별회로(115)로 출력된다.
판별회로(115)는 입력된 계수값이 소정의 계수값과 동일한가 아닌가를 체크한다(제6도의 스텝 S113). 이들 2개의 계수값이 동일할 때, 판별회로(115)는 화소신호의 어긋남이 없다는 것을 판정하고, 차동회로(116)에 일치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화소신호의 어긋남의 있음을 판정하고, 불일치신호를 차동회로(116)으로 송출한다.
차동회로(116)은 차동값을 CPU(107)과 리로딩회로(117)로 송출한다.
CPU(107)은 어드레스신호를 입력된 차동값에 따라 화상메모리(108)로 출력한다.
화상메모리(108)은 기억된 화소데이타를 리드하고, 입력된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리로딩회로(117)로 데이타를 송출한다.
리로딩회로(117)은 배치되는 화소에 계속되는 화소데이타를 보정하고, 그 데이타를 화상메모리(108)로 출력한다(제5도의 스텝 S109).
화상메모리(108)은 보정된 어드레스에 입력된 화소데이타를 기억한다. 여기서, 1화상분의 화상데이타가 수신된다(제5도의 스텝 S110).
화소어긋남의 검출 및 보정은 화상의 전체 영역에 대해서 반복된다. 그후 화소데이타는 화상메모리(108)에 기억된다. 화상메모리(108)에 기억된 데이타는 D/A 변환기로 보내져서 리드된다.
D/A 변환기(109)는 입력된 화소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그 위에 정지화상으로써 표시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값을 갖는 2개의 화소데이타에 대응하는 화소신호로 되는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는 정지화상의 화소신호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된다. 이들 2종류의 신호는 수신측으로 송출된다. 수신측은 화소데이타의 변화점에서 재생클럭수의 이상을 검출하고, 화소의 어긋남을 판정한다. 이들 이상은 디스플레이상의 선명한 정지화상을 재생하도록 보정된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제7도~제11도에 따라 설명한다.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지화상 TV 전화장치(201)은 망제어부(105), 변조부(204), 복조부(206), CPU(207), 화상메모리(208), A/D 및 변환기(203), D/A 변환기(209), 디스플레이(210) 및 TV 카메라(202)를 포함한다.
변조부(204)는 APSK 변조회로(219), 삽입회로(220), 위상반전검출신호 발생회로(221)을 포함한다. 복조부(206)은 클럭추출회로(211), A/D변환기(213), 검출회로(214), 판별회로(215), 화상메모리(208), 반전정보메모리(222), 제1의 보정회로(223) 및 제2의 보정 회로(224)를 포함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송신동작을 설명한다.
TV 카메라(202)에서의 아날로그 화상신호는 A/D 변환기 카메라(203)으로 출력되어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그 디지탈신호는 CPU(207)과 APSK 변조회로(219)로 출력한다.
CPU(207)은 입력된 디지탈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어드레스신호를 형성하고, 이 어드레스신호를 위상반전검출신호 발생회로(221)로 출력한다.
신호발생회로(221)은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소정의 위상과 진폭을 갖는 화소신호로 되는 위상반전 검출신호를 발생하여 그 위상반전 검출신호를 삽입회로(220)으로 보낸다.
동시에, APSK 변조회로(219)는 입력된 디지탈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조하여 진폭/위상변조신호를 삽입회로(220)으로 출력한다.
삽입회로(220)은 변조파내의 화소신호마다 또는 화상 블럭마다에 상기 위상반전 검출신호를 삽입한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는 망제어부(205)로 출력된다.
망제어부(25)는 수신된 스크린 화상프레임 신호를 소정진폭 레벨로 조정하고, 전화통신회선으로 그 신호를 출력한다. 스크린화상프레임 신호의 송신시스템을 도시한 제8도를 참조한다.
다음에 수신동작을 설명한다.
망제어부(205)는 입력된 스크린화상프레임 신호의 진폭레벨을 조정하고, 화상제어정보의 수신을 대비하여 화소 신호의 수신에 대한 동기화등의 처리동작을 실행한다.(제9도의 스텝 S201). 망제어부(205)는 진폭레벨 조정신호를 복조부(206)내의 클럭추출회로(211)과 검출회로(214)로 출력한다.
클럭추출회로(211)은 수신된 화상프레임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여 그 클럭을 CPU(207), A/D 변환기(213), 검출회로(214)로 출력한다.
A/D 변환기(213)은 수신된 화상프레임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탈신호를 화상메모리(208)로 출력한다.
화상메모리(208)은 CPU(207)에 의해 처리된 클럭으로 된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수신된 디지탈신호를 기억한다.
검출회로(214)는 입력된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에서 1화상블럭을 수신한다(제9도의 스텝 S202).
1화상블럭을 수신할 때(제9도의 스텝 S202), 검출회로(214)는 먼저, 화소블럭을 작성하는 하나의 신호(심볼)를 수신한다(제10도의 스텝 S211), 수신된 화소데이타는 CPU에서 위상보정데이타에 따라 위상보정되어(제10도의 스텝 S212), 화소메모리(208)에 기억된다(제10도의 스텝 S213). 화소 데이타내의 심볼 수가 그후 체크된다. 심볼 수가 1화상블럭에 대해서 소정값과 동일하지 않을 때, 제10도의 스텝 S211이 다시 개시된다. 한편, 수신동작은 완료된다.
또한, 검출회로(214)는 입력된 클럭에 따라서 수신된 신호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되는 위상반전검출신호를 검출한다. 검출된 신호는 판별회로(215)로 출력된다.
판별회로(215)는 입력된 신호가 위상반전 되었는가 아닌가를 체크한다(제9도의 스텝 S204), 이 위상이 소정의 위상과 동일할 때, 판별회로(215)는 위상반전이 없음을 판정하고, 반전정보 메모리(222)내에 “0”을 라이트한다. 한편, 위상이 반전되는 화소블럭의 수가 반전정보 메모리(22)로 출력된다.
반전정보메모리(222)는 입력된 화상블럭수를 기억한다(제9도의 스텝 S206). 화상블럭수는 CPU(207) 및 화상메모리(208)로 출력된다.
CPU(207)은 입력화상블럭수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신호를 화상메모리(208)로 출력한다.
화상메모리(208)은 입력된 화상블럭수와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반전위상을 갖는 화상블럭의 수와 위상반전된채로 화상블럭에 계속되는 화상블럭의 화소 데이타를 리드한다. 화상메모리(208)은 위상반전된 채로 화상블럭에 계속되는 화상블럭의 화소데이타를 제1의 보정회로(223)으로 출력하고, 위상반전인 채로 화상블럭의 화소데이타를 제2의 보정회로(224)로 보낸다.
제1의 보정회로(223)은 입력된 화소데이타의 위상을 반전하고(제9도의 스텝 S207),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는 화상메모리(208)에 위상반전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의 동작은 화상에 대해서 반복되고, 그후 완료된다(제9도의 스텝 S208). 이후에, 제2의 보정회로(224)는 그의 처리를 개시한다(제9도의 스텝 S209).
제2의 보정회로(224)는 반전정보 메모리(22)에서의 입력된 화소데이타에서 위상이 반전된 채로 화상 블럭의 수를 수신한다. 제2의 보정회로(224)는 블럭수에 의해 식별된 블럭이 반전된 위상을 갖고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제11도의 스텝 S216). 위상반전이 검출되었을때, 보정회로(224)는 반전된 위상을 갖는 화상블럭에 가장 인접한 화상블럭의 화소 데이타에 따라 위상반전된 화상블럭의 화소데이타를 리라이트한다. 리라이트된 화소 데이타는 화상메모리(208)로 복귀한다.
제1 및 제2의 보정회로(223) 및 (224)는 전체 블럭에 대해서 반전된 위상을 갖는 화상블럭의 화소데이타와 위상이 반전된 채로 화상블럭에 계속되는 화상블럭의 화소데이타의 보정을 반복한다. 보정된 화소데이타는 모든 블럭이 보정될 때까지 화상메모리(208)에 기억된다(제11도의 스텝 S218).
그후, 화상메모리(208)은 1화상분의 화소 데이타를 D/A 변환기(209)로 보낸다.
D/A 변환기(209)는 수신된 화소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신호를 디스플레이(210)으로 출력한다(제9도의 스텝 S210). 디스플레이(210)은 정지화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반전 검출신호는 반전된 위상을 갖는 화상블럭에 계속되는 화상 블럭내의 화소 데이타를 보정(제1의 보정)하고, 반전된 위상을 갖는 화상블럭의 화소데이타를 보정(제2의 보정)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전화통신 회선내의 이상에 의해 화소 데이타내에 위상반전이 일어나더라도 정지화상 TV 전화장치는 양호하고 선명한 화상을 재생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제12도, 제13도, 제14도, 제15도, 제1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지화상 전화장치(201)은 망제어부(305), 변조부(304), 복조부(306), CPU(307), 화상메모리(308), A/D 변환기(303), D/A변환기(309), 디스플레이(310) 및 TV 카메라(302)를 포함한다.
변조부(304)는 APSK 변조회로(319), 삽입회로(320) 및 위상반전검출신호 발생회로(321)을 포함한다.
복조부(306)은 클럭추출회로(311), A/D 변환기(31), 검출회로(314), 판별회로(315), 반전회로(325) 및 A/D 변환기(326)을 포함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송신동작을 설명한다.
TV 카메라(302)에서의 아날로그 화상신호는 A/D 변환기(303)으로 출력되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A/D 변환기(303)은 디지탈신호를 CPU(307)과 APSK 변조회로(319)로 출력한다.
CPU(307)은 수신된 디지탈 화상신호를 초리하여 어드레스신호를 형성해서 위상반전검출신호 발생회로(321)로 출력한다.
위상반전검출신호 발생회로(321)은 수신된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의 위상과 진폭을 갖는 위상반전 검출신호를 발생하여 이 발생된 신호를 삽입회로(320)으로 출력한다(제15도의 스텝 S303).
APSK 변조회로(319)는 수신된 디지탈신호로의 진폭과 위상을 변조하여 그 변조된 신호를 삽입회로(320)으로 출력한다(제15도에 ; 스텝 S304).
삽입회로(320)은 변조파의 특정의 화소신호마다 또는 화상블럭마다에 상기 위상반전 검출신호를 삽입한다. 이 처리는 1화상분의 화소신호가 송신될 때까지 계속된다(제15도의 스텝 S305). 이렇게 해서 얻어진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는 망제어부(305)로 출력된다. TV 전화식별신호와 제어정보신호는 화상프레임신호의 선두에 부가된다(제15도의 스텝 S301 및 S302).
망제어부(305)는 스크린 화상프레임 신호를 소정 진폭 레벨로 조정하고, 이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를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치내의 전화통신회선으로 출력한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망제어부(305)는 전화통신회선에서의 스크린화상 프레임 신호의 진폭 레벨을 조정하고, TV전화식별신호와 제어정보신호를 수신하고(제16도의 스텝 S306, S307), 이들 신호를 복조부(306)내의 클럭추출회로(311)과 검출회로(314), A/D변환기(326)으로 출력한다.
클럭추출회로(311)은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여 CPU(307), 검출회로(314), 반전회로(325)로 출력한다.
입력된 클럭에 따르면, 검출회로(314)는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되는 위상반전검출신호를 검출한다.
A/D 변환기(313)은 검출된 아날로그신호를 화소데이타용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탈신호를 판별회로(315)로 출력한다.
판별회로(315)는 수신된 화소데이타가 위상반전의 검출용으로 마련된 소정의 화소에 데이타의 값과 동일한가 아닌가를 체크한다(제16도의 스텝 S309). 이들이 동일하지 않을 때, 판별회로(315)는 반전신호를 반전회로(325)로 보낸다.
반전회로(325)는 반전신호에 따라 수신된 클럭을 반전하고(제16도의 스텝 S310), 반전된 클럭을 A/D변환기(326)으로 출력한다.
A/D변환기(326)은 수신된 화상프레임신호를 수신된 클럭신호에 따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탈 화소신호를 화상메모리(308)로 출력한다(제16도의 스텝 S311).
화상메모리(308)은 CPU(307)에서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특정 어드레스의 수신된 화소데이타를 기억한다. 1화상분의 화소데이타를 기억한 후, 화상메모리(308)은 기억되는 데이타를 리드하고, 그것을 D/A 변환기(309)로 출력한다.
D/A 변환기(309)는 입력된 화소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신호를 정지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10)으로 출력한다(제16도의 스텝 S312).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프레임신호는 소정의 값을 갖는 화소데이타에 대응하는 화소신호로 되는 위상반전 검출신호와 함께 전송되어 화상프레임신호의 특정 위치에 삽입된다. 수신측에서는 위상반전검출신호를 복조하고, 위상반전검출신호의 복조된 값에 따라 재생클럭의 위상반전을 검출하므로, 재생화상의 흑색 및 백색의 반전을 방지하도록 신호를 보정할 수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위상반전검출신호가 검출되고, 클럭이 반전위상을 가질 때, 클럭의 위상이 반전된다. 따라서, 위상을 반전시키는 일없이 데이타의 기억도중 또는 소프트웨어 처리수단에 의해 화상을 표시할 때에 백색과 흑색을 고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점을 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는 제17도~제19도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지화상 전화장치(401)은 망제어부(405), 변조부(404), 복조부(406), CPU(407), 메모리(408), A/D변환기(403), D/A변환기(409), 디스플레이(410) 및 세틀링신호 삽입수단(415)를 포함한다.
복조부(406)은 클럭추출회로(411), 카운터(412), A/D 변환기(413) 및 스킵핑회로(41)로 포함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송신동작을 설명한다.
TV 카메라(402)에서의 아날로그 화상신호는 A/D 변환기(403)으로 출력된다. A/D변환기(403)은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탈신호를 CPU(407)과 세틀링신호 삽입수단(415)로 출력한다.
CPU(407)은 디지탈 화상신호를 어드레스신호로 처리하여 이 어드레스신호를 세틀링 신호 삽입수단(415)로 출력한다. 수신된 어드레스신호에 따르면, 세틀링 신호 삽입수단(415)는 1행의 화상블럭 또는 프레임 화상블럭 바로 전에 행의 화상블럭 또는 프레임 화상블럭의 선두의 화소신호와 같은 제1의 세틀링신호 S1과 행의 화상블럭 또는 프레임화상블럭의 최후의 화소신호와 같은 제2의 세틀링 신호 S2를 부가한다. 제18도는 화상블럭에 부가된 세틀링신호와 데이타의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세틀링 신호와 협력해서 1화상분의 화상데이타는 변조부(404)로 출력된다.
변조부(404)는 수신된 화상프레임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변조하고, 변조된 화상프레임신호를 망제어부(405)로 출력한다.
다음에 수신동작을 설명한다.
망제어부(405)는 전화통신회선에서의 화상프레임신호의 진폭 레벨을 조정하고, 이 신호를 클럭추출회로(411)과 스킵핑회로(414)로 출력한다.
클럭추출회로(411)은 수신된 화상프레임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고, 클럭을 카운터(412), CPU(407), A/D 변환기(413)으로 출력한다.
카운터(412)는 클럭을 계수하고, 1행 또는 1프레임에 대응하는 계수펄스를 스킵핑회로(414)로 출력한다.
스킵핑회로(414)는 계수펄스에 따라 화상프레임내의 제1 및 제2의 세틀링 신호를 스킵하고, 화소신호만을 추출한다. 추출된 화상프레임신호는 A/D변환기(413)으로 출력된다.
A/D 변환기(413)은 수신된 화소신호를 수신된 클럭신호에 따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고, 이 디지탈화소신호를 화상메모리(408)로 출력한다.
화상메모리(408)은 CPU(407)에서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수신된 화소데이타를 기억한다. 1화상분 화소데이타를 기억하는 것에 의해, 화상메모리(408)은 기억된 데이타를 리드하고, 그것을 D/A변환기(409)로 출력한다.
D/A변환기(409)는 수신된 화소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신호는 디스플레이(410)으로 출력되어 그 위에 정지화상이 표시된다.
세틀링신호 삽입수단(415)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행째의 최후의 화소데이타는 세틀링펄스 S2와 동일하고, 제2행째의 선두의 화소데이타는 세틀링펄스 S1과 동일하다. 만약 제1행째의 최후의 화소데이타와 제2행째의 선두의 화소데이타가 서로에 대해서 보정되지 않으면, 즉 그들이 매우 다른 휘도를 갖는 색을 나타내면, 1행째의 세틀링신호 S2는 제1행째의 최후의 화소데이타 대신에 왜곡된다. 제2행째의 세틀링신호 S1은 제2행째의 선두의 화소 데이타 대신에 왜곡된다. 따라서, 각 행의 선두의 화소데이타와 최후의 화소데이타는 왜곡에 대해서 보호된다.
제18도의 송신시스템에 의해 2개의 세틀링신호는 각각 각행의 화상블럭 사이에 삽입된다. 또 세틀링신호는 동일한 효과를 위해 삽입되어도 좋다.
또한, 세틀링신호 S1 또는 S2중의 어느 하나의 삽입은 각 행의 선두 또는 최후에서 화소데이타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소데이타가 순차적으로 각 행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화상데이타를 각행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거나 제1 및 제2의 행에 대해서 신호를 종합적으로 화상블럭으로써 전송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컬러화상에 대해서 R-Y 및 B-Y 등의 색차신호를 포함하는 화소데이타를 휘도데이타만이 사용된 흑백화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전송할 수가 있다.

Claims (12)

  1.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전화회선을 거쳐서 송수신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에 있어서, (a) TV 카메라(102)에서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103), 상기 디지탈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변조하고, 다수의 화소신호로 되는 다수의 화상블럭군을 갖는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를 작성해서 이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각 화소신호 또는 각 화상블럭에 화상보정신호를 부가하는 수단(120)으로 되는 송신수단과, (b) 상기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를 수신하는 수단(105), 상기 화상프레임신호를 복조하는 수단, 상기 프레임신호를 D/A 변환하는 수단(109), 정지화상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수단(10), 상기 수신된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는 수단(111), 상기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의 화소신호를 화소데이타로 복조하는 수단, 클럭을 계수하고, 계수된 값을 어드레스로써 사용하여 화소데이타를 기억하는 화상메모리(108), 상기 화상메모리내의 화소데이타를 상기 추출된 화상보정신호의 상태에 따라 보정하는 보정수단으로 되는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2.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보정신호는 2개의 서로 다른 소정의 위상과 진폭을 갖는 1쌍의 화소 어긋남 검출신호인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3.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는 다수의 사이클을 갖는 화소신호인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4.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화소어긋남 검출신호는 각각 흑색 및 백색의 화소데이타에 대응하는 2개의 서로 다른 화소신호인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5.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수단은 (a) 상기 수신된 화소어긋남 검출신호의 1쌍의 화소신호의 소정의 변화점과 계속되는 화소어긋남 검출신호의 1쌍의 화소신호의 다른 하나의 변화점 사이의 클럭수를 계수하는 카운터수단(112), (b) 상기 계수된 클럭의 수가 2개의 변화점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의 클럭수와 동일한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수단(115), (c) 상기 2개의 클럭의 수가 서로 동일하지 않을 때, 화소 어긋남이 그 곳에 존재한다고 판별하고, 상기 계수된 클럭의 수와 상기 2개의 변화점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의 클럭의 수 사이의 차를 산출하는 차동수단(116)과 (d) 화소어긋남이 발생된 화상메모리에 계속되는 화상메모리에 기억된 화소데이타의 차동어드레스를 보정하여 리로딩하는 리로딩수단(117)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6.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전화회선을 거쳐서 송수신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에 있어서, (a) TV 카메라(202)에서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203), 상기 디지탈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변조하고, 다수의 화소신호로 되는 다수의 화상블럭군을 갖는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를 작성해서 이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각 화소신호 또는 각 화상 블럭에 위상반전검출신호를 부가하는 수단(220)으로 되는 송신수단과, (b) 상기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를 수신하는 수단(205), 상기 화상프레임신호를 복조하는 수단, 상기 프레임신호를 D/A 변환하는 수단(209), 정지화상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수단(210), 상기 수신된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는 수단(211), 상기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의 화소신호를 화소데이타로 복조하는 수단, 상기 화소데이타를 기억하는 화상메모리(208), 상기 수신된 위상반전검출신호에 따라 위상반전의 유무를 판정하고, 위상반전이 일어난 화소수를 기억하는 반전정보메모리(222), 상기 화상메모리내의 화소데이타를 상기 반전 정보 메모리내의 위상반전정보에 따라 보정하는 보정수단으로 되는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7. 특허 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반전검출신호는 소정의 위상과 진폭을 갖는 화소신호인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8. 특허 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수단은 위상반전이 발생된 상기 화상블럭에 계속되는 화상블럭의 위상을 반전하고, 상기 화상메모리내의 화상블럭을 리로딩하는 제1의 보정수단(223)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9. 특허 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수단은 상기 화상메모리에서 위상반전된 화상블럭의 데이타를 상기 반전정보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화상블럭수에 따라 정상적인 화상블럭의 전후에 가장 인접한 화상블럭의 데이타로 치환하는 제2의 보정수단(224)를 포함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10.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전화 회선을 거쳐서 송수신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에 있어서, (a) TV 카메라(302)에서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303), 상기 디지탈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변조하고, 다수의 화소신호로 되는 다수의 화상블럭군을 갖는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를 작성해서 이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각 화소신호 또는 각 화상블럭에 위상반전검출신호를 부가하는 수단(320)으로 되는 송신수단과, (b) 상기 스크린 화상플레이신호를 수신하는 수단(305), 상기 화상프레임신호를 복조하는 수단, 상기 스크린화상프레임신호를 D/A 변환하는 수단(309), 정지화상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수단(310), 상기 수신된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에서 클럭을 추출하는 수단(311), 상기 위상반전검출신호를 상기 수신된 클럭에 따라 화소데이타로 복조하는 수단, 화소데이타의 값이 위상반전검출신호의 소정의 화소데이타의 값이 위상반전검출신호의 소정의 화소데이타의 값과 동일한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315), 상기 2개의 데이타 값이 동일하지 않아 위상반전이 발생했을 때, 클럭위상을 반전하는 반전수단(325), 상기 위상반전검출신호에 계속되는 화소신호를 화소데이타로 복조하는 복조수단, 상기 복조된 화소데이타를 기억하는 화상메모리(308)로 되는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11. 특허 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반전검출신호는 소정의 위상과 진폭을 갖는 화소신호인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12.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전화 회선을 거쳐서 송수신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에 있어서, (a) TV 카메라(402)에서의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403), 상기 디지탈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변조하고, 1개 이상의 행 또는 화일에 대해서 1개 이상의 화소신호로 되는 화상프레임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각 행에 대해서 행 또는 화일화상블럭의 선두 또는 행화일 화상블럭 바로 전에 화소신호와 동일한 제1의 세틀링신호를 부가하는 수단(415)로 되는 송신수단과, (b) 상기 스크린 화상프레임신호를 복조하는 수단, 상기 스크린화상 프레임신호를 D/A변환하는 수단(409), 정지화상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수단(410), 상기 스크린화상플레이신호의 제1의 세틀링신호 및 제2의 세틀링신호를 스킵핑하는 수단(414), 상기 나머지 화소신호를 상기 클럭에 따라 화소데이타로 복조하는 수단, 상기 복조된 화소데이타를 기억하는 화상메모리(408)로 되는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KR1019900011481A 1989-10-23 1990-07-27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KR930004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5181A JPH078036B2 (ja) 1989-10-23 1989-10-23 静止画テレビ電話装置
JP89-275181 1989-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786A KR920003786A (ko) 1992-02-29
KR930004827B1 true KR930004827B1 (ko) 1993-06-08

Family

ID=175518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481A KR930004827B1 (ko) 1989-10-23 1990-07-27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KR1019900012221A KR930005607B1 (ko) 1989-10-23 1990-08-09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221A KR930005607B1 (ko) 1989-10-23 1990-08-09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42061A (ko)
EP (2) EP0424619B1 (ko)
JP (1) JPH078036B2 (ko)
KR (2) KR930004827B1 (ko)
DE (2) DE6903224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6365A (en) * 1995-03-28 1997-02-25 Eastman Kodak Company Interactive camera for network processing of captured images
USH1714H (en) * 1995-05-03 1998-03-03 Lucent Technologies Inc. Automatic still image transmission upon call connection
US5746656A (en) * 1996-04-23 1998-05-05 Bezick; William Video game competition method and apparatus
FI103628B1 (fi) 1997-09-02 1999-07-30 Nokia Mobile Phones Ltd Videodatan lähettäminen
AU2223999A (en) * 1998-01-12 1999-07-26 David Monroe Apparatus for capturing, converting and transmitting a visual image signal via a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6167469A (en) * 1998-05-18 2000-12-26 Agilent Technologies, Inc. Digital camera having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graphical representation of user inpu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the selected digital images thereof
GB2343586A (en) * 1998-11-06 2000-05-10 Nec Technologies Image display for mobile phones
US6792148B1 (en) 1999-10-18 2004-09-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mera accessory with compression
KR100476855B1 (ko) * 2000-09-22 2005-03-1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화상처리방법
US7643168B2 (en) 2003-01-03 2010-01-05 Monroe David A Apparatus for capturing, converting and transmitting a visual image signal via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EP1571813A1 (en) * 2004-03-02 2005-09-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 image to the called party identifying calling party
US7535598B2 (en) 2004-06-16 2009-05-19 Ricoh Company, Ltd.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8387A (en) * 1979-10-17 1981-03-24 Lemelson Jerome H Video telephone
US4485400A (en) * 1981-01-13 1984-11-27 Lemelson Jerome H Video telephone
JPS59117838A (ja) * 1982-12-24 1984-07-07 Sony Corp マ−カ−信号検出回路
US4985911A (en) * 1985-11-07 1991-01-15 Mitsubishi Electronics America, Inc. Conversational video phone
JPS644185A (en) * 1987-06-26 1989-01-09 Sony Corp Transmitter for still picture
EP0314122A3 (en) * 1987-10-30 1992-04-22 Luma Telecom, Inc. Still picture picturephone communication system
US4979028A (en) * 1988-05-30 1990-12-18 Sony Corporation Video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097A (ko) 1991-05-31
EP0424619A3 (en) 1992-09-09
EP0766450A2 (en) 1997-04-02
US5042061A (en) 1991-08-20
DE69032240D1 (de) 1998-05-20
DE69032240T2 (de) 1998-10-29
EP0766450A3 (en) 1997-07-23
DE69033877D1 (de) 2002-01-24
DE69033877T2 (de) 2002-06-06
EP0766450B1 (en) 2001-12-12
KR930005607B1 (ko) 1993-06-23
EP0424619B1 (en) 1998-04-15
KR920003786A (ko) 1992-02-29
JPH078036B2 (ja) 1995-01-30
EP0424619A2 (en) 1991-05-02
JPH03136488A (ja) 199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028A (en) Video telephone
KR930004827B1 (ko) 정지화상 텔레비젼 전화장치
KR890007585A (ko) 정지화상 텔레비젼전화 통신방법
US5121261A (en)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H11275602A (ja) 伝送方法、出力装置、受信装置及び記録媒体
EP0402918B1 (en) Static image video telephon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JPH088679B2 (ja) 静止画テレビ電話装置
JP2002010206A (ja) 映像信号出力装置及び映像信号出力方法
KR920008655B1 (ko) 텔레비젼 전화기에 있어서 프레임동기 인식방법
JP2944173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JPH02250584A (ja) 静止画の伝送装置
JPH09916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270175A (ja) ラスタ走査信号及び映像サンプリング装置
JPH08237617A (ja) Edtv2信号処理装置
JPH0744499B2 (ja) 画像情報伝送システム
JPH03231588A (ja) 静止画テレビ電話用画像情報送出レベル制御方式
JPH071907B2 (ja) データ通信装置
JPH0255482A (ja) 静止画伝送装置
JPH03177180A (ja) 静止画テレビ電話機の画像表示方法
JPH0284896A (ja) 静止画テレビ電話伝送方式
JPH0279635A (ja) データ伝送方式
JPH0234093A (ja) 静止画の伝送装置
JPH0714330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246080A (ja) 静止画テレビ電話伝送方式
JPH01882A (ja) テレビ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