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887B1 -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887B1
KR930003887B1 KR1019910003784A KR910003784A KR930003887B1 KR 930003887 B1 KR930003887 B1 KR 930003887B1 KR 1019910003784 A KR1019910003784 A KR 1019910003784A KR 910003784 A KR910003784 A KR 910003784A KR 930003887 B1 KR930003887 B1 KR 93000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plate
insertion mechanism
helmet
rotational movement
attach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583A (ko
Inventor
에이 다로오 가마다
Original Assignee
쇼오에이 가꼬오 가부시기가이샤
가마다 에이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오에이 가꼬오 가부시기가이샤, 가마다 에이다로오 filed Critical 쇼오에이 가꼬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도는 보호판을 완전폐쇄상태로 한 헬멧의 측면도.
제 2 도는 보호판을 벗긴 상태에서의 헬멧의 주요부분 확대 측면도.
제 3 도는 보호판의 완전개방상태에서 헬멧의 주요부분 확대 측면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제 3 도의 IV-IV선 및 V-V선 단면도.
제5(a)도는 제 1 삽입기구가 임시고정상태에 있고 또한 제 2 삽입기구가 비연결상태에 있을 때의 제 5 도에 대응한 단면도.
제 6 도는 보호판 부착구조의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제 2 삽입기구가 분리할 수 있는 보호판의 중간개구의 크기상태에서의 헬멧의 주요부분 확대 측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VIII-VII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모자본체 4 : 보호판
7 : 부착기판 10 : 지지통
16 : 임시고정부재 B1: 제 1 삽입기구
B2: 제 2 삽입기구 C : 클릭스톱기구(click stop 機構)
본 발명은 모자본체의 바깥쪽면에 굳게 부착하는 부착기판으로 보호판(shield plane)을, 이 보호판이 모자본체의 창을 완전개방으로 하는 전개위치와 완전폐쇄로 하는 전폐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부착하기 위한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보호판 부착구조에서는 보호판이 부착기판으로 부터의 이탈방지에 작은 나사나 덮개가 사용되었다(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소63-15314호 공보 참조).
그런데, 일반적으로 헬멧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희망이나 사용상태에 따라서 보호판을 투명형, 해가림형 등과 교환하는 일이 있었고,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교환할 때마다 작은 나사가 덮개의 이탈 부착을 하지 않으면 아니되었기 때문에 그 작업이 귀찮았을 뿐아니라 작은 나사를 분실한다거나 덮개를 떨어뜨려서 상처를 낸다거나 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작은 나사 등의 나사류나 덮개에 의존하지 않고 보호판의 부착기판에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더욱이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보호판의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착기판 및 보호판의 한쪽과 다른쪽에 서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맞끼울 수 있는 지지통과 선회축을 각기 형성하고, 또 부착기판 및 보호판 사이에 그 양자를 그것들의 상대회전운동에 따라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 1 삽입기구와, 이 제 1 삽입기구로 부터 반지름 방향 바깥쪽 위치에서 마찬가지로 그 양자를 그것들의 상대회전운동에 따라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 2 삽입기구 등을 설치하여 이것들 제1 및 제 2 삽입기구의 분리위치를 보호판의 서로 다른 제1 및 제 2 회전운동위치에 각기 설정하고, 보호판에는 그 제 2 회전운동위치에서 제 1 삽입기구의 분리를 위한 일정한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 7 부여하여서 이루어지는 부착구조를 제안하였다.
상기한 구성에서 보호판을 부착함에 있어서는 우선 보호판을 제 1 회전운동위치에서 부착기판쪽으로 가압함에 따라 지지통 및 선회축을 서로 맞끼워서 제 1 삽입기구를 연결할 수 있는 상태로 둔다. 이때, 제 2 삽입기구는 연결 불능이기 때문에 가압력에 따라 보호판에는 필연적으로 탄성변형이 부여된다. 이어서, 보호판을 제 2 회전운동위치에 회동하면 제 1 삽입기구가 연결상태로 됨과 동시에 보호판의 변형 복원력에 따라 제 2 삽입기구가 자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간단한 조작으로 제1 및 제 2 삽입기구를 순차 연결상태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이것들 삽입기구의 한쪽이 분리할 수 있는 상태에 있어도 다른쪽이 연결상태에 있고, 그 한쪽의 분리를 억제한다고 하는 분리위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양 삽입기구의 협동작용을 얻어 보호판을 그 통상의 사용상태에서 부착기판에 확실히 보존할 수 있다. 더욱이, 그 보존함에 나사류나 덮개를 사용하면서 구조의 간소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한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잇따라서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먼저, 제 1 도에서 전면(full face)형 헬멧(1)의 모자본체(2)의 좌우 양측벽에는 그 앞벽에 개구하는 창(3)을 개폐하기 위하여 보호판(4)의 좌우 양단부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부착구조(5)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보호판(4)은 양단부를 포함하는 전체가 투명 그렇지 않으면 투광성의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성형되어 있다.
제 2 도~제 8 도에 따라 부착구조(5)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자본체(2)의 좌우 바깥쪽면에서는 얕은 오목부(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6) 저면에 합성수지제의 부착기판(7)을 상하 2곳을 작은 나사(8),(9)로 굳게 부착하였다.
제 2 도~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부착기판(7)의 표면에 지지통(10)이 상부의 작은 나사(8)를 둘러싸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통(10)의 내벽 상부에는 폭이 넓은 제 1 요홈(凹溝)(11)이, 또 동 내벽 하부에는 폭이 좁은 제 2 요홈(12)이 각기 설치되었고, 제 1 요홈(11)의 중앙부의 가장자리에는 차양형의 소돌기(13)(제 4 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서, 지지통(10)의 내벽에는 제 1 요홈(11)의 전단으로 부터 하방으로 뻗은 연결홈(17)과, 제 2 요홈(12)의 후단으로 부터 상방으로 뻗은 제 2 연결홈(18)이 설치되어 있다.
또, 부착기판(7)의 표면에는 제 2 요홈(12)을 사이에 두고 지지통(10)으로 부터 하방으로 굳게 뻗은 한쌍의 안내벽(14),(14')이 돌출 설치되었고, 이것들 안내벽(14),(14')의 중간부는 연결벽(15)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양 안내벽(14),(14') 사이에는 이것들에 의하여 상하 미끄럼을 안내하는 임시고정부재(16)가 배설되어 있다. 이 임시고정부재(16)는 제 2 요홈(12)에 면함과 동시에 지지통(10)의 저부측으로 굽어진 멈춤쇠(16a)를 상단에 구비하였고, 또 부착기판(7)의 바깥쪽으로 돋아오른 손잡이(16b)를 하단에 구비하고 있다. 멈춤쇠(16a)는 선단 상단부가 빗면(19)(제 4 도 참조)에 형성되어 있다.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한 임시고정부재(16)에는 연결벽(15)의 돌기(21)가 삽입되어 상하로 긴 긴구멍(22)이 천설되어 있고, 이 긴구멍(22)의 하단벽에 돌기(21)가 맞닿음에 따라 멈춤쇠(16a)의 위가장자리를 지지통(10)의 내벽에 일치시키는 임시고정부재(16)의 작동위치가 규제되고, 또 멈춤쇠(16a)가 연결벽(15)에 맞닿음에 따라 멈춤쇠(16a)를 지지통(10)으로 부터 퇴거시키는 임시고정부재(16)의 해제위치가 규제된다. 이 임시고정부재(16)를 작동위치로 향하여 가압하는 코일스프링(23)이 설치되어 있다.
다시 제 2 도~제 6 도에 있어서, 부착기판(7)에는 또한 지지통(10)과 동심이고, 이것보다 큰 지름의 내외 한쌍의 원호상 돌출벽(24),(29)이 안내벽(14)의 앞쪽에 형성되었고, 양 돌출벽(24),(29) 사이에 연결홈(26)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홈(26)은 그 저부가 안쪽 돌출부(24) 쪽으로 굴곡한 횡단면이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굴곡 저부의 일부를 개방하도록 안쪽 돌출부(24)에는 요홈(27)(제 8 도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홈(26)의 상단은 양 돌출벽(24),(29) 및 지지통(10)의 3자를 연결하는 일련의 리브(rib)(25)로 폐쇄되었고, 또 그 하단은 안내벽(14)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부착기판(7)에는 다시금 또 돌출벽(29)의 반지름 방향 바깥쪽에서 안내벽(14)으로 부터 전방으로 뻗어나온 탄성아암(arm)(30)이 설치되었고, 이 탄성아암(30)은 그 자유단부 외측면에 1장 또는 여러장의 클릭(click)톱니(31)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보호판(4)의 좌우 각 단부 내면에는 지지통(10)에 헐겁게 끼울 수 있는 선회축(35)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선회축(35)의 바깥둘레에는 제1 및 제 2 요홈(11), (12)을 통하여 제1, 제 2 연결홈(17),(18)에 맞물릴 수 있는 고리형의 제1, 제 2 걸이멈춤쇠(36),(37)가 형성되었고, 이것들 걸이멈춤쇠(36),(37)의 외주단부는 빗면(36a),(38a)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선회축(35)의 제1, 제 2 걸이멈춤쇠(36),(37) 및 지지통(10)의 제1 및 제 2 요홈(11), (12) 및 제1, 제 2 연결홈(17),(18)은 부착기판(7) 및 보호판(4)을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 1 삽입기구(B1)를 구성하였다.
나아가서, 보호판(4)의 각 단부에는 연결홈(26)에 요홈(27)을 통하여 맞물릴 수 있는 걸이멈춤쇠(38)와 탄성아암(30)의 클릭톱니(31)와 협동 작용하는 다수의 클릭톱니(39),(39)...를 지닌 원호형 돌출벽(41)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이멈춤쇠(38)의 선단부 한쪽면에는 빗면(38a)이 설치되어 있고, 이 걸이멈춤쇠(38)가 연결홈(26)과 연결관계에 있지 않을 때에도 이 걸이멈춤쇠(38)의 선단부가 연결홈(26)에 약간 돌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제5(a)도 참조).
그래서, 부착기판(7)의 요홈(27) 부착의 연결홈(26) 및 보호판(4)의 걸이멈춤쇠(38)는 부착기판(7) 및 보호판(4)을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 2 삽입기구(B2)를 구성하였고, 또 클릭톱니(31) 부착의 탄성아암(30) 및 다수의 클릭톱니(39),(39)...는 보호판(4)에 그 전폐위치-전개위치의 회전운동 범위내에서 다단의 정지위치를 부여하는 클릭스톱기구(C)를 구성한다.
이상에 있어서, 보호판(4)의 전개위치는 걸이멈춤쇠(38)가 연결홈(26)의 상단벽, 즉 리브(25)에 맞부딪힘에 따라 규제되어, 이 전개위치에서 제 1 삽입기구(B1)는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 2 요홈(11), (12)에 제1, 제 2 걸이멈춤쇠(36),(37)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2 삽입기구(B2)는 보호판(4)의 전개위치와는 다른 중간개구의 크기위치, 특히 클릭스톱기구(C)에 의하여 규제되는 서로 이웃하는 소정의 2개의 정지위치의 중간위치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요홈(27)에 걸이멈춤쇠(38)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제 7 도 및 제 8 도 참조).
그런데, 걸이멈춤쇠(38)의 요홈(27)으로 부터의 이탈은 보호판(4)을 바깥쪽으로 둘러쌈에 따라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보호판(4)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둘러쌓여도 견딜 수 있는 탄성이 부여되고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호판(4)을 모자본체(2)에 장착하려면, 먼저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판(4)의 전개위치에서 선회축(35) 및 지지통(10)의 중심을 서로 합치시키면 제 1 삽입기구(B1)의 제1, 제 2 걸이멈춤쇠(36),(37)가 지지통(10)의 제1 및 제 2 요홈(11), (12)에의 진입할 수 있는 위치에 온다. 그리하여, 선회축(35)을 지지통(10)에 끼워 넣도록 보호판(4)의 단부의 측면을 부착기판(7)으로 향하여 세게 가압하면 제 1 걸이멈춤쇠(36)는 제 1 요홈(11)에 진입함과 동시에 빗면(36a)을 미끄러지게 하면서 소돌기(13)에 맞물리고, 또 제 2 걸이멈춤쇠(37)는 제 2 요홈(12)에 진입하면서 빗면(37a)에서 임시고정부재(16)의 빗면(19)을 가압함에 따라 임시고정부재(16)를 스프링(23)의 가하여진 힘에 저항하여 일단 비작동위치에 후퇴시켜 제 2 걸이멈춤쇠(37)가 제 2 요홈(12)에 완전히 끼워 넣으면 임시고정부재(16)는 스프링(23)의 가하여지는 힘에 따라 작동위치에 복귀하여 멈춤쇠(16a)를 제 2 걸이멈춤쇠(37)에 맞물리게 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삽입기구(B1)는 임시고정상태로 된다.
이때, 제 2 삽입기구(B2)에서는 걸이멈춤쇠(38)와 요홈(27)의 불일치에 따라 연결할 수 없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 5(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판(4)은 가압력에 따라 필연적으로 둘러싸게 된다.
이어서, 보호판(4)을 선회축(35) 둘레에 하방으로 회전운동하면 제1, 제 2 걸이멈춤쇠(36),(37)가 지지통(10)의 제1, 제 2 연결홈(17),(18)에 각기 맞물리어서 제 1 삽입기구(B1)는 연결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 2 삽입기구(B2)의 요홈(27)과 걸이멈춤쇠(38)가 일치하는 곳까지 보호판(4)이 회전운동하면 보호판(4)의 가요성 복원력에 따라 걸이멈춤쇠(38)가 요홈(27)에 자동적으로 맞물리고, 이와 동시에 클릭스톱기구(C)가 작동상태로 들어간다.
따라서, 그 다음에는 보호판(4)이 전폐위치-전개위치의 범위내에서 회전운동하는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연결상태의 제 1 삽입기구(B1)와 보호판(4)의 탄성 등에 따라 걸이멈춤쇠(38)는 연결홈(26)의 맞물리는 위치에 지지되어 요홈(27)으로 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다.
특히, 걸이멈춤쇠(38)가 안내벽(26)의 상단벽(25)에 맞부딪힘에 따라 규제되는 보호판(4)의 전개위치에서는 걸이멈춤쇠(38)와 요홈(27)이 엇갈려 있으므로 보호판(4)을 급격하게 완전개방시켰을 때의 충격력이나 보호판(4)의 완전개방상태에서의 자동 2륜차의 고속운전중에 받는 주행풍에 의한 강한 선동력에 따라 보호판(4)이 바깥쪽으로 휘어도 걸이멈춤쇠(38)가 연결홈(26)으로 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고, 즉 제 2 삽입기구(B2)의 연결상태가 확보된다. 이와같은 보호판(4)의 완전개방상태에서는 제 1 삽입기구(B1)는 분리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나, 그 분리는 상기와 같은 연결상태의 제 2 삽입기구(B2)에 의하여 억제된다.
또, 클릭스톱기구(C)에 의하여 규제되는 보호판(4)의 다단의 정지위치에 있어서도 걸이멈춤쇠(38)와 요홈(27)은 엇갈려 있으므로 제 2 삽입기구(B2)가 분리하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하여 보호판(4)의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제1, 제 2 삽입기구(B1),(B2)의 협동작용에 따라 보호판(4)은 부착기판(7)에 확실히 지지되어 있다.
보호판(4)을 모자본체(2)로 부터 떼어내는 경우네는 상기한 바와 반대의 요령으로 한다. 즉, 먼저 걸이멈춤쇠(38)와 요홈(27)이 일치하는 보호판(4)의 소정의 회전운동위치에서 보호판(4)을 바깥쪽으로 휘어서 걸이멈춤쇠(38)를 요홈(27)을 통하여 연결홈(26)으로 부터 이탈시키고, 이어서 보호판(4)을 완전개방위치에 회전운동시킨다. 이렇게 먼저 제 2 삽입기구(B2)를 분리시킨다.
이 경우, 걸이멈춤쇠(38)는 연결홈(26)으로 부터 이탈하였다고는 하지만, 그 선단부는 약간 연결홈(26)에 돌입하고 있으므로 보호판(4)이 완전개방위치에 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돌입단이 연결홈(26)의 상단벽에 맞닿아서 이에 따라 제 1 삽입기구(B1)이 분리할 수 있는 보호판(4)의 완전개방위치를 알 수 있다.
그래서, 손잡이(16b)에 손가락을 걸어서 임시고정부재(16)를 끌어내려 멈춤쇠(16a)를 제 1 걸이멈춤쇠(37)로 부터 이탈시킨다. 이 상태에서 보호판(4)의 단부를 바깥쪽으로 세게 끌어당기면 제 1 걸이멈춤쇠(36)는 소돌기(13)로 부터 강제적으로 이탈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보호판(4)의 단부는 부착기판(7)으로 부터 떼어지게 된다.
그런데, 보호판(4)은 그 중앙부는 물론 좌우 양단부까지 투명 그렇지 않으면 투광성이기 때문에 보호판(4)의 부착 이탈하는 경우, 부착구조(5) 각부의 상대위치관계를 보호판(4)을 투명하게 하여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부착 이탈작업을 용이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 보호판(4)을 부착한 상태에서 부착구조(5)의 고장의 유무를 육안으로 체크할 수 있는 편리한 이점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면형 헬멧에 한정되지 않고 그밖의 형식, 예컨데 제트형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제 1 삽입기구(B1)의 분리위치는 보호판(4)의 완전개방위치에 한정하는 것도 아니며, 요컨대 제 2 삽입기구(B2)의 분리할 수 있는 보호판(4)의 회전운동위치와 엇갈려 있어도 좋다.
나아가서,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착구조(5)의 부착기판(7)쪽 요소를 보호판(4)에, 보호판(4)쪽 요소를 부착기판(7)에 각기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Claims (4)

  1. 모자본체의 바깥쪽면에 굳게 부착되는 부착기판에 보호판을 그것이 모자본체의 창을 완전개방으로 하는 전개위치와 완전폐쇄로 하는 전폐위치 사이를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부착하기 위한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에 있어서, 부착기판 및 보호판의 한편과 다른편에 서로 회전운동할 수 잇도록 끼워맞출 수 있는 지지통과 선회축을 각기 형성하고, 또 부착기판 및 보호판 사이에 그 양자를 그것들의 상대회전운동에 따라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 1 삽입기구와, 이 제 1 삽입기구로 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바깥쪽 위치에서 마찬가지로 그 양자를 그것들의 상대회전운도에 따라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제 1 삽입기구 등을 설치하여 이것들 제1 및 제 2 삽입기구의 분리위치를 보호판의 서로 다른 제1 및 제 2 회전운동위치에 각기 설정하였으며, 보호판에는 제 2 회전운동위치에서 제 2 삽입기구의 분리를 위한 소정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을 부여하여서 되는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삽입기구의 분리위치를 보호판의 완전개방위치를 제외한 다른 회전운동위치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있어서의 삽입기구 부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착기판 및 보호판 사이에 보호판에 그 전폐-전개위치의 회전운동 범위내에서 여러단의 정지위치를 부여하는 클릭스톱기구를 설치하고, 이 클릭스톱기구에 따라 규제되는 보호판의 서로 이웃하는 소정의 2정지위치의 중간위에 제 2 삽입기구의 분리위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통 및 선회축의 서로의 끼워맞춘 상태를 유지 해제할 수 있는 임시고정부재를 또한 구비하였으며, 이 임시고정부재는 지지통 및 선회축의 끼워맞춘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에 통상 가압되어 있어 수동조작으로 끼워맞춘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에 이동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KR1019910003784A 1990-10-24 1991-03-09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KR930003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86562A JPH0647762B2 (ja) 1990-10-24 1990-10-24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90-286562 1990-10-24
JP286562 1990-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583A KR920007583A (ko) 1992-05-27
KR930003887B1 true KR930003887B1 (ko) 1993-05-15

Family

ID=1770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784A KR930003887B1 (ko) 1990-10-24 1991-03-09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62162A (ko)
EP (1) EP0482731B1 (ko)
JP (1) JPH0647762B2 (ko)
KR (1) KR930003887B1 (ko)
CA (1) CA2037753C (ko)
DE (1) DE6910400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35Y2 (ja) * 1991-03-18 1994-09-07 昭栄化工株式会社 シールド付ヘルメット
JPH0621370B2 (ja) * 1991-05-31 1994-03-23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US5230101A (en) * 1991-09-27 1993-07-27 Gentex Corporation Dual visor operating mechanism
JPH072432U (ja) * 1993-06-18 1995-01-13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用クリックストップ機構
JPH086202B2 (ja) * 1993-06-18 1996-01-24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US6260213B1 (en) * 1997-09-15 2001-07-17 Hong Jin Crown Croporation Shield connector for helmet
US6301721B1 (en) * 1999-03-12 2001-10-16 Michio Arai Shield fixing structure in helmet
EP1293139A1 (en) * 2001-09-14 2003-03-19 OPTICOS S.r.l. Device for reseably fastening the visor from the shell of a crash-helmet, in particular for motorcyclists
EP1366683A1 (en) * 2002-05-27 2003-12-03 OPTICOS S.r.l. Device for hooking the visor to a motorcyclist helmet cap
ATE338481T1 (de) * 2002-09-12 2006-09-15 Opticos Srl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visierscheibe an einem helm
US6732380B1 (en) * 2003-02-27 2004-05-11 Long Huei Helmet Co. Fixing device for the windshield of a safety helmet
KR100568946B1 (ko) * 2004-11-25 2006-04-1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KR100659171B1 (ko) * 2005-12-15 2006-12-19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턱 보호대의 개폐장치
JP4895647B2 (ja) * 2006-03-17 2012-03-14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ITMI20060663A1 (it) * 2006-04-04 2007-10-05 Omega S R L Dispositivo per l'aggancio e lo sgancio di una visiera da un casco
KR100875460B1 (ko) * 2007-10-18 2008-12-22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턱 보호대 개폐 장치
US8166576B2 (en) * 2008-05-21 2012-05-01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Opening/closing device and helmet having the same
NZ568990A (en) * 2008-06-06 2011-02-25 Pacific Helmets Nz Ltd Hinge system/visor attachment
JP5103290B2 (ja) * 2008-06-10 2012-12-19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用またはゴーグル用のシールド構造およびこのようなシールド構造を備えているヘルメット
JP5582705B2 (ja) * 2009-02-17 2014-09-0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ヘルメット
KR101150796B1 (ko) * 2009-07-29 2012-06-13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US9125447B2 (en) 2010-09-20 2015-09-08 Revision Military S.A.R.L. Helmet attachment mechanism for visor
ITVR20120022A1 (it) * 2012-02-20 2013-08-21 Agv Spa Dispositivo di movimentazione per un casco per muovere un primo elemento del casco rispetto ad un secondo elemento del casco.
EP2853168B1 (en) * 2013-09-26 2016-09-21 Strategic Sports Limited Helmet with pivotable shield
US10154704B1 (en) * 2015-04-17 2018-12-18 Desmark Industries, Inc. Helmet slide assembly
US20200289323A1 (en) * 2017-12-08 2020-09-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welding helmet with a detachable welding visor
US10973274B2 (en) * 2018-07-31 2021-04-13 Kimpex Inc. Helmet, mounting system for a helmet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786032B2 (en) * 2019-01-18 2020-09-29 Cookie Composites Group Pty Ltd. Skydiving helmet and visor moun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60723A (en) * 1977-06-13 1980-02-06 Helmets Ltd Visor assemblies
US4305160A (en) * 1980-02-19 1981-12-15 Bell Helmets, Inc. Detent controlled helmet shields
IT8023336V0 (it) * 1980-11-11 1980-11-11 Nolan Spa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apertura di visiere, in caschi per motociclisti e simili.
US4748696A (en) * 1986-05-16 1988-06-07 Foehl Artur Safety helmet
JPH0660444B2 (ja) * 1987-06-09 1994-08-10 理夫 新井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82731B1 (en) 1994-09-14
CA2037753C (en) 1994-10-25
DE69104009D1 (de) 1994-10-20
JPH04163306A (ja) 1992-06-08
EP0482731A1 (en) 1992-04-29
DE69104009T2 (de) 1995-01-26
CA2037753A1 (en) 1992-04-25
JPH0647762B2 (ja) 1994-06-22
US5062162A (en) 1991-11-05
KR920007583A (ko) 199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887B1 (ko)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US5177817A (en) Shield mounting structure in helmet
US5461731A (en) Shield plate mounting structure in helmet
KR920010986B1 (ko) 헬멧에 있어서의 보호판 부착구조
EP0420300B1 (en) Shield mounting assembly for a safety helmet
EP0498099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a helmet visor
US5547388A (en) Connector cover having a squeeze release
JPH07192804A (ja) 充電コネクタ
EP0461533B1 (en) Shield mounting structure for helmet
US20080093959A1 (en) Storage device box
KR930000360B1 (ko) 헬멧
EP0312807B1 (en) Shield mounting assembly for a safety helmet
JPH07126908A (ja) ヘルメット
KR930000361B1 (ko) 헬멧의 보호판 부착구조
US5820236A (en) UFO flap
JPH0643642B2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H1155831A (ja) グロメット
CN210142480U (zh) 壳体结构及显示屏
JPH0735601B2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KR200375516Y1 (ko) 문 보호대 조립체
JPH0112758Y2 (ko)
JPS5827750Y2 (ja) 電気かみそり
JPS6319297Y2 (ko)
JPH0699845B2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S585584Y2 (ja) カッタ−の刃着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