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618B1 - 인사(印寫) 장치 - Google Patents

인사(印寫)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618B1
KR930003618B1 KR1019890018702A KR890018702A KR930003618B1 KR 930003618 B1 KR930003618 B1 KR 930003618B1 KR 1019890018702 A KR1019890018702 A KR 1019890018702A KR 890018702 A KR890018702 A KR 890018702A KR 930003618 B1 KR930003618 B1 KR 93000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powder
toner
phas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493A (ko
Inventor
다까히꼬 난꼬우
유우지 다까시마
소오이찌로오 미마
히로시 오오니시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 덴끼 산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 덴끼 산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쓰시다 덴끼 산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with means for preconditioning the toner image before the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사(印寫) 장치
제 1 도는 상담체(像擔體) 위의 착색 분체상(着色粉體像)에 용매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한 기본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제 1도에서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의하여 분체상을 형성하고, 여기에 용매를 도포한 수상지(受像紙)를 압접(壓接)함으로써 전사와 정착을 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이 개념도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제 2 도와 제 3 도에 나와 있다.
제 2 도는 상담체위의 착색 분체상에 전사에 앞서 용매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착색 분체상을 형성하는 상형성 수단으로서 이온 조사 프린트를 사용한 인사 장치의 모식도(模式圖).
제 3 도는 상담체위의 착색 분체상에 전사와 동시에 용매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제 1 도와 같이 이온 조사 프린트 헤드를 사용한 인사 장치의 모식도.
제 4 도는 상담체위의 착색 분체상을 일단 중간 전사체로 전산한 후, 중간 전사체 위의 착색 분체상에 용매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한 기본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제 4 도에서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의하여 분체상을 형성하고, 여기에 용매를 분무하는 분무기를 설치한 예를 들었다. 이 개념도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제 5 도에 나와 있다.
제 5 도는 상담체위의 착색 분체상을 일단 중간 전사체로 전사한 후, 중간 전사체 위의 착색 분체상에 용매를 수상지에 대한 전사에 앞서 공급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착색 분체상을 형성하는 상형성 수단으로서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사용한 인사 장치의 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온 조사(照射) 헤드 2 : 유전체(誘電體) 드럼
3 : 현상기(現像器) 4 : 토우너상(像)
5 : 용매 미스트(mist) 발생기 6 : 압착 로울러
7 : 클리닝 유닛 8 : 제전기(除電器)
9 : 수상지(受像紙) 10 : 용매 탱크
11 : 용매 공급 펌프 12 : 초음파 진동자
13 : 송풍 팬 14 : 용매 미스트
15 : 용매 도포 로울러 16 : 용매 공급 펠트
17 : 용매 공급 파이프 22 : 감광체 드럼
23 : 점착성(粘着性) 고무 로울러 24 : 클리너
25 : 제전(除電) 람프
본 발명은 착색 분체상(着色紛體像)을 용매를 사용하여 저점도화하여 전사함으로써 하아드 코피(hard copy : 硬複寫本)을 얻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인사(印寫)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착색 분체를 이용한 기록 방식으로서 전사 사진 정전(靜電) 기록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이들 방식은 전자 사진 감광체 또는 정전 기록체 등의 전하(電荷) 유지체 위에 정전 잠상(潛像)을 형성하고, 이 잠상과는 역극성(逆極性)으로 대전한 착색 분체로 현상하여 착색 분체상을 얻은 후, 이것을 정착함으로써 최종적인 기록물을 얻는 것이다.
정전 기록은 기록 전극 등에 의하여 정전 잠상을 정전 기록지 위에 작성하고, 이것을 착색 분체로 현상하는 기록방식으로서 전술의 전하 유지체와 수상체를 겸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하 유지체로 부터 수상체로 착색 분체상을 전사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자 사진에서는 전하 유지체인 감광체위의 착색 분체상을 감광체로 부터 수상체로 전사하고, 다시 이것을 정착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예컨대 전자 사진 방식 등의 착색 분체상을 전사하는 공정, 또는 정착하는 공정에 대한 개선에 관한 것이다.
(가) 종래의 전하 유지체위에 형성된 착색 분체상을 수상체에 전사하는 전사 방식으로서 정전 전사법, 점착 전사법, 압력 전사법 등이 알려져 있다.
우선, 정전 전사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전 전사법으로서는 코로나 전사법, 바이어스 전사법 등이 있다. 코로나 전사법은 전하 유지체에 수상지를 겹쳐 그 뒤쪽에서 토우너(toner) 전하의 역극성의 전하를 코로나대전기로 부여하여 쿨롱의 힘(Coulomb force)으로 종이에 전사하는 방식이다. 바이어스 전사법은 감광 드럼위의 토우너상(像)에 수상지를 겹쳐 그 뒤쪽에서 직류전압을 인가한 반도전성의 전극체로 압접(壓接)하여 토우너상을 쿨롱의 힘으로 전사지에 정전 흡착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토우너상의 전사에 코로나 전사법을 채용하면 수상지에 전기 저항치에 의하여 토우너의 전사 효율이 크게 변화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특히, 습도가 높을 때 수상지가 흡습하여 전기 저항이 저하하면 토우너상이 전혀 전사되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과제가 있었다. 또한, 코로나 전사의 경우에 토우너상이 산란(scattering)하기 쉽고 프린트 화상이 희미해진다는 과제도 있었다.
더욱이, 코로나 전사를 하는 전자 사진 장치에서는 토우너로서 절연성 토우너를 사용하지만, 절연성 토우너를 사용한 경우의 한계 해상도(解像度)는 토우너 입경(粒經)의 4~5배라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고해상도의 프린트 화상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연성 토우너를 사용한 일반적인 2성분 현상(現像)에서는 소위 에지 효과(edge effect)가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절연성 토우너를 사용하므로써 생기는 화질의 열화(劣化)를 방지시키기 위하여 도전성 토우너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예컨대 미국 특허 제 3,639,245호의 명세서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전성 토우너를 사용하면 코로나 전사법에 의한 전사가 불가능하므로 도전성 토우너를 사용한 경우의 전사법으로서 전술한 중간체를 사용한 점착 전사법이나 압력 전사법 등이 채용되고 있다.
다음에, 점착 전사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착 전사법은 수상지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토우너를 전사하거나, 또는 보통지에 전사하는 경우, 한번 중간 전사체에 토우너상을 전사하고 보통지에 재전사하는 방식이 취해진다.
이 점착 전사법은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고 소 46-4167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중간 전사체로부터 수상지에 분체상을 재전사하고 정착하는 공정에서는 열로울러에 의하여 중간 전사체위의 토우너를 가열함으로써 점성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간 전사체가 열로울러에 의하여 가열되고, 이것과 접촉하는 감광체 자신도 가열된다. 그 결과, 감광체가 열적인 영향을 받아 감광체의 대전 특성이 변화하고, 감광체의 수명이 저하하는 등의 악영향이 발생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다음에, 압력 전사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력 전사법은 압력 정착용의 토우너를 사용하여 수상지를 감광체 드럼과 가압 로울러 사이에 끼워 토우너를 수상지에 압력으로 전사, 정착하는 방법으로서 전사와 정착이 동시에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방식은 고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장치의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고 구동 토오크도 커진다. 따라서, 감광체도 내압력이 강한 것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수상지에 고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수상지가 캘린더(calender) 처리되어 표면에 광택이 발생된다거나, 다른 정착 방법에 비하여 정착성이 떨어진다는 과제도 가지고 있다.
(나) 종래의 정착 방식으로서는 열정착법, 압력 정착법, 용매 증기 정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먼저, 열정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정착법은 가열 로울러를 사용하여 토우너를 용융하여 정착을 하는 것으로서 현재 가장 많이 채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장치의 전원 투입시 워밍업(warming-up)시간이 필요하다는 것과 정착에 큰 열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열정착 로울러용의 대용량 전원이 필요하고 장치의 소비전력이 크게 된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열을 사용하여 정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정착속도를 올리려고 하여도 안정성 때문에 열정착 로울러의 온도를 올릴 수 없어 기록의 고속화가 곤란하다는 과제도 가지고 있다.
다음에, 압력 정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력 정착법에서는 토우너는 압력 감응성 물질로 되어 있어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점도가 저하하게 되는 것이다. 토우너 재료로서는 파라핀, 왁스, 고무상 연질 중합체등을 들 수 있다. 토우너에 고압력을 가함으로써 점도를 저하시켜 수상지의 섬유속에 들어가게 하여 전사 및 정착을 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상지가 캘린더 처리되기 때문에 화상에 광택이 생기거나, 정착성이 나쁘거나, 유닛(unit)이 무겁기 때문에 복사기의 중량 밸런스가 나빠서 들어 운반하기가 곤란하거나, 용지의 배출시 충격음이 나오는 등의 과제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용매 증기 정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매 증기 정착법은 용매 증기로 수상지위의 토우너상을 용해하여 수상지에 정착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여러가지 환경속에서 사용할 것을 상정하면 용매 증기의 증기압을 일정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 용매 증기 누설 방지의 필요가 있다는 것, 커트지의 적용이 곤란하다는 것 등의 과제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인사 장치로서 전술의 정전 전사, 특히 코로나 전사법과 열정착을 조합한 것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다) 또한, 종래의 기술로서 상담체위에 형성된 분체상을 용매로 용해하여 점성화한 분체상을 수상체에 점착 전사하는 방법이 일본국 특허 공개 소 62-6757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을 아래에 설명한다.
우선, 통상의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의하여 감광체 드럼위에 토우너상을 형성한 다음에 토우너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도포한 토우너 분체 용해 드럼(이하, "용해 드럼"이라 한다)을 감광체 드럼에 간격을 벌려 마주보게 설치한다. 그리고, 용해 드럼의 내부에 배설한 전사 대전기(帶電器)에 의하여 감광 드럼위의 토우너상을 용해 드럼에 정전 전사한다. 용해 드럼에 전사된 토우너는 용매에 의하여 용해되어 점성화한다. 이 상태로 토우너상에 용지를 밀접시키면 점성화된 토우너의 점착력에 의하여 용지에 토우너상이 점착 전사되어 진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식의 인사 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가지고 있다.
(1) 샤-프한 화상을 얻을 수 없다.
이것은 감광체 드럼위의 토우너상을 용해 드럼에 정전 전사할 때, 감광체 드럼과 용해 드럼과의 사이에 간격이 있으면 알려진 바와 같이 토우너상이 산란 현상에 의하여 비산하기 때문에 용해 드럼에는 화상이 흐려진 토우너상으로 전사되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정전 전사가 가진 과제가 해결되어 있지 않다.
(2) 앞에서 설명한 산란의 해결책으로서 감광체 드럼과 용해 드럼을 밀접시켜 정전 전사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는 희게 빠진데가 많은 불선명한 화상으로 된다는 새로운 문제점이 생긴다.
이것은 설사 용해 드럼위에 샤-프한 토우너상이 전사되었다고 하여도 용매로 점성화된 토우너상이 감광체 드럼과 용해 드럼의 양쪽에 확률적으로 분배되어져 점착 전사되기 때문이다.
(3) 용해 드럼위에 전사된 토우너는 용매에 의하여 용매 드럼과의 접촉면으로부터 전사되는 용지쪽으로 향하여 용해된다. 즉, 용지쪽에서 보면 토우너의 뒤쪽에서 표면을 향하여 용해된다.
따라서, 토우너는 용지쪽 보다는 용해 드럼쪽이 먼저 점성화된다. 그러므로, 용해 드럼에 공급하는 용매량이 적으면 용해 드럼쪽에만 점착력이 작용하고 용지 쪽에는 작용하지 않으므로 용지에는 토우너가 전혀 전사되지 않아 화상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공급하는 용매량을 많게 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해된 토우너가 확산하기 때문에 화선이 굵어져 문자 등의 가는 선의 재현성이 나빠진다.
하여간에, 용지쪽에서 보아 토우너의 뒤쪽으로 부터 용매를 공급하는 방법에서는 용매량의 콘트롤이 매우 어려워 선명한 화상을 안정하게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간단한 장치 구성과 저에너지로서 토우너상의 전사 및 정착이 가능하고, 또한 해상도가 높고 산란이 없는 선명한 화상이 얻어지는 인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착색 분체로 된 분체상(粉體像)을 상담체위에 형성하는 상(像) 형성 수단과, 이 분체상에 분체상이 수상지와 접하는 쪽의 방향에서 이 분체를 저점도화하는 용매를 공급하는 용매 공급 수단과, 이 용매로 저점도화된 분체상과 수상체(受像體)를 압접(壓接)하여, 이 용매로 저점도화된 분체상을 수상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 장치이며, 착색 분체로부터 된 분체상을 용매로 저점도화함으로써 전사와 정착을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이면서도 저소비전력이고 또한 간이한 구성의 인사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우너의 도전율, 수상지의 전기 저항치 등에 의하지 않고 토우너상의 산란(scattering)이 전사시에 발생하지 않는 해상도가 높은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인사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상담체위의 착색 분체상에 용매를 공급하는 방법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담체위의 분체상에 용매를 공급하기 때문에 간단한 장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을 사용했을 경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제 2 도와 제 3 도를 이용하여 뒤에 설명한다.
제 2 도에서는 분체상에 대한 용매 공급이 분체상의 수상체와의 접촉에 앞서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매 유지성에 의하여 용매 공급량이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수상체의 종류를 선택하지 않는 인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상체를 어느 정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할 때에는 제 3 도에 표시한 것 같이 수상체에 용매를 유지한 상태로 분체상과 압접함으로써 분체상에 용매를 공급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용매 공급 수단의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외에, 기록의 고속화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담체에 내용매성이 없는 경우에 대하여서는 제 4 도와 제 5 도에 있는 바와 같이 착색 분체상을 일단 중간 전사체로 전사한 후, 중간 전사체위의 착색 분체에 용매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제 4 도는 이 중간 전사체를 두는 인사 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구성을 사용한 경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제 5 도를 사용하여 뒤에 설명한다.
[제 2 도]
먼저, 상당체위의 분체상에 전사에 앞서 용매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에서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에 의하여 분체상을 형성하고, 여기에 용매를 도포한 수상지(9)를 압접(壓接)함으로써 전사와 정착을 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고, 제 2 도의 실시예에서는 착색 분체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수단으로서 소위 이온 조사 프린트(Ion Projection Electrographic Printing)를 사용한 인사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온 조사 프린트에 대하여서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 4,155,09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제 2 도에 있어서, (1)은 화상 신호에 따라 이온을 조사(照射)하는 이온 조사 혜드, (2)는 알루미눔 등의 도전성의 드럼 주면상에 유전체층을 담지시킨 상담체인 유전체 드럼이다. 유전체 드럼(2)의 표면은 내용매성이 우수한 것으로, 또한 이형성(離形性)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한데, 불소계 수지나 폴리올레핀(polyoefin) 등을 코우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은 현상기, (4)는 유전체 드럼(2)위에 형성된 토우너상이다. 그러고, 이 실시예에서는 1성분 자성 도전성 토우너를 사용한다.
이들 이온 조사 헤드(1)와 현상기(3)로 토우너상(4)을 유전체 드럼(2) 위에 형성하는 상형성 수단을 구성한다. (5)는 위에 나온 토우너를 저점도화하는 용매를 미스프(mist)의 상태로 하여 유전체 드럼(2)위에 공급하는 용매 공급 수단인 용매 미스트 발생기이다. (6)은 유전체 드럼과 압접하여 설치된 전사 수단인 압착로울러이며, (9)는 수상체인 수상지이다. 또한, 수상지(9)로서는 예컨대 64g/㎡의 PPC용지를 사용한다. 또한, 압착 로울러(6)는 유전체 드럼(2)과 더불어 유전체 드럼(2)위의 저점도화된 토우너상(4)과 수상지(9)를 압착시키는 것이다. (7)은 유전체 드럼(2)위에 남은 미전사의 토우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유닛인데, 금속성 블레이드에 의하여 유전체드럼(2) 위의 미전사 토우너를 클리닝하는 것이다. (8)은 유전체 드럼(2)위의 정전 잠상을 소거하는 제전기(除電器)이다. 그리고, (10)은 용매 탱크, (11)은 용매 공급 펌프, (12)는 초음파 진동자, (13)은 송풍팬, (14)은 용매 미스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매에 의하여 저점도화되는 토우너 조성분은 바인더 수지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용매로서는 전술한 바인더 수지를 저점도화하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바인더 수지와 용매의 조합예로서는 예컨데 스티렌 수지와 톨루엔, 아크릴 수지와 아세톤, 에폭시 수지와 디메틸에탄, 스테베라이트와 이소옥탄, PVC나 CMC 등의 각종 수용성 수지와 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안정성이나 코스트를 고려하면 용매로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인더 수지로서 PVA를 사용하고, 여기에 카아본 블랙과 자성체를 분산시킨 것을 분쇄하여 1성분 자성 도전성 토우너로서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토우너의 비저항(比抵抗)은 약 106Ω·cm로 하였다. 또, 용매로서는 물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의 인사 장치에 있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유전체 드럼(2)위에 이온 조사 헤드(1)에 의하여 그림 신호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잠상이 현상기(3)에 의하여 현상됨으로써 토우너상(4)이 유전체 드럼(2) 위에 형성된다.
한편, 용매 미스트 발생기(5)는 용매 탱크(10)와 접속되어 있어 용매 공급 펌프(11)에 의하여 용매 미스트 발생기(5)에 용매가 공급된다. 용매 미스트 발성기(5)에 공급된 용매는 용매 미스트 발생기(5)내에 설치된 1개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하여 용매 미스트(14)의 상태로 된다. 여기서, 용매 미스트 발생기(5)의 함체에 설치된 송풍팬(13)에 의하여 보내지는 공기류에 의하여 용매 미스트(14)가 유전체 드럼(2)의 표면을 향하여 공급되어 유전체 드럼(2)위의 토우너상(4)을 저점도화시키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용매 미스트 발생기(5)에 의하여 유전체 드럼(2)위의 토우너상(4)이 수상지(9)와 접하는 방향으로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토우너상(4)의 수상지(9)와 접하는 쪽에서 부터 저점도화가 진행되게 된다. 이때의 용매 미스트(14)의 공급량은 샤도우(shadosw)부의 경우에서 수 g/㎡ 정도가 바람직하나, 이것은 토우너의 바인더 재질 등에 의하여 변한다. 일반적으로,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바인더의 경우에는 보다 적은 용매량으로 저점도화된다.
이어서, 토우너상(4)이 용매 미스트(14)에 의하여 충분히 저점도화된 상태에서 유전체 드럼(2)와 수상지(9)가 압착 로울러(6)에 의하여 압착된다. 이때, 토우너상(4)은 용매에 의하여 저점도화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압력 정착을 이용한 장치에 비하면 로울러(6)에 가하는 압력은 훨씬 낮은 압압(壓押)이라도 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압착 로울러(6)에 가하는 압력은 토우너상(4)이 저점도화되는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종래 의 압력 정착법의 몇분의 1에서부터 수백분의 1로 감소시킬 수 있다.
압착에 의하여 토우너상(4)이 수상지(9)에 전사됨과 동시에 수상지(9)의 섬유속에 들어가므로써 정착된다. 이 상태로 전사된 토우너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용매가 증발 또는 침투 건조함으로써 최종 기록물이 얻어진다. 이때, 토우너상(4)은 수상지(9)와 접하는 쪽에서부터 점성화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유전체 드럼(2)위에 미전사의 상태로 남는 토우너 양이 적어 종래의 압력 전사 이상의 높은 효율의 화상을 얻는다.
한편, 유전체 드럼(2)은 클리닝 유닛(7)에 의하여 잔류 토우너가 제거되고, 제전기(8)에 의하여 제전된다.
또한, 클리닝 유닛(7)에 의하여 클리닝이 되고 있는 사이에 유전체 드럼(2) 위에 수분이 응축되어 있으면 이것도 같이 제거된다.
또한, 클리닝 유닛(7)에 의하여 유전체 드럼(2)위의 잔류 용매를 제거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할 때는, 그 근처에 다시 히이터 등을 설치하여 유전체 드럼(2)위의 용매를 강제 건조시키는 등의 방법이 유효하다.
이상, 상담체위의 분체상에 전사에 앞서 용매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용매를 유전체 드럼(2)위의 토우너상(4)에 미스트 상태로 공급하는 용매 미스트 발생기(5), 용매보다 저점도화된 토우너상(4)가 수상지(9)를 압착시키는 압착 로울러(6)를 설치함으로써 전사와 정착을 동시에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속이면서 저소비전력이고 또한 간이한 구성의 인사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종래 전사, 정착이 곤란하였던 도전성 토우너의 전사가 산란됨이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토우너의 대전성에 관계없이 양호하고 효율이 높은 전사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분체상에의 용매 공급이 분체상의 수상체와의 접촉에 앞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상체의 종류를 선택하지 않는 인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3 도]
다음에, 상담체위의 분체상에 전사와 동시에 용매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 3 도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사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수상체를 어느 정도 특정하고 수상체의 용매 유지 특성이 균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제 3 도에 나와 있는 본 실시예의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 2 도에 있는 장치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도에서 (15)는 용매를 수상지(9)에 도포 공급하는 용매 도포 로울러, (16)은 용매 도포 로울러(15)에 용매를 공급하는 용매 공급 펠트, (17)은 용매 공급 펠트에 용매를 함침시키는 용매 공급 파이프이다. 또한, (18)은 용매 도포 로울러(15)와 수상지(9)를 압접하는 제 2 압접 로울러이다.
용매 공급 파이프(17)는 용매 공급 펌프(11)를 거쳐 용매 탱크(10)와 접속되어 있어 제 3 도에 있는 바와 같이 용매 공급 펠트(16)의 상단에 밀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용매 공급 파이프(16)의 용매 공급 펠트(16)와 접하는 쪽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 용매 공급 펌프(11)에 의하여 보내지는 용매가 이 구멍으로부터 유출하므로써 용매 공급 펠트(16)에 용매를 함침시킨다.
그리고, 용매 공급 펠트(16)는 용매 도포 로울러(15)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용매 도포 로울러(15)에 표면에 용매의 액막(液膜)을 도포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용매 공급 펠트(16)를 설치함으로써 용매 도포 로울러(15)에 공급되는 용매량을 균일화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용매 도포 로울러(15)가 수상지(9)와 압접함으로써 수상지(9)의 표면에 용매가 도포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인사 장치에 있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유전체 드럼(2)위에 토우너상(4)이 형성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수상지(9)의 표면에 용매 도포 로울러(15)에 의하여 용매가 도포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유전체 드럼(2)과 수상지(9)가 압착 로울러(6)에 의하여 압착된다. 이때, 유전체 드럼(2)위의 토우너상(4)이 수상지(9)위의 용매와 접촉하므로써 토우너상(4)의 수상지(9)쪽으로부터 저점도화가 진행된다. 이와 동시에 압착 로울러(6)에 의하여 토우너상(4)과 수상지(9)에 압력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토우너상(4)의 저점도화된 부분이 변형하여 전술한 수상지(9)의 섬유속에 들어가서 정착된다. 이 상태로 전사된 토우너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용매가 증발 또는 침투 건조함으로써 최종 기록물이 얻어진다.
이상, 상담체위의 분체상에 전사와 동시에 용매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용매를 수상지(9)위에 도포 공급하는 용매 도포 로울러(15)를 설치하여 용매가 도포된 수상지(9)에 의하여 토우너상(4)에 용매를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효과에 추가하여 간단한 구성의 용매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쇄기 등의 예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울러에 의한 도포 공급이라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록의 고속화가 비교적 용이하다.
[제 5 도]
다음에, 상담체위의 분체상을 일단 중간 전사체에 전사한 후, 중간 전사체위의 분체상에 수상지에의 전사에 앞서 용매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사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는 분체상을 형성하는 상(像)형성 수단으로서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사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제 5 도에 있는 본 실시예의 장치는 기본적으로 제 2 도 및 제 3 도에 있는 장치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5 도에서, (20)은 대전(帶電)수단인 코로나 차아저(corona charger), (21)은 노광(露光)수단인 레이저, (22)는 전자 사진 감광체이고, 대전 수단(20)에 의하여 전자 사진 감광체(22)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 후, 레이저(2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노광함으로써 전자 사진 감광체(22)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23)은 감광체 드럼(22)과 밀접하여 설치된 중간 전사체인 점착성 고무 로울러이다. 점착성 고무로울러(23)는 표면이 점착성을 가진 고무로 코우팅된 로울러이며, 감광체 드럼(22)위에 토우너상(4)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이것과 밀접하는 것으로서 감광체 드럼(22)위에 형성된 토우너상(4)을 로울러 표면의 점착성에 의하여 일단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에 전사한다.
또한, (5)는 용매 미스트 발생기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의 표면에 용매 미스트(14)를 공급하는 위치에 있다. 그리고, 압착 로울러(6)는 용매 미스트(14)가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위의 토우너상(4)에 공급되어 저점도화된 상태로 되는 위치에서 수상지(9)를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에 압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 제 3 실시예의 인사 장치에 있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종래의 장치와 동일한 공정에 의하여 감광체 드럼(22)위에 토우너상(4)이 형성된 다음, 점착성 고무 로울러(23)가 감광체 드럼(22)과 압착함으로써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의 표면의 점착성에 의하여 감광체 드럼(22)위의 토우너상(4)이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의 표면에 전사된다.
이 상태에서 용매 미스트 발생기(5)에 의하여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위의 토우너상(4)에 용매 미스트가 공급된다. 이때, 전술한 정착성 고무 로울러(23)위의 토우너상(4)은 수상지(9)와 접하는 쪽의 방향에서 부터 저점도화가 진행된다. 토우너상(4)이 용매에 의하여 충분히 저점도화된 상태에서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와 수상지(9)가 압착 로울러(6)에 의하여 압착된다.
압착에 의하여 전술한 토우너상(4)이 수상지(9)에 전사됨과 동시에 전술한 수상지(9)의 섬유속에 들어감으로써 정착된다. 이 상태로 전사된 토우너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용매가 증발 또는 침주 건조함으로써 최종 기록물이 얻어진다. 이때, 토우너상(4)은 수상지(9)와 접하는 쪽에서부터 점성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위에 미전사의 상태로 남은 토우너 양이 적어 종래의 용해 드럼을 사용한 중간전사법 이상의 높은 전사 효율의 화상이 얻어진다.
한편,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위의 잔류 토우너가 클리닝 유닛(7)에 의하여 제거된다.
또한, 클리닝 유닛(7)에 의하여 클리닝 되어지는 사이에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위에 수분이 잔류하고 있을 때에는 이것도 같이 제거된다.
한편, 감광체 드럼(22)위의 잔류 토우너가 클리너(24)에 의하여 제거되고, 정전 잠상이 제전(除電)람프(25)에 의하여 소거되는 공정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장치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도에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기술한 효과에다 추가하여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전술한 점착성 고무 로울러(23)에 토우너상(4)이 일단 전사된 상태인 부분에 용매를 공급함으로써 감광체드럼(22)이 용매를 노출되어지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감광체 드럼(22)에 내용매성이 없을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체위의 분체상에 용매를 공급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수상체에 용매를 유지시킨 상태로 중간 전사체위의 분체상과 압접 전사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실시예에서는 상담체로서 전하 유지체인 사진 감광체, 유전체를 사용하였으나, 삼당체는 이들 이외의 전하 유지체라도 좋고, 또한 전하 유지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이들 실시예에서는 이온 조사 프린트 방식,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인사 장치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착색 분체를 이용하여 기록을 하는 인사 장치이면 본 발명이 적용된다. 예컨데, 자기 잠상을 자성 분체로 형상하는 소위 마그네토그래피(magnetography)에 의해서 분체상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중간 전사체는 점착성을 가진 고무 로울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데 유전체 드럼을 사용하여도 좋고, 예컨데 밸트 형상 등의 것도 좋다.
그리고, 중간 전사체에 착색 분체상을 전사하기 위하여 중간 전사체의 표면의 점착성을 이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데 절연성 착색 분체를 사용한 경우 등에서는 코로나 전사 등의 방법에 의하여 중간 전사체에 착색 분체상을 전사하여도 좋다.
또한, 착색 분체로서 토우너를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용매의 공급 위치 및 공급 방법에 대해서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용매의 공급시의 형태도 액체, 안개, 증기의 어떠한 상태로도 좋다.
또한, 이들 실시예에서는 전사체로서 종이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OHP 등 종이 이외의 전사체라도 좋다.
그리고, 클리닝 유닛에 의한 상담체 혹은 중간 전사체 위의 잔류 용매를 제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불충분할 때에는 히이터 등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유효하다.

Claims (6)

  1. 착색 분체로 된 분체상(像)을 상담체위에 형성하는 상(像) 형성 수단과, 이 분체상과 수상체를 압접하는 전사 수단을 구비한 인사 장치에 있어서, 분체상과 수상체를 압접하기에 앞서 분체상을 저점도화시키는 용매를 수상체에 공급하는 용매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압접 수단에 의해 용매를 유지시킨 수상체와 분체상을 압접함으로써 분체상을 저점도화하여 수상체에 전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사 수단은 상담체위에서부터 상담체에 인접하여 설치한 중간 전사체에 일단 전사된 분체상과 분체를 저점도화시키는 용매를 유지한 수상체를 압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담체가 전하 유지체이며, 상형성 수단은 상담체위에 정전 잠상(靜電 潛像)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수단과, 이 정전 잠상을 착색 분체로 현상하는 현상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담체가 유전체이며, 잠상 형성 수단이 이온 조사 프린트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담체가 전자 사진 감광체이며, 잠상 형성 수단은 대전(帶電) 수단과, 노광(露光)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착색 분체가 도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 장치.
KR1019890018702A 1988-12-16 1989-12-16 인사(印寫) 장치 KR930003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19096A JPH02163775A (ja) 1988-12-16 1988-12-16 記録装置
JP88-319096 1988-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493A KR900010493A (ko) 1990-07-07
KR930003618B1 true KR930003618B1 (ko) 1993-05-08

Family

ID=1810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702A KR930003618B1 (ko) 1988-12-16 1989-12-16 인사(印寫)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40027A (ko)
EP (1) EP0373968B1 (ko)
JP (1) JPH02163775A (ko)
KR (1) KR930003618B1 (ko)
DE (1) DE6892283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1089A (en) * 1993-07-26 1994-11-01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n adhesive layer for improved image transfer in electrophotography
JPH1184897A (ja) * 1997-09-03 1999-03-30 Minolta Co Ltd 湿式画像形成装置
DE19914514B4 (de) * 1999-03-30 2007-10-18 OCé PRINTING SYSTEMS GMBH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Drucken oder Kopieren, wobei das Tonerbild einem Lösungsmittel in Gasphase ausgesetzt wird
KR100629888B1 (ko) * 2003-02-28 2006-09-29 롬 가부시키가이샤 화상형성장치
KR100611991B1 (ko) * 2004-09-09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프린팅 헤드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5540987B2 (ja) * 2010-08-18 2014-07-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DE102010037245B4 (de) * 2010-08-31 2017-09-14 Océ Printing Systems GmbH & Co. KG Verfahren zum Bedrucken eines Bedruckstoffs bei einem elektrografischen Druckgerät
DE102010037244A1 (de) * 2010-08-31 2012-03-01 OCé PRINTING SYSTEMS GMBH Anordnung zum Bedrucken eines Bedruckstoffs bei einem elektrofotografischen Druck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5085A (en) * 1954-02-23 1961-08-08 Haloid Xerox Inc Transfer and fixing method
US3083684A (en) * 1955-09-29 1963-04-02 Xerox Corp Apparatus for pattern reproduction
US3506347A (en) * 1967-10-19 1970-04-14 Xerox Corp Duplex xerographic reproduction apparatus
NL159795C (ko) * 1968-07-22 Minnesota Mining & Mfg
JPS5140937A (ja) * 1974-10-02 1976-04-06 Mitsubishi Plastics Ind Seidengazotenshahoho
US4155093A (en) * 1977-08-12 1979-05-15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harged particles
JPS56150778A (en) * 1980-04-25 1981-11-21 Fuji Xerox Co Ltd Electrophotographic transfer and fixation method
FR2482323A1 (fr) * 1980-05-12 1981-11-13 Rhone Poulenc Syst Procede de reproduction electrographique sur un support quelconque a l'aide d'une poudre de developpement magnetique monocomposant
NL8104843A (nl) * 1981-10-27 1983-05-16 Oce Nederland Bv Tonerpoeder en werkwijze voor het vormen van gefixeerde beelden met behulp van dat tonerpoeder.
JPS6267576A (ja) * 1985-09-19 1987-03-27 Nec Corp 印刷装置
JPS63166537A (ja) * 1986-12-27 1988-07-09 Ricoh Co Ltd 刻印用下絵画像の作成方法
US4876561A (en) * 1988-05-31 1989-10-24 Xerox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nd toner/developer delivery system therefor
JPH0767576A (ja) * 1993-09-01 1995-03-14 Eiko Suteeshiyon:Kk 菌糸体健康食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73968A2 (en) 1990-06-20
EP0373968A3 (en) 1990-12-27
EP0373968B1 (en) 1995-05-24
US5040027A (en) 1991-08-13
JPH02163775A (ja) 1990-06-25
KR900010493A (ko) 1990-07-07
DE68922834T2 (de) 1996-01-11
DE68922834D1 (de) 199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5852A (en) Image forming method
US5420675A (en) Liquid toner fusing/transfer system with a film-forming roller that is absorbent of a low volatility liquid toner carrier
US6308034B1 (en) Wet-type electrophotography apparatus, using non-volatile, high viscosity, high concentration liquid toner
KR930003618B1 (ko) 인사(印寫) 장치
EP1120692B1 (en) Electrophotographic device of liquid toner developing type
JP2845282B2 (ja) 画像転写装置
US5937248A (en) Contact electrostatic printing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image area centered patch of tonerpatches of toner
EP1227374A2 (en) System and method for duplex printing
US6341208B1 (en) Absorbent coating for contact transfer of liquid toner images
US697067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0275969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09922A (ja) 静電潜像の液体現像方法及び液体現像装置
US619552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JP3334985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2137857A (ja) 粉末画像を画像形成媒体から画像受納媒体に転写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1075417A (ja) 画像形成装置
US6120965A (en) Efficient contact transfer of liquid immersion developed images using an overlayer
JP3465317B2 (ja) 帯電部材及び帯電装置
JP3479461B2 (ja) 電子写真装置
JP2000029319A (ja) 湿式電子写真装置
JP3146104B2 (ja) 現像装置
US200401149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tent image development
JPH102068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H11194621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2707721B2 (ja) 粉体像の転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