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177B1 -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 - Google Patents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177B1
KR930003177B1 KR1019900009721A KR900009721A KR930003177B1 KR 930003177 B1 KR930003177 B1 KR 930003177B1 KR 1019900009721 A KR1019900009721 A KR 1019900009721A KR 900009721 A KR900009721 A KR 900009721A KR 930003177 B1 KR930003177 B1 KR 93000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data
signal
output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969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9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177B1/ko
Priority to US07/718,385 priority patent/US5394193A/en
Priority to JP3154894A priority patent/JPH04280595A/ja
Priority to GB9114007A priority patent/GB2247589B/en
Publication of KR920001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콤 필터링회로 20 : 상관도 데이타 발생회로
30 : 멀티플렉서 49 : 콤 필터링 제어회로
100 : 색신호 및 휘도신호 출력부 13-14, 16 : 감산기
17 : 가산기 AN1-AN2 : 앤드게이트
OR1-OR3 : 오아게이트
본 발명은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Pattern)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Digital Comb Fil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칼라 텔레비젼(Digital Color Television)의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에 있어서 입력 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시에 연속되는 세개의 수평 주사라인(Line)중 상하 두 라인간의 상관도를 검출하여 상관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콤 필터링(Comb Filtering)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칼라 텔레비젼에 있어서 입력 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이 과정의 수행은 통상적으로 콤 필터(Comb Filter)로서 이루어진다.
특히 고화질을 요하는 ID(Improved Definition) 텔레비젼, ED(Extended Definition) 텔레비젼 등의 디지탈 칼라 텔레비젼에 있어서는 보다 효율적인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분리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상기 콤 필터의 기본전제는, 첫째로 색신호의 위상이 1H(1수평주사 기간)마다 반전되어야 한다. 즉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 영상신호의 인터리이빙(Interleaving)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로 1H 전후의 신호가 유사성이 있어야 한다.
제1도는 종래의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의 회로도로써, 제1a도는 통상적인 2H 콤 필터로 구성된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의 회로도이며, 제1b도는 상기 제1a도의 개선된 형태의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의 회로도이다.
상기 제1a도의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는 영상신호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1H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1 1H 지연회로(1a)와, 상기 제1 1H 지연회로(1a)에서 1H 지연된 영상신호를 다시 1H 지연시켜 2H 지연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 1H 지연회로(1b)와, 상기 영상신호의 2H 지연된 영상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1c)와, 상기 가산기(1c)의 출력을 1/2 증폭하는 제1 1/2 증폭기(1d)와, 상기 1H 지연된 영상신호에서 상기 제1 1/2 증폭기(1d)의 출력을 감산출력하는 감산기(1e)와, 상기 감산기(1e)의 출력을 1/2 증폭 출력하는 제2 1/2 증폭기(1f)와, 상기 제2 1/2 증폭기(1f)의 출력을 대역 여파하여 색신호(C)를 출력하는 BPF(Band Pass Filter)(102)와,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시간 지연 출력하는 지연회로(104)와, 상기 소정 시간 지연된 1H 지연 영상신호에서 상기 색신호(C)를 감산하여 휘도신호(Y)를 출력하는 감산기(106)로 구성된다.
상기 제1a도의 구성중 제1, 제2 1H 지연회로(1a, 1b)와 가산기(1c)와 제1, 제2 1/2 증폭기(1d, 1f)와 감산기(1e)로 구성된 부분이 2H 콤 필터링 회로(1)이며, BPF(102)와 지연회로(104)와 감산기(106)로 구성된 부분이 휘도신호 및 색신호 출력회로(100)이다.
상기 제1a도의 회로에서 디지탈 영상신호가 영상신호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입력되면, 상기 디지탈 영상신호는 제1 1H 지연회로(1a)에서 1H 만큼 지연되어 제2 1H 지연회로(1b)와 감산기(1e) 및 지연회로(104)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2 1H 지연회로(1b)는 상기 1H 지연된 영상신호(VH)를 다시 1H 지연시켜 2H 지연된 영상신호(VHH)를 가산기(1c)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가산기(1c)는 상기 영상신호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V)와 2H 지연된 영상신호(VHH)를 가산한다. 즉 색신호가 동위상인 두 영상신호를 더함으로써 휘도신호 레벨(Level)과 색신호 레벨이 각각 더해진 영상신호를 제1 1/2 증폭기(1d)로 출력한다. 이때 제1 1/2 증폭기(1d)는 증폭도가 1/2이며 상기 가산된 영상신호의 레벨을 1/2로 줄임으로써 2H 지연 영상신호(VHH)와 현재 입력 영상신호(V)를 평균한 레벨의 영상신호를 감산기(1e)로 출력한다.
상기 감산기(1e)는 상기 1H 지연된 영상신호(1H)에서 상기 평균한 레벨의 영상신호를 감산하여 휘도신호성분을 제거하고 색신호 성분만을 출력한다.
한편 NTSC 방식 영상신호에서 1H 전후의 영상신호의 색신호는 위상이 반전되므로, 상기 2H 지연 영상신호(VHH)와 1H 지연 영상신호(VH)와 현재 입력 영상신호(V)중 2H 지연 영상신호(VHH)와 입력 영상신호(V)의 색신호 위상은 같으며, 1H 지연 영상신호(VH)와 2H 지연 영상신호(VHH) 및 1H 지연 영상신호(VH)와 현재 입력 영상신호(V)의 색신호 위상은 서로 반전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1H 전후의 영상신호의 휘도신호의 레벨은 거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고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평균 레벨의 영상신호를 감산하면, 휘도신호 성분은 상쇄되고 색신호 성분만이 두 신호의 색신호 레벨을 합한 레벨이 되어 상기 감산기(1e)에서 출력된다. 그러므로 제2 1/2 증폭기(1f)는 상기 합 레벨의 색신호 성분을 입력하여 1/2로 레벨을 줄임으로써 2H 지연 영상신호(VHH)의 색신호 성분과 입력 영상신호(V)의 색신호 성분의 평균레벨의 색신호 성분을 출력한다.
상기 제2 1/2 증폭기(1f)의 출력은 수직방향으로 필터링된 색신호 성분을 포함하며 BPF(102)에서 대역여파되어 완전한 색신호(C)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BPF(102)는 수평방향으로 색신호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이다.
또한 지연회로(104)는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를 상기 색신호(C)가 상기와 같은 회로를 거치면서 지연된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회로로서,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를 색신호(C)와 타이밍(Timing)을 맞추어 출력한다. 그러면 감산기(106)는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색신호(C)를 감산함으로써 휘도신호(Y)만을 분리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 디지탈 영상신호는 디지탈 휘도신호(Y)와 색신호(C)로 분리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콤 필터링 회로(1)에 있어서 콤 필터링이라 함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이를 소정 지연시킨 영상신호에서 휘도신호 성분을 상쇄시키고 색신호 성분을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a도의 회로는 입력 영상신호에서 휘도신호(Y)와 색신호(C)를 분리할 수 있으나 연속되는 3개의 수평주사라인 가운데 수직 방향의 트랜지션(Transition)이 발생하는 라인이 생길 경우 크로스 칼라(Cross Color), 도트(Dot) 방해 등의 아티팩트(Artifacts)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제1b도는 상기 제1a도의 개선된 형태의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의 회로도로서, 영상신호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디지탈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1H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1 1H 지연회로(2a)와, 상기 제1 1H 지연회로(2a)에서 1H 지연된 영상신호를 다시 1H 지연시켜 2H 지연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 1H 지연회로(2b)와, 입력 영상신호에서 1H 지연된 영상신호를 감산하여 출력하는 감산기(2c)와, 상기 2H 지연된 영상신호에서 1H 지연된 영상신호를 감산하여 출력하는 감산기(2d)와, 상기 감산기(2c, 2d)의 출력을 각각 1/2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 제2 1/2 증폭기(2e, 2f)와, 상기 영상신호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1H 지연된 영상신호와 2H 지연된 영상신호를 각각 입력하고 저역여파하여 휘도신호의 레벨을 출력하는 제1-제3LPF(Low Pass Filter)(3a-3c)와, 상기 제2LPF(3b)의 출력에서 제1LPF(3a)의 출력을 감산하여 출력하는 감산기(3d)와, 상기 제2LPF(3b)의 출력에서 제3LPF(3c)의 출력을 감산하여 출력하는 감산기(3e)와, 상기 감산기(3d, 3e) 각각의 출력에 대한 절대값을 취하여 출력하는 제1, 제2절대치회로(3f, 3g)와, 상기 제1, 제2절대치회로(3f, 3g)의 출력상태에 따라 상관도를 검출하여 소정 논리의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상관도 검출회로(3h)와, 상기 제1, 제2 1/2 증폭기(2e, 2f)의 출력을 각각 입력단(A, B)에 입력하여 상기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4)와, 상기 멀티플렉서(4)의 출력을 대역 여파하여 색신호(C)를 출력하는 BPF(102)와,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소정시간 지연 출력하는 지연회로(104)와, 상기 소정 시간 지연된 1H 지연 영상신호에서 상기 색신호(C)를 감산하여 휘도신호(Y)를 출력하는 감산기(106)로 구성된다.
상기 제1b도의 구성중 제1, 제2 1H 지연회로(2a, 2b)와 감산기(2c, 2d)와, 제1, 제2 1/2 증폭기(2e, 2f)로 구성된 부분이 1H 콤 필터링회로(2)이며, 제1-제3LPF(3a-3c)와 감산기(3d, 3e)와 제1, 제2절대치회로(3f, 3g)와, 상관도 검출회로(3h)로 구성된 부분이 적응적 선택회로(3)이며, BPF(102)와, 지연회로(104)와 감산기(106)로 구성된 부분이 휘도신호 및 색신호 분리회로(100)이다.
상기 제1b도의 회로에서 디지탈 영상신호가 영상신호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입력되면, 상기 영상신호는 제1 1H 지연회로(2a)에서 1H 만큼 지연되어 제2 1H 지연회로(2b)와 감산기(2c, 2d)와 제2LPF(3b) 및 지연회로(104)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2 1H 지연회로(2b)는 상기 1H 지연된 영상신호(VH)를 다시 1H 지연시켜 2H 지연된 영상신호(VHH)를 감산기(2d)와 제3LPF(3c)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감산기(2c)는 상기 영상신호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V)에서 상기 1H 지연된 영상신호(VH)를 감산하여 출력한다. 즉 현재 입력 영상신호(V)에서 상기 영상신호(V)와 색신호가역 위상인 1H 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함으로써, 휘도신호 성분이 상쇄되고 색신호 성분 레벨이 서로 더해진 색신호 성분을 제1 1/2 증폭기(2e)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감산기(2d)는 상기 2H 지연된 영상신호(VHH)에서 1H 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하여 출력한다. 즉 2H 지연 영상신호(VHH)에서 상기 2H 지연 영상신호(VHH)와 색신호가 역 위상인 1H 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함으로써, 휘도성분이 상쇄되고 색신호 성분 레벨이 서로 더해진 색신호 성분을 제2 1/2 증폭기(2f)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1 1/2 증폭기(2e)는 상기 감산기(2c)에서 더해진 색신호 성분을 1/2 증폭하여 레벨을 1/2로 줄임으로서 1H 지연 영상신호(VH)의 색신호 성분 레벨과 입력 영상신호(V)의 색신호 성분 레벨을 평균한 레벨의 제1색신호 성분을 멀티플렉서(4)의 입력단(IO)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 1/2 증폭기(2f)는 상기 감산기(2d)에서 색신호 성분을 1/2 증폭하여 레벨을 1/2로 줄임으로써 2H 지연 영상신호(VHH)의 색신호·성분 레벨과 1H 지연 영상신호(VH)의 색신호 레벨을 평균한 레벨의 제2색신호 성분을 멀티플렉서(4)의 입력단(11)으로 출력한다.
한편 제1-제3LPF(3a-3c)는 상기 영상신호(V)와 1H 지연 영상신호(VH)와 2H 지연 영상신호(VHH)를 각각 저역 여과하여 각각의 휘도신호 레벨을 출력한다. 그러므로 감산기(3d)는 상기 제2LPF(3b)의 출력에서 제1LPF(3a)의 출력을 감산하여 출력하며, 감산기(3e)는 상기 제2LPF(3b)의 출력에서 제3LPF(3c)의 출력을 감산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절대치회로(3f)는 상기 감산기(3d)의 출력에 대한 절대값을 위하여 상관도 검출회로(3b)의 일 입력단으로 출력하며, 제2절대치회로(3g)는 상기 감산기(3)의 출력에 대한 절대값을 취하여 상관도 검출회로(3h)의 타 입력단으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상관도 검출회로(3h)는 상기 제1, 제2절대치회로(3f, 3g)의 출력 상태에 따라 상관도를 검출하여 소정 논리의 선택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4)의 선택신호 입력단(8)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상관도 검출회로(3h)는 상관도가 큰 쪽 즉, 상기 제1, 제2절대치회로(3f, 3g)의 출력중 절대치가 작은 쪽의 콤 필터링된 색신호 성분을 상기 멀티플렉서(4)가 선택 출력토록 선택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예를 들어 제1절대치회로(3f)의 출력 절대치가 제2절대치회로(3g)의 출력 절대치보다 작다면, 이는 영상신호(V)와 1H 지연 영상신호(VH)의 상관도가 큰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두 신호를 콤 필터링한 제1색신호 성분을 상기 멀티플렉서(4)가 선택 출력하도록 선택신호를 논리 "0"으로 출력한다. 반대로 상기 제1절대치회로(3f)의 출력 절대치가 제2절대치회로(3g)의 출력절대치보다 크다면, 상기한 바와 달리 제2색신호 성분을 상기 멀티플렉서(4)가 선택 출력하도록 선택신호를 "1"로 출력한다. 그리고 BPF(104)는 상기 제1 또는 제2색신호 성분을 대역 여파하여 색신호(C)를 출력하고, 지연회로(102)는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를 소정 지연시켜 상기 색신호(C)와 타이밍을 맞추어 출력한다. 그러면 감산기(106)는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색신호(C)를 감산함으로써 휘도신호(Y)만을 분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b도의 회로는 각 수평주사 라인간의 상관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1H 콤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크로스 칼라의 경감 효과는 있으나, 세개의 수평 주사 라인이 모두 상관도가 클 경우에도 한쪽으로 1H 콤 필터링을 하고, 비표준 신호가 들어올 경우에도 한쪽으로 1H 콤 필터링을 하므로 에러(Error) 발생의 확률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비표준 신호라 함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ideo Tape Recorder) 또는 게임(Game) 기기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콤 필터의 전제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신호를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칼라 텔레비젼의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에 있어서, 세개의 입력 수평 주사 라인의 영상신호의 상관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1H 콤 필터링 또는 2H 콤 필터링을 하고 비표준 신호의 입력시에는 콤 필터링을 하지 않고 통과시켜 노이즈를 제거하며 아티팩트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영상신호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입력되는 세개의 연속되는 수평 주사 라인의 영상신호를 각각 1H 콤 필터링하여 제1, 제2 1H 콤 데이타(Comb Data)를 출력하고 2H 콤 필터링하여 2H 콤 데이타를 출력하며 1H 지연 영상신호(VH)를 출력하는 콤 필터링회로(10)와, 상기 콤 필터링회로(1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접속되어 상기 1H 콤 필터링된 제1, 제2 1H 콤 데이타를 각각 저역 여파하여 상기 1H 콤 필터링한 각각의 두 수평주사 라인에서 발생한 휘도신호의 저역 트랜지션을 검출하고 절대값을 취해 제1, 제2상관도 데이타를 출력하는 상관도 데이타 발생회로(20)와, 상기 콤 필터링회로(10)의 각 출력단에 입력단자(I0-I3)가 각각 접속되어 선택단자(S0, S1)에 입력되는 선택데이타의 논리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제2 1H 콤 데이타와 2H 콤 데이타 및 1H 지연 영상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단자(Z)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0)와, 상기 상관도 데이타 발생회로(20)의 출력단과 상기 멀티플렉서(50)의 선택단자(S0, S1)에 접속되어 기준데이타 입력단자(102)를 통하여 입력되는 기준 데이타와 상기 제1, 제2상관도 데이타를 각각 비교하여 기준데이타보다 모두 작을때에는 상기 2H 콤 필터링된 2H 콤 데이타를 선택토록 하고, 기준데이타보다 모두 작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 제2 1H 콤 데이타중 상관도가 큰 쪽으로 하나를 선택토록 하며 비표준신호 정보 입력단자(103)를 통하여 입력되는 비표준 신호 정보데이타가 논리 "1"일때는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를 선택토록 하는 2비트의 선택데이타를 상기 멀티플렉서(30)의 선택단자(S0, S1)로 출력하는 콤 필터링 제어회로(40)와, 상기 멀티플렉서(30)의 출력단자(Z)에 접속되어 상기 멀티플렉서(40)의 출력을 대역 여파하여 색신호(C)를 출력하는 BPF(102)와, 상기 콤 필터링회로(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를 입력하여 소정 시간 지연 출력하는 지연회로(104)와, 상기 소정시간 지연된 1H 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색신호(C)를 감산하여 휘도신호(Y)를 출력하는 감산기(106)로 구성된다.
상기 제2도의 구성중 콤 필터링회로(10)는 영상신호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1H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1 1H 지연회로(11)와, 상기 제1 1H 지연회로(1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1H 지연된 영상신호를 다시 1H 지연시켜 2H 지연 영상신호(VHH)를 출력하는 제2 1H 지연회로(12)와, 상기 영상신호 입력단자(101)와 제1 1H 지연회로(1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에서 현재 입력 영상신호(V)를 감산 1H 콤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감산기(13)와, 상기 제1 1H 지연회로(11)의 출력단과 제2 1H 지연회로(1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에서 2H 지연 영상신호(VHH)를 감산 1H 콤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감산기(14)와, 상기 감산기(13, 14)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감산기(13, 14)의 출력을 각각 1/2 증폭하여 제1, 제2 1H 콤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1, 제1 1/2 증폭기(15, 16)와, 상기 제1, 제2 1/2 증폭기(15, 16)의 각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 제2 1/2증폭기(15, 16)의 각 출력을 가산 2H 콤필터링하여 출력하는 가산기(17)와, 상기 가산기(17)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가산기(17)의 출력을 1/2 증폭하여 2H 콤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3 1/2 증폭기(18)로 구성된다.
상관도 데이타 발생회로(20)는 상기 제1, 제2 1/2 증폭기(15, 16)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1, 제2 1H 콤 데이타를 각각 저역 여파하여 상기 1H 콤 필터링한 각각의 두 수평주사 라인에서 발생한 휘도신호의 지역 트랜지션을 각각 검출 출력하는 제1, 제2LPF(22, 24)와, 상기 제1, 제2LPF(22, 24)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검출된 저역 트랜지션에 대한 절대값을 취하여 제1, 제2상관도데이타를 출력하는 제1, 제2절대치회로(26, 28)로 구성된다.
콤 필터링 제어회로(40)는 입력단자(A, B)가 각각 상기 제1, 제2절대치회로(26, 28)에 접속되어 상기 제1, 제2상관도 데이타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단자(A〉B, A〈B)으로 출력하는 제1비교기(42)와, 상기 제1절대치회로(26) 출력단에 입력단자(A)가 접속되고 상기 기준데이타 입력단자(102)에 입력단자(B)가 접속되어 상기 제1상관도 데이타와 기준데이타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단자(A〉B)로 출력하는 제2비교기(44)와, 상기 제2절대치회로(28)의 출력단에 입력단자(A)가 접속되고 상기 기준데이타 입력단자(102)에 입력단자(B)가 접속되어 상기 제2상관도 데이타가 기준데이타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단자(A〉B)로 출력하는 제3비교기(46)와, 상기 제2, 제3비교기(44, 46)의 각 출력단자(A〉B)에 입력단이 접속되는 오아게이트(OR1)와, 상기 오아게이트(OR1)의 출력단에 일입력단이 공통 접속되고 타입력단이 상기 제1비교기(42)의 출력단자(A〉B, A〈B)에 각각 접속되는 앤드게이트(AN1, AN2)와, 상기 비표준신호 정보 입력단자(103)에 일 입력단이 공통 접속되고 타입력단이 상기 앤드게이트(AN1, AN2)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2비트의 선택데이타를 출력하는 오아게이트(OR2, OR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도의 구성중 BPF(102)와 지연회로(104)와 감산기(106)로 구성된 부분이 휘도신호 및 색신호 분리회로(100)이다. 그리고 상기 제1-제3비교기(42-46)는 입력단(A, B)에 각각 입력되는 두개의 데이타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기로서 비교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출력단(A=B, A〉B, A〈B)으로 논리 "1" 또는 "0"를 출력하는 비교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동작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전원이 "온"되고 디지탈의 영상신호(V)가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제2도의 제1 1H 지연회로(11)와 감산기(13)에 입력되면, 상기 영상신호(V)는 제1 1H 지연회로(11)에서 1H 지연되어 1H 지연 영상신호(VH)로 출력되며, 제2 1H 지연회로(12)에서 다시 1H 지연되어 2H 지연 영상신호(VHH)로 출력된다. 이때 신호 처리점은 1H 지연 영상신호(VH)가 된다.
먼저 감산기(13)는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에서 영상신호(V)를 감산하여 제1 1/2 증폭기(15)로 출력하며, 상기 감산된 신호는 제1 1/2 증폭기(15)에서 1/2 증폭되어 영상신호(V)와 1H 지연 영상신호(VH)에 대한 제1 1H 콤 데이타로서 멀티플렉서(30)의 입력단자(I1)에 입력된다. 또한 감산기(14)는 상기 1H 지연 영산신호(VH)에서 2H 지연 영상신호(VHH)를 감산하여 제2 1/2 증폭기(16)로 출력하며, 상기 감산된 신호는 제2 1/2 증폭기(16)에서 1/2 증폭되어 1H 지연 영상신호(VH)와 2H 지연 영상신호(VHH)에 대한 제2 1H 콤 데이타로서 상기 멀티플렉서(30)의 입력단자(I2)에 입력된다. 그리고 가산기(17)는 상기 영상신호(V)와 2H 지연 영상신호(VHH)를 가산하여 제3 1/2 증폭기(18)로 출력하며, 상기 가산된 신호는 제3 1/2 증폭기에서 1/2 증폭되어 3개의 수평 주사라인 즉, 영상신호(V)와 1H 지연 영상신호(VH)와 2H 지연 영상신호(VHH)에 대한 2H 콤 데이타로서 상기 멀티플렉서(30)의 입력단자(I0)에 입력된다.
한편 제1, 제2LPF(22, 24)는 상기 제1, 제2 1H 콤 데이타를 각각 저역 여파하여 각각의 두 라인에서 발생한 휘도신호의 저역 트랜지션을 검출 출력하며, 제1, 제2절대치회로(26, 28)는 상기 각각 검출된 값에 대하여 절대치를 취하여 제1, 제2상관도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때 제1, 제2상관도 데이타는 현재 입력 영상신호(V)와 1H 지연 영상신호(VH), 1H 지연 영상신호(VH)와 2H 지연 영상신호(VHH)사이에서 발생하는 상관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절대치가 작은 쪽이 상관도가 큰 경우를 나타내며, 절대치가 클 경우는 트랜지션 발생을 의미하므로 상관도가 작은 것이 된다.
상기 제1상관도 데이타는 제1비교기(42)의 입력단자(A)와 제2비교기(44)의 입력단자(A)에 입력되며, 제2상관도 데이타는 제1비교기(42)의 입력단자(B)와 제3비교기(46)의 입력단자(A)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제3비교기(44, 46)의 입력단자(B)에 공통 입력되는 기준 데이타는 도시하지 않은 시스템 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로부터 출력되는 상관도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데이타이다. 상기 기준 데이타보다 각각 두 라인간의 상관도를 나타내는 제1, 제2상관도 데이타 크기가 모두 작을 경우에는 제2, 제3비교기(44, 46)의 출력은 "0"이 되며, 앤드게이트(AN1, AN2)의 출력도 "0"이 된다. 이때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비표준 신호가 아니라면 비표준 신호 정보 입력단자(103)를 통하여 "0"이 입력되므로 오아게이트(OR2, OR3)의 출력은 "0"이 된다. 그러므로 2비트의 선택데이타는 "00"으로 멀티플렉서(30)의 선택단자(S0, S1)에 입력되므로 상기 멀티플렉서(30)는 상기 2H 콤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기준데이타보다 제1, 제2상관도 데이타가 둘다 작지 않은 경우는 상관도가 큰 쪽으로 데이타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제2, 제3비교기(44, 46)의 출력은 모두 "1"이 되어 앤드게이트(AN1, AN2)는 인에이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상관도 데이타가 제2상관도 데이타보다 클 경우에는 영상신호(V)와 1H 지연 영상신호(VH)에 대한 상관도가 1H 지연 영상신호(VH)와 2H 지연 영상신호(VHH)에 대한 상관도보다 작게 되며, 제1비교기(42)의 출력단자(A〉B, A〈B)에서는 각각 "1"과 "0"이 출력된다. 그러므로 오아게이트(OR2, OR3)의 출력 즉, 2비트의 선택데이타는 "10"으로 상기 멀티플렉서(30)의 선택단자(S0, S1)에 입력되고 상기 멀티플렉서(30)는 상기 제2 1H 콤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와 반대로 제2상관도 데이타가 제1상관도 데이타보다 클 경우는 1H 지연 영상신호(VH)와 2H 지연 영상신호(VHH)의 상관도보다 영상신호(V)와 1H 지연 영상신호(VH)의 상관도가 크게 되며, 제1비교기(32)의 출력단자(A〉B, A〈B)에서는 각각 "0"과 "1"이 출력된다. 그러므로 오아게이트(OR2, OR3)의 출력 즉, 2비트의 선택데이타는 "01"로 상기 멀티플렉서(30)의 선택단자(S0, S1)에 입력되고 상기 멀티플렉서(30)는 상기 제1 1H 콤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한편 지금 비표준 신호가 입력된다면 비표준 신호 정보데이타 "1"이 오아게이트(OR2, OR3)에 입력되게 되고, 이에 따라 2비트의 선택데이타는 "11"이 되므로 상기 멀티플렉서(30)는 1H 지연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BPF(102)에서는 상기 멀티플렉서(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대역 여파하여 색신호(C)를 출력하고, 지연회로(104)는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를 소정지연시켜 상기 색신호(C)와 타이밍을 맞추어 출력한다. 그러면 감산기(106)는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색신호(C)를 감산하므로써 휘도신호(Y)만을 분리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탈 칼라 텔레비젼의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에 있어서, 세개의 입력 수평 주사 라인의 영상신호의 상관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1H 콤 필터링 또는 2H 콤 필터링을 하는 회로로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비표준 신호의 입력시에는 콤 필터링을 하지 않고 통과시킴으로써 아티팩트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휘도신호 및 색신호 출력회로(100)를 구비한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디지탈 콤 필터에 있어서, 영상신호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입력되는 세개의 연속되는 수평 주사 라인의 영상신호를 각각 1H 콤 필터링하여 제1, 제2 1H 콤 데이타를 출력하고 2H 콤 필터링하여 2H 콤 데이터를 출력하며 1H 지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콤 필터링회로(10)와, 상기 콤 필터링회로(1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접속되어 상기 1H 콤 필터링된 제1, 제2 1H 콤 데이타를 각각 저역 여파하여 상기 1H 콤 필터링한 각각의 두 수평 주사라인에서 발생한 휘도신호의 저역 트랜지션을 검출하고 절대값을 취해 제1, 제2상관도 데이타를 출력하는 상관도 데이타 발생회로(20)와, 상기 콤 필터링회로(10)의 각 출력단에 입력단자(I0-I3)가 각각 접속되어 선택단자(S0, S1)에 입력되는 선택데이타의 논리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제2 1H 콤데이타와 2H 콤 데이타 및 1H 지연 영상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단자(Z)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0)와, 상기 상관도 데이타 발생회로(20)의 출력단과 상기 멀티플렉서(50)의 선택단자(S0, S1)에 접속되어 기준데이타 입력단자(102)를 통하여 입력되는 기준데이타와 상기 제1, 제2상관도 데이타를 각각 비교하여 기준데이타보다 모두 작을때에는 상기 2H 콤 필터링된 2H 콤 데이타를 선택토록 하고 기준데이타보다 모두 작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 제2 1H 콤 데이타중 상관도가 큰 쪽으로 하나를 선택토록 하며 비표준신호 정보 입력단자(103)를 통하여 입력되는 비표준 신호 정보데이타가 논리 "1"일때는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를 선택토록 하는 2비트의 선택 데이타를 출력하는 콤 필터링 제어회로(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콤 필터링회로(10)가 영상신호 입력단자(10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1H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1 1H 지연회로(11)와, 상기 제1 1H 지연회로(1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1H 지연된 영상신호를 다시 1H 지연시켜 2H 지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 1H 지연회로(12)와, 상기 영상신호 입력단자(101)와 제1 1H 지연회로(1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에서 입력 영상신호를 감산 1H 콤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감산기(13)와, 상기 제1 1H 지연회로(11)의 출력단과 제2 1H 지연회로(1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1H 지연 영상신호에서 2H 지연 영상신호를 감산 1H 콤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감산기(14)와, 상기 감산기(13, 14)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감산기(13, 14)의 출력을 각각 1/2 증폭하여 제1, 제2 1H 콤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1, 제2 1/2 증폭기(15, 16)와, 상기 제1, 제2 1/2 증폭기(15, 16)의 각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 제2 1/2 증폭기(15, 16)의 각 출력을 가산 2H 콤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가산기(17)와, 상기 가산기(17)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가산기(17)의 출력을 1/2 증폭하여 2H 콤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3 1/2 증폭기(1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관도 데이타 발생회로(20)가 상기 제1, 제2 1/2 증폭기(15, 16)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1, 제2 1H 콤 데이타를 각각 저역 여파하여 상기 1H 콤 필터링한 각각의 두 수평 주사 라인에서 발생한 휘도신호의 저역 트랜지션을 각각 검출 출력하는 제1, 제2LPF(22, 24)와, 상기 제1, 제2LPF(22, 24)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검출된 저역 트랜지션에 대한 절대값을 취하여 제1, 제2상관도 데이타를 출력하는 제1, 제2절대치회로(26, 2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콤 필터링 제어회로(40)가 입력단자(A, B)가 각각 상기 제1, 제2절대치회로(26, 28)에 접속되어 상기 제1, 제2상관도 데이타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단자(A〉B, A〈B)으로 출력하는 제1비교기(42)와, 상기 제1절대치회로(26) 출력단에 입력단자(A)가 접속되고 상기 기준데이타 입력단자(102)에 입력단자(B)가 접속되어 상기 제1상관도 데이타와 기준데이타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단자(A〉B)로 출력하는 제2비교기(44)와, 상기 제2절대치회로(28)의 출력단에 입력단자(A)가 접속되고 상기 기준데이타 입력단자(102)에 입력단자(B)가 접속되어 상기 제2상관도 데이타가 기준데이타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출력단자(A〉B)로 출력하는 제3비교기(46)와, 상기 제2, 제3비교기(44, 46)의 각 출력단자(A〉B)에 입력단이 접속되는 오아게이트(OR1)와, 상기 오아게이트(OR1)의 출력단에 일입력단이 공통 접속되고 타입력단이 상기 제1비교기(42)의 출력단자(A〉B, A〈B)에 각각 접속되는 앤드게이트(AN1, AN2)와, 상기 비표준신호 정보 입력단자(103)에 일 입력단이 공통 접속되고 타입력단이 상기 앤드게이트(AN1, AN2)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2비트의 선택데이타를 출력하는 오아게이트(OR2, OR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
KR1019900009721A 1990-06-29 1990-06-29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 KR930003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9721A KR930003177B1 (ko) 1990-06-29 1990-06-29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
US07/718,385 US5394193A (en) 1990-06-29 1991-06-20 Pattern-adaptive digital comb filter for separation of a luminance and a color signal
JP3154894A JPH04280595A (ja) 1990-06-29 1991-06-26 輝度信号と色信号分離用パターン適応形ディジタル櫛形フィルタ
GB9114007A GB2247589B (en) 1990-06-29 1991-06-28 Pattern-adaptive digital comb filter for separation of luminance and color components in a video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9721A KR930003177B1 (ko) 1990-06-29 1990-06-29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969A KR920001969A (ko) 1992-01-30
KR930003177B1 true KR930003177B1 (ko) 1993-04-23

Family

ID=1930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721A KR930003177B1 (ko) 1990-06-29 1990-06-29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94193A (ko)
JP (1) JPH04280595A (ko)
KR (1) KR930003177B1 (ko)
GB (1) GB22475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3791B2 (ja) * 1992-09-30 2002-03-11 ソニー株式会社 Yc分離回路
EP0613311A1 (en) * 1993-02-26 1994-08-31 Kabushiki Kaisha Toshiba Y/C separating circuit
JP3227941B2 (ja) * 1993-10-22 2001-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色度信号分離装置
JP3149677B2 (ja) * 1994-04-21 2001-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Y/c分離装置
US6459457B1 (en) * 1999-12-21 2002-10-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aptive color comb filter
WO2003024121A1 (en) * 2001-09-11 2003-03-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posite video decoding
US6771321B2 (en) * 2001-11-06 2004-08-0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PAL luma two line vertical combing
US7420625B1 (en) 2003-05-20 2008-09-02 Pixelworks, Inc. Fuzzy logic based adaptive Y/C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US7304688B1 (en) 2003-05-20 2007-12-04 Pixelworks, Inc. Adaptive Y/C separator
US7605867B1 (en) 2003-05-20 2009-10-20 Pixel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on of time base errors
US7365796B1 (en) 2003-05-20 2008-04-29 Pixel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ignal decoding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US7701512B1 (en) 2003-05-20 2010-04-20 Pixel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horizontal and vertical sync pulse detection and processing
US7532254B1 (en) 2003-05-20 2009-05-12 Pixelworks, Inc. Comb filter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084A (en) * 1976-07-14 1977-09-20 Cbs Inc. Comb filter for television signals having adaptive features
JPS58111596A (ja) * 1981-12-25 1983-07-02 Sony Corp 信号処理回路
JPS59151592A (ja) * 1983-02-17 1984-08-30 Pioneer Electronic Corp 輝度信号及び色信号分離回路
JPS59198100A (ja) * 1983-04-05 1984-11-09 テクトロニツ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色・輝度分離処理装置
JPS63141490A (ja) * 1986-12-03 1988-06-13 Toshiba Corp 適応型y/c分離回路
JPS6477388A (en) * 1987-09-18 1989-03-23 Toshiba Corp Composite signal separating circuit
US5025311A (en) * 1987-12-28 1991-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separating apparatus
JP2699488B2 (ja) * 1988-11-29 1998-01-19 ソニー株式会社 コムフィルタ
KR910013951A (ko) * 1989-12-12 1991-08-08 이헌조 복합영상신호의 휘도/색도신호 분리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969A (ko) 1992-01-30
JPH04280595A (ja) 1992-10-06
GB2247589B (en) 1994-11-16
US5394193A (en) 1995-02-28
GB9114007D0 (en) 1991-08-14
GB2247589A (en) 199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177B1 (ko)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용 패턴 적응형 디지탈 콤 필터
JP2001204045A (ja) 動き検出装置
JP2853298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処理装置
JPH0445686A (ja) カラー撮像装置
JPH07121136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US5491522A (en) Luminance and color signal isolation device
JPH05328174A (ja) 動き適応ノイズリダクション回路
JP3240711B2 (ja) Y/c分離フィルタ装置
JPH01277092A (ja) 動き検出回路
KR940002613B1 (ko) 적응형 필터를 이용한 휘도 및 색신호 분리회로 및 방법
JPH0437264A (ja) 雑音抑圧装置
JP2798562B2 (ja) 信号補正回路
JP3130429B2 (ja) 動き検出回路
KR930011979B1 (ko) 영상신호의 휘도 및 색신호 분리회로
JP4681288B2 (ja) Y/c分離回路
KR940000580B1 (ko) 수직 및 수평 상관 적응형 휘도 및 색신호 분리회로
JP2548950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S6057793A (ja) 動き検出回路
JPH0787594B2 (ja) 相関検出回路
KR100251536B1 (ko) 수직 해상도가 보정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KR940002936B1 (ko) Ntsc 영상신호의 움직임 검출회로
KR0157437B1 (ko) 휘도 및 색신호 분리 회로
KR100238801B1 (ko)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JPH07298205A (ja) 動き検出回路
JPH09102891A (ja) ノイズ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