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067B1 -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067B1
KR930003067B1 KR1019880007657A KR880007657A KR930003067B1 KR 930003067 B1 KR930003067 B1 KR 930003067B1 KR 1019880007657 A KR1019880007657 A KR 1019880007657A KR 880007657 A KR880007657 A KR 880007657A KR 930003067 B1 KR930003067 B1 KR 930003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transporter
rail
convey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608A (ko
Inventor
마사유끼 쓰네다
하지메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사또우 오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9411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414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7352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77565U/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사또우 오사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Publication of KR89000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 being carried on the lower run of the endless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B61C11/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tractive effort applied to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elevated railways with rigid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자동운반기를 나태내는 일반도이다.
제 2 도는, 레일장치의 단면구조와 함께 제 1 도에 표시된 자동운반기의 주요부분의 횡단면도이다.
제 3 도는, 제 2 도에 표시된 자동운반기와 레일장치의 정면도이다.
제 4 도는, 제 3 도에 표시된 자동운반기와 레일장치의 평면도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급레일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6 도는, 제 5 도에 표시된 공급레일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7 도는와 제 8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장치와 자동운반기 사이에서의 신호의 송신 및 수신방법을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제 9 도는, 레일장치가 천장에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운반기를 표시하는 횡단면도이다.
제10도-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범퍼의 단면도와 그 범퍼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3도는와 제14도는, 레일장치가 곡선경로로 형성된 곳에서 2대의 자동운반기 사이에서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ID카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6도는, 제15도에 표시된 ID카드의 전송유니트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운반기 (17) : 피니언기어
(30) : 레일장치 (31) : 개방부
(32) : 안내부재 (33) : 덕트부재
(34) : 안내면 (38) : 래크
(39) : 슬리트 (40A)(40B) : 절연성로드부재
(41A)(41B) : 공급레일 (61A)(61B) : 제1연결부재
(62A), (62B) : 오목홈 (65A)(65B) : 제2연결부재
(70A)(70B) : 범퍼 (71) : 고정부재
(73) : 커버 (73C) : 주름형부재
(78) : 정지신호 송신장치 (83) : ID카드
본 발명은, 일정한 장소 또는 공장에서 화물을 운반할 때 사용되는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컨베이어장치로는, 일본국 실개소 제58-38627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레일장치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되면서 레일장치를 따라 이동하는 자동운반기(이동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레일장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면이 C자 형상을 한 자동운반기 안내부재와, 상기한 자운동반기 안내부재와 연결하기 위해서 그 단면이 U자 형상으로 된 덕트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운반기의 바퀴는,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자동운반기를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해서 자동운반기 안내부재와 맞물린다.
자동운반기 안내부재는 이송레일, 신호 송수신용 레일 및 그 내부에 설치되는 것 등으로 구성된다.
자동운반기에는 이들 레일과 미끄럼접촉을 하는 집전장치가 설치된다. 덕트부재에는 배선 등이 설치되며, 배선은 이송레일과 연결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종래의 형태에서는, 덕트의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작업 및 배선의 유지관리와 검사가 어려우며, 따라서, 인시간(man-hours)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부재 내부에서의 다양한 작동을 쉽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한 작동을 달성하는 것과 함께 자동운반기를 원활하게 아동시킬 수 있는 레일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운반기의 이동의 제어가 우수한 자동운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운반기를 사용하는 컨베이어장체에는 상기한 자동운반기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레일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레일장치는, 자동운반기가 이동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C자 형상의 단면을 한 자동운반기 안내부재, 상기한 자동운반기 안내부재의 상기한 개방부의 반대쪽 측면의 벽에 연결시키기 위해서 설치되는 덕트부재, 상기한 덕트부재의 내면과 자동운반기 안내부재의 내면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벽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슬리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개방부와 슬리트를 통해서, 덕트부재의 내부청소, 덕트부재 내부에서의 배선작업 및 각종 기기의 설치작업, 배선작업후의 유지관리 및 검사 등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운반기를 구동시키는 마찰구동륜을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면이 레일장치의 중심에 대해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레일장치는 방향 등을 고려하지 않고도 쉽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안내면에는, 자동윤반기를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을 탈거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마찰구동륜을 안내하기 위해서 하나의 안내면만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장치가 수직 혹은 경사진 상태로 배열되는 곳에는, 아무런 장해없이 자동운반기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마출구동륜과 접촉하지않는 다른 안내면에 렉을 고정시킬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운반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레일을, 삽입구조를 이용하는 자동운반기 안내부재에 형성하는 슬리트의 끝 가장자리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레일장치에 대한 레일의 설치나 레일장치로부터의 공급레일의 제거를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운반기에는 범퍼가 설치되어 있으며, 2대의 자동운반기가 충돌하며 각각의 범퍼가 서로 충돌하면, 자동운반기에 정지신호를 송신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자동운반기가 서로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범퍼에 의해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먼저 출발한 자동운반기와 충돌하였을 때, 뒤따르는 자동운반기를 쉽게 정지시킬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운반기에 정보기록매체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동운반기의 이동을 쉽고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1D카드는 정보기록매체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기 설명한다. 참조부호(1)은, 제1차축(3)에 의해서 보디프레임(2)에 대해서 공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제1바퀴(4),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르는 어느 한 방향에서 상기한 제1바퀴(4)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제2차측(6)에 의해서 보디프레임(2)에 대해서 공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제2바퀴(7), 제1및 제2차측(3), (6)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측면이동 제어바퀴(8), (9)등으로 구성된 자동운반기를 표시하는 것이다.
모우터(10)는 적어도 밑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보디프레임(2)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모우터(10)는, 상하로의 요동이 가능하도록 보디프레임(2)의 전후방향으로의 중앙에서 측면핀(11)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모우터(10)의 전면부는 모우터(10)와 보디프레임(2)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2)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요동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참조부호(13)는 스프링(12)에 대한 모우터(10)의 요동량을 조정하는 스토퍼를 표시하는 것이다.
감속장치(14)는 연동연결방식(interlocked manner)에 의해 모우터(10)의 전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추진회전륜(마찰회전륜)(16)은, 감속장치(14)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동축(15)의 한쪽 끝에 고정된 제1바퀴(4)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구동축(15)의 다른쪽 끝에는 피니언기어(17)가 고정되어 있다.
추진회전륜(16)과 피니언기어(17)는 자동운반기의 중심(22)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집전기(18A), (18B)는, 판스프링의 형성된 지지수단(23)을 배개체로 하여 상기한 보디프레임(2)에 설치되며, 이들 집전기(18A), (18B)의 집전위치는 제2바퀴(7)의 근처가 된다.
보디프레임(2)에는, 보디프레임(2)의 전단부(前端部)와 후단부(後端部)의 밑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1및 제2센서(정지신호 수신기) (19)(20)와 전단부와 후단부의 중앙에 고정되는 영구자석(자동운반차신호 송신기)(21)이 설치된다.
이들 센서(19)(20)와 영구자석(21)은 자동운반기의 폭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보디프레임(2)의 상부에는 하물 적재함(24)이 설치되며, 상기한 하물 적재함(24)에는 밀폐용 덮개(25)가 있다.
보디프레임(2)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범퍼(70A), (70B)가 설치된다. 이들 범퍼(70A), (70B)는 제10도-제1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절연성 합성수지를 기판으로 하여 직사각형의 편평한 판으로 형성한 부착부재(7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한 부착부재(71)는, 그 후면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볼트(72)에 의해서 보디프레임(2)에 대해서 탈거가능하도록 정착된다.
부착부재(71)에는, 전기전도성 고무로 만들어진 가요성 커버(73)가 설치되며, 커버(73)의 테두리를 따라서 나사(74)등을 체결하므로써, 부착부재(71)에 대해서 탈거가능하도록 정착된다.
가요성 커버(73)는 부착부재(71)에 고정되는 주변벽(73a)과, 상기한 부착부재(71)로부터 일정한 공간을 두고 그 전면에 비치되는 아치형전판(前板)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주변벽(73a)의 전체 원주면을 따라서 주름(73C)이 형성되어 있으며, 형상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판부재(73b)의 내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리브(73d)를 형성한다.
접속단자(76)는 가요성 커버(73) 내부의 공간(75)에 있는 부착부재(71)의 주변단부(71a)와 가요성커버(73) 사이에서 가요성 커버(73)의 주변벽(73a)에 고정된다.
이 접속단자(76)에 연결된 리드선(77)은 집전기(18A), (18B)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 중간에는 모우터(10)를 제어하는 정지신호 송신장치(78)가 연결된다.
2대의 자동운반기가 충돌하여, 각각의 범퍼(70A), (70B)가 서로 접촉하면, 제1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된 양쪽 범퍼(70A)(70B)의 가요성 커버(73), (73)를 거쳐서 2대의 자동운반기(1)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에 의해서 정지신호 송신장치(78)가 작동된다. 제 1 도, 제 2 도 및 제1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자동운반기(1)에는 집전기(18A), (18B)와 연결된 광학식 1D카드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함(80)이 보리프레임(1)에 설치되며, 상기한 제어함(80)은, 보디프레임(2)의 한쪽 측면에는 부착판(82)을 매개체로 하여 1D카드(83)가 설치되며, 상기한 1D카드(83)는 리드선(84)에 의해 제어함(80)과 연결되어 있다. 1D카드(83)에는, 송신기 표시창(86)의 내부에 표시장치(85)가 설치되어 있으며, 표시장치(85)에는 복수의 표시항목, 즉, 자동운반기의 차대번호, 행선지, 자동운반기에서의 하물의 적재유무 등의 항목이 표시된다. 1D카드(83)에는 또, 정전시에 사용하는 리륨전지 (87)가 설치된다. 제 1 도-제 6 도는 참조하며, 참조번호(30)은 레일장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레일장치(30)는, 자동운반기(1)를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해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자동운반기(1)의 이동을 위해서 한쪽 면전체가 개방부(31)로 되어 있고, 단면이 C자 형상인 자동운반기 안내부재(32)와, 상기한 자동운반기 안내부재(32)의 다른 면의 외표면과 연결되는 U자 형상의 덕트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개방부(31)의 방향이 윗쪽으로 전환되도록 형성된 자동운반기 안내부재(32)는, 양쪽 개방부(31)에 위차한 제1안내면(34)에 설치되며 제1바퀴(4)의 상부와 맞닿는 판부재(32a), 상기한 판부재(32a)와 다주보는 제2안내면(35)에 설치되며 제2바취(7)의 하부와 맞닿는 또다른 판부재(32b), 양쪽 판부재(32a), (32b)의 외축 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3안내면(36)에 설치되며 측면이동 제어바퀴(8), (15)의 외측과 맞닿는 측판부재(32c)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다른 판부재(32b)에는 레일쪽에 각종 기기를 배치하기 위한 슬리트(39)가 판부재(32b)의 중앙에서 전체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운반기 안내부재(32)는 이 슬리트(39)를 통해서 덕트부재(33)와 연통하고 있다.
판부재(32b)에는, 슬리트(39)의 양쪽면의 위에서 내표면을 형성하고, 있는 단면이 역사라디꼴 형상인, 랙 고정부재(32d)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랙 고정부재(32d)의 내표면은 추진회전륜(16)의 하부와 접촉하는 마찰구릉면(37)의 기능을 한다.
경사진 코스, 수직코스 등에서 피니언기어(17)와 맞물리는 랙(38)은 삽입 등에 의해 양쪽 랙 고정부재(32d)중의 어느 한쪽에 고정된다. 이러한 레일장치(30)는 레일의 중심(29)에 대해서 좌우 대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리트(39)의 폭(L1)은 덕트부재(33)의 폭(L2)보다 다소 좁게 형성되어 있다.
자동운반기 안내부재(32)에서 슬리트(39)를 형성하는 단부에는 절연성 로드부재(40A), (40B)가 삽입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절연성 로드부재(40A), (40B)에는 집전기(18A), (18B)와 미끄럼접촉을 하는 공급레일(41A), (41B)이 설치된다.
제 5 도와 6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슬리트(39)가 설치된 또다른 판부재(32b)에는 그 길이 전체에 걸쳐서 판부재(32b)의 두께방향에서의 양쪽표면의 단부에 형성되는, 볼록한 제1연결부재(61A), (61B)가 설치되어 있다.
수지로 형성된 덜연성 로드부재(40A), (40B)에는 상기한 또다른 판부재(32b)의 내부 단부가 옆에서 연결되는 오목홈(62A), (62B)이 설치되어 있다.
오목홈(62A), (62B) 내표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볼록한 제1연결부재(61A), (61B)가 연결되는, 판부재의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 형상의 제1연결부재(61A), (61B)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로드부재(40A), (40B)에는, 오목홈(62A), (62B)으로부터 방향이 바뀐 위치에서, 오목홈과는 대향하는 면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개방된 삽입홈(64A), (64B)이 설치되어 있다.
판부재(32b)의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오목홈형상의 제2연결부재(65A), (65B)는 개방부(31)의 측면 표면에서 전체길이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공급레일(41A), (41B)에는 삽입홈(64A), (64B)의 내부로 측면에서 삽입할 수 있는 삽입편(66A), (66B)이 설치되어 있으며, 판부재(32b)의 두께방향을 따라서 제2연결부재(65A), (65B)와 연결되는, 블록한 제2연결부재(67A), (67B)가 공급레일(41A), (41B)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슬리트(39)에서 덕트부재(33)에 배치된 레일면 위의 레일측 기기(42)는 예를 들어서, 좌우 한쌍의 자극판(43A), (43B), 상기한 자극판 (43A), (43B)사이에 배치되는 전후 한쌍의 코일(정지신호송신기)(44), (45), 제3센서(자동운반기 신호 수신기)(4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쪽 자극판(43A), (43B)의 하단부는 덕트부재(33)의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 돌출부(47A), (47B)와 연결되며, 이것에 의해서 레일측 기기(42)의 위치가 결정된다.
자극판(43A), (43B)의 상단부는, 제 5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자동운반기축 기기인 제1및 제2센서(19), (20)와 영구자석(21)의 양쪽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자동운반기 안내부재(32)의 내부로 돌출하고 있다. 곡선커브에서는, 예를들어서, 제 2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곡선의 외측에서 위치한 자극판(43B)이 아래로 내려간다. 공급레일(41A), (41B)이나 또는 레일측 기기(42)와 연결된 복수의 배선(48)은 덕트부재(33)에 수용된다.
배선(48)은 고정부재(49)에 의해서 덕트부재(33)의 내표면에 배치된다. 덕트부재(33)의 폭(L2)은 자동운반기 안내부재(32)의 폭(L3)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레일장치(30)의 양쪽 표면은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덕트부재(33)의 측면에는 그 끝에, 오목한 형상의 연결부재(50)가 설치된다. 개방부(31)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바닥면의 구조부재(51)는, 외면에서 상기한 연결부재(50)와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편(52), 한쌍의 연결편(52)을 서로 체결시키는 볼트(53)와 너트(54), 고정부재(볼트와 너트)(55)를 사용하여 양쪽 연결편(52)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5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9 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개방부(31)가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천장면의 구조부재(57)는, 외면에서 연결부재(50)와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편(52), 볼트(58)에 의해서 연결편(52)사이에 배치되는 통로부재(gangway member)(59), 양쪽의 연결편(52)이 체결되는 현수봉(6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리 설정된 결로(5)는 제17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예를들어서, 원형의 본선부(5a), 지선접속장치(90)에 의해 상기한 원형의 본선부(5a)와 접속된 기억부(5b)및 지선부(5c)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억부(5b)와 지선부(5c)에는 스테이션(91)이 형성되어 있다.
작각의 스테이션(91)과 메인스테이션(92)에는 1D카드(83)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는 전송유니트(93)가 설치된다.
이들 전송유니트(93)에는 제 2 도, 제16도 및 제1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송창(94)이 포함되어 있다.
리드선(95)은 메인스테이션(92)에 배치된 제어장치(96)에 연결되어 있다. 레일면 위의 레일측 기기(42)는 미리 설정된 경로(5)를 따라서 특정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배선(48)은 제어장치(96)에 연결되어 있다.
바닥면의 구조부재(51), 천장면의 구조부재(57)등에 의한 레일장치(30)의 배치에 있어서, 레일장치(30)는 그 좌우방향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다. 자동운반기(1)의 이동방향에 따라 자동운반기(1)의 중심에 대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자동운반기(1)의 추진회전류(16)은 회전하여 진행하기 위해서, 양쪽의 랙 고정부재(32d)중의 어느 한쪽의 마찰구름면(37)에 대해서 밀어붙여진다.
경사진 경로, 수직경로 등에서는, 피니언기어(17)는 마출구름면(37)이 사용되지 않는 다른 하나의 랙 고정부재(32d)에 고정된 랙(38)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운반기(1)의 이동 작동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자동운반기(1)의 이동은, 모우터(10)의 회전력을 감속장치(14)와 구동축(15)을 거쳐서 추진회전륜(16)으로 전달하며, 마찰구름면(37) 위에서 굴러갈수 있도록 추진회전륜(16)을 마찰구름면(37)에 대해서 밀어붙힘으로써 실행한다.
이때, 자동운반기(1)의 이동은, 제1안내면(34)의 위를 굴러가는 제1바퀴 (4), 제2안내면(35)의 위를 굴러가는 제2바퀴(7), 제3안내면(36)의 위를 굴러가는 측면이동 제어바퀴(8), (9)등에 의해 흔들림 등이 없는 상태로, 수평경로가 경사진 경로 등의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서 안정되게 이동한다.
경사진 상승경로나 경사진 하강경로 또는 수직경도에서는, 피니언기어(17)와 랙(38)의 맞물림에 의해 미끄러짐이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코일(44), (45)에 전류가 흐르지않으면, 양쪽자극판(43A), (43B)의 사이를 통과하는 센서(19), (20)는 정지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그런데, 제 8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3센서(46)가 설치된 곳(특정부위)을 자동운반기(1)가 통과하면 제3센서(46)가 영구자석(21)의 상하방향에 형성된 자속(magnetie flux)(A)을 검출하므로써 검출한다.
검출된 신호는 배선(48)을 거쳐서 제어장치(96)로 보내진다.
지정된 자동운반기(1)를 지정된 위치(스테이션)(91), (92)에서 정지시키고자할 때에는 자동운반기(1)와 지정된 위치에 도착하기 전에 지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코일(44), (45)에 통전시킨다.
그러므로, 제 2 도, 제 5 도 및 제 7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에서의 자속(정지신호)(B)이 양쪽 자극판(43A), (43B)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이에 의해서, 자동운반기(1)와 함께 이동하는 센서 (19), (20)가 자속(B)을 검출하여 모우터(10)를 정지시켜서 제동시킨다.
그러므로, 자동운반기(1)는 제동거리만큼 이동한 후 정지된다.
결과적으로, 영구자석(21)은 상기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자속(A)을 검출하는 센서(46)에 대해서 대향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서, 제어장치(96)에서는 자동운반기(1)의 정지를 확인한다.
곡선경로를 이동하는 동안에는, 자동운반기(1)는 원심력에 의해 외면으로 쏠리게 되며, 이에 의해서 센서(19), (20)와 영구자석(21)은 외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제 2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양쪽 자극판(43A), (43B)중의 바깥쪽의 자극판이 낮게 이동하며, 따라서 자동운반기가 서로 충돌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자동운반기(1)가 이동하는 동안에, 자동운반기(1)의 정지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지선분기점이나 스테이션 근처에서 자동운반기(1)의 목적지에 관한 정보가 판독된다.
얻어진 판단을 근거로 하여 자동운반기(1)가 스테이션(91), (92)에 정지된 상태에서, 1D카드(83)와 전송유니트(93) 사이에서의 광학전송이 실시된다. 이때, 제어장치(96)에서는, 표시장치(85)에 표시된 자동운반기의 차대번호를 판독하여, 차대번호에 해당하는 자동운반기가 정지하고 있는 스테이션(91)을 확인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하물유무 식별번호와 목적스테이션 식별번호를 표시장치(85)에 표시하므로써, 자동운반기(1)에의 하물의 적재여부와 자동운반기(1)의 목적스테이션을 지면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판독 및 판정할 수 있다.
또, 하물의 적재상태에서 하물의 적재 또는 하역작동으로 변화하면, 변화에 해당하는 적재상태 1D카드(83)에 다시 기록하기 위해서 전송유니트(93)로부터 기록광학신호가 주어진다.
정지된 자동운반기(1)에 대해서, 전송유니트(93)로 부터의 기록광학신호에 의해 새로운 목적지가 설정되고, 자동운반기(1)는 이동을 시작한다. 집전기(18A), (18B)에 의해 집전된 전력은 제어함(80)을 거쳐서 1D카드(83)로 공급되며, 이렇게 하므로써, 전원을 쉽게 확보하게 된다.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리듐전지(87)에 의해 기록된 정보가 사라지는 것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제13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의 만곡된 경로상의 지정된 위치에 먼저 이동한 자동운반기(1A)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음에 이동한 자동운반기(1B)가 충돌하면, 후자의 자동운반기(1B)는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먼저 이동한 자동운반기(1A)의 리어범퍼(70B)가 다음에 이동한 자동운반기(1B)의 프론트범퍼(70A)와 충돌하면, 양쪽 범퍼(70A), (70B)의 가요성커버(73)의 탄성변형과 충격을 완화하는 주름형부재(73C)의 변형에 의해 충돌에 의한 충격이 흡수되며, 각각의 자동운반기(1A), (1B)가 서로 떨어졌다가 다시 충돌하는 일이 방지된다.
다음에 이동한 자동운반기(1B)의 프론트범퍼(70A)의 가요성커버(73)가 먼저 이동한 자동운반기(1A)의 리어범퍼(70B)의 가요성 커버(73)와 접촉하면, 양쪽의 가요성 커버(73), (73)를 거쳐서 양쪽의 자동운반기(1A), (1B)사이에 전류가 흘러서, 충돌이 검출되며, 정지신호 송신장치(78)에 의해 다음에 이동한 자동운반기(1B)로 정지신호가 전송되며, 이에 의해서, 모우터(10)의 회전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면서 구동력이 상실되어 자동운반기(1B)가 정지된다.
이때, 정지신호 전송장치(78)가 먼저 이동한 자동운반기(1A)의 모우터(10)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회로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이동한 자동운반기(1A)의 필요로 하는 이동의 제어에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계속해서, 먼저 이동한 자동운반기(1A)가 다시 이동하면, 이 자동운반기(1A)의 리어범퍼(70B)가 다음에 이동한 자동운반기(1BN)의 프론트범퍼(70A)와 분리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어, 다음에 이동한 자동운반기(1B)의 모터의 회전이 시작되며, 이에 의해서, 다음에 이동한 자동운반기(1B)가 이동하기 시작하고, 지정된 장소에서 정지한다.
제13도에서 가삼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다음의 자동운반기(1D)가, 지정된 장소에서 정지하고 있는 먼저 이동한 자동운반기(1C)와 충돌하면, 다음에 이동한 자동운반기(1D)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또, 제14도에 표시된, 평면상의 곡선경로에서도 곡선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자의 자동운반기(1B)나 직선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자의 자동운반기(1D)가 지정된 장소에 정지하고 있는 전자의 자동운반기(1A)와 충돌하면, 이들 자동운반기(1B), (1D)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제13도와 제1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후자의 자동운반기(1B), (1D)는 다양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전자의 자동운반기(1A), (1C)와 충돌한다. 그런데, 이때 전자의 자동운반기(1A)(1C)의 리어범퍼(70B)는 가용성 커버(73)에 의해 후자의 자동운반기(1A), (1C)의 프론트범퍼(7A)와 단지 접촉할 뿐이며, 양쪽 자동운반기 사이의 충돌력은 주름형부재(73C)에 의해 흡수되며, 따라서, 자동운반기가 서로 충돌할 때의 충돌력에 의해 충돌과 이탈이 반복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전자의 자동운반기(1A), (1C)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한다 하더라도, 접촉상태는 계속 유지되며, 전자의 자동운반기와 후자의 자동운반기 사이에서의 통전이 유지되어, 후자의 자동운반기(1B), (1D)의 자동적인 정지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시된다.
그러므로, 후자의 자동운반기(1B), (1D)가 전자의 자동운반기(1A), (1C)와 어느 방향에서 충돌한다 하더라고, 후자의 자동운반기(1B), (1D)는 정확하게 정지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여, 레일면에서의 레일측 기기(42)의 설치와 청소뿐만아니라, 덕트부재(33) 내에서의 다양한 배선작업, 배선작업후의 유지관리와 검사, 레일면에서의 레일측 기기(42)의 검사, 확인, 교환, 재배치등의 작업을 슬리트(39)와 개방부(31)에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들은, 레일장치(30)가 구조부재(57)에 의해 천장에 설치되었거나, 또한 구조부재(51)에 의해 바닥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시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자동운반기(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가 센서(19), (20)가 고정된다고하더라도, 단지 1개의 센서만 사용될 수 있다.
또, 자동운반기에서 과속이 발생되었을 때 리어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2개의 센서를 사용하며, 따라서, 전방과 후방의 어느 방향으로도 안정된 상태로 이동한다.
상기한 실시예의 한 예에서, 레일면의 레일측 기기(42)가 코일(44), (45)과 제3센서(46)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3센서(46)는 분리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레일(41A), (41B)에는, 슬리트(39)의 내표면과 대향하는 면 전체를 개폐할 수 있는 밀봉커버를 탈거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Claims (9)

  1. 자동운반기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레일장치가 설치된 자동운반기를 사용하는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레일장치(30)가, 자동운반기(1)가 이동하는 개방부(31)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면이 C자 현상인 자동운반기안내부제(32), 상기한 자동운반기 안내부재(32)가 이동하는 상기한 개방부(31)와 대향하는 면의 벽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덕트부재(33), 상기한 덕트부재(33)의 내면과 자동운반기 안내부재(32)의 내면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벽을 거쳐서 통과하도록 형성된 슬리트(39)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운반기 안내부재(32)에는, 그 내부에서 자동운반기(1)를 구동시키고 이동시키는 추진회전륜(마찰회전륜)(16)을 안내하는 슬리트(39)의 양쪽 면이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 레일장치(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쌍의 마찰구름면(안내면)(3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한쌍의 마찰구름면(37)은 레일장치(30)의 중심에 대해서 대칭인 위치에 현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자동운반기(1)에는 피니언기어(17)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마찰구름면(37)에는, 상기한 피니언기어(17)와 맞물리며 탈거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랙(3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레일장치(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볼록한 줄형상부재의 표면에 각각의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랙(38)이 이 볼록한 줄형상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벽에는 슬리트(39)를 형성하는 단부가 설치되며, 상기한 컨베이어장치에는, 자동운반기(1)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한 단부에 고정되는 공급레일(41A), (41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한 벽의 단부에는, 그 측면에 수지를 피복하여 형성한 절연성 로드부재(40A), (40B)와, 그 단부의 상기한 절연성 로드부재(40A), (40B)의 위에 공급레일(41A), (41B)이 설치되며, 벽의 상기한 단부에는 그 표면에서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63A), (63B)가 설치되고, 상기한 절연성 로드부재(40A), (40B)는, 벽의 단부에 형성된 외측삽입 오목홈(62A), (62B) 상기한 오목홈(62A), (62B)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한 제1연결부재(63A), (63B)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65A), (65B), 상기한 외측삽입 오목홈(63A), (62B)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삽입홈(64A), (64B), 상기한 벽의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3연결부재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공급레일(41A), (41B)은, 상기한 제2삽입홈(64A), (64B)에 삽입되는 삽입편(66A), (66B)과, 상기한 제3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제4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자동운반기(1)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범퍼(70A), (70B)가 설치되며, 각각의 범퍼(70A), (70B)에는, 주름(73C)이 있고 부재(71)의 전면에 형성되는 가요성커버(73)가 부착되고, 또, 범퍼(70A), (70B)를 자동운반기(1)에 고정시키는 부착부재(7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범퍼(70A), (70B)는 정지신호 송신장치(78)에 의해 공급레일(41A), (41B)과 연결되므로써, 자동운반기(1)의 범퍼가 서로 충돌하였을 때, 충돌한 그대의 자동운반기(1)사이에 상기한 정지신호 송신장치(78)를 작동시키는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기록하는 정보기록매체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자동운반기(1)와 컨베이어장치에 고정되어 있고, 레일장치(30)의 측면에 배치되며, 정보기록매체(83)에 대해서 정보를 기록하거나 판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정보기록매체가 1D카드(8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KR1019880007657A 1987-08-03 1988-06-24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KR930003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94118? 1987-08-03
JP62194118A JPS6441461A (en) 1987-08-03 1987-08-03 Transport device using self traveling vehicle
JP62-194118 1987-08-03
JP62-173524 1987-11-13
JP??62-?173524? 1987-11-13
JP1987173524U JPH0177565U (ko) 1987-11-13 1987-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608A KR890003608A (ko) 1989-04-15
KR930003067B1 true KR930003067B1 (ko) 1993-04-17

Family

ID=2649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657A KR930003067B1 (ko) 1987-08-03 1988-06-24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44230A (ko)
EP (1) EP0302223B1 (ko)
KR (1) KR930003067B1 (ko)
DE (1) DE3886123T2 (ko)
GB (1) GB2207897B (ko)
SG (1) SG35092G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61B1 (ko) * 2005-09-07 2008-02-21 전봉균 모노레일을 이용한 무인 화물 운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4698A1 (de) * 1990-05-08 1991-11-14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werkstuecken
US5355804A (en) * 1991-12-13 1994-10-18 Garcia Eduardo R Rail-guided apparatus-carrying system
US6561103B2 (en) * 2001-09-05 2003-05-13 Peck Assembly Systems, Inc. Pallet conveyor system
JP4887804B2 (ja) * 2006-01-26 2012-02-29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
US8978905B2 (en) 2010-07-02 2015-03-17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Lift systems with continuous in-rail charging
DE102013005843A1 (de) * 2013-03-27 2014-05-28 Eisenmann Ag Verwendung einer Sichtzeichen-Anzeigeeinrichtung an einem Förderwagen sowie Fördersystem
US9879457B1 (en) * 2015-02-05 2018-01-30 Weldon Industries, Inc. Trolley and track
DE102015003736A1 (de) * 2015-03-21 2016-09-22 Eisenmann Se Transportwagen und Anlage zum Transportieren von Gegenstände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5973A (en) * 1951-10-29 1955-12-06 King Donald Mayer Trolley conveyor
GB737449A (en) * 1951-10-29 1955-09-28 Donald Mayer K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veyors
GB728301A (en) * 1952-07-17 1955-04-20 Donald Mayer K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veyor systems
FR1389245A (fr) * 1964-03-28 1965-02-12 Translift G M B H Fuer Buerora Installation de transport automatique du courrier dans des bâtiments
US3521568A (en) * 1967-08-22 1970-07-21 Sanki Eng Co Ltd Cable tow conveyor
SE323629B (ko) * 1967-10-05 1970-05-04 Hansen C Maskinfabrik As
GB1289961A (ko) * 1968-07-11 1972-09-20
US3751640A (en) * 1972-02-14 1973-08-07 Rapistan Inc Code reading system
FR2233443B1 (ko) * 1973-06-12 1976-06-11 Aerail Serim
US3855937A (en) * 1974-03-14 1974-12-24 K Caudill Electrified trolley track
SE428196B (sv) * 1975-04-15 1983-06-13 Siemens Ag Transportanleggning med styrskenor for drivna transportvagnar
US4126344A (en) * 1976-04-02 1978-11-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mpressive bumper assembly
LU78204A1 (de) * 1977-09-29 1979-05-25 Bleichert Foerderanlagen Gmbh Einschienenfoerderanlage
US4375193A (en) * 1980-05-29 1983-03-01 Universal Mobility, Inc. Monorail guideway assembly
US4422384A (en) * 1981-06-16 1983-12-27 Arcair Company All position tractor
DE3334965A1 (de) * 1983-06-06 1984-12-06 Büro Patent AG, Glarus Koderueckstellvorrichtung an einer foerderanlage und verwendung der koderueckstellvorrichtung
DE3326327A1 (de) * 1983-07-21 1985-01-31 RALFS Einrichtungs-GmbH, 7346 Wiesensteig Sicherheitsabschaltung fuer fahrwagen mit eigenantrieb
CA1282729C (en) * 1986-01-27 1991-04-09 Toshiyuki Takeuchi Conveyor system utilizing linear mo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861B1 (ko) * 2005-09-07 2008-02-21 전봉균 모노레일을 이용한 무인 화물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44230A (en) 1990-07-31
DE3886123T2 (de) 1994-05-05
DE3886123D1 (de) 1994-01-20
EP0302223A3 (en) 1990-01-10
KR890003608A (ko) 1989-04-15
EP0302223B1 (en) 1993-12-08
GB2207897A (en) 1989-02-15
EP0302223A2 (en) 1989-02-08
GB2207897B (en) 1992-01-02
GB8813710D0 (en) 1988-07-13
SG35092G (en) 199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412B1 (ko) 축전부를 구비한 물품 반송차와 반송 시스템
KR930003067B1 (ko)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장치
CN108639646B (zh) 旋转升降式agv小车
KR20190033681A (ko) 독립형 휠구동유닛을 장착한 측면주행용 무인대차
JPH01146630A (ja) 車載台自動誘導システム
KR20190033680A (ko) 슬라이딩 조립방식을 이용하여 배터리탈부착이 가능한 프레임절곡형 무인대차
CN210776962U (zh) 一种用于快递柜的自动运送机构及智能快递柜
US6415721B1 (en) Storage conveyor for hybrid carrying truck
KR920009354B1 (ko) 대차반송장치
CN215286561U (zh) 用于穿梭车的换轨装置及仓储装置
CN212890660U (zh) 一种用于钢丝料盘输送的agv移动搬运小车
KR900004551A (ko) 반송용전차의 주행제어시스템
KR970010584B1 (ko) 반송장치
JP2014186449A (ja) 無人搬送車
CN221026475U (zh) 自动装卸车系统
JP2706344B2 (ja) 多段搬送台車のトロリー線接続装置
JPH0692430A (ja) 自走台車使用の搬送設備
JP3810605B2 (ja) 自動倉庫
JPH06208415A (ja) 無人搬送車を用いた作業ライン
JPS63305068A (ja) 自走車使用の搬送装置
JPH041010Y2 (ko)
JPH02210171A (ja) 駐車場設備の搬送台車走行制御方法
KR920006176B1 (ko) 자동운반기용 컨베이어 시스템
JPS6296170A (ja) モノレ−ル式搬送車用軌道の分岐装置
JP3388122B2 (ja) 物品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