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984B1 - 통신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984B1
KR930002984B1 KR1019850008635A KR850008635A KR930002984B1 KR 930002984 B1 KR930002984 B1 KR 930002984B1 KR 1019850008635 A KR1019850008635 A KR 1019850008635A KR 850008635 A KR850008635 A KR 850008635A KR 930002984 B1 KR930002984 B1 KR 930002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re
cable
filling
filling materi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436A (ko
Inventor
알베르 터스 브리지테 라그스 요한네스
반 덴 베르크 게리트
아드리안 반 다렌 페터
디드리크 라인더즈 에드와르트
Original Assignee
엔 카 에프 그뢰프 비. 브이.
페.제.페.지.시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카 에프 그뢰프 비. 브이., 페.제.페.지.시몬스 filed Critical 엔 카 에프 그뢰프 비. 브이.
Publication of KR86000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 H01B13/32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jelly-like or viscous substance
    • H01B13/323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jelly-like or viscous substance using a filling or coating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통신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제 1 도는 종방향으로 방수된 케이블 코어를 갖는 통신케이블의 단부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케이블의 단면도.
제 3 도는 케이블을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충전헤드의 종단면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충전 헤드의 일부분을 도시한 종단면도.
제 7 도는 부분적으로 절개한 충전헤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콘테이너 5 : 충전헤드
7 : 압력도관 11 : 펌프
21 : 압력조정기 25 : 충전다이
29 : 공급용기 35 : 가열요소
37 : 온도조절장치 43 : 수위조절기
51 : 내부튜브 53 : 외피튜브
A : 단일 와이어 C : 케이블 코어
J : 충전재료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통신 케이블에 있어서, 스트랜드 단일 와이어로 구성된 케이블 코어는 충전헤드를 통과하고, 주로 수산화탄소로 구성된 충전재료는 재료의 적점(drop point) 이상의 온도에서 충전헤드에 과량으로 가압하여 공급되고 케이블 코어의 원주면위에 살포되고 케이블 코어안으로 유입되며, 충전재료의 과잉량은 케이블 코어에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묻히는 전기 통신 케이블은 케이블로의 수분 및 물의 침투, 특히 케이블의 종방향으로의 물의 침투로 부터 가능한 한 보호되어야만 한다. 단일 와이어들에 종이 절연체를 마련한 케이블의 경우에는, 분리된 단일 와이어들의 종이 외피는 젖음에 따라 부풀게 될 것이고 종이에 흡수된 수분과는 별도로 물의 또 다른 침입에 대하여 실제로는 적절한 시일을 형성하기 때문에 물의 침입에 대한 장벽으로써 제공된다.
요즘에는 플라스틱 절연체를 갖는 단일 와이어의 사용이 통상적이어서, 수분 및 물의 침입에 의해 전기 토신 케이블이 손상되는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플라스틱 재료는 젖음에 의해 부풀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하여, 수분 및 물이 케이블 안으로 한번 침입하면, 케이블의 종방향으로 단일 와이어를 따라 장애없이 침입할 수 있다. 이러한 수분 및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없다면, 캐패시던트 및 크로스-토크와 같은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이 전체적으로 상당히 저해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에 침입한 물은 절연체안의 핀구멍을 통해 단일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박스안으로 물이 침입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각 전달 회로 사이에 합선이 일어날 수도 있다.
전기 통신 케이블을 종방향으로 방수시키는 여러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중 하나에 의하면, 폴리에틸렌으로 혼합된 페트로륨 젤리의 기질을 갖는 충전재료를 케이블 코어안으로 유입시킨다. 이는 충전재료의 적점이상의 온도에서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충전재료는 8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는 약 0.046Pa.s의 높은 동점성계수를 갖고 5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는 약 9.15Pa.s의 낮은 동점성 계수를 갖는 것과 같은 밀도를 갖는다.
페트로륨 젤리 기질을 갖는 충전재료를 전기 통신 케이블의 코어안으로 유입시키는 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3, 789, 099호 및 제 3, 876, 487호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방법에 의하면, 가열된 충전재료를 충전재료의 압력 충전실에 과량으로 가압공급하며, 충전재료의 축방향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공급된 충전재료의 과잉량이 배출되도록 압력 충전실과 압력 릴리프실 사이에 압력 구배를 형성한다. 이러한 공지의 방법은 충전재료의 압력과 속도의 조합에 근본을 둔 것이다. 압력 충전실안의 케이블 코어는 모든 측면상에서 압력을 받기 때문에 약간 조이게 되고 그 결과 충전재료의 침투가 방해된다. 압력 충전실안의 압력에 관해 살펴보면, 이러한 실이 밀봉되어야만 하고 이에 따라 많은 문제가 일어난다. 시일이 기밀한 시일이라면, 케이블 코어가 압축되는 그리고 어떠한 경우에는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 코어의 부실한 충전이 이루어진다. 시일이 헐거운 시일이라면, 케이블 코어안으로 충전재료를 가압하도록 압력 충전실안에 충분한 압력이 발생되지 않는 사고가 발생된다. 이는 또한 부실하게 충전된 코어 케이블을 제조하게 된다. 또한, 처리될 테이블 코어의 직경에 적합한 시일을 다른 칫수의 케이블을 동일 장치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교체되어야만 한다.
영국 특허 제 1, 502, 375호에는 상기의 단점을 시일로써 가요성의 팽창 가능한 슬리브를 사용하므로써 극복한 방법 및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케이블 코어의 조임(pinching), 케이블 코어의 손상과 압력 충전실안의 불충분한 생성 압력등의 단점이 존재한다. 상기의 문제점은 비교적 많은 수의 단일 와이어로 구성된 케이블 코어와 같은 복수 와이어 케이블 코어를 충전시키는 공정시에 상당히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갖지 않고 특히 손쉽게 재생 가능한 방법으로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되도록 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목적은, 주로 충전재료를 케이블 코어의 원주연에 걸쳐 분배된 여러개의 자유 제트로 분할하므로써, 정압력의 동압력으로의 거의 완전한 전환이 이루어지고 정압력의 동압력으로의 전환이 케이블 코어에 영향을 주는 방법으로 케이블 코어의 외부층을 통한 케이블 코어의 중심쪽으로의 축방향 속도성분의 발생없이 충전재료를 순수한 방사상 방향으로만 고속으로 분사시키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충전재료는 가입되지는 않으나 케이블 코어로 분사된다. 충전재료의 정압력은 전환손실 및 마찰손실 등과 같은 필수적인 손실을 제외하고는 거의 완전히 동압력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손실은 베르누이의 공식 "
Figure kpo00001
"에 따라 열로 전환된다. (여기서, Pt는 전체 압력(Pa), Pst는 정압력(Pa), V는 속도(m/sec),
Figure kpo00002
는 밀도(kg/m2) 그리고
Figure kpo00003
는 손실계수이다).
Figure kpo00004
는 동압력이다. 충전재료가 동압력을 받지 않고 정압력이 생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하여, 시일이 있는 압력실이 필요없고 케이블 코어가 조여지지 않는다. 고정압력, 다시 말해 충전재료의 높은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분리된 코어를 멀리 밀고, 개구부를 형성하여 충전재료의 보다 깊은 관통깊이와 훌륭한 분사와 동시에 케이블 코어의 완전하고 균일한 충전이 이루어진다. 가열된 충전재료가 과량으로 공급되고 고속으로 분사될때, 이러한 많은 열의 공급은 응고면이 케이블 코어의 중심쪽으로 적어도 가능한 한 멀리 이동되고 제트의 방사상 평면안에 전혀 응고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열 공급에 의하여, 충전의 균일성 및 질이 양호하게 된다. 한편, 충전재료가 케이블 코어안으로 유입되었을대, 비교적 빠른 응고가 이루어지고, 이는 비교적 짧은 냉각 궤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는 공정 직후에 필요한 어떠한 박판과 플라스틱 덮개를 케이블 코어로 부터 충전재료를 누출시키는 사고없이 케이블 코어에 적용시킬 수 있다. 설명한 열효과는 케이블 코어의 각각의 분리된 선처리 후처리, 특히 가열 및 냉각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실험에 의하면, 특히 복수 와이어 케이블 코어를 충전시키는 경우에, 충전재료는 케이블 코어에 흡수되는 충전재료량의 적어도 10배 이상의 과량으로 공급한다. 케이블의 형태 및 단일 와이어의 수에 따라, 이러한 과량은 16배 내지 70배 까지 증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수단에 의해, 완전히 연속된 다른 형태의 케이블을 재생 가능하고 손쉬우며 경제적인 방법으로 종방향으로 방수시킬 수 있다.
본 방법은 특히 4800개의 단일 와이어와 그 이상으로 구성된 케이블 코어와 같은 복수의 와이어 케이블 코어를 단일 작업 공정으로 충전시키기에 적합한 것이 판명되었다.
충전재료를 분리된 제트로 분할하고 정압력을 동압력을 전환시키는 공정은 충전헤드와, 충전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펌프와의 사이에 충전헤드의 상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연후에 충전재료는 예를들어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고 케이블 코어로 분사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는 동압력을 정압력으로 전환시키는 공정과, 충전재료를 여러개의 제트로 분할하는 공정이 충전헤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압력의 동압력으로의 전환이 충전헤드안에서 이루어질때, 충전재료는 거의 전환 손실없이 케이블 코어로 직접 분사된다(4개 내지 8개의), 제한된 갯수의 제트가 케이블 코어 또한 복수 와이어 케이블 코어를 완전히 충전시키는 데 충분한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제트의 수는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충전재료가 단일 열의 제트로 분할된다는 사실에 의하면, 충전공정의 신뢰도 및 산업성이 양호하다. 만일 충전재료가 여러 열의 제트로 분리된다면, 여러가지 연속적인 열의 제트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충전의 균일성이 손상될 수 있다.
제트는 예를들어 동일 방사상 평면으로 유도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또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리된 제트가 케이블 코어의 종방향으로 서로 빗겨져 있다. 이러한 수단은 단일 와이어가 제트에 의해 함께 가압되는 것을 피하고 케이블 코어의 충전공정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또다른 추가 공정 단계에서 충전재료를 적점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과량으로 케이블 코어의 외부면에 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가공정은 케이블의 외주연에 충전되도록 하고, 종이나 플라스틱 그리고 금속과 같은 재료의 권취 또는 절첩층을 케이블 코어에 형성하는 또다른 공정 단계에 충전재료의 피복층을 마련한다. 물론, 이러한 추가적인 공정단계에서는 필요가 없으므로,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케이블 코어에 충전재료를 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수단에 의해 그의 케이블 코어가 종방향으로 방수된 전기 통신 케이블은 복수 와이어 케이블이 2400개와 그 이상의 와이어쌍으로 구성될지라도 코어의 중심으로 케이블 코어가 균일하게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장치는충전재료용 용기와 충전헤드 그리고 상기 충전헤드에 충전재료를 공급시키기 위한 펌프와 충전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헤드는 환상 압력실과 중앙 통로실로 구성되고, 압력실이 펌프에 연결된 동시에 분리된 벽안의 일련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통로실과 연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장치는 통로실이 어떠한 제한없이 한 단부로부터 충전헤드의 다른 단부로 연장되고 양 단부가 개방되고 자유롭게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로실은 압력이 없어서 밀봉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처리될 케이블 코어가 어떠한 접촉없이 충전헤드를 통해 통과할 수 있도록 큰 칫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압력 릴리프실이 필요없다. 시일 다이와 시일 슬리브와 같은 마모에 민감하고 분배에 예민한 시일 요소가 없음에 따라, 그리고 통로실의 큰 통로에 의해서, 주어진 범위의 직경안의 다른 케이블 형태에 따라 구조를 변화시킬때 부품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다른 직경 범위의 케이블 형태로 바꾸었을때, 분리벽을 구성한 요소를 통로실로 교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배출, 가열 또는 냉각과 같은 테이블 코어의 전 또는 후처리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는 단계시에 수행하지 않는다. 그 단부에 필요한 요소 및 부분이 없기 때문에, 본 장치의 길이는 이미 제한된다. 시일요소와 압력 릴리프실이 없기 때문에 충전헤드의 축방향칫수는 매우 소형이며, 전체 장치의 길이가 보다 감소된다. 장치의 최대 유효길이는 약 2m이다. 장치가 케이블의 제조를 위한 완전한 라인의 일부분을 형성할 것이므로,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게 이미 구동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케이블 코어를 변위시키는 분리된 구동 유니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의 양호한 실시예는 분리벽안의 오리피스가 오리피스안의 충전재료의 정압력을 거의 완전히 동압력으로 전환되도록 그 형상 및 칫수를 갖는다. 실험은 제트당 약 70m/sec의 속도에서 복수 와이어 케이블 코어가 2400쌍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까지도 케이블 코어의 중심까지 가능한 한 먼 관통 깊이 등의 적절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충전재료의 필요한 유량에서 한편으로는 구멍의 상류에서 압력실안의 정압력이 최대 발생되고 이와 동시에 필요한 속도에서 스프레이 효과없이 소형 제트가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오리피스에서 정압력이 동압력으로 전환되도록 구멍의 수 및 그 칫수를 결정한다.(4개 또는 그 이상의) 오리피스의 수와(실제로 1 내지 7mm의) 지경이 상호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 열의 오리피스를 분리벽안에 마련하고, 이에 따라 충전헤드의 축방향 칫수가 최소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소형 구조로 기여한다.
본 발명의 장치의 또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각 오리피스가 분리된 방사상 평면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예를들어 오리피스는 분리된 외주 연위에 나선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기인하여 비교적 적은 길이의 충전 헤드로써, 케이블 코어의 부분위로 충전재료의 훌륭한 분사가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언급한 특허 명세서로부터 충전다이의 외주연위로 나선형으로 오리피스가 분포된 것을 알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여러 열의 개구부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많은 수의 부품을 가지며 보다 복잡하다. 다른 케이블 형태의 고체에는 많은 수의 재조정 작업을 필요로 한다. 케이블 형태당 공구의 가격이 보다 높아진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케이블 표어의 이송방향에서 볼때 충전헤드위에 설치된 충전다이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충전다이의 수단에 의해, 이미 충전된 케이블 코어에는 케이블 코어의 외부면에 충전재료에 피복을 가하기 위한 부가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전기 통신 케이블(T)의 실시예는 주로 예를들어 방습 플라스틱 재료등과 같은 권취된 또는 접혀진 박판(F)으로 감싸여진 케이블 코어(C)로 구성된다. 방송덮개는 박판(F)을 감싸고, 이 방수덮개(W)는 플라스틱 재료층을 마련한 알루미늄 테이프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플라스틱 재료의 외피(S)는 덮개(W)상에 압출된다.
이러한 전기 통신 케이블이 지하에 묻히게 된다면, 두개의 강철 테이프의 권취층과 폴리에틸렌 외피로 구성된(도시되지 않은)외장을 외피(S)상에 마련할 수 있다. 케이블코어(C)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의 절연외피(P)를 마련한 구리 와이어(K)로 구성된 단일 와이어(A)로 구성된다. 단일 와이어(A)는 케이블 코어(C)를 형성하도록 필요하다면 유니트를 통해 쌍을 져서 꼬여진다. 케이블 코어의 제작시에 단일 와이어와 쌍 사이에 틈 및 간극(V)을 형성한다. 케이블 코어(C)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틈 및 간극(V)은 폴리에틸렌이 혼합될 수도 있는 페트로륨 젤리의 기질을 갖는 충전재료(J)로 충전된다. 이러한 충전재료는 또한 케이블 코어의 외주연에도 사용된다.
도시된 케이블은 하나의 예로써, 주어진 것이다. 많은 변형된 다른 형태의 케이블, 즉 상기의 케이블과 구성 및 재료 모두가 다른 케이블들은 잘 알려져 있다.
제 3 도에는 케이블 코어(C)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장치(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치(1)은 고정 충전헤드(5)가 설치된 콘테이너(3)로 구성되며, 콘테이너는 압력 도관(7)을 통해 펌프(11)에 연결되며, 펌프(11)는 전기모터(13)에 의해 구동된다. 펌프(11)의 입구측은 흡입도관(15)을 통해 필터(17)와 차단 밸브(19)를 지나 용기(3)에 연결된다. 펌프(11)와 충전 헤드(5)사이에는 압력도관(7)에 연결된 압력조정기(21)와 압력 게이지(23)가 마련된다. 관형 충전다이(25)는 압력도관(27)을 통해 공급용기(29)와 함께 내장펌프(31)에 연결된다. 압력게이지(33)는 압력도관(27)에 연결된다. 콘테이너(3)는 전기적 가열요소(35)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는 콘테이너(3)안에 수위(L)까지 충전된 젤리형 충전재료를 가열하도록 작동한다. 콘테이너(3)안의 충전재료의 온도는 가열요소(35)에 연결된 온도 조절장치(37)의 수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콘테이너(3)는 밸브(41)를 갖고 있는 공급도관(39)에 연결된다. 콘테이너는 공급도관(39)을 통해 충전재료를 보충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콘테이너안의 충전재료의 균일한 온도분포가 이루어지도록 콘테이너(3)안에(도시되지 않은)교반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수위 조절기(43)는 콘테이너안의 충전재료(J)의 수위(L)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한다. 일점쇄선(C)은 처리될 케이블 코어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고 이는 화살표(Z)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4 도는 충전헤드(5)의 종단면도이며, 이러한 충전헤드는 장치의 필수 부품으로 주로 내부튜브(51)와 외피튜브(53)로 구성되며, 외피튜브의 직경은 내부튜브의 직경보다 크다. 내부튜브의 외측면상에는 두개의 링(55, 57)이 마련된 동시에 외피튜브(53)는 그 내측면상에 두 부시(59, 61)를 마련하고 있다. 부시(59, 61)의 내경과 링(55, 57)의 외경은 링이 부시안으로 적절히 끼워지도록 그 칫수가 형성된다. 링(55)는 링의 외주연의 일부 둘레로 각각 연장된 두개의 반경방향으로 대향한 홈(63)을 그 외측면상에 마련한 동시에 외피튜브(53)의 벽과 부시(59)안에는 두개의 반경방향으로 대향한 홈(65)을 형성하며, 이는 각각 외피튜브(53)와 부시(59)의 외주연의 일부 둘레로 연장된다. 충전헤드(5)의 조립체에서, 링(55, 57)는 홈(63)이 홈(65)과 마주칠때 링(55)이 부시(59)상의 견부(67)과 맞물릴때 까지 부시(59, 61)안으로 삽입된다. 내부튜브(51)와 외피튜브(53)는 홈(63)안에서 맞물리도록 홈(65)을 통해 통과하는 U형 스프링 칩(69)의 수단에 의해 상대적인 축방향의 변위에 대하여 고착된다. 부시(59, 61)는 시일링(75, 77)이 각각 장착된 홈(71, 73)을 그 내부면에 마련하고 있다. 외피튜브(53)의 외부면상에는 콘테이너(3)안에 충전헤드(5)를 현수시키도록 하는 두개의 고정 브래켓(83)이 마련된다.
외피튜브(53)에는 압력도관(7)의 일부를 형성하는 파이프(89)가 연결된 공급 개구부(87)를 마련하고 있다. 내부튜브(51)의 벽에는 분리된 방사상 평면안에 위치한 동시에 튜브의 축에 대하여 이격된(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도시된)여러개의 제트 오리피스(91)의 마련된다. 내부튜브(51)와 외피튜브(53)사이의 환상공간(93)은 공급 개구부(87)와 파이프(89)그리고 압력 도관(7)을 통해 펌프(11)와 연통되고, 압력실로써 작동한다. 오리피스(91)를 통하여, 이러한 압력실은 내부튜브(51)내부의 공간과 연통되고, 이 공간은 통로실(95)로써 작동한다. 통로실(95)은 어떠한 장애물 없이 내부튜브(51)의 한 단부로 부터 다른 단부까지 연장된다. 처리된 케이블 코어(C)는, 케이블 코어의 직경(d)이 내부튜브(D)보다 작고 슬리브 및 다이등과 같은 시일 부재등이 없으므로, 큰 간격의 방사상 간격을 갖는 통로실(95)을 통해 통과할 수 있다. 통로실(95)은 코어 케이블의 충전 공정시에 거의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외피튜브(53)와 내부튜브(51)가 분리되어 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두 도면은 충전헤드의 간단한 구성이 명백해 도시되어 있으며, 충전헤드는 마모될 만한 부품을 가지고 있지 않다. 내부튜브는 직경이 다른 일련의 케이블 코어의 처리에 적합하다. 처리될 케이블 코어가 내부튜브(51)의 내경(D)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면, 보다 큰 직경(D)을 갖는 그리고 필요하다면 외피튜브(53)안에 끼워지는 많은 수의 오리피스(91) 갖는 내부튜브(51)를 마련하며, 이러한 보다 큰 내부튜브는 일련의 다른 케이블 코어를 충전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제한된 구성 부품으로써 일련의 유용한 모든 케이블 형태를 처리할 수 있다.
제 7 도는 제 1 도의 일전 점섬 사각형(E)으로 표시된 부품의 부분 절개 사시도로써, 이 부품은 충전헤드(5)와 충전다이(25)로 구성된다. 충전헤드(5)는 이미 제 4 도 내지 제 6 도에 의해 설명하였다. 충전다이(25)는 주로 공급 파이프(98)에 연결된 튜브(97)로 구성되고, 이는 공급 용기(29)로 부터 연결된 압력도관(28)의 일부를 형성한다. 충전다이(25)의 수단에 의하여 이미 충전된 케이블 코어의 외부면에 피복층을 피복한다. 충전다이(25)에 공급된 충전재료는 예를들어 적점 아래의 온도인 분사된 충전재료 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다. 튜브(97)의 내경은 처리된 케이블 코어가 일정한 간격으로 충전다이를 통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야만 한다. 충전재료는 과량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과잉 충전재료는 축방향으로 역류하여 콘테이너(3)안으로 귀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통신 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충전시키는 방법을 하기 예로써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장치(1)은 충전된 케이블 코어 둘레에 박판(F)을 권취시키기 위한(도시되지 않은)절첩 스테이션 또는 권취 헤드의 정면에 위치한다. 공간이 있다면, 장치(1)는 제조라인과 일체로 할 수 있으며, 스트랜딩 스테이션 뒤에 직접위치 시킬 수 있다. 처리된 케이블은 캡스텐이나 캐터-필러 또는 권취릴등과 같은 절첩 스테이션 또는 권취 헤드뒤에 이미 위치한 구동수단에 의해 장치를 통해 이송된다.
콘테이너(3)는 수위 조절기(43)에 의해 유지된 수위(L)까지 충전재료(J)로 채워진다. 가열요소(35)를 작동시키므로써, 충전재료(J)는 적점위의 온도로 가열된다. 필요한 온도는 온도 조절장치(37)의 수단에 의해 조정되고 유지된다. 압력조정기(21)는 처리된 케이블 코어에 필요한 주어진 압력으로 조정한다. 한편, 처리된 케이블 코어는 장치(1)를 통해 통과하고, 충전헤드(5)와 충전다이(25)를 통해 꿰어지고, 그 뒤에 위치한 절첩 스테이션 또는 권취 헤드안으로 유입된다. 조정된 온도에 도달했을때, 펌프(11, 31)를 작동시킨다. 케이블 코어(C)는 장치를 통해 인출되고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충전헤드(5)를 통해 통과할때 연속 공정단계에서 충전재료(J)로 충전되며, 충전다이(25)를 통해 통과할때 충전재료의 층을 마련한다. 충전헤드(5)의 상세한 구조는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다. 충전재료는 압력 조절기의 수단에 의해 계량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압력 조정기가 조정할 설정압력을, 피드백 연결기(99)를 통하여 펌프(11)를 구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전기모터(13)의 속도를 조정하므로써 유지시킨다. 차단밸브(19)는 서어비스 밸브로써 작동하고 필터(17)의 세척중에 흡입도관(15)을 차단하도록 작동한다.
도시된 장치의 수단에 의하여, 아래와 같은 칫수의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 처리하였다. 그 인자는 다음과 같다.
케이블 코어(C)의 외경(d) …61mm
단일 와이어의 수 …1808
와이어 직경 …1.04mm
내부튜브(51)의 내경 …65mm
오리피스(91)의 수 …4
오리피스(91)의 직경 …3.5mm
다이튜브(97)의 내경 …65mm
충전재료 …페트로륨 젤리
직점(Td) …75℃
압력조정기(21)의 조정된 압력 …1500KPa
주펌프(11)의 유량 …2.3dm3/sec
펌프(31)의 유량 …0.2dm2/sec
제트의 분사속도 …52m/sec
케이블코어(C)의 이송속도 …5m/min
동일 충전헤드의 수단에 의하여, 도시된 예와 그 인자가 매우 다른 그리고 필요하다면 적절한 압력 및 이송속도를 갖는 다른 케이블을 종방향으로 방수시킬 수 있다. 총전다이(25)는 필요하다면 케이블 직경에 적합한 다른 충전다이로 교체할 수도 있다. 보다 넓은 범위의 직경을 갖는 케이블 코어의 처리를 위하여, 단지 내부튜브(51)만을 교체한다. 그러면, 다른 내부튜브는 주어진 범위의 직경을 갖는 케이블 코어의 처리에 적합할 것이다.

Claims (11)

  1. 스트랜드된 단일 와이어로 구성된 케이블 코어가 충전헤드를 통해 통과하고 주로 수산화탄소로 구성된 충전 재료를 재료의 적점위의 온도로 충전헤드와 과량으로 그리고 가압 공급하고 케이블 코어의 외주연위로 분사되고 케이블 코안으로 유입되며 케이블 코어에 흡수되지 않은 과잉량은 배출되는, 전기통신 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정압력의 동압력으로의 거의 완전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충전재료가 케이블 코어의 외주연에 걸쳐 분배된 다수의 자유 제트로 분할되고, 충전재료는 케이블 코어안에서 동압력이 정압력으로 재전환이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적어도 케이블 코어의 중심으로 케이블 코어의 외부층을 통해 고속으로 순수히 방사상 방향으로만 그리고 축방향 속도성분의 발생없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정압력을 동압럭으로 전환시키는 단계와 충전재료를 다수의 제트로 분할하는 단계가 충전헤드안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충전재료가 단일열의 제트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리된 제트가 케이블 코어의 종방향으로 보아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또 다른 부가적딘 공정 단게에서, 충전재료가 적점 아래의 낮은 온도에서 과량으로 케이블 코어의 외부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케이블 코어를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항의 방법의 수단에 의해 종방향으로 방수된 전기 통신 케이블.
  7. 충전재료용 콘테이너와 충전헤드 그리고 상기 충전헤드에 충전재료를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충전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충전헤드가 환상 압력실과 중앙 통로실로 구성되어 상기 압력실이 펌프에 연결된 동시에 분리벽안의 일련의 오리피스를 통해 통로실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압력실이 어떠한 제한없이 충전헤드의 한단부로 부터 다른 단부로 연장되고 양단부에서 개방되며 인접주위와 자유롭게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분리벽안의 오리피스가, 오리피스안의 충전재료의 정압력을 거의 완전히 동압력으로 전환시키도록 그 형상 및 칫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단일열의 오리피스를 분리벽안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각 오리피스의 분리된 방사상 평면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케이블 코어의 이송방향으로 보아 충전헤드 뒤에 설치된 충전다이를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50008635A 1984-11-19 1985-11-19 통신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930002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403514 1984-11-19
NL8403514A NL8403514A (nl) 1984-11-19 1984-11-19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langswaterdicht maken van de kabelziel van een telecommunicatiekab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436A KR860004436A (ko) 1986-06-23
KR930002984B1 true KR930002984B1 (ko) 1993-04-16

Family

ID=198447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634A KR860004275A (ko) 1984-11-19 1985-11-19 통신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1019850008635A KR930002984B1 (ko) 1984-11-19 1985-11-19 통신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634A KR860004275A (ko) 1984-11-19 1985-11-19 통신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690718A (ko)
EP (1) EP0182420B1 (ko)
JP (1) JPS61128418A (ko)
KR (2) KR860004275A (ko)
CN (1) CN1007097B (ko)
AT (1) ATE50081T1 (ko)
CA (1) CA1256276A (ko)
DD (1) DD239292A5 (ko)
DE (1) DE3575807D1 (ko)
FI (1) FI82783C (ko)
IE (1) IE56885B1 (ko)
NL (1) NL8403514A (ko)
SU (1) SU1491348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8396C2 (de) * 1988-03-12 1995-05-04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ventil
US4964363A (en) * 1989-06-06 1990-10-23 Essex Group, Inc. System of assembly and filling large cables in a single pass at a single station
DE4317497A1 (de) * 1993-05-26 1994-12-01 Kabelmetal Electro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längswasserdichter Kabel
DE4436529A1 (de) * 1994-10-13 1996-04-18 Kabelmetal Electro Gmbh Verfahren zum Längsabdichten vieladriger Nachrichtenkabel
JP4141651B2 (ja) 2001-02-28 2008-08-2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4707286B2 (ja) * 2001-09-20 2011-06-22 コクヨ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の取付構造
US20090133895A1 (en) * 2007-09-19 2009-05-28 Robert Allen Water-Blocked Cable
CN101973106A (zh) * 2010-10-11 2011-02-16 南君洲 一种用于制造软排线的注塑装置
DE102014206000A1 (de) * 2014-03-31 2015-10-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Kühlvorrichtung
EP3229567B1 (de) * 2016-04-06 2019-06-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nische baugruppe der automatisierungstechnik
CN117612805B (zh) * 2024-01-23 2024-04-09 天津小猫天缆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制造硫化前缆芯与绝缘层高密连接的专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1622A (en) * 1970-11-13 1972-06-20 Bethlehem Steel Corp Method of forming seal for multi-wire strand
US3767454A (en) * 1971-06-21 1973-10-23 Western Electric Co Methods of manufacturing waterproof cable
US3876487A (en) * 1971-11-09 1975-04-08 Western Electric Co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aterproof cable
US3789099A (en) * 1971-11-09 1974-01-29 Western Electric Co Methods of manufacturing waterproof cable
US4106961A (en) * 1974-06-28 1978-08-15 N.K.F. Kabel B.V. Method of manufacturing a longitudinally watertight telecommunication cable
DE2529520A1 (de) * 1975-06-30 1977-01-27 Siemens Ag Laengsdichtes koaxiales elektrisches kabel
NL7705840A (nl) * 1977-05-27 1978-11-29 Nkf Groep Bv Langswaterdichte kabel en mofverbinding.
NL8000084A (nl) * 1980-01-08 1981-08-03 Nkf Groep Bv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van een langswaterdichte kabel alsmede de aldus verkregen langswaterdichte kabel.
GB2085324B (en) * 1980-10-16 1983-11-09 Pirelli General Cable Works Filling electric cables
US4568400A (en) * 1984-09-07 1986-02-04 Nordson Corporation Circular cable coating nozzle for applying waterproof covering to c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E56885B1 (en) 1992-01-15
IE852868L (en) 1986-05-19
DE3575807D1 (de) 1990-03-08
NL8403514A (nl) 1986-06-16
CN85109134A (zh) 1986-05-10
US4690718A (en) 1987-09-01
JPS61128418A (ja) 1986-06-16
EP0182420B1 (en) 1990-01-31
KR860004436A (ko) 1986-06-23
EP0182420A1 (en) 1986-05-28
CA1256276A (en) 1989-06-27
FI82783C (fi) 1991-04-10
CN1007097B (zh) 1990-03-07
SU1491348A3 (ru) 1989-06-30
ATE50081T1 (de) 1990-02-15
DD239292A5 (de) 1986-09-17
KR860004275A (ko) 1986-06-20
FI82783B (fi) 1990-12-31
FI854515A (fi) 1986-05-20
FI854515A0 (fi) 198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984B1 (ko) 통신케이블의 케이블 코어를 종방향으로 방수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US4341440A (en) Undersea optical fiber telecommunications cable
US4422718A (en) Submarine optical fiber cable
US3789099A (en) Methods of manufacturing waterproof cable
EP1047818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twisted cable and the cable produced thereby
US3876487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aterproof cable
GB1364856A (en) Method of waterproofing cables
US441915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elecommunication cables filled with expansible powder
US3601967A (en) Manufacture of multiconductor cables
US2298748A (en) Method of making electric cables
EP0088519A1 (en) Optical fibre cables
US4740261A (en) Extrusion methods and apparatus
CN113393959B (zh) 海缆及其制造方法、涂覆设备
EP0108510A1 (en) Telecommunication cable manufacture
JPS6349714A (ja) 防水光ケ−ブルの製造方法
CN113421719A (zh) 一种中压电缆三层共挤连续挤出生产套模装置及方法
CA1147935A (en) Process and plant for manufacturing telecommunication cables
CN217562304U (zh) 一种纵向阻水导体连续化生产设备
US4874442A (en) Method for applying strand filling compound
DE7640703U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innen mit wenigstens einem draht oder kabel versehenen rohren aus thermoplastischem harz
CN211858261U (zh) 一种制作缠绕引流线多层屏蔽控制电缆的专用放线装置
GB1421109A (en) Process fro producting electric cable insulated with cured polymeric material
CN212161368U (zh) 复合型横向水密电缆
FI66500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yllning av en kabelkaerna med mot vatten skyddande aemne
EP0247655A1 (en) Manufacture of a longitudinally watertight optical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