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176B1 - 콩가루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콩가루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176B1
KR930002176B1 KR1019900022981A KR900022981A KR930002176B1 KR 930002176 B1 KR930002176 B1 KR 930002176B1 KR 1019900022981 A KR1019900022981 A KR 1019900022981A KR 900022981 A KR900022981 A KR 900022981A KR 930002176 B1 KR930002176 B1 KR 93000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soymilk
stirring
motor
coagu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382A (ko
Inventor
김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00022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176B1/ko
Publication of KR92001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콩가루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제조기의 개략도.
제 2도는 통상적인 정류자 모터의 토오크 : rpm 곡선도.
제3도는 통상적인 컨덴서 모터의 토오크 : rpm 곡선도.
제4도는 종래의 콩 사용시 두부 제조공정 플로우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콩가루 사용시 두부 제조공정 플로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심분리통 2 : 캡
3 : 추출공 4 : 케이스
5 : 교반날개 6 : 원심분리통 동력전달부
7 : 클러치부 8 : 콘덴서모터
10 : 두유분출구 11 : 응고통
12 : 히터 13 : 교반장치
14 : 모터 15 : 응고제통
16 : 밸브 17 : 순두부배출구
18 : 물받이통 19 : 성형틀
20 : DC모터 21 : 벨트
22 : 압력판
본 발명은 가정용 두부 제조기에 관한것으로 특히 콩을 사용하기 많고 콩가루를 사용하므로써, 두부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음이 감소될 수 있게한 가정용 두부 세조기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가정에서의 두부 제조방법은 콩을 물에 5시간∼8시간 정도 불리고, 이 콩을 믹서기나 맷돌등으로 미세하게 간후에 물을 콩의 9∼10배 가량 정도되게 물과 간콩을 혼합하여 가열한후 광목등으로 이 혼합물을 짜서 비지를 걸러낸다. 이때 두유가 나오고 상기 두유를 간수를 넣어서 응고시키면 순두부 상태가 되고 여기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면 두부가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두부 제조방법은 번거롭고 많은 시간과 기구들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가루와 물을 골고루 섞으면서 적당한 침지시간(약 30분정도)을 거친후 원심분리하여 비지는 걸러내고 얻어진 두유에 응고제를 투입하여 두유를 응고시켜 얻어진 순두부 상태 두부를 압축, 성형하여 두부를 얻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에서 두부를 얻기위한 장치를 제1도를 참고로 살펴보면, 우선 원통형 원심분리통(1) 윗부분에 추출공(3)이 있어 캡(2)과 결합되게 되어있고 캡(2)에도 추출공(3)이 있어 필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통(1)이 케이스(4)로 둘러쌓이고 케이스(4) 하단부에 두유 분출구(9)가 있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통내에 콩가루와 물을 골고루 섞기위한 교반날개(5)가 있고 원심분리통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가 원심분리통(1)밑에 결합되어있고 교반날개(5)와 동력전달부(6)는 클러치(7)부에 연결되어져 콘덴서모터(8)의 동력이 교반날개(5)와 원심분리통의 동력 전달부에 선별적으로 전달되어질 수 있게 했다.
즉 물과 콩가루를 교반할때에는 교반날개(5)만 회전하고, 원심분리시에는 원심분리통(1)과 교반날개(5)를 동시에 회전하게 된것이다.
교반이 완료되면 원심분리 작용으로 원심분리통 케이스에 있는 두유 분출구(10)에서 나온 두유는 응고통(11)에 담겨지고, 이 두유를 가열하는 히터(12)가 응고통(11) 표면에 설치되어 있고, 응고통 하부에 교반장치(13)가 있어 응고제를 투입할때 응고제가 두유에 골고루 섞이도록 하여준다. 또한 상기 교반장치(13)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4)를 응고통(11) 하단에 설치한다. 상기 두유에 응고제를 투입하여 응고된 상태를 순두부라하고, 이 순두부를 성형틀로 보내주기 위한 순두부 배출구(17)가 응고통 하부에 설치되고, 이 순두부배출구에는 밸브(16)를 설치하여 성형에 알맞는 양의 순두부를 밸브개폐로 조정하여 성형틀(19)에 공급한다. 성형틀(19)에 공급된 순두부 상태 두부는 모터(20) 구동으로 압력판(22)을 하강시켜 두부를 압축하여 성형하고 순두부를 성형할때 빠져나온 물은 성형틀 밑면의 홀을 통하여 밑에 물받이통(18)에 고이게 된다.
상기한 구조로된 가정용 두부 제조기로 두부를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원심분리통(1)에 콩가루와 물을 넣어주고 뚜껑(23)을 닫고 약 30분 정도의 침지시간동안 교반날개(5)를 회전시켜 골고루 섞으면서 침지시킨다. 그 후에 모터구동으로 클러치부(7)로 동력을 전달하여 원심분리통(1)을 회전시키면 추출공(3)을 통하여 두유는 두유분출구(10)을 통하여 응고통(11)에 들어오고 비지는 원심분리통(1)안에 남게된다.
응고통(11)에 들어온 두유는 응고통(11)에 설치된 히터(12)에 의하여 100℃정도에서 약 10분간 가열된다.두유를 약 10분간 가열한후 식히면서 두유의 온도가 약 70∼80℃에 이르렀을때 응고제통(15)속의 응고제를투입한다.
응고제를 투임하기 이전에 모터(14)를 구동하여 교반장치(18)의 회전으로 응고제가 골고루 섞이게 한다. 이때까지 밸브(16)는 닫혀있어서 두유의 배출을 막고 있다가 약 5∼6분이 경과하면 응고제로 인하여 두유의 수용성 단백질은 조직을 형성하고 응고되어 순두부상대가 된다.
이때 밸브(16)을 열면 순두부 배출구(17)를 통해 순두부가 성형틀(19)로 투입되고 이때 밸브(16)를 빠른시간으로 '온''오프'하여 주면 순두부가 잘게 부수어지면서 성형틀(19)에 유입되고 그속의 물도 쉽게 빠지게 된다. 순두부가 성형틀(19)에 전부 들어오면 모터(20) 구동으로 압력판(21)을 하강시키면 순두부의 내부에 남아있는 물이 물받이통(18)으로 나오고 적당한 시간이 경과한후에 압력판을 후퇴시키면 성형틀(19)에서 두부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도와 제3도는 각각 정류자 모터의 토오크-rpm 곡선, 콘덴서 모터의 토오크-rpm 곡선을 도시한것으로, 그래프도에서 로드라인(load line)이 부하의 양을 알려주는 곡선이고, 모터의 토오크-rpm 곡선과 로드라인이 만나는 점에서 모터는 운전된다.
통상의 믹서기는 높은기동 토오크와 높은 rpm 성능을 갖는 정류자 모터를 사용하여 믹서기의 모터에 걸리는 부하는 초기에는 매우 큰힘 즉 높은기동 토오크에 걸리고 즉 높은기동 토오크 교반시에는 매우 높은 rpm이 되어야 교반이 잘된다.
이러한 요구에 만족하는 모터는 정류자 모터가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이 모터의 높은 rpm 특성은 매우 큰 소음을 발생시키므로 두부 제조기에 콩을 가는 기능이 있게 하려면 약 10,000rpm 정도로 고속 rpm으로 모터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당한 소음이 발생한다.
이 동일한 모터로 원심분리를 행할때 기동시에는 rpm이 적지만, 어느정도 원심분리가 진행되었을때에는 상당히 고 rpm으로 회전하고 이때 제조기의 진동.소음이 증가되고 불안해진다.
또한 클러치사용에 허용되는 최고 rpm에 의하여 제한되게 되어있어, 두부제조때 콩가루를 사용하면 시간이 대폭 감소되고, 또한 콩을 갈아야하는 기능이 필요없으므로 모터를 고속운전시킬 필요가 없고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한된 속도를 내는 콘덴서모터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콘덴서 모터는 60HZ 전원에서 2극은 3600rpm, 4극은 1800rpm의 최고속도를 갖는다.
상기의 콘덴서 모터는 소음이 작아 두부 제조기의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클러치 사용에서도 콘덴서모터의 사용으로 클러치의 최고속도 이내에서 운전이 가능하므로 가격이 싼 클러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방법에 따른 두부 제조기를 이용하여 두부를 제조하면, 시간과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소음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여러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3)

  1. 동력을 받아 두유를 추출하는 두유 추출수단과 응고제와 두유를 혼합하는 응고수단 및 두부 성형수단을 구비한 두부 제조기에 있어서, 케이스 내부에 두유와 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5)가 있는 원심분리통과 두유의 원심분리를 위해 원심분리통과 캡에 추출공(3')(3")을 형성하고 케이스(4) 상단을 뚜껑으로 덮고 교반에 적합한 소용량 저소음 모터를 사용하여 클러치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가루를 이용한 두부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소용량 저소음 모터로 콘덴서 모터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가루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3. 콩가루를 사용하고 물을 유입하여 일정시간 침지후 교반하는 단제와, 교반된 물과 두유를 원심분리하여 두유를 추출하는 단계와, 두유에 응고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응고단계와, 순두부를 잘게 부수어 성형틀에 주입하는 단계와, 순두부를 압축하여 두부를 성형하는 단계로 두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가루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KR1019900022981A 1990-12-31 1990-12-31 콩가루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및 장치 KR930002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981A KR930002176B1 (ko) 1990-12-31 1990-12-31 콩가루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981A KR930002176B1 (ko) 1990-12-31 1990-12-31 콩가루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382A KR920011382A (ko) 1992-07-24
KR930002176B1 true KR930002176B1 (ko) 1993-03-27

Family

ID=1930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981A KR930002176B1 (ko) 1990-12-31 1990-12-31 콩가루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1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382A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3989B1 (en) Household soybean milk maker
US4869164A (en) Tofu making apparatus
KR102626541B1 (ko) 염화마그네슘과 해양심층수 원수를 응고제로 사용하는 두부 제조방법
KR20110048971A (ko) 두부제조용 콩물가열장치
KR930002176B1 (ko) 콩가루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464313B1 (ko) 청국장이 함유된 젤리두부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S60160855A (ja) 豆腐製造装置
KR930002173B1 (ko) 가정용 두부 제조기
JP3896509B2 (ja) 豆腐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製造装置
KR930002174B1 (ko) 가정용 두부 제조기 및 이에 적합한 두부 제조방법
RU216054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лочно-белкового продукта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551848B1 (ko) 가정용 가열식 두부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부 제조방법
KR19990039000U (ko) 두부제조용 두유응고 및 성형장치
CN211746612U (zh) 一种一体式无渣豆腐机
KR102660321B1 (ko) 두부용 콩 분쇄물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콩 분쇄물 제조방법
RU11967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молочно-белкового продукта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KR19990076339A (ko) 두부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N208371635U (zh) 烹饪器具
KR200385351Y1 (ko) 응고제 순간혼합장치
RU12506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молочно-белкового продукта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KR920007826Y1 (ko) 두부 및 과일쥬스의 제조기
JPH01174351A (ja) 豆腐製造装置
KR200314566Y1 (ko) 두부제조기
JPH0646315Y2 (ja) 蒸気式煮沸抽出装置
JPH01320964A (ja) 豆腐製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