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082B1 - 입출력 전환회로 - Google Patents

입출력 전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082B1
KR930002082B1 KR1019900004264A KR900004264A KR930002082B1 KR 930002082 B1 KR930002082 B1 KR 930002082B1 KR 1019900004264 A KR1019900004264 A KR 1019900004264A KR 900004264 A KR900004264 A KR 900004264A KR 930002082 B1 KR930002082 B1 KR 930002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unit
input
terminal
switch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482A (ko
Inventor
나오키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1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04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04B3/06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by the transmit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Amplifi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츨력 전환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앰프부 18 : 데크부
14, 22, 58 : 마이크로컴퓨터 54 : 신호선
48, 50, 52 : 스위치
본 발명은 복수의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증폭장치와 녹음 재생장치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기기에 있어서, 시스템의 음성이나 영상 신호를 상호간에서 수수(受授)하는 입출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입력 신호를 기능 스위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꺼내는 앰프부나 카세트테이프를 녹음 또는 재생하는 데크부등은 근래의 전자학와 함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한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예를 들어 앰프부 및데크부가 각기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며, 서로 교신하여 상대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 상태를 확인하여 각기마이크로컴퓨터를 갖는 것의 장점, 예를들어 처리의 스피드업화를 도모하고 있다. 제2도는 앰프부 및 데크부에 각기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한 종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앰프부(10)는 작(12A)∼(12D)의 입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앰프 제어 마이크로컹퓨터(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앰프부(10)의 마이크로펌퓨터(14)는 이것에 명령을 내리기 위한 키스위치(16A), (16B), (16C)의 상태 및 잭(12E), 데이타버스(56)를 통해 녹음 재생 기능을 구비한 데크부(18)의 상태를 검출·판정한 다음에 기능스위치(20)를 전환하여 그 판정된 입력 신호가 앰프부(10)에서 처리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4)는 기능스위치(20)의 전환 상태를 잭(12E), 데이타버스(56)를 통해 데크부(18)내의 마이크로컴퓨터(22)에 송신한다.
데크부(18)는 카세트테이프를 구동하기 위한 카세트 기구의 제어 및 녹음 재생헤드(24)의 신호선택등을실행하기 위해 상기 데크제어 마이크로컴퓨터(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마이크로컴퓨터(22)는 키스위치(26A)∼(26E)의 개페상태에 따라서 카세트기구의 제어를 실행하여 녹음재생헤드(24)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느냐의 선택을 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2)는 잭(12F), 데이타버스(56)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앰프부(10)의 상태를 검출하고 판정하여 앰프부(10)측에서 데크부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데크부(18)를 재생 상태로 하고, 앰프부(10)측에서 다른 입력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데크부(18)를 정지상태로 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2)는 카세트기구의 동작상태(재생, 속송, 되감기, 정지, 녹음)를 작(12F), 데이타버스(56)를 통해 앰프부(10)에 송신한다. 마이크로컴퓨터(14)의 입력키 스위치(16A)를 조작하면, 마이크로컴퓨터(14)는 기능스위치(20)의 스위치(20A)를 온으로 하고, 스위치(20B), (20C)를 오프로한다. 스위치(20A)가 온인 것으로서 해서 잭(12A)으로부터의 입력신호가 기능스위치(20)의 스위치(20A)를 통해 버퍼(26)에 전달된다. 버퍼(26)의 출력은 프리앰프(28A)에 입력되어, 볼륨(30A), 파워앰프(32A)에서 출력된다. 또한 버퍼(26)의 출력은 버퍼 앰프(36)를 통해 다른 장치 예를들어, 데크부(18)로의 입력신호로서 꺼내진다. 버퍼앰프(36)의 출력이 잭(12D)에 공급되면, 잭(12D)을 통해 데크부(18)의 녹음입력신호잭(12G)에 입력된다. 잭(12G)에 입력된 신호는 녹음앰프(38)에서 증폭되어, 데크부(18)가 늑음상태이면 바이어스 발진기(40)의 바이어스 신호와 가산되어, 온으로 된 스위치(42)를 통해 녹음재생헤드(24)에 녹음 신호로서 가해진다. 이때 앰프부(10)의 마이크로컴퓨터(l4)는 기능스위치(20)가 스위치(20A)로 전환되어 잭(12A)을 선택하고 있는 것을 알려주는 데이타를 작(12E), 데이타버스(56)를 통해데크부(18)의 마이크로컴퓨터(22)에 보낸다.
또한 앰프부(10)의 키스위치(16C)를 조작하면 마이크로컫퓨터(14)는 기능스위치(20)의 스위치(20C)를 온으로 하고, 스위치(20A), (20B)를 오프로 한다. 데크부(18)가 재생상태이면 잭(12H)에서 입력된 테이프의재생신호가 스피커(34A)에서 재생된다. 이때도 마이크로컴퓨터(14)는 마이크로컴퓨터(22)에 대해 기능스위치(20)가 잭(12C)을 선택하고 있는 것을 전하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22)가 마이크로컴퓨터(14)로부터의그 데이타에 따라서 카세트 기구를 재생상태로 하여 녹음재생헤드(24)에서 스위치(44), 재생앰프(46)를 통해 얻어지기 때문에 재생신호를 잭(12C)에 입력하고, 스긔커(34A)에서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 입출력 전환 회로에서는 앰프부(10)로부터의 신호선과, 데크부(18)에서 앰프부(l0)로의 신호선의 2개의 독립된 신호선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신호선은 한쪽이 신호 전송을 하고 있을 때는 다른쪽이 휴지하여, 신호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상기 예에서는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DAT)에서의 디지탈 음성신호나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에 있어서의 영상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종래의 입출력 전환회로에서는 앰프부와 데크부와의 신호 접속에 2개의 신호선을 필요로 하여 복잡했었다. 또한 2개의 신호선이 앰프부와 데크부의 입출력단에 잘못 접속되면 올바른 동작을 하지 못하는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앰프부와 녹음/재생장치 사이에서 음성신호를 주고 받는 신호선을 한 조로서 장치간의 접속을 간단히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출력 전환회로는 앰프부와 녹음/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데크부를 접속하는 음성신호선을 한조로 하고, 이 신호선의 양단의 앰프 및 데크부에 각기 한쪽이 온하면 다른 쪽이 오프하는 스위치를 설치한다. 이들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앰프 및 데크부에 각기 설치한 큰트롤의 마이크로컴퓨터는 서로 그 상태를 데이타로서 상대측에 송신하고, 항상 상대측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끔 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수단에 의해 데크부를 재생 상태로 하면 음성신호선에는 데크부로부터의 재생신호가 전해지고, 앰프부에서 증폭되어 스피커에서 재생된다. 또한 앰프부가 데크부 이외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띤 음성 신호선에는 그 선택된 입력신호가 전해져서 데크부에 전달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제1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제2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다낸다. 제l도에 있어서, 앰프부(10)측에서는 잭(12I)을 설치하고, 이 잭(12I)과 기능스위치(20)의 스의치(20C)의 입력을 접속하는 동시에, 스위치(48)를 통해 버퍼 앰프(36)의 출력에 접속한다. 스위치(48)는 데크부(18)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선택하는 것이며, 이 스위치(48)는 마이크로컴퓨터(14)에의해 제어되고, 스위치(20C)가 온일때는 오프, 반대일때는 온으로 되는 것이다. 데크부(18)측에서는 잭(12G, 12H) 대신 잭(12J)을 설치하고 있다. 잭(12J)은 스위치(50)를 통해 재생 앰프(46)의 출력에 접슥하는동시에 스위치(52)를 통해 녹음앰프(38)의 입력에 접속한다. 스위치(50), (52)는 마이크로컴퓨터(22)에 의해제어되며, 데크(18)가 재생상태일때는 스위치(50)가 온하고, 스위치(52)가 오프로 되며, 녹음상태일때는 반대의 관계로 된다. 그런데, 마이크로컴퓨터(14, 22)는 서로 데이타버스(56)를 통해 데이타를 교신하고, 상대방의 상태를 알고 있으므로 키스위치(16C)의 조작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14)는 기능스위치(20)의 스위치(20C)를 온하고, 스위치(20A, 20B, 48)를 오프로 한다. 데크부(18)측의 마이크로컴퓨터(22)는 카세트 기구를 재생상태로 하는 동시에 스위치(44, 50)을 온, 스위치(42, 52)를 오프로 한다. 녹음재생헤드(24)에서 나오는 재생신호를 스위치(44), 재생앰프(46), 스위치(50)를 통해 잭(12J)에 전달한다. 이처럼, 앰프부(10)측의마이크로컴퓨터(14) 가 데크부(18)측을 선택하면 잭(l2I, 12J)사이의 신호선(54)에는 데크부(18)로부터의 재생신호가 지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U)가 키스위치(16A)의 조작에 의해 기능스위치(20)를 전환하면, 기능스위치(20)의스위치(20A)가 온하고, 스위치(20B, 20C)가 오프하며, 이것에 의해 스위치(48)가 오프한다. 또한 이것에의해 데크부(I8)측은 키스위치(20A)가 선택된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4)에서 전해지고 있으므로, 마이크로컴퓨터(22)는 스위치(50)를 오프로, 스위치(52)를 온으로 한다. 잭(12J)으로부터의 신호는 녹음임프(38)에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신호선(54)에는 데크부(18)에 입력하는 녹음신호가 지나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앰프부(10)와 테이프데크부(18)의 각각이 마이크로컴퓨더(14), (22)를 갖지만, 본 발명은 이와같은 실시예에 한정됨이 없이 실시할 수 있다. 제3도는 앰프부(l0)와 테이프데크부(18)의 어느 한쪽, 예를들어 앰프부(10)측에 마이그로컴퓨터(58)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마이크로컴퓨터(58)에 의해 앰프부(10)의 제어뿐만 아니라 데이프데크부(18)의 제어도 이루어진다. 쌍방이 접속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58)는 데이타다버스(56)를 통해 테이프데크브(18)내의각 스위치(42), (44)등에 접속된다. 제3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도 제2도의 실시예와 같은 동작 및 효과를갖는다. 이처럼 신호선(54)은 데그부(18)가 재생시일때에는 잭(12J)에 도출한 테이프의 재생신호를 앰프부(10)의 잭(12I)에 공급하고, 녹음시일때에는 작(12I)에 도출한 앰프부(10)의 다른 입력용작에 입력한 신호를 잭(12I)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신호선(54)은 녹음시와 재생시에서 공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근래 앰프에는 테이프레고더 외에 DAT나 VTR등 다수의 기록/재생장치가 접속되는 것에서 생기는 오접속등의 방지에 이바지한다.
이상 기재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앰프부와 데크부간에서 음성신호를 주고 받는 신호선은 녹음시와재생시를 공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서 배선의 간단한 것으로 되어, 오접속 방지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전기신호를 제1유닛(10)과 제2유닛(18)과의 사이에서 주고 받고하는 입출력 전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l0)에 설치된 제1단자(12I)와, 이 제l단자(12I)에 접속되어, 이 제1단자(12I)에서의 상기전기신호의 수수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수단(48, 20C)과, 상기 제2유닛(18)에 설치된 제2단자(12J)와, 상기 제1단자(12I)와 상기 제2단자(12J)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유닛(10)과 상기 제2유닛(18)과의사이에 상기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전송하는 수단(54)과, 상기 제2단자(12J)에 접속되어, 상기 제2단자(l2J)에서의 상기 진기신호의 수수를 제어하는 제2스위치수단(50, 52)과, 상기 제1스위치수단(48, 20C)에 접속되어, 상기 제1스위치수단(48, 20C)을 제어하는 제1제어수단(14)과, 상기 제 2스위치수단(50, 52)에접속되어, 상기 제2스위치수단(50, 52)을 제어하는 제2제어수단(22)과, 상기 제1제어수단(14)에서 상기제2제어수단(22)으로 상기 제1스위치수단(48, 20C)의 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타를 알리고, 또한 상기 제2제어수단(22)에서 상기 제1제어수단(14)으로 상기 제2스위치수단(50, 52)의 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타를 알리는 통신수단(56)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제어수단(14) 및 상기 제2제어수단(22)은 상기 통신수단(56)에의해 알려진 데이타에 응답하여 상기 제1스위치수단(48, 20C) 및 상기 제2스위치수단(50, 52)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송수단(54)을 통해 상기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전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전환회로.
  2. 제l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은 앰프부(1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전환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은 테이프데크부(1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전환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수단은 상기 제1유닛의 입력신호 경로에 접속된 제1스위치(20C)및 출력 신호 경로에 접속된 제2스위치(4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전환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 수단은 상기 제2유닛의 입력 신호 경로에 접속된 제3스위치(52)및 출력 신호 경로에 접속된 제4스위치(5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전환회로.
  6. 전기신호를 제1유닛(10)과 제2유닛(18)과의 사이에서 주고 받고 하는 입출력 전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10)에 설치된 제1단자(12I)와, 이 제1단자(12I)에 접속되어, 이 제1단자(12I)에서의 상기전기신호의 수수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수단(48, 20C)과, 상기 제2유닛(18)에 설치된 제2단자(12J)와, 상기 제1단자(12I)와 상기 제2단자(12J)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1유닛(10)과 상기 제2유닛(18)과의사이에 상기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전송하는 수단(54)과, 상기 제2단자(12J)에 접속되어, 상기 제2단자(12J)에서의 상기 전기신호의 수수를 제어하는 제2스위치수단(50, 52)와, 상기 제1스위치수단(48, 20C) 및 상기 제 2스위치수단(50, 52)에 접속되어, 상기 제 1스위치수단(48, 20C) 및 상기 제 2스위치수단(50, 52)을제어하는 제어수단(58)과, 상기 제어수단(58)에 상기 제l스위치수단(48, 20C)의 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타및 상기 졔2스위치수단(50, 52)의 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타를 알리는 통신수단(56)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58)은 상기 통신수단(56)에 의해 알려진 데이타에 응답하여 상기 제1스위치수단(48, 20C) 및 상기 제2스위치수단(50, 52)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송수단(54)을 통해 상기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전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전환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l유닛은 앰프부(1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전환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은 테이프데크부(1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전환회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l스위치수단은 상기 제1유닛의 입력 신호 경로에 접속된 제1스위치(20C) 및 출력 신호 경로에 접속된 제2스위치(4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전환회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수단은 상기 제2유닛의 입력 신호 경로에 접속된 제3스위치(52)및 출력 신호 경로에 접속된 제4스위치(5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전환회로.
KR1019900004264A 1989-03-31 1990-03-30 입출력 전환회로 KR930002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1962A JPH02260997A (ja) 1989-03-31 1989-03-31 入出力切換回路
JP?1-81962 1989-03-31
JP01-081962 198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482A KR900015482A (ko) 1990-10-27
KR930002082B1 true KR930002082B1 (ko) 1993-03-26

Family

ID=1376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264A KR930002082B1 (ko) 1989-03-31 1990-03-30 입출력 전환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74994A (ko)
EP (1) EP0390588A3 (ko)
JP (1) JPH02260997A (ko)
KR (1) KR9300020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489B2 (ja) * 1991-07-09 2000-10-10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H07107565A (ja) * 1993-10-08 1995-04-21 Sony Corp Avシステム
TWI321394B (en) * 2003-10-28 2010-03-01 Hon Hai Prec Ind Co Ltd A control means and method for switching senseable objects
CN111418217A (zh) * 2017-11-27 2020-07-14 Nec显示器解决方案株式会社 视频设备及视频设备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35293A (de) * 1941-12-18 1944-11-30 S Hammer Verfahren und MAschine zum Anbringen von Verschlussstreifen an Beuteln.
US2720246A (en) * 1951-02-24 1955-10-11 Continental Can Co Container making machine
US2768581A (en) * 1954-04-19 1956-10-30 Franklyn J Langemack Fluent material dispenser
US2942528A (en) * 1957-05-06 1960-06-28 Crompton & Knowles Corp Tear tape applying mechanism for a wrapping machine
SE7412277L (sv) * 1974-09-30 1976-03-31 Esseltepack Ab Forfaringssett och anordning for framstellning av aterforslutbar pase
NL7705977A (nl) * 1977-05-31 1978-12-04 Meulen Leonard V D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zakken.
DE2810895C2 (de) * 1978-03-13 1984-09-20 Windmöller & Hölscher, 4540 Lengerich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Querschweißnähten an aufeinanderliegenden Bahnen aus Kunststoffolie, vorzugsweise zur Herstellung von Beuteln aus Kunststoffschlauch- oder Kunststoffhalbschlauchbahnen
US4347510A (en) * 1979-03-29 1982-08-31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pparatus for automatic selective switching and transmission of input signals
JPS57176507A (en) * 1981-04-20 1982-10-29 Hitachi Ltd Function operating system
CA1269075A (en) * 1982-11-12 1990-05-15 Vincent C. Pace Bag mouth closure
EP0130036B1 (en) * 1983-06-28 1989-08-02 Rca Licensing Corporation Interconnection apparatus
US4647973A (en) * 1983-06-28 1987-03-03 Rca Corporation Switch apparatus for a video interconnection system
DE3424931A1 (de) * 1984-07-06 1986-02-0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Audio/video-adapter fuer audio-visuelle geraete
AU590236B2 (en) * 1984-12-21 1989-11-0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for video information apparatus
US4763012A (en) * 1987-03-12 1988-08-09 Blankinship Andrew B Equalizer quick switch
US4855730A (en) * 1987-05-08 1989-08-08 Rca Licensing Corporation Component audio/video system with timed control of plural peripheral devices
US4854735A (en) * 1987-11-04 1989-08-08 Ironclad, Corporation Plastic film bag with integral plastic film tie element, and associated fabrication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482A (ko) 1990-10-27
EP0390588A3 (en) 1992-05-20
EP0390588A2 (en) 1990-10-03
JPH02260997A (ja) 1990-10-23
US5374994A (en) 199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1254A (en)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121262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KR930002082B1 (ko) 입출력 전환회로
US3937886A (en) Power supply switching circuit for combined audio system
JPH04326832A (ja) 終端抵抗接続装置
US5077712A (en) DAT system
US5602687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uting the output of a recording device during recording
KR0176387B1 (ko) 비디오 테이프 복사장치의 오디오 출력 선택 처리 시스템
JP2000339938A (ja) コンポーネント選択制御システム
JP2600179Y2 (ja) 音響機器
KR880000803Y1 (ko) Vtr의 4헤드 전환회로
JP3249978B2 (ja) 前面入出力端子付き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21682Y2 (ko)
KR100297829B1 (ko) 시리얼버스를이용한차량용컴팩트디스크체인저시스템
KR100220100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외부 연결단자 입/출력 절환방법
JP3481034B2 (ja) 信号ミュート回路およびカセットデッキ
JP2669939B2 (ja) 音声信号ミュート回路
JPH0459694B2 (ko)
JP4395907B2 (ja) 電子機器
JPS6161453B2 (ko)
JPH057777B2 (ko)
JPS6218965B2 (ko)
JPH08265679A (ja) ビデオテープ装置付テレビ受像機
JPH05205454A (ja) 音響装置
KR980004556A (ko) 하이파이 vcr에서의 음성 시간정보 출력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