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019B1 - 수동주사형 인자장치 - Google Patents

수동주사형 인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019B1
KR930002019B1 KR1019890005773A KR890005773A KR930002019B1 KR 930002019 B1 KR930002019 B1 KR 930002019B1 KR 1019890005773 A KR1019890005773 A KR 1019890005773A KR 890005773 A KR890005773 A KR 890005773A KR 930002019 B1 KR930002019 B1 KR 930002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winding
character
ink tap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639A (ko
Inventor
사또시 기무라
마사끼 하야시
노부유끼 모찌나가
도시노리 사와다
시게루 히로사와
유우이찌 후지시마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6585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69338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65855U external-priority patent/JP250185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5853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69337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1347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0165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303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94980A/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 가즈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7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0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flight printing with type font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printed line, e.g. chain print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동주사형 인자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워드프로세서와 인자장치를 나타내는 외관구성도.
제2도는 상기 워드프로세서의 프린트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3도는 상기 워드프로세서의 전자회로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제4도는 상기 워드프로세서의 기억부에서의 정지코드의 데이터 구성도.
제5도는 상기 워드프로세서의 기억부에서의 작성문서 데이터의 격납상태 예시도.
제6도는 상기 워드프로세서의 인자동작에 따르는 인자 데이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제7도(a)-(d)는 각각 상기 워드프로세서에 의한 인자방향 지정표시 상태 예시도.
제8도는 상기 제7도(a)-(d)에 대응하는 워드프로세서의 인자상태 예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수동주사형 인자장치의 외관사시도.
제10도는 상기 수동주사형 인자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상기 수동주사형 인자장치의 전자회로의 블록 구성도.
제12도 및 제13도는 각각, 잉크테이프 감기 전달기구의 또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105 : 케이스 부재 24, 150a : 인자헤드
29, 139 : 구동용 회전체 16, 160 : 탄성지지수단
42, 145 : 테이프감기 회전체 36, 148 : 엔코드판
본 발명은 수동주사형 인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동에 의한 지면상을 주사해서 소정의 정보를 지면에 인자하는 수동주사형 인자장치로서, 예컨대 USP 3,767,02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같은 수동주사형 인자장치에서는 가늘고 긴 케이스부재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지면상을 주사하면, 케이스부재에 설치된 접지롤러가 지면상을 따라 구르며, 그 회전을 기어열에 의해 잉크테이프 감기축과 엔코드판에 전달하고, 이것에 의해 잉크테이프를 이동시키면서 감는 동시에, 엔코드판의 회전각도가 회전센서로 검출되고 이 회전센서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인자헤드가 잉크테이프를 거쳐서 순차로 소정의 정보를 지면상에 인자한다(공보의 제4도 참조). 이때, 잉크테이프는 케이스부재의 이동에 따라 주사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잉크테이프 감기축에 감겨진다.
이와같은 수동주사형 인자장치에 있어서는 엔코드판의 회전은 접지롤러와 같은 방향이나, 잉크테이프는 케이스부재의 주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감긴다. 이 때문에, 접지롤러의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열은 엔코더 구동용과 잉크테이프 구동용으로 된 2계열로 구성해야만 한다. 즉, 엔코더 구동용 기어열은 엔코드판축과 접지롤러 축이 평행하므로 중간기어를 평기어만으로 구성하며, 또한 직선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잉크테이프 구동용 기어열은 잉크테이프 감기축과 접지롤러축이 직교하기 때문에, 중간기어에 우산형기어를 사용해서 접지롤러의 회전방향과 잉크테이프 감기축의 회전방향을 바꾸어야만 한다.
이 결과, 인자장치는 매우 넓은 폭을 갖게 되어, 상술한 것처럼 지면에 대해서 눕힌 상태에서 주사해야만 한다. 이로 인해 수첩등의 작은 기록지나 특정한 공간에 인자할 때에는 접지롤러가 지면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양호하게 인자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목적은 접지롤러의 회전을 1계열로서 잉크테이프 감기축 및 엔코더판에 전달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해서 장치본체를 좁은 폭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수첩등의 작은 기록지나 특정한 공간에도 양호하게 인자할 수 있는 수동주사형 인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수동주사형 인자장치는 케이스부재를 세로로 긴 중공원통상으로 형성하고, 이 케이스부재의 저면측에 발열소자가 형성되는 발열소자 형성면을 가진 인자헤드와 기록지상을 회전운동하는 회전롤러 및 이 회전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인자헤드의 상부에 잉크테이프 카세트에 부착된 테이프 감기 스풀에 끼워진 테이프 감기축을 가지는 잉크테이프 감기회전체를 설치하고 또한, 구동기어의 회전을 상기 잉크테이프 감기회전체에 전달하는 복수의 중간회전체를 설치하고, 한 중간회전체와 회전중심축을 같게 해서 엔코더판을 부착시킨 것으로서, 상기 구동기어, 상기 복수의 중간회전체, 상기 엔코더판 및 상기 테이프 감기회전체를 상기 케이스의 세로방향을 따라 대체로 일직선상으로 배치하므로써 장치전체를 좁은 폭으로 구성하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 1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워드프로세서의 외관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워드프로세서 본체(10)는 예컨대 거치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워드프로세서 본체(10)에는 키 입력부(11), 기능키(12) 및 표시부(13)가 형성되어 있고, 키 입력부(11)에는 문자ㆍ기호입력키, 커서키, 가나/한자변환키, 다음 후보키, 한자선택키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키 입력부(11)의 문자ㆍ기호입력키는 작성문서의 가나입력, 영문숫자ㆍ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기능키(12)로서, 워드프로세싱 모드와 프린트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키, 문서 입력의 개시ㆍ종료 또는 지정범위를 구획하는 실행키, 입력문서의 삽입, 삭제, 시프트 등을 지시하는 일반적인 워드프로세서에 사용되는 각종의 키 외에 입력문서를 임의의 문구절로 구획하는 정지키(12a), 이 정지키(12a)에 의해 구획된 문서문자열의 세로쓰기 인자를 지정하는 가로/세로키(12b), 마찬가지로 상기 정지키(12a)로 구획된 문서문자열을 예컨대 투명한 소재의 뒷면에서 인자할때에 그 뒷면 문자인자를 지정하는 정/역 키(12c)등이 있다. 이들 키 입력부(11) 및 기능키(12)에 의한 입력 문자 및 기호는 순차적으로 상기 표시부(13)에 표시된다.
또한, 워드프로세서 본체(10)에는, 수동 주사식 인자장치(1)가 접속코드(15)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인자장치(1)의 저면부에는 열기록 헤드장치(17)가 배치되어 있다. 열기록 헤드 장치(17)에는 예컨대 1라인(48)도트의 라인형 열기록 헤드(24, 제2도)가 그 라인방향을 인자장치(1)의 폭방향을 향해서 배치시키고 있다.
말하자면, 모드전환키에 의해 워드프로세싱모드를 지정하고 상기 문자ㆍ기호의 키 입력조작 및 가나/한자 변환조작, 한자선택 조작을 되풀이하므로써 소망하는 문서가 작성된다. 이때, 문서입력시 임의의 문구절마다 상기 정지키(12a)를 조작하는데, 이 정지키(12a)의 조작시에는 소정의 구획코드(정지코드)가 입력되어 표시부(13)위에 "정지"라고 표시된다. 그러고, 키 입력으로 작성된 문서를 프린트할 때에는 모드 전환키에의해 프린트 모드를 지정한 후, 상기 인자장치(1)의 열기록 헤드 장치(17)를 기록지(a)면에 접촉시키고, 프린트 스위치(14s)를 누르면서 인자장치(1)를 화살표(X)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작성문서의 프린트가 행해진다. 이때, 사용자는 인자장치(1)의 프린트 이동방향(X)의 뒤측의 측면하부에 절결형성된 프린트 확인창(14X)을 통해서 열기록헤드(24)를 눈으로 확인하므로써 기록지(a)에 대한 프린트 출력위치를 정확히 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위에 표시 출력되는 작성문서 데이터를 보면서 커서키를 조작하므로, 그 표시화면을 스크롤시켜, 상기 정지코드에 의해 구획된 임의의 문서문자열을 피인자 데이터로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선택된 문서문자별의 정지코드위치에서 기능키(12)의 가로/세로키(12b), 정/역 키(12c)를 조작하므로써 그 문서문자열의 세로쓰기인자, 뒷면 문자인자를 지정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위에서 피인자데이터로 선택된 문서문자열의 정지 코드위치에는 상기 지정된 인자방향이나 통상인자나 뒷면 문자인자인가를 나타내는 지정인자 인식마크(P)가 대신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문서데이터의 프린트중에서 피인자 데이터에 연속하는 정지코드를 메모리에서 읽어내면 그 시점에서 인자동작은 정지하게 된다.
제2도는 상기 인자장치(1)내에 구성되는 인자부(20)를 나타낸다. 인자장치(1)의 케이스 본체(14)는 세로로 긴 중공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1은 잉크테이프 카세트이고, 이 잉크데이프 카세트(21)는 인자부(20)에 대해 부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잉크테이프 카세트(21)는 잉크테이프(23)를 감는 감기스풀(22b)과 잉크테이프(23)를 밀어내는 풀기스풀(22a)을 갖고 있다. 열전사 잉크데이프(23)를 잉크테이프카세트(21)의 하단부에서 일부가 노출하여 각 단부가 스풀(22a, 22b)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인자부(20)의 하부에는 열기록헤드장치(17)가 배치되어 있다. 열기록 헤드장치(17)는 열기록 헤드(24)를 갖고 있다. 이 열기록헤드(24)의 발열면은 케이스본체(14)의 저면에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열기록헤드(24)는 그 하단 평면부에 라인형의 발열체를 비치하며, 헤드부착부재(25)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열기록헤드(24)는 헤드부착부재(25)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16)의 작용에 의해 항상 하방향으로의 인자압력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착부재(25)에는 잉크리본 가이드부(26) 및 인자조작시에 기록지(a)위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27a, 27b)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있다. 여기서, 슬라이딩부(27a, 27b)는 열기록 헤드(24)의 폭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가 잘려져 있어서, 이 잘린 부분이 열기록헤드(24)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프린트 확인창(14X)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열기록헤드(24)에는 가요성 기판으로 형성된 커넥터(28)가 접속되며, 열기록 헤드(24)에 관한 인자 제어신호가 주어진다. 다시, 상기 열기록헤드(24)가 배치된 케이스 본체(14)의 저면부에는 이 열기록헤드(24)의 인자이동방향(X)에 대한 전방측에 고무롤러(29)가 프레임(30)에 부착되어 있다. 이 고무롤러(29)는 인자조작시에 인자장치(1)를 화살표(X)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기록지(a)에 접해서 회전하는 것으로, 이 고무롤러(29)의 측부에는 고무롤러(29)와 지지축을 연통하는 구동기어(31)가 고정된다. 이구동기어(31)는 고무롤러(29)보다 소경으로 형성되고, 중간기어(32, 33, 34a, 34b, 35)를 거쳐서 엔코더판(36)이 연결되어 있다. 엔코더판(36)은 중간기어(35)의 한면에 고정되며, 중간기어(35)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엔코더판(36)의 근방에는 LED(37a)와 프로센서(37b)로 된 이동량 검출센서(38)가 배치되어 있다. 말하자면, 엔코더판(36)에는 복수의 슬릿(36a, 36b,…)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엔코더판(36)을 끼우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인접하게 LED(37a) 및 프로센서(37b)가 배치된다. 이때, LED(37a)로 부터의 투사광은 엔코더판(36)의 슬릿(36a, 36b,…)을 통해서 포트센서(37b)에 입사된다. 그래서, 인자장치(1)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엔코더판(36)이 회전하여 LED(37a)에서 포트센서(37b)에 입사하는 빛이 그 이동속도에 따라 단속된다. 즉, 엔코더판(36), LED(37a), 포토센서(37b)에 의해 인자장치(1)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엔코더(39)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엔코더판(36)과 일체로 접합된 중간기어(35)는 중간기어(40)를 거쳐서 감기기어(41)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롤러(29)의 회전은 상기 엔코더판(36)에 전해진 후 다시 감기기어(41)로 전해지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 감기기어(41)의 중앙부에는 잉크테이프(23)의 감기축(42)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감기축(42)의 기부에는 상기 감기기어(41)에 압력접촉하는 스토퍼암(43)이 부착되어 있다. 이 스토퍼암(43)은감기축(42)을 지지축으로 하여, 감기기어(41)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이 스토퍼암(43)의 선단에는 감기기어(41)와 맞물리는 스토퍼기어(4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감기기어(41)가 잉크테이프 감기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스토퍼암(43)은 동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정지하며, 또한 역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스토퍼암(43)은 그 선단의 스토퍼기어(44)가 중간기어(40)와 맞물림할 때까지 회전하여 정지한다. 즉, 상기 중간기어(40, 41), 스토퍼암(43), 스토퍼기어(44)에 의해, 역회전 저지기구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엔코더판(36)과 테이프 감기축(42)은 상기 고무롤러(29)에 대해 동일한 기어계를 거쳐서 회전구동되므로, 이 인자부(20)에서의 기구의 점유공간은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인자장치(1)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이 인자부(20)에 대해서는 테이프 감기축(42)를 지지축으로 해서 잉크테이프 카세트(21)가 장치된다. 이때, 잉크테이프 카세트(21)의 하단부에서의 일부 노출하는 열전사 잉크테이프(23)는 헤드부착부재(25)의 잉크테이프 가이드부(26)에 가이드되어, 열기록 헤드(24)의 헤드면에 접촉되어 세트된다. 여기서, 상기 잉크테이프(23)를 열기록헤드(24)의 헤드면에 대해 정확도가 양호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잉크테이프 가이드부(26)는 열기록헤드(24)의 근방에 헤드부착부재(25)에 일체로 설치되므로 잉크카세트(21)에 같은 가이드부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로써, 잉크테이프 카세트(21)가 소형화되고, 이로 인해 인자장치(1)가 보다 소형화된다.
제3도는 상기 워드프로세서본체(10) 및 인자장치(1)내에 형성되는 전자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도면에서, 51은 제어부이고, 이 제어부(51)에는 키 입력부(11) 및 기능키(12)로 부터 각종 키 입력조작신호, 인자장치(1)에 설치된 프린트 스위치(14s)로 부터의 인자신호, 및 인자장치(1)로 부터의 이동량에 따라 엔코더(39)로 부터 공급되는 펄스신호, 즉 이동량 검출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부(51)는 상기 키 입력부(11), 기능키(12) 및 프린트스위치(14s)로 부터의 각종 키, 스위치 조작신호에 따라서 기억부(52), 표시용 문자 생성기(53), 인자용 문자생성기(54), 인자제어부(5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1)는 키 입력되는 "가나" 및 "기호"등의 문자기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변환데이터기억부, 키 입력된 문자기호 데이터중 "가나" 문자에 대응하는 한자 검색을 행하는 가나/한자 변환부, 검색된 한자를 기억하는 후보한자기억부등을 가지며, 키 입력 데이터에 따라 문자작성 기능이 갖추어진다. 그리고, 기억부(52)는 키입력조작부에 의해 작성된 문서정보를 가나/한자 변환된 한자, 무변환의 가나, 기호 및 외국문자로 된 문서데이터로서 문자코드에 기억시킨다. 여기서, 상기 문서입력에 있어서, 정지 키(12a)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문구절마다 입력되는 정지코드는 문서데이터의 문자코드와 함께 기억부(52)에 기억된다.
그리고, 상기 기억부(52)에 기억된 문서 데이터의 개개의 문자 및 기호 데이터는 표시용 문자생성기(53)및 표시버퍼(56)를 거쳐서 표시부(13)에 출력되어 표시되는 동시에, 인자용 문자생성기(54)에 의해 실제의 문자 형태로서 호출된다. 또한, 문자형태 변환부(57)를 거쳐서 그 인자 형태의 형태 출력순서가 제어부(51)로 부터의 가로/세로 신호 및 정/역신호에 따라 변환된 후, 인자버퍼(58)에 격납된다. 인자제어부(55)에는 인자장치(1)에서 프린트 스위치(14s)의 온조작에 의해 프린트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 엔코더(39)로 부터의 엔코더 펄스가 입력되고 이 엔코더 펄스에 동기하여 상기 인자버퍼(58)에 격납된 문자형태를 1라인마다 인자장치(1)의 열기록헤드(24)로 전송한다. 이때, 열기록 헤드(24)에 의한 인자품질은 예컨대, 24×24도트(전각)이므로, 상기 1라인은 1문자의 1/24라인을 뜻한다.
말하자면, 인자용 문자발생기(54)에서 얻어진 문자형태는 가로쓰기 통상인자의 경우, 좌 1열째부터 우로 24라인순으로 인자출력되고, 가로쓰기 뒷면 문자인자의 경우에는 우 1열째부터 좌로 24라인 순서로 인자출력된다. 또한, 세로쓰기 통상인자의 경우에는 상 1행째부터 하로 24라인 순으로 인자출력되며, 세로쓰기 뒷면문자 인자의 경우에는 이리 좌우 반대로 한 문자형태가 상 1행째부터 하로 24라인 인자 출력된다. 따라서, 인자버퍼(58)에서의 문자형태의 메모리 영역이 항상 좌 1열째부터 우로 읽어내어서 인자출력된다고 하면, 이 메모리 영역의 좌 1열째에 상기 각 지정인자의 경우에서의 인자개시 1열째가 격납되도록 문자형태변환부(57)가 형태 변환동작을 행한다.
또한, 상기 기억부(52)에서 읽어내는 피인자문서데이터는 정지코드 판단부(59)에도 주어진다. 이 정지코드판단부(59)는 프린트 모드에서의 기억부(52)로 부터 문자코드를 읽어내는 동안에 상기 "정지"코드가 읽어낸 것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이 "정지"코드 검출신호는 제어부(51) 및 인자제어부(55)에 출력된다. 한편, 제어부(51)는 상기 기억부(52)로 부터 읽어내어지는 정지코드와 함께 기억되는 가로/세로 플래그(가로쓰기인자지정 "0"/뒷면문자 인자지정 "1"), 및 정/역 플래그(통상인자지정 "0" 뒷면문자 인자지정 "1")의 내용 판정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 지정인자내용에 응해서 상기 문자형태 변환부(57)에 대한 가로/세로 제어신호 및 정/역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표시부(13)위의 대응하는 "정지"코드 마크는 그 지정인자의 내용에 따라 "P"마크로 변환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그 후의 인자동작에 따라서 기억부(52)에서 읽어내는 문자데이터가 문자형태 변환부(57)에서 지정인자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환된 후, 인자버퍼(58)에서 인자제어부(55) 및 열기록 헤드(24)를 거쳐서 인자 출력된다. 한편, 엔코더 펄스가 출력되는 인자동작중에서는 상기 정지코드의 검출과 함께 제어부(51)에 의한 기억부(52)에 대한 읽어내기 어드레스의 지정이 정지되는 동시에 인자제어부(55)에 의한 열기록헤드(24)의 인자 구동제어가 정지된다.
제4도는 기억부(52)에서의 정지코드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기억부(52)에서의 정지코드는 2바이트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선두 1바이트에 정지코드에 대응하는 정지문자코드가, 나머지 1바이트에 상기 가로/세로 플래그, 정/역 플래그를 위시해서 문자 수식 코드등이 격납된다. 즉, 문서데이터중의 정지코드에 의해 구획된 문자 코드열은 그 선두의 정지코드의 내용에 따라서 문자수식을 위시해서 가로쓰기 또는 세로쓰기인자 지정인가, 통상 또는 뒷면 문자 인자지정 인가등이 관리된다. 여기서, 가로/세로 플래그 및 정/역 플래그는 문서 데이터중의 임의의 문자열을 선택해서 그 선두의 정지코드 위치에서 세로쓰기인자의 경우에는 가로/세로 키(12b)에 의해, 뒷면 문자의 경우에는 정/역 키(12c)에 의해 키 입력지정하므로써, 상기 제4도에서의 기억 영역에 대응하는 플래그가 세트된다. 그리고, 상기 피인자문자별의 선두정지코드는 그 지정인자의 내용에 따라 "P"마크가 되어 표시용 문자 생성기(53)에서 표시버퍼(56)를 거쳐서 출력되어 표시부(13)에 표시된다. 이 "P"마크는 가로쓰기통상인자의 경우를 상부에 "가로"마크를 동시 표시해서 기본형으로 하고, 세로쓰기의 경우에는 "P"마크의 상부에 "세로"마크가 동시 표시되며, 또한 뒷면문자인자의 경우에는 "P"마크가 좌우 반전해서 표시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워드프로세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소망하는 문서를 작성하는데에는 기능키(12)에서의 모드전환키를 조작해서 워드프로세싱모드를 지정한다. 이렇게 하면, 제어부(51)는 워드프로세싱모드로 세트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워드프로세서 본체(10)의 키 입력부(11) 및 기능키(12)를 조작해서 소망하는 문자ㆍ기호등을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처음에, 문자ㆍ기호 입력키 및 기능키(12)를 조작하여 작성하고 싶은 문서정보를 키 입력하면, 그 입력문서 데이터는 제어부(51)내에서 어드레스지정되는 변환데이터기억부에 순차적으로 기억된다. 이 경우의 문서입력 형식은 입력문서의 임의의 문구절마다 정지키(12a)에 의한 구획조작을 한다. 동시에, 상기 입력문서 데이터는 표시용 문자 생성기(53) 및 표시버퍼(56)를 거쳐서 표시부(13)위에 표시된다. 그리하여, 상기 소망문서의 가나입력후, 가나/한자 변환키를 조작하면, 제어부(51)내의 가나/한자변환부에서 입력문자의 선두에서 정형구→숙어→단순한자의 순으로 가나/한자 변환처리가 행해진다. 이때, 변환후의 한자데이터는 기억부(52)로 전송되어 기억된다. 그후, 다시 상기와 같이 해서 문구절마다 구획조작입력, 가나/한자 변환처리, 및 후보한자선택처리등을 되풀이해서 문서작성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상기 가나/한자변환처리에 의해 선택 지정된 한자는 순차로 상기 제어부(51)내의 후보 한자기억부에서 기억부(52)로 전송되는 데, 가나/한자 변화가 필요없는 가나문자, 기호등은 기능키(12)의 무변(무변환) 키를 조작함므로써 그대로 기억부(52)로 전송된다. 이상의 문자기호입력처리, 가나/한자변환처리, 한자선택처리를 되풀이 하므로써 소망 문서가 작성되어 기억부(52)내에 기억된다.
제5도는 상기 기억부(52)에서의 작성문서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기억부(52)에 기억되는 문서데이터에는 임의의 문구절마다 조작된 정지키(12a)의 입력위치에 대응하여 소정의 구획코드("정지"코드)가 써넣어진다. 이 "정지"코드는 문서데이터의 프린트시에 그 문구절문자열에 지정된 인자내용(가로쓰기/세로쓰기, 통상인자/뒷면 문자인자)등을 판단하는 데이터가 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해서 키 입력작성한 문서데이터를 프린트 출력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문서데이터를 프린트할 때에는 기능키(12)의 모드전환 스위치에 의해 프린트모드를 지정한다.
이로써, 제어부(51)는 프린트모드로 세트되고, 기억부(52)는 작성된 문서데이터의 읽어내는 상태로, 또한 인자제어부(55)는 인자장치(1)에서의 엔코더(39)로 부터의 엔코더펄스의 입력대기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도에서와 같이 열기록 헤드(24)를 기록지(a)에 접촉시켜서 프린트 스위치(14s)를 누르면서 인자장치(1)를 화살표(X)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인자장치(1)의 인자이동방향(X)의 후측측면에 형성된 프린트 확인창(14X)을 통해서 열기록헤드(24) 및 잉크테이프(23)에 의한 프린트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인데, 예컨대 기록지(a)위의 괘선등에 정확히 대응시킨 프린트 영역을 정할 수가 있다.
상기 인자장치(1)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부(27a, 27b)가 기록지(a)에 접하는 동시에 고무롤러(29)와 구동기어(31)가 회전하여 그 회전이 제2도에서의 중간기어(32, 33, 34a, 34b, 35)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중간기어(35)의 회전에 따라 엔코드판(36)의 회전에 의해 LED(37a)에서 슬릿(36a, 36b,…)을 거쳐서 대응하는 포토센서(37b)로 보내지는 빛이 단속제어된다. 이 경우, 인자장치(1)의 X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엔코드판(36)은 정회전상태에 있으므로, 포토센서(37b)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가 엔코더(39)의 출력이 되어, 인자장치(1)에 대한 이동량 검출신호로서 제어부(51) 및 인자제어부(55)로 보내진다. 또한, 상기 엔코드판(36)을 회전시키는 중간기어(35)의 회전은 다시 중간기어(40)를 거쳐서 테이프 감기기어(41) 및 테이프 감기축(42)에 전달되어, 잉크테이프 카세트(21) 내의 감기스풀(22b)로 전해진다. 이로써, 감기스풀(22b) 이 회전하고 풀기스풀(22a)에서 열기록헤드(24)의 헤드면 및 잉크테이프 가이드부(26)를 통해서 안내되어 온 열전사잉크테이프(23)를 감는다. 이때, 상기 테이프 감기축(42)은 인자장치(1)의 이동에 따라 기록지(a)와 잉크테이프(23)와의 사이에 미끄럼이 생기지 않도록 인자장치(1)의 이동량에 맞추어서 회전하며, 또한 잉크테이프(23)는 헤드부착부재(25)와의 사이에 설치된 코일패널(16)의 작용을 받고 있는 열기록헤드(24)에 의해 소정의 누르는 힘으로 기록지(a)에 압력접촉된다. 이때, 열기록헤드(24)의 기록지(a)에 대한 안정접촉상태는 그 일방측에 설치된 고무롤러(29) 및 타방측에 떨어져서 설치된 슬라이딩부(27a, 27b) 각각의 접지상태에 의해 유지된다. 여기서, 인자장치(1)의 X방향으로의 인자 이동시에는 테이프 감기기어(41)는 정회전상태에 있고, 스토퍼 암(43)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 유지된다.
한편, 상기 포토센서(37b)에서 엔코더 펄스로서 출력되는 이동량 검출신호는 상술한 바와같이 엔코더(39)의 출력신호로서 제어부(51) 및 인자제어부(55)로 보내진다. 이렇게 하면, 제어부(51)는 엔코더(39)로부터의 이동량 검출신호에 따라서 기억부(52)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지정하고, 거기에 기억되어있는 문서데이터를 읽어내어, 이 문서데이터를 인자용 문자생성기(54)에 의해 개개의 문자데이터로서 호출하고 문자형태 변환부(57)를 거쳐서 인자버퍼(58)로 출력한다. 그리고, 인자제어부(55)는 상기 엔코더(39)로 부터의 이동량 검출신호에 동기해서, 극 제어부(51)에 의한 문서데이터의 읽어내기 타이밍에 동기해서, 열기록헤드(24)를 구동한다. 이 열기록헤드(24)의 구동에 의해, 문서데이터가 잉크테이프(23)를 거쳐서 기록지(a)위에 열전사된다, 이 경우, 인자장치(1)의 이동에 따라서 잉크테이프 카세트(21)의 풀기 스풀(22a)에서 잉크테이프(23)의 미사용 부분이 송출되어 상기 열기록 헤드(24)에 의해 열전사된 후의 사용이 끝난부분이 잉크 테이프 가이드부(26)를 통해서 잉크테이프 카세트(21)내의 감기스풀(22b)에 순차적으로 감겨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인자장치(1)를 X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므로써 기억부(52)에 기억되어 있는 작성문서데이터가 "정지"코드에 의해 구획되는 문구절 문자열마다 기록지(a)에 순차적으로 프린트된다.
다음에, 상기 인자동작에 따르는 인자데이터 처리에 대해서 제6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기억부(52)에 기억되는 문서데이터를 예컨대("정지"아이우에오"정지"가기구게고…)로 한다.
우선, 상기 문서데이터의 작성후에 모드전환키를 조작해서 동작모드를 프린트모드로 바꾸면, 제어부(51)에 의해 기억부(52)내의 선두 어드레스가 지정되고, 그 정지코드의 내용이 정지코드 판단부(59)에서 판단된다.
여기서, 기억부(52)에서 읽어낸 문서데이터의 "정지"코드에 대해서, 제4도에서의 가로/세로 플래그, 정/역 플래그중 어느것도 설정되어 있지 않다(="0")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그 "정지"마크에 이은 문구절문자열(아이우에오)은 가로쓰기통상 인자지정이라해서 제7도(a)에서와 같이 "가로"마크를 상부에 배치한 통상의 "P"마크가 표시된다. 그러고, 그 문구절 문자열의 1문자 코드(이경우 "아")가 인자용 문자생성기(54)에 출력된다(스텝(S1-S3)). 이렇게 하면, 이 인자용 문자 생성기(54)에서 호출된 문자형태 "오"는 문자형태 변환부(57)로 출력된다(스텝(S4)). 이때, 제어부(51)로 부터는 세로 쓰기 지정 및 뒷면문자지정중 어느 제어신호도 출력되지 않으므로 문자형태 변환부(57)에 주어진 문자형태 "아"는 아무런 형태 변화도 받지 않으면서 인자버퍼(58)에 격납된다(스텝(S5)). 그러고, 인자장치(1)의 프린트 스위치(14s)를 조작해서 상술한 바와같이 인자장치(1)를 기록지(a)위에서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엔코더(39)로 부터의 엔코더 펄스에 응해서 제8도의 영역(a)에서와 같이, 상기 문자형태 "아"의 좌1열째 부터 우방향으로 1라인 데이터의 인자가 인자제어부(55)를 거쳐서 개시된다(스텝(S6-S8)). 그리고, 상기 1문자분의 1라인 인자처리가 최송라인에 도달하면, 기억부(52)에 대한 읽어내기 어드레스가 증가되어, 다음의 문구절선두의 "정지"코드를 읽어낼 때까지 순차로 다음의 피인자문자코드(이경우 "이"→"우"→…)가 인자용 문자생성기(54)에서 문자형태로서 호출되고 기록지(a)위에 가로쓰기 통상인자된다(스텝(S8-S10).
다음에, 기억부(52)에서 읽어낸 문서데이터의 "정지"코드에 대해 제4도에서의 가로/세로 플래그 "0", 정/역 플래그가 "1"임을 판단했을 때에는 그 "정지"마크에 이은 문구절 문자열(아이우에오)는 가로쓰기ㆍ뒷면문자 인자지정되어, 제7도(b)에서와 같이 "가로"마크를 상부에 배치한 좌우 반전된 "P"마크가 표시된다(스텝(S1,S2)). 그리고, 기억부(52)에서의 그 문구절문자열(아이우에오)의 읽어내기 어드레스가 다음 문구절 선두의 "정지"코드를 읽어낼때까지 증가된다(스텝(S11, S12)). 여기서, 기억부(52)에 대한 읽어내기 어드레스를 감소하면, 먼저, 상기 인자문자열 최후미의 1문자코드(이 경우는 "오")가 인자용 문자생성기(54)에 출력된다(스텝(S13-S15). 이러면, 이 인자용 문자 형태변환부(57)로 출력된다(스텝(S16). 이때 제어부(51)로 부터는 가로쓰기ㆍ뒷면문자 인자지정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있으므로 문자형태 변환부(57)에 주어진 문자형태 "오"는 우측 1열째에서 좌로 읽어내도록 좌우형태 변환되어 인자버퍼(58)에 격납된다(스텝(S17)). 그리고, 인자장치(1)의 프린트스위치(14s)를 조작해서 앞에서 기술한 것처럼 인자장치(1)를 기록지(a)위에서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엔코더(39)로 부터의 엔코더 펄스를 따라서 제8도의 영역(b)에서와 같이 상기 문자형태 "오"의 우측 1열째로 부터 좌 방향으로의 1라인 데이터의 인자가 인자제어부(55)를 거쳐서 개시된다(스텝(S18-S20)). 그리고, 상기 1문자분의 1라인 인자처리가 최종 라인에 도달하면, 기억부(52)에 대한 읽어내기 어드레스가 다시 감소되어, 그 문구절 선두의 "정지"코드를 읽어낼때까지 순차적으로 앞에서의 피인자문자코드(이경우 "에"→"우"→…)가 인자용 문자생성기(54)에서 문자형태로서 호출되고 기록지(a)위에 가로쓰기 뒷면문자가 인자되어 간다(스텝(S20→S13, S14)).
한편, 기억부(52)에서 읽어낸 문서 데이터의 "정지"코드에 대해, 제4도에서의 가로/세로 플래그가 "1", 정/역 플래그가 "0"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그 "정지"마크에 계속되는 문구절 문자열(아이우에오)은 세로쓰기, 통상인사지정이라 하고, 제7도(c)에서와 같이 "세로"마크를 상부에 배치한 통상의 "P"마크가 표시된다. 그리고, 그 문구절 문자열의 1문자코드(이 경우 "아")가 인자용 문자생성기(54)로 출력된다(스텝(S1)→(S22, S22)). 이러면, 이 인자용 문자 생성기(54)에서 호출된 문자형태 "아"는 문자형태 변환부(57)에 출력된다(S23)). 이때, 제어부(51)로 부터는 세로쓰기, 통상인자지정의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있으므로, 문자형태 변환부(57)에 주어진 문자형태 "아"는 상기 1행째 부터 아래로 읽어내도록 가로, 세로 형태 변환되어 인자버퍼(58)에 격납된다(스텝(S24)). 그리고, 인자장치(1)의 프린트 스위치(14s)를 조작해서, 상기한 바와같이 인자장치(1)를 기록지(a) 위에서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엔코더(39)로 부터의 엔코더 펄스에 따라서 제8도의 영역(c)에서와 같이 상기 문자 형태 "아"의 상 1행째 부터 하방향으로의 1라인 데이터의 인자가 개시된다(스텝(S25-S27)). 그리고, 상기 1문자분의 1라인 인자처리가 최종라인에 도달하여, 기억부(52)에 대한 읽어내기 어드레스가 증가되어 다음의 문구절선두의 "정지"코드를 읽어낼 때까지 순차적으로 다음의 피인자 문자코드(이 경우 "이"→"우"→…)가 인자용 문자생성기(54)로 부터 문자형태로서 호출되어, 기록지(a)위에 세로쓰기ㆍ통상인자되어간다(스텝(S27-S29)).
다시, 기억부(52)에서 읽어낸 문서데이터의 "정지"코드에 대해, 제4도에서의 가로/세로 플래그, 정/역플래그중 어느것도 "1"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그 "정지"마크에 이은 문구절 문자열(아이우에오)은 세로쓰기, 뒷면문자 인자지정이라 하며, 제7도(d)에서와 같이 "세로"마크를 상부에 배치한 좌우반전된 "P"마크가 표시된다. 그리고, 그 문구절 문자열의 1문자코드(이 경우 "아")가 인자용 문자 생성기(54)로 출력된다(스텝(S1→S21→S30)). 이렇게 되면, 이 인자용 문자생성기(54)에서 호출된 문자형태 "아"는 문자형태변환부(57)로 출력된다(스텝(S31)). 이때, 제어부(51)로부터는 세로쓰기 뒷면 문자인자지정의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있으므로 문자형태 변환부(57)에서 주어진 문자형태 "아"는 좌우반전된 상태에서 상1행째 부터 하로 읽어내도록 좌우ㆍ가로 세로 형태 변환되어 인자버퍼(58)에 격납된다(스텝(S32)). 그리고, 인자장치(1)의 프린트 스위치(14s)를 조작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자장치(1)를 기록지(a)위에서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엔코더(39)로 부터의 엔코더 펄스에 응해서 제8도의 영역(d)에서와 같이 상기 문자 "아"의 좌우반전형태의 상1행째 부터 아래방향으로의 1라인 데이터의 인자가 개시된다(스텝(S33-S35)). 그리고 상기 1문자분의 1라인 인자처리가 최종라인에 도달하면, 기억부(52)에 대한 읽어내기 어드레스가 증가되고, 다음의 문구절선두의 "정지"코드를 읽어낼때까지 순차적으로 다음의 피인자문자코드(이경우 "이"→"우"→…)가 인자용 문자생성기(54)로 부터 문자형태로서 호출되어 기록지(a)위에 세로쓰기ㆍ뒷면문자 인자되어 간다(스텝 S35-S37)).
따라서, 상기 구성의 워드프로세서에 의하면, 미리 정지코드에 의해 구획된 문구절문자열마다 가로쓰기,세로쓰기, 통상인자, 뒷면인자를 지정할 수 있어서, 그 지정인자 정보를 정지코드에 의해 관리하여 인자읽어내기시에 판단해서 이에 따라 피인자 문자를 지정인자 출력순으로 형태 변환해서 인자하도록 했으므로, 예컨대 투명한 플라스틱 케이스나 비닐봉지에 대해서는 그 표면측에서 정상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뒷면에서 쉽게 뒷면문자인자를 행할 수 있으며, 인자면이 다른 물건과 마찰하여 벗겨진다든가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자하는 화상의 입력부를 인자장치(1)와는 별체의 워드프로세서 본체(10)에 설치하여 인자장치(1)와 워드프로세스(10)를 접속 코드(15)로 접속시켰다. 그러나, 인자하는 화상의 입력부도 인자장치에 설치하므로써 보다 휴대를 편리하게 하는 것도 가능한 데 아래에 그 실시예를 제시한다.
[제 2 실시예]
제9도 및 제10도는 수동주사형 인자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인자장치(100)는 지면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어, 이 읽어낸 화상데이터를 다른 지면등에 인자하는 것으로서, 세로로 긴 케이스부재(101)내의 상측부에 판독부(102)가, 하부측에 인자부(103)가, 중간에 전지(104)가 수납되어 있다.
케이스부재(101)는 제9도에서와 같이 전체가 세로로 긴 중공통형상을 이루며, 그 상부측에 약간 끝이 가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구성은 제10도에서와 같이 우측의 케이스(105)와 좌상측의 작은 케이스(106)와, 그 하측의 개폐뚜껑(107)과, 상단부의 상부뚜껑(108)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부가 개방되어 있다. 즉, 우측의 케이스(105)는 끝이 가는 모양의 상단에서 저부의 하단에 걸쳐서 단면 "
Figure kpo00001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5)의 내벽에는 나사구멍을 가지는 보스(10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109)에는 회로기판(101)이 나사로 연결된 후, 이 회로기판(110)을 덮고서 내부케이스(l11)가 고정된다. 또한, 좌상측의 작은 케이스(106)는 케이스(105)의 상부측에 고착되어서 판독부재 수납영역(112)을 형성한다, 이 판독부재 수납영역(112)의 상부양단, 즉 작은 케이스(106)내의 앞측상모퉁이부 및 케이스(105)내의 앞측 상모퉁이부에는 각각 축받이부(113)가 대향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작은 케이스(106)의 좌내벽에는 판독가이드오목부(114)가 경사진 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개폐뚜껑(107)은 작은 케이스(106)의 하측에 위치하여 케이스(105)에 부착되거나 이탈 가능하게 부착되며, 이로써 하부에 인자부재 수납영역(115) 및 중간에 전지수납영역(116)을 형성하고 있다. 이 개폐뚜껑(107)은 단면 "
Figure kpo00002
"자 모양을 하며, 각 우단 가장자리에 걸림훅(117)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뚜껑(107)은 걸림훅(117)을 케이스(105)의 좌단가장자리에 형성된 걸어맞춤부(118)에 걸어서 케이스(105)에 부착되거나 이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105)내에 부착되는 회로기판(110)에는 판독부(102)에서 읽어낸 화상데이터를 일단 기억하고 이 기억한 화상 데이터를 인자부(103)에 제공하도록 전기적인 제어를 행하기 위한 각종의 전자부품(119)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기관(110)은 케이스(105)의 내벽측에 인자부재 수납영역(115)과 전지수납영역(116)에 걸쳐서 배치된다. 또한, 이 회로기판(110)이 부착되는 내부 케이스(111)는 세로로 긴 넓은 상자모양을 하며, 그 상부에는 좌측을 향해 수평으로 구부러진 구획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획부(120)는 전지(104)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케이스(111)는 중간부로 부터 하측이 1단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1단 낮은부분에 후술하는 인자부(103)의 금속판(121)이 부착된다. 이 경우, 내부케이스(111)의 상부의 구획부(120)는 판독부재 수납영역(112)과 전지수납 영역(116)을 구획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구획부(120)의 내면에는 2개의 홈(122)이 형성되며 이 홈(122)내에 전지단자판(123)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전지단자판(123)에는 전지(104)의 전극(104a)이 접촉된다. 전지단자판(123)의 각각은 리드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로기판(110)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판독부재 수납영역(112)내에 수납되는 판독부(102)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판독부(102)는 지면의 화상데이터를 읽어내는 것으로서, 고무롤러(124), 엔코더(125), 리더(126) 및 상부뚜껑(108)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무롤러(124)는 지면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낼 때에 지면위를 회전운동하는 것이다. 고무롤러(124)의 양단의 축부(124a)의 하반부가 각각 케이스(105) 및 작은 케이스(106)에 설치된 축받이부(113)에 배치되고, 이 축부(124a)의 상반부가 상부뚜껑(108)으로 지지된다. 이때, 고무롤러(124)의 상반부는 케이스부재(101)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있다.
엔코더(125)는 지면에 대한 인자장치(100)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엔코더(125)는 부착간(127)에 고무 롤러(128), 중간기어(129), 엔코드판(130) 및 이동량 검출센서(131)를 부착시킨 것이다. 부착판(127)은 판독부재 수납영역(112)내에서의 케이스(105)의 우내벽에 부착된다. 고무롤러(128)는 고무롤러(124)와 같이 지면상을 회전운동하는 것이며, 부착판(127)에 설치된 축(132)에 구동기어(133)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고무롤러(128)의 상부측은 부착판(127)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중간기어(129)는 구동기어(133)에 맞물려 회전하여, 고무롤러(128)의 회전을 엔코드판(130)에 전달하며, 부착판(12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엔코드판(130)은 고무롤러(128)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서, 주변부를 따라 다수의 슬릿(130a)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엔코드판(130)은 부착판(127)에 설치된 축(134)에 종동기어(135)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종동기어(135)에는 중간기어(129)가 맞물려 있다. 이동량 검출센서(131)는 엔코드판(130)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려는 것인데, 엔코드판(130)을 끼우므로써 상호대향하게 배치된 LED와 포토센서로 구성된다. 양자의 기능은 각각, 제 1실시예의 LED(37a) 및 포토센서(37b)와 동일하다. 이동량 검출센서(131)는 러드선(131b)에 의해 회로기판(110)에 접속되어 있다.
리더(126)는 지면의 화상데이터를 전기광학적으로 읽어내는 것으로서, 유지판(136)에 광원체(137)와 밀착형 이미지센서(138)가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유지판(136)은 평단부와 경사부를 가지며, 광원체(137)가 평단부에, 이미지센서(138)가 경사부에 고정되어 있다. 광원체(137)는 지면에 빛을 조사하는 것이며, 예컨대 발광다이오드(LED)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밀착형 이미지센서(138)는 광원체(137)에서 조사된 빛의 반사광을 지면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수광하므로써 지면의 화상데이터를 읽어내는 것이다. 광원체(137) 및 이미지 센서(138)는 상술한 엔코더(125)를 거쳐서 회로기판(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부뚜껑(108)은 판독부재 수납영역(112)의 상단부를 막는 것인 데, 평판형상을 이루며, 고무롤러(124)와 대응하는 곳에 긴구멍(108a)이, 엔코더(125)의 고무롤러(128)와 대응하는 곳에는 각진구멍(108b)이, 리더(126)의 이미지센서(138)와 대응하는 곳에는 투과구멍(180c)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작은 케이스(106)의 판독가이드 오목부(114)와 대응하는 곳에는 "凹"자 모양의 잘린부분(108d)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뚜껑(108)은 케이스(105)와 작은 케이스(106)의 상단에 제9도에서와 같이 부착되어 있다. 이로써, 고무롤러(124)의 일부는 긴구멍(108a)을 통해서 상부뚜껑(108)의 상방으로 돌출되며, 고무롤러(128)의 일부는 각진구멍(108b)을 통해서 상부뚜껑(108)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각 고무롤러(124, 128)가 지면위를 회전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원체(137)는 투과구멍(108c)을 통해서 지면에 빛을 조사하며, 이미지센서(138)는 그 반사광을 투과구멍(108c)을 통해서 수광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인자부재 수납영역(115)내에 수납되는 인자부(103)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인자부(103)는 판독부(102)에서 읽어낸 화상데이터를 지면에 인자하는 것이다. 인자부(103)는 부착용금속판(121), 접지롤러(139), 복수의기어(140-145), 테이프감기축(147), 엔코드판(148), 이동량검출센서(149), 열기록 헤드장치(150), 카세트 지지케이스(151) 및 잉크데이프 카세트(15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판(121)에는 상술한 접지롤러(139), 복수의 기어(140-145), 테이프 감기축(147), 엔코드판(148), 이동량 검출센서(149) 및 열기록 헤드장치(150)가 부착되어 있다. 금속판(121)에는 하부 일단에 롤러부착판(153)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접지롤러(139)는 정보를 인자할때 지면위를 회전하는 것으로서, 주고무롤러(139a), 보조고무롤러(139b)및 구동기어(154)를 구비하고 있다. 접지롤러(139)는 축(155)에 의해 금속판(121)과 롤러부착판(153)에 걸려서 부착되어 있다. 각 고무롤러(139a,139b)의 하부가 항상 케이스부재(101)의 하단에서 돌출하여 지면위를 접촉하면서 회전한다. 주고무롤러(139a)와 구동기어(154)는 금속판(121)과 롤러부착판(153)의 일단부(153a)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보조고무롤러(139b)는 금속판(121)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이 상태에서 배면측부터 축(155)을 꽂으므로써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때, 금속판(121)의 배면측에 보조고무롤러(139b)를 설치하므로써 접지롤러(139)는 전체가 길어지며 후술하는 것 같이 주사시의 비스듬한 주행을 막는다.
중간기어(140-144)는 접지롤러(139)의 회전을 엔코드판(148) 및 테이프 감기기어(145)에 전달한다. 이들의 중간기어(140-144)는 금속판(121)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1계열로 배열되어 있다. 제1-제5의 각 중간기어(140-144)는 각각 금속판(121)에 접지롤러(139)와 평행하게 설치된 각 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감기기어(145)에는 테이프 감기축(147)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최하부의 제 1중간기어(140)는 접지롤러(139)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154)와 맞물리고, 제1-제 5중간기어(140-144)는 각각 인접한 중간기어와 맞물려 있다.
엔코드판(148)은 접지롤러(139)의 회전에 응하여 회전한다. 이 엔코드판(148)은 제4중간기어(143)의 지지축(143a)을 회전축으로 하고, 그 일면의 예를들면, 접착등에 의해 제4중간치차(143)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엔코드판(148)은 앞에서 기술한 판독부(102)의 엔코드판(130)과 같이 주변부에 다수의 슬릿(148a)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량 검출센서(149)는 엔코드판(148)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것이며, 전술한 판독부(102)의 이동량 검출센서(131)와 엔코드판(148)을 끼워 상호 대향하게 배치된 LED와 포트센서로 구성된다. 이 LED와 포트센서의 기능도 제1실시예의 LED(37a) 및 포토센서(37b)와 동일하다. 이동량 검출센서(149)는 리드선(149b)에 의해 회로기판(1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테이프 감기축(147)은 케이스부재(101)의 이동에 따라, 후술하는 잉크테이프 카세트(152)내의 잉크테이프(157)를 감는다. 이로 인해, 테이프 감기축(147)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잉크테이프 카세트(152)의 감기스풀(165)에 끼워 넣어진 스프로킷(147a)이 부착되어 있다.
열기록 헤드장치(150)는 인자정보에 따라 후술하는 잉크테이프(157)의 열전사 잉크를 지면에 전사하는 열기록 헤드(150a)를 갖고 있다. 열기록 헤드(150a)의 하단부에는 발열소자가 라인 모양으로 배열형성되어있다. 열기록 헤드(150a)는 유지부재(158)에 부착되어 있다. 이 유지부재(158)는 금속판(121)의 하부측에 고정되는 부착부재(159)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부착부재(159)에는 축(159a)이, 유지부재(158)에는 관통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축(159a)에 코일스프링(16)을 삽입한 다음에, 유지부재(158)의 관통구멍이 부착부재(159)의 축(159a)에 삽입되어서 조립된다. 이로써, 열기록 헤드(150a)는 코일스프링(160)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측으로 탄력적으로 눌려진다. 열기록 헤드(150a)는 하단면에 형성된 발열소자가 케이스부재(101)의 하단에서 돌출하도록 금속판(121)에 부착되어 있다.
카세트 지지케이스(151)는 금속판(121)에 부착된 중간기어(140-144), 엔코드판(148), 이동량 검출센서(149) 및 열기록 헤드(150a)등을 덮어서 보호하는 것이며, 내부케이스(111)의 1단 낮은 부분에 부착된다. 카세트 지지케이스(151)의 상부에는 전지(104)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전지지지부(161)가 형성되어 있고, 그하측에는 테이프 감기축(147)이 삽입하는 삽입구멍(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열기록 헤드(150a)를 보호하는 헤드커버부(163)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커버부(163)는 전지(104)의 하단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겸용된다. 또한 카세트 지지케이스(151)에는 열기록 헤드(150a)의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5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151b)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지(a)의 슬라이딩면이 된다.
잉크테이프 카세트(152)는 카세트 케이스(164)내에 감기스풀(165)과 풀기스풀(166)을 회전가능하게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 잉크테이프(157)는 풀기스풀(166)에 감겨서, 카세트 케이스(164)에 형성된 개구(도시하지 않음)에서 외부로 인출된 다음, 다시 카세트 케이스(164)내에 수납되어 감기스풀(165)에 감겨진다. 잉크테이프 카세트(152)는 케이스(105)에서 카세트 지지케이스(151)에 장치된다. 이때, 잉크테이프 카세트(152)의 감기스풀(165)을 테이프 감기축(147)에 고정한 스프로킷(147a)에 끼워 넣는다. 이 상태에서 잉크테이프 카세트(152)는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전지 지지부(161)와 헤드커버부(163)에 의해 눌려져서 유지된다. 이로써, 감기스풀(165)은 테이프 감기축(147)에 의해서 회전하여 잉크테이프(157)를 주사방향을 따라이동시켜서 감는다. 그리고, 잉크테이프 카세트(152)를 장치할때에는 잉크테이프(157)를 카세트 케이스(164)의 하측에 늘어지게 하고, 이 늘어내린 부분과 카세트 케이스(164)의 하면(164a)과의 사이에 헤드커버부(163)와 열기록 헤드장치(150)를 대응시켜서 장치한다. 이로써, 잉크테이프(157)는 인자할때에 열기록헤드(150a)에 의해 지면에 탄력적으로 부착된다.
전지수납영역(116)내에 수납되는 전지(104)는 장치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인데, 예컨대 니켈, 카드뮴전지가 사용된다. 전지(104)에는 상면에 양극 및 음극 전극(104a)이 설치되어 있다. 전지(104)는 내부케이스(111)의 구획부(120)와 카세트 지지케이스(151)의 전지지지부(161)와의 사이에 부착 및 이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장치된 상태에서는 상면의 전극(104a)이 구획부(120)의 하면에 설치된 전지단자판(123)에 접촉되어 접속된다. 전지(104)를 부착할때에는 카세트 뚜껑(107)을 케이스(105)에서 떼낸다.
다음에, 제11도를 참조해서 상술한 수동주사형 인자장치의 회로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자장치(100)의 판독부(102)를 아래로 해서 고무롤러(128, 124)를 지면에 댄 상대에서 인자장치(100)를 주사하면, 그 주사에 따라서 회전하는 판독부(102)의 엔코드판(130)이 회전하여 이동량 검출센서(131)에서 제어부(170)에 이동량 검출신호가 공급된다. 이때, 엔코더(169)는 엔코드판(130)과 이동량 검출센서(131)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70)는 광원체(137)에 신호를 내보내서 발광시키는 동시에, 엔코더(16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화상 판독신호를 이미지센서(138)로 보내서, 이 이미지센서(138)에서 화상데이터를 받아들인다. 화상데이터는 A/D변환부(171)에서 백 흑의 두가지 값 데이터로 변환되어, S/P변환부(172)에서 4비트 또는 8비트의 병렬데이터로서 데이터 메모리(173)에 써 넣어진다.
또한, 인자장치(100)를 상하반전시켜서 접지롤러(139)와 지지케이스(151)의 접지면(151a)을 지면에 댄상태에서 인자장치(100)를 주사하면 그 주사에 따라서 회전하는 인자부(103)의 엔코드판(148)이 회전하여 이동량 검출센서(149)에서 제어부(170) 및 열기록 헤드(150a)에 인자타이밍 신호를 보낸다. 이때, 엔코더(174)는 엔코드판(148)과 이동량 검출센서(149)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170)는 이동량 검출신호에 따라서 데이터 메모리(173)에서 화상데이터를 판독인자제어부(175)에 공급한다. 인자제어부(175)는 화상데이터를 인자데이터로 변환시키다. 이 인자데이터는 엔코더(174)에서 송출되는 이동량 검출신호에 동기해서 송출되어 열기록 헤드(150a)의 발열소자를 선택적으로 발열시킨다. 이로써, 잉크테이프(157)의 잉크가 지면에 전사되어, 판독부(102)에서 읽어낸 화상데이터가 복사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동주사형 인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면에 표시한 정보를 읽어내는 경우에는 우선, 인자장치(100)의 상부에 설치된 판독부(102)를 아래로 해서 지면에 댄다. 이렇게 하면, 판독부(102)의 고무롤러(124)와 엔코더(125)의 고무롤러(128)가 지면에 접촉된다. 이때, 작은 케이스(106)의 측면에 설치된 판독가이드 오목부(114)를 지면의 판독부분에 맞추어진다. 이 상태에서, 인자장치(100)를 주사시키면 각 고무롤러(124,128)가 지면위를 회전하여, 고무롤러(128)의 회전이 중간기어(129)를 거쳐서 엔코드판(130)에 전달되어, 엔코드판(130) 이 케이스부재(101)의 주사거리에 따라 회전한다. 이와 같이, 엔코드판(130)이 회전하면 그 회전각도가 이동량 검출센서(131)에서 검출되어, 이 검출신호가 제어부(170)에 공급되고, 이 제어부(170)로부터 리더(126)의 이미지센서(138)에 화상판독신호가 송출된다. 이 경우에는, 미리 리터(126)의 광원체(137)는 발광하고 그 빛이 상부뚜껑(108)에 투과구멍(108c)을 통해서 지면의 판독부분에 조사되며, 그 반사광이 이미지센서(138)에 입사된다. 읽어낸 화상데이터는 A/D변환부(171)에서 백 흑 두가지 값 데이터로 변환되어, S/P변환부(172)에서 병렬데이터로서 데이터 메모리(173)에 써넣어져서 기억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해서 읽어낸 화상데이터를 다른 지면에 복사할때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에는 미리 개폐뚜껑(107)을 케이스(105)에서 벗기고 잉크테이프 카세트(152)를 케이스(105)내에 장치한다. 즉, 잉크테이프 카세트(152)의 카세트 케이스(164)를 카세트 지지케이스(151)의 전지지지부(161)와 헤드커버부(163)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카세트 케이스(164)내에 감기스풀(165)내에 테이프 감기축(147)을 꽂아 넣는다. 이때, 잉크테이프 케이스(152)에서 밖으로 인출된 잉크테이프(157)의 일부는 열기록 헤드(150a)의 하면을 통해서 잉크테이프 케이스(152)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잉크테이프 카세트(152)가 장치된 후에 케이스부재(101)를 상하반전해서 하부측의 인자부(103)를 지면에 댄다. 이때, 접지롤러(139)와 카세트 지지케이스(151)의 접지면(151a)이 지면에 접촉한다. 또한, 카세트 케이스(164)에서 인출된 잉크테이프(157)의 일부가 열기록 헤드(150a)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면에 눌려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인자장치(100)를 주사하면 접지롤러(139)와 지면위를 회전한다. 접지롤러(139)는 주고무롤러(139a)와 보조고무롤러(139b)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고무롤러(139a)는 금속판(121)과 롤러부착판(153)과의 사이에 배치되며, 보조고무롤러(139b)는 금속판(121)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접지롤러(139)는 이와 직교하는 직선방향으로 주사했을때에는 원활하게 회전하나, 경사방향으로 주사하면 접지롤러(139)가 저항애서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한다. 그 결과, 인자장치(100)는 접지롤러(139)와 직교하는 직선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행해서 접지롤러(139)가 회전하면, 구동기어(154)도 일체로 회전하므로, 그 회전은 제1-제3의 각 중간기어(140∼142)에 의해 엔코드판(148)의 제4중간기어(143)에 전달되어, 엔코드판(148)이 회전한다. 제4중간기어(143)의 회전은 제5중간기어(144)에 의해 테이프 감기기어(145)로 전달되어, 테이프 감기축(147)을 회전시킨다. 테이프 감기축(147)이 회전하면, 이와 함께 잉크테이프 카세트(152)의 감기스풀(165)이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해서, 풀기스풀(166)에 감겨진 잉크테이프(157)가 접지롤러(139)의 회전, 즉 인자장치(100)의 주사에 따라 감겨진다. 위에서 말한 엔코드판(148)의 회전은 이동량 검출센서(149)에서 검출되고, 이 검출신호가 제어부(170) 및 열기록헤드(150a)에 인자타이밍 신호로서 주어진다. 제어부(170)는 데이터 메모리(173)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읽어내어 인자제어부(175)로 송출하고, 이 화상데이터가 인자데이터(175)에서 인자데이터로 변환되어 열기록 헤드(150a)에 공급된다. 열기록 헤드(150a)에 인자데이터가 주어지면, 그 하단에 배열된 발열소자가 선택적으로 발열하여, 그 열로서 잉크테이프(157)의 열전사잉크를 지면에 순차적으로 전사한다. 이로써, 판독부(102)에서 읽어낸 화상데이터가 지면에 복사된다. 그리고, 구동기어에서 감기기어 및 엔코드판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기구는 제12도 및 제13도에서와 같이 변형 가능하다.
제12도는 구동기어(201)의 회전을 감기기어(203)에 전달하고서는 엔코드판(206)에 전달하는 기구의 일예를 나타낸다. 구동기어(201)와 감기기어(203)와의 사이에는 중간기어(202)가 배치되어 있다. 감기기어(203)에는 뒷면측에 이 감기기어(203)와 같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간기어(204)가 부착되어 있다. 감기기어(20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기축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엔코드판(206)에는 뒷면축에 동축적으로 회전하는 중간기어(205)가 부착되어 있다. 중간기어(204, 205)는 벨트(207)에 의해 회전이 전달된다. 이 기구에서는 구동기어(201)의 회전을 중간기어(202)를 거쳐서 감기기어(203) 및 중간기어(204)로 전달된다. 중간기어(204)의 회전은 벨트(207)를 거쳐서 중간기어(205) 및 엔코드판(206)에 전달된다. 이때, 벨트(207) 대신에 중간기어를 사용하는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3도는 감기기어(203)와 엔코드판(206)을 동축으로 설치한 예를 나타내다. 이때, 섀시(도시하지 않음)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내에 축받이(209)가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축받이(209)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지지축(208)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지지축(208)은 그 길이의 중간부가 축받이(209)에 의해 지지되어 섀시의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과 뒷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지지축(208)이 섀시의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에는 감기기어(203)가 끼워져서, 이 지지축(208)에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은 나사죔부, 압입등 적당한 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감기기어(203)는 감기축을 갖고 있다. 또한, 지지축(208)이 섀시의 뒷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에는 엔코드판(206)이 고정된다. 즉, 감기기어(203), 지지축(208) 및 엔코드판(206)은 일체로 회전한다. 이 기구에서는 구동기어(201)의 회전은 중간기어(202, 204)를 거쳐서 감기기어(203)에 전달된다. 감기기어(203)의 회전은, 즉 지지축(208) 및 엔코드판(206)의 회전이다.
그리고, 상술한 회전전달 기구에서의 각 기어는 적당한 고무롤러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3)

  1. 세로로 긴 중공부를 가지는 통형상 외형으로 형성된 케이스부재(14, 105)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저면측에 배치된, 기록지상을 회전하는 구동용 회전체(29, 139)와, 다수의 인자소자가 배열된 인자소자 형성면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부재의 중공부 저면측에 배치된 인자헤드(24, 150a)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인자헤드를 상기 인자소자 형성면이 기록지에 접촉되도록 프레스하기 위한 탄성지지수단(16,160)과, 상기 케이스부재의 중공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부재의 중공부에 장치되는 잉크테이프 카세트의 잉크테이프를 감기 위한 잉크테이프 감기회전체(42,145)와, 상기 구동용 회전체와 상기 잉크테이프 감기회전체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중간회전체(32∼34 ; 140∼143,202)와, 상기 제1중간회전체와 상기 구동용 회전체와의 사이 및 상기 잉크테이프 감기회전체의 위쪽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는 제2중간회전체(35 및 40, 144, 206)와, 상기 제2중간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중간회전체에 결합된 엔코드판(36, 148)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제2중간체, 상기 엔코드판 및 상기 잉크테이프 감기회전체는 상기 중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구동용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소정량을 회전하도륵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주사형 인자장치.
  2. 문자 및 정지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수단(11, 12)과,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문자 및 정지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13)과, 상기 키입력수단에서 입력된 문자 및 정지코드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52)과, 상기 정지코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10)을 구비하는 입력장치와 ; 잉크테이프가 내장된 잉크테이프 카세트(21)와 ; 세로로 긴 중공부를 갖는 통형상 와형으로 형성된 케이스부재(14)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저면부에 부착된 기록지위를 회전하는 구동용 회전체(29)와, 다수의 인자소자가 배열된 인자소자 형성면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부재의 중공부 저면측에 배치되는 인자헤드(24)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중공부에 장치되는 상기 잉크테이프 카세트의 잉크테이프를 감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용 회전체의 회전이 전달되도록 상기 구동용 회전체에 결합된 감기기구수단(31∼42)과, 상기 감기기구수단에 결합된 엔코드판(36)을 구비하는 인자장치와 ; 상기 입력장치의 기억된 문자를 상기 수동주사형 인자장치에 송출하기위한 접속수단(15)으로 구성되며 ; 이로써,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문자데이터를 상기 인자장치를 수동주사하면서 기록지에 인자하고, 상기 검출수단으로 상기 정지코드가 검출된 시점에서, 인자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주사형 인자장치.
  3. 세로로 긴 중공부를 가지는 통형상 외형으로 형성된 케이스부재(14)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중공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을 가지는 섀시와, 상기 케이스부재 및 상기 섀시중 한쪽의 저면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구동용 회전체(201)와, 상기 섀시에 부착되고, 다수의 인자소자가 배열된 인자소자 형성면을가지는 인자헤드(24)와, 상기 인자헤드를 상기 인자소자 형성면이 기록지에 접촉되로록 프레스하기 위한 탄성지지수단(16)과, 상기 섀시의 관통구멍내에 배치되는 축받이(209)와, 상기 축받이에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축(208)과, 상기 지지축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잉크테이프를 감기 위한 감기회전체(203)와, 상기 지지축의 감기회전체의 부착측의 뒷면측에서 상기 지지축에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엔코드판(206)과, 상기 구동용 회전체와 상기 감기회전체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섀시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복수의 중간회전체(202 및 204)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용 회전체, 상기 중간회전체 및 상기 감기회전체는 상기 중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주사형 인자장치.
KR1019890005773A 1988-05-20 1989-04-29 수동주사형 인자장치 KR930002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65853 1988-05-20
JP1988065854U JPH01169338U (ko) 1988-05-20 1988-05-20
JP1988065855U JP2501856Y2 (ja) 1988-05-20 1988-05-20 手動走査式プリンタ
JP6585388U JPH01169337U (ko) 1988-05-20 1988-05-20
JP63-65854 1988-08-31
JP1988113471U JP2501654Y2 (ja) 1988-08-31 1988-08-31 印字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
JP1013035A JPH02194980A (ja) 1989-01-24 1989-01-24 手動走査型複写装置
JP63-65855 1989-01-24
JP63-113471 1989-01-24
JP1-13035 1989-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639A KR890017639A (ko) 1989-12-16
KR930002019B1 true KR930002019B1 (ko) 1993-03-20

Family

ID=2751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773A KR930002019B1 (ko) 1988-05-20 1989-04-29 수동주사형 인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0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639A (ko) 198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0820A (en) Hand recording apparatus and movement guide therefor
USRE33425E (en) Handy reader/printer apparatus
EP05921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US4949283A (en) Manually sweepable printing apparatus
EP0278004A1 (en) Small copying apparatus
KR920009351B1 (ko) 영상데이터 판독장치
EP0270686A1 (en) Manually scanned image data processor
US4851896A (en) Manual sweeping apparatus
US5131090A (en) Word processor with simplified character train designation for modifying fonts
JPH0230564A (ja) プリンタ
KR930002019B1 (ko) 수동주사형 인자장치
EP0342697A2 (en) Manual scanning type printing device
EP0249212A2 (en) Hand held manually sweeping printing apparatus
JP2501856Y2 (ja) 手動走査式プリンタ
JPH088111Y2 (ja) 小型印字装置
JPH0611793Y2 (ja) 小型プリンタのサ−マルヘツド支持装置
JPH088112Y2 (ja) 小型印字装置
JP2501654Y2 (ja) 印字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
JP2560419B2 (ja) プリンタ
JPH088833Y2 (ja) 小型文字印字装置
JPH074922Y2 (ja) 手動走査型印字装置
JPH088109Y2 (ja) 小型印字装置
JP2775730B2 (ja) 印字装置
JPS63278862A (ja) 小型印字装置
KR920006771B1 (ko) 수동주사 프린팅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