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771B1 - 수동주사 프린팅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동주사 프린팅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771B1
KR920006771B1 KR1019890019941A KR890019941A KR920006771B1 KR 920006771 B1 KR920006771 B1 KR 920006771B1 KR 1019890019941 A KR1019890019941 A KR 1019890019941A KR 890019941 A KR890019941 A KR 890019941A KR 920006771 B1 KR920006771 B1 KR 92000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inting
housing
contro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580A (ko
Inventor
가즈끼 야마우찌
아쓰시 사기사까
노부유끼 모찌나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715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076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3597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6764Y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가시오가즈오 filed Critical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동주사 프린팅 장치 및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타 처리 시스템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수동주사 프린터의 내부배열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프린터의 회로배열을 도시하는 블록구성도.
제4도는 퍼스널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또는 전자식 노트북과 수동주사 프린터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타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이미지 데이타 메모리의 메모리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제3도에 도시된 프린트제어데이타 메모리의 메모리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수동주사 프린터의 데이타 수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아트.
제8도는 제1도에 도시된 수동주사 프린터의 프린팅과정을 설명하기위한 플로우챠아트.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워드프로세서 시스템의 외관 사시도.
제10도는 수동주사 프린터가 제거된 제9도에 도시된 워드프로세서 본체의 외관 사시도.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된 수동주사 프린터의 배면도.
제12도는 제9도에 도시된 워드프로세서 본체의 회로배열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제13도는 제9도에 도시된 수동주사 프린터의 회로배열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제14도는 수동주사 프린터가 제9도에 도시된 워드프로세서 본체에 설치되었을 경우 수행될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아트.
제15도는 제9도에 도시된 수동주사 프린터가 워드프로세서 본체에 설치되었을 때 수동주사 프린터에서 수행될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아트.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이타처리 시스템의 외관 사시도.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된 복사기의 회로배열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제18a도 및 제18b도는 제16도에 도시된 복사기를 사용하여 프린팅이 수행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동주사프린터 11 : 모드스위치
12 : 스타트키이 13 : 프린팅부
14 : 확인창 15 : 코넥터부
20 : 메카니즘부 21 : 잉크리본 카세트
22a, 22b : 리본스풀 23 : 열전사 잉크리본
24 : 서멀헤드 25 : 헤드착설부재
26 : 잉크리본 가이드 27a, 27b : 당점부
28 : 기판 29 : 고무롤러
30 : L형 프레임 31 : 구동기어
36 : 앤코드 디스크 37 : LED
38 : 프로센서 42 : 권취축
43 : 스톱퍼 암
본 발명은 장치 본체를 기록지상에 위치시키고 이동시킴에 의해 부주사를 할 수있고, 워드프로세서 등으로 작성된 데이타를 프린트하기 위한 수동주사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워드프로세서등의 보조 장치로서 수동주사 프린터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수동주사 프린터는 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해 프린팅지를 수동으로 교차하여 주사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동주사 프린터는 통상의 프린터로는 프린트할 수 없는 바운드 노트북 또는 판형 부재등에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동주사 프린터는 통상 케이블을 통하여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데이타 작성장치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타 작성장치에 인접한 위치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은 부드러운 수동주사를 방행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데이타 작성장치의 설치 장소에서 떨어진 위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부드럽게 주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는 수동주사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변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프린트하는 프린팅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프린팅 매체에 대하여 수동주사를 하는 하우징 수단과 주변장치와 착탈할 수 있게 접속된 접속수단과; 접속수단을 경유하여 주변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해 하우징 수단에 구비된 데이타 수신수단과;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시키기 위해 하우징 수단에 구비된 기억수단과; 하우징 수단이 프린팅 매체에 대하여 수동주사될 때 하우징 수단의 외부에 위치한 프린팅 매체에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타를 프린팅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간직된 프린팅 수단과; 하우징 수단이 프린팅 매체에 대하여 수동주사될 때 프린팅 매체의 위치를 검지하고, 하우징 수단이 소정거리를 지나 주사될때마다 프린팅 매체에 대한 하우징 수단위 위치를 알리는 측정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위치검지 수단과; 위치검지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위치검지신호에 반응하여 기억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출력시키고, 프린팅 수단이 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프린팅 매체에 프린트하도록하기 위해 하우징 수단에 구비된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비를 갖는 본 발명의 프린팅 장치는 프린팅 즉시 부드럽게 주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작동기가 프린팅을 위해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운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부수 도면을 참고로 하기에 서술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시스템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제1도는 도시된 수동 주파 프린터(10)는 사용자의 손에 간직할 수 있는 크기로 만들어진다. 프린터(10)는 기록지 A상에 프린팅을 하기 위해 화살표 M으로 지적된 방향으로 기록지(예를들면 백지 또는 플라스틱)A에 대해 수동으로 이동한다. 프린터(10)는 그 이동 방향에 대해 이면상에 모드스위치(11)와 프린트 스타트 키이(12)를 가지고 있다. 스위치(11)는 전원 ON/OFF 데이타 입력 모드 IN 데이타 출력모드 OUT, 그리고 프린트 모드 PRI 사이에 절환을 수행 한다. 스위치(11)가 데이타입력 모드 IN, 데이타 출력모드 OUT, 그리고 프린트 코드 PRI중 어느하나를 지정하면 전원이 켜지게 된다. 키이(12)는 프린트작동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프린트모드에서 키이(12)를 누르고 있는 동안 작동자가 프린터(10)를 이동시키던 기록지 A 상에 프린트작동이 수행된다.프린팅부(13) (상세히 후술된 것임)는 프린터(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어서, 프린터(10)가 기록지 A 상에 위치될 때 프린팅부(13)는 기록지 A와 접촉하게 된다. 역시 프린터(10)의 이동방향에 대해 이면 하부에는 확인창(14)이 설치되어 있어서 프린팅부(13)가 기록지 A와 접촉되었는가의 여부를 확인한다. 프린터(10)의 상면에는 코넥터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코넥터부(15)는 프린터(10)를 퍼스널 컴퓨터(16), 워드프로세서(17) 또는 전자노트북(18)과 같은 전자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코드(19)에 연결된다.
제2도는 프린터(10)내에 배열된 프린트 메카니즘부의 배열을 도시한다. 제2도에서 잉크리본 카세트(21)는 고정도로 메카니즘부(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콤팩트하게 구성된다. 이 카세트(21)는 두게의 리본스풀(22a, 22b)을 가지고 있다. 스풀(22a, 22b)은 각각 열전사 잉크리본(23)의 권취스풀 및 공급스풀로 작용한다. 리본(23)은 카세트(21)의 하단부에서 일부 노출되도록 메카니즘부(20)에 세트된다. 서멀헤드(24)는 메카니즘부(20)의 프린팅부(13) 중심에 위치되어 헤드(24)의 표면이 프린터(10)의 기저면에서 약간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헤드(24)는 그의 하부 평면부에서 설치된 한 라인(8도트/mn)에 64개의 발열소자를 배열하고 있다. 헤드(24)는 헤드 착설부재(25)에 관해 수직으로 약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헤드(24)는 착설부재(25)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도시안됨)에 의해 항상 하방향으로 프린팅 압력을 받고있다. 잉크리본 가이드(26) 및 당접부(27a, 27b)는 착설부재(25)상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26)는 프린트 이동방향 M에 관해 헤드(24)의 이면에 인접하게 그리고 헤드(24)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당접부(27a, 27b)는 가이드(26)의 두 단부에 분리되어 하향 신장되게 설치되었으며 프린팅 조작시 기록지 A와 접촉하게 된다. 카세트(21)와 가이드(26)는 분리되어 구성된다. 카세트(21)는 설치시 헤드(24)에 인접하게 위치 시키지 않아야한다. 그래야 카세트(21)를 쉽게 착탈할 수 있어서 프린터(10)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다. 유연성 인쇄회로기판(28)은 착설부재(25)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기판(28)을 경유하여 프린트 제어신호가 헤드(24)로 공급된다. L형 프래임(30)상에 설치된 고무롤러(29)는 프린터(10) 하부에서 헤드(24)의 이동방향 M에 대해 전방부에 설치되어있으며, 그위에 헤드(24)가 설치된다. 프린팅 조작시 프린터(10)가 방향 M으로 이동할 때 롤러(29)는 기록지 A와 접촉하여 회전한다. 구동기어(31)는 롤러(29)의 촉부에 동축으로 고착된다. 기어(31)는 롤러(29)보다 소경으로 형성된다. 기어(31)는 중간기어(32, 33, 34a, 34b, 35)를 통하여 앤로드 디스크(36)에 연결된다.
기어(31)은 회전은 디스크(36)에 전달된다. 다수의 슬릿(36a, 36b…)이 일정간격으로 디스크(36)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LED(37)와 프로센서(38)는 그 사이에 설치된 디스크(36)의 슬릿 형성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인접하여 배열된다. LED(37)로부터의 투사광은 디스크(36)의 슬릿(36a, 36b…)을 통하여 프로센서(36)에 입사된다. 프린터(10)가 방향 M으로 이동함에 의해 디스크(36)가 회전할때 LED(37)로부터 전달된 광온 프린터(10)의 이동속도 상응하는 비율로 단속된다. 즉, 앤코더(39)는 앤코드 디스크(36), LED(37), 포토센서(38)등으로 구성된다. 디스크(36)의 기어(35)는 다시 중간기어(40)을 통하여 권취기어(41)에 연결된다. 롤러(29)의 회전은 디스크(36)를 경유하여 기어(41)에 전달된다. 리본권 취축(42)은 기어(41)에 동축으로 신장되어 있다. 기어(41)에 압접하는 스톱피암(43)은 축(42)의 기부에 착설된다. 암(43)은 기어(41)의 압접력에 의해 기어(41)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기어(41)와 치합하는 스톱퍼기어(44)는 암(43)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기어(41)가 리본권취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암(43)은 기어(41)와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여 멈춘다. 기어(41)가 반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암(43)은 그선단의 기어(44)가 기어(40)에 교합할때까지 회동한 다음 멈춘다.
즉, 중간기어(40, 41), 암(43), 그리고 스톱퍼기어(44)는 결합되어 역회전 저지기구를 이룬다. 여기에서 디스크(36)와 권취축(42)은 하나의 기어계에 의하여 롤러(29)에 대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프린트 메카니즘부(20)내에서 기어기구가 점유하는 공간은 최소화되어 프린터(10)의 전체 크기가 감소된다. 카세트(21)는 권취축(42)을 그 지지축으로 하여 메카니즘부(20)에 설치된다. 카세트(21)의 하단부에서 외축으로 일부 노출되는 잉크리본(23)은 프린터(10)의 프린팅부(13)에 설치된 잉크리본 가이드(26)에 의해 안내되고, 서멀헤드(24)의 헤드면과 당접하여 세트된다. 헤드(24)의 헤드면에서 리본(23)을 정밀하게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26)는 헤드(24) 근처의 헤드 착설부재(25)와 일치로 설치된다. 따라서 카세트(21)는 동일한 가이드 부재를 갖출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카세트(21)의 소형화로 프린터(10)의 크기를 적게할 수 있다. 수동주사 프린터(10)에 형성된 회로의 구성을 제3도를 참고로 서술하고자 한다. 제어유닛(50)은 모드스위치(11), 프린트스타트기어(12), 그리고 앤코더(39)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다양한 형태의 제어작동을 수행한다. 제어유닛(50)에 접속된 시리얼 송수신 유닛(51)은 제어유닛(50)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기초로 작동한다. 유닛(51)은 코넥터부(15)와 접속코드(19)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16), 워드프로세서(17) 또는 전자노트북(18)에 대한 데이타 송수신을 행한다. 유닛(51)은 제어유닛(50)으로부터의 데이타를 퍼스널 컴퓨터(16)등에 공급하여, 퍼스널 컴퓨터(16)등으로 부터의 데이타를 제어유닛(50)에 공급한다. 시리얼 송수신 유닛(51)에 송수신되는 데이타는 제4도에 도시된 포맷을 가진다. 즉, 데이타는 1바이트의 제어로드(D1), 1바이트의 코맨드(D2), 2바이트의 데이타수(D3), 데이타(D4) 그리고 1바이트의 검사합계(check sun)(D5)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로드(D1)는 수신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송신장치의 상태를 지적하기 위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말해서 코드(D1)는 송신개시를 나타내는 텍스트개시코드, 상태조회 코드(ENQ), 전송 종료 코드(EOT), 긍정응잡코드(ACK), 부정응답코드(NAK)등을 포함하고 있다. 코맨드(D2)는 뒤에 공급될 데이타의 속성을 나타내는 코드, 데이타기입 및 데이타 출력을 위한 제어코드등을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말해서, 코맨드는 다음에 공급될 데이타가 캐릭터 데이타의 프린트 배율을 지정하는 배자 코드라는 것을 표시하는 코드, 데이타가 어드레스 데이타라는 것을 표시하는 코드 데이타가 1라인 공급 코드란 것을 표시하는 코드 등을 포함한다. 데이타수(D3)는 아음 데이타수(D3)에 공급될 데이타의 수(바이트의 수)를 나타낸다. 데이타(D4)는 종베올 및 횡 배율을 나타내는 배자 데이타, 어드레스 데이타, 캐릭터 데이타등을 포함한다. 검사 합계(D5)는 코맨드(D1)에서 데이타(34)까지 전송 데이타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가를 검사하기 위한 코드 데이타이다. 검사합계(D5)는 전송 합계 데이타의 총 합계를 검사합계의 데이타에 더한 결과가 소정치가 되도록 출력된다. 제어유닛(50)은 시리얼 송수신 유닛(51)을 경우하여 수신된 데이타의 제어코드(D1)와 코맨드(D2)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 코드 코맨드 판단유닛(52)과, 캐릭터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과, 라인 공급 코드에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내의 어드레스 데이타 혹은 데이타로서 수시된 배차 데이타와 같은 프린트제어 데이타등을 기억하기 위한 프린트제어데이타 기억유닛(54)과, 동일한 데이타가 이미지 기억유닛(53)에 여러번 기입되어야할때 데이타로서 수신된 반복 데이타 그리고 반복횟수 데이타등을 일시적으로 기억시키기 위한 범용 기억유닛(55)과, 유닛(53)의 기입면적을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타(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의 X(종) 방향 어드레스를 나타냄)등을 기억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억유닛(54)에 연결되어 있다.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 프린트제어데이타 기억유닛(54), 그리고 범용 기억유닛(55)은 제어유닛(50)의 제어하에 작동하는 어드레스 제어유닛(55)에 의해 어드레스 제어된다.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은 서멜헤드(24)의 도트수와 일치하게 종방향(X방향)으로 8바이트(64비트)를 갖는 기억영역과, 횡방향으로 1600비트를 갖고 200㎜의 프린팅 길이(표준문자 크기와 표준문자까지의 경우)에 상응하는 데이타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주변장치(16-18)로부터 전송된 캐릭터 패턴이 24×24비트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이 캐릭터 패턴은 제6-제8바이트사이의 3바이트영역에 통상 기입된다. 유닛(53)의 이미지 기입영역은 주변장치(16-18) 에서의 데이타처럼 코맨드 및 어드레스 데이타로서 영역설정 코드를 출력함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린트제어데이타 기억유닛(54)은 스타트 어드레스 기억영역(54a), 앤드 어드레스 기억영역(54b), 횡베올 데치나 기억영역(54c), 종배울 데이타 기억영역(54d), 그리고 제어 플래그 기억영역(54e)를 포함하고 있다. 라인공급 코드가 장치(16-18)중 하나로부터 수신 되었을때 스타트 어드레스 기억영역(54a)과 앤드 어드레스 기억영역(54b)은 다음 데이타의 스타트 어드레스로서 앤드 어드레스에1을 더하여 얻어지는 데이터와 앤드 어드레스로서 어드레스 제어유닛(57)에 의해 지정되는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의 Y(횡)방향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횡베올 데이타 기억영역(54c)과 종배울 데이타 기억영역(54d)은 장치(16-18)중 상응하는 하나로부터 수신된 배율 데이타를 기억한다. 제어플레그 기억영역(54e)은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의 제6 내지 제8바이트 사이에 기억된 데이타만을 프린트 할것인가 또는 제1내지 제 5바이트 사이에 기억된 모든 데이타를 프린트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플래그(1 또는 0)를 기억한다. 제어유닛(50)은 각종 형태의 연산작동을 수행하는 연산유닛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유닛(50)은 또한 문자높이 변환부(59), 프린팅 버퍼(60), 그리고 프린트 제어유닛(61)에 연결되어 있다.
문자높이 변환유닛(59)은 프린트제어 데이타 기억유닛(54)에 기억된 종베올 데이타에 따라서 제어유닛(50)에 의해 제어된다. 변환유닛(59)은 제어유닛(50)을 통해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으로부터 공급된 캐릭터 패턴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확대하는데, 예를들면 표준문자 높이보다 2배의 문자높이로 증가시켜 데이타를 프린팅 버퍼(60)에 출력한다. 프린트 제어유닛(61)은 프링팅 버퍼(60)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기초로 서멸헤드(24)를 구동하기 위해 제어유닛(5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시스템의 작동을 하기에 설명한다. 주변장치(16-18)에서 형성된 데이타를 수동주사 프린터(10)에 전송하기 위하여 작동자는 프린터(10)를 접속코드(19)로 필요한 장치(16-18)에 접속시키고 모드스위치(11)를 데이타 입력모드 IN에 세트시킨다. 이상태에서 프린터(10)는 데이타 수신대기 상태로 세트되고, 제7도에 도시된 플로우챠아트에 따라서 데이타 스신처리를 수행 한다. 제어유닛(50)은 시리얼 송수신 유닛(51)이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였는가를 확인한다.(스텝 A1).
아무런 데이타가 수신되지 않았지만 스텝 A1은 반복수행되며, 데이타가 수신되었다면 제어유닛(50)은 시리얼 송수신 유닛(51)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호출하며, 이 수신된 데이타는 제어코드 코맨드 판단유닛(52)에 출력된다. 유닛(52)은 수신된 데이타의 제어로드(D1)를 확인한다.(스텝 A2). 제어코드(D1)가 "상태 조회코드(EUQ)"로 판단되며, 판단유닛(52)은 송수신 유닛(51)을 통하여 주변장치(16-18)중 상용하는 하나에 긍정응답코드(ACK)를 출력한다(스텝 A3). 계속해서 판단유닛(52)에 장치(16-18)중 하나로부터 송신된 제어코드(D1)가 "텍스트 개시 코드"한 것이 판명되면(스텝 A2), 스텝A4로 진행하며 제어유닛(50)은 제어코드 다음에 수신된 코맨드(D2)를 판단유닛(52)으로 보낸다(스텝 AS).
판단유닛(52)에 수신된 코맨드(D2)가 문자크기 변환세트코드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유닛(50)은 횡베올데이타 기억영역(54c), 종베올 데이타 기억영역(54d), 그리고 프린트제어 데이타 기억유닛(54)의 제어플래그 기억영역(54a)에 다음번 수신될 데이타(24)의 베올 데이터와 제어플래그를 기억한다(스텝 A5). 판단유닛(52)에 수신된 코멘드(D2)가 풍영역 세트코드하고 판단하면 제어유닛(50)은 어드레스 기억유닛(56)에 다음번 수신될 데이타(D4)의 어드레스 데이타를 기억한다(스텝 A6). 판단유닛(52)이 수신된 코맨드(D2)가 라인공급로드라고 판단하면 어드레스 제어유닛(57)에 의해 현재 지정된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의 Y방향 어드레스는 어드레스 제어유닛(57)으로 독출되어 프린트 제어데이타 기억유닛(54)의 앤드 어드레스 기억영역(54b)에 기억된다. 어드레스는 연산유닛(58)에 의해 +1로 갱신되어 스타트 어드레스 기억영역(54a)에 기억된다(스텝 A7). 판단유닛(52)이 수신된 코맨드(D2)가 반복 로드하고 판단하면, 제어유닛850)은 범용 기억유닛(55)에 다음번 수신될 데이타(D4)에 포함된 반복횟수 데이타와 이미지 데이타를 기억한다(스텝 A8 및 A9).
제어유닛(50)에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의 X방향으로 어드레스 데이타 기억유닛(56)에 기억된(스텝 A6의 처리과정에 의해) 스타트 어드레스 및 앤드 어드레스 제어유닛(57)으로 공급한다(스텝 A10). (만약 기억되지 않았다면 스타트 어드레스 및 앤드 어드레스는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의 제6내지 제8바이트에 상용함). 추가로 제어유닛(50)은 범용 기억유닛(55)으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독출하며,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의 소정영역에 독출된 데이타를 기억시키기 위해 어드레스 제어유닛(57)을 제어한다(스텝 A11). 제어유닛(50)은 기억유닛(355)으로부터 반복횟수 데이타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타는 연산유닛(58)으로 출력된다. 연산유닛(58)은 반복횟수 데이타에서 "1"을 감산하고(스텝 A12). 검산결과가 "0"이 되었는가를 확인한다(스텝 A13). 감산결과가"0"이 아니면 제어유닛(50)은 다시 범용 기억유닛(55)에 감산결과를 기억하고 감산결과가 "0"이 될때까지 스텝 A11 내지 A13의 처리과정을 반복한다. 즉, 주변장치(16-18)중 하나가 코맨드로서 반복코드를 송신할때 제어유닛850)은 코맨드 다음에 수신될 데이타(D4)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타를 동시에 수신된 반복횟수 데이타에 상응하는 횟수로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에 기입한다. 이런식으로 "-" 또는 "="와 같은 동일한 이미지 데이타가 연속되는 문자의 전송시간이나 공백부분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제어코드 코맨드 판단 유닛(53)에 수신된 코맨드(D2)가 데이타 코드라고 판단하면 제어유닛(50)은 어드레스 데이타 기억유닛(56)에 기억된 어드레스 데이타를 스텝 A10에서 처럼 어드레스 제어유닛(57)으로 공급하고(스텝 A14) 코맨드 다음에 수신될 데이타(D4)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타를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에 기억시킨다. 코맨드(D2)에 대한 데이타 처리가 완료되면 제어유닛(50)은 데이타(D4) 다음에 수신될 검사합계 데이타(D5)를 연산유닛(58)에 출력하여 소정 처리과정을 수행하며, 코맨드(D2)로부터 데이타(D4)까지 수신된 데이타가 정확한가를 확인한다(스텝 A16).
상기 수신된 데이타가 정확하면 제어유닛(50)은 시리얼 송수신 유닛(51)을 통하여 주변장치(16-18)중 상응하는 하나에 긍정응답코드(ACK)를 전송한다(스텝 A17). 수신된 데이타가 정확하지 않으면 제어유닛(50)은 주변장치(16-18)중의 하나에 부정응답코드(NAK)를 전송하며(스텝 A10), 수신된 데이타를 대기상태로 돌아가게한다(스텝 A1). 전송종료 코드가 장치(16-18)중 하나로부터 출력되면 이는 제어코드 코맨드판단 유닛(52)에 의해 판정되며(스텝 A2), 제어유닛(50)은 긍정응답코드(ACK)를 상기 장치(16-18)에 출력한다(스텝 A19).
상술한 바와같이 주변장치(16-18)중 하나에서 수동주사 프린터(10)에 전송된 데이타를 프린트하는 작동을 하기에 서술한다. 작동하는 모드스위치(11)를 프린트모드 PRI로 세트한다. 작동자는 다시 프린터(10)를 기록지 A상에 위치시켜 프린팅부(13)가 기록지 A와 접촉하게 하고 프린트스타트 키이(12)를 누르면서 화살표 M으로 지적된 방향으로 프린터(10)를 이동시킨다. 이때 작동자는 프린터(10)의 이동방향 M에 대해 이면에 형성된 확인창(14)을 통해 서멀헤드(24)와 잉크리본(23)의 프린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팅 영역이 기록지 A에 그어진 선등을 따라서 정확하게 세트될 수 있다.
프린터(10)가 이동함에 따라 당접부(27a, 27b)는 기록지 A와 접촉하게 되며, 고무롤러(29)는 회전한다.
롤러(29)의 회전은 기어(31, 32, 33, 34a, 34b, 35)에 전달된다(제2도 참조). 기어(35)가 회전함에 따라 엔코드 디스크(36)가 회전하며 LED(37)에서 슬릿(36a, 36b,...)을 통해 포토센서(38)로 투사된 광은 디스크(36)의 회전에 의해 단속된다. 프린터(10)가 M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크(3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포토센서(38)로부터 출력된 펄스신호는 엔코더(39)로부터 출력되는 프린터(10)에 대한 주행거리 측정신호로서 제어유닛(50)에 공급된다. 디스크(36)를 회전시키는 기어(35)의 회전은 다시 기어(40)를 통하여 권취기어(41) 및 리본권취측(42)에 전달된 다음 잉크리본 카세트(21) 내의 권취스플(22b)로 전달된다.
결론적으로 스플(22b)은 프린팅부(13)의 잉크리본가이드(26)와 서멀헤드(24)의 헤드면상에서 리본권치스플(22b)로부터 안내된 열전사 잉크리본(23)을 권취하기 위해 회전한다.
프린터(10)가 이동함에 따라 축(42)은 기록지 A와 잉크리본(23)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하지 않도록 프린터(10)의 주행거리에 따라서 회전한다. 헤드착설부재(25)와 헤드(24)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도시안됨)에 의해 생기는 하향 압접력을 항상 받고 있는 헤드(24)에 의해 리본(23)은 기록지 A에 약간 압접하고 있다. 기록지 A에 대한 헤드(24)의 안정한 접촉상태를 롤러(29)와 당접부(27a, 27b)의 접촉상태에 의해 유지된다. 프린터(10)를 M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프린팅이 수행될때 기어(4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톱퍼암(43)은 회동하여 소정각도로 간직된다.
수동주사 프린터(10)의 회로작동을 제8도에 도시된 플로우챠아트를 기초로 설명한다.
모드스위치(11)가 프린트 모드 PRI에 세트될때 제어유닛(50)은 스타트어드레스, 엔드어드레스, 그리고 프린트 제어데이타 기억유닛(54)으로부터의 제어플래그를 독출하며, 상기 어드레스와 플래그를 어드레스 제어유닛(57)에 공급한다(스텝 B1). 제어유닛(50)은 프린터 제어데이타 기억유닛(54)으로부터 문자높이 변환 데이타와 문자폭 변환데이타를 독출하며, 독출된 데이타를 각각 문자높이 변환유닛(59)과 프린트 제어유닛(61)에 공급한다(스텝 B2 및 B3).
어드레스 제어유닛(57)은 제어플래그가 "1"인가 "0"인가를 확인한다(스텝 B4).
제어플래그가 "0"이면 제어유닛(57)은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의 X방향으로 모든 영역에 대한 어드레스 지정을 수행하며, 영역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타를 프린팅버퍼(60)에 전달한다(스텝 B5).
이미지 데이타는 스텝 B2에서 공급된 문자높이 변환데이타를 기초로 문자높이변환유닛(59)에 의해 문자 높이 변환처리를 받는다.
어드레스 제어유닛(57)이 스텝 B4에서 제어플래그가 "1"이라고 판단하면 제어유닛(50)은 어드레스 기억 유닛(56)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의 X방향으로 스타트 및 엔드어드레스를 독출하며, 상기 독출된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제어유닛(57)에 공급한다. 어드레스 제어유닛(57)은 어드레스 기억유닛(56)으로 부터 공급된 스타트 및 엔드어드레스를 기초로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에 대한 어드레스 지정을 수행하며, 지정된 어드레스 영역의 이미지 데이타를 프린팅 버퍼(50)에 전달한다(스텝 B6).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으로부터 독출된 이미지 데이타는 문자높이 변환 유닛(59)에 의해 문자높이 변환 처리를 받고, 프린팅버퍼(60)에 공급된다.
그런 다음, 제어유닛(50)은 버퍼(60)의 나머지 영역에 데이타 "0"을 공급한다(스텝 B7).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팅버퍼(60)에 이미지 데이타의 전송이 끝나면 제어유닛(50)은 엔코더펄스를 기다린다(스텝 B8). 엔코더펄스가 발생되면 프린트 제어유닛(61)은 프린팅 버퍼(60)로 공급된 데이타를 기초로 서멀 헤드(24)를 구동하며, 한 라인의 이미지 데이타를 프린트한다(스텝 B9). 프린트 제어유닛(61)은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에 대해 어드레스 제어유닛(57)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 치가 프린트 제어데이타 기억유닛(54)에의 얻어진 유닛(53)의 Y방향 엔드어드레스인가를 확인한다(스텝 B10). 유닛(53)의 지정된 어드레스가 엔드어드레스이면 유닛(61)은 모든 데이타를 프린팅버퍼(60)에 프린트한 다음 프린팅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B11). 엔드어드레스가 나타나지 않으면 유닛(61)은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의 지정 어드레스를 갱신하고 스텝 B4 내지 B9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 경우 프린트 제어데이타 기억유닛(54)에 의해 얻어진 문자폭 변환데이타를 기초로, 프린트 제어유닛(61)은 문자폭 변환데이타에 상응하는 엔코더펄스의 수에 따라서 동일한 이미지 데이타를 프린트한다.
따라서 상술한 제1실시예의 시스템에 의해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주변장치(16-18)에 의해 만들어진 문서가 수동주사 프린터(10)로 전송된 다음 프린트(10)를 사용하여 임의 위치에 프린트된다.
추가로 이미지 데이타 및 프린트 제어정보(예를들면 배율데이타)가 분리되어 전송되고 또한 기억되기 때문에 전송시간이 짧아지고 기억용량을 최대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워드프로세서 시스템을 하기에 서술한다.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참고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지칭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9도 및 10도에서, 워드프로세서 본체(120)는 상면측에 문자입력키이 및 기능키이를 갖춘 키이입력 유닛(121)이 설치되고, 키이입력문자 및 기능선택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22)을 가지고 있다.
프린터하우징 유닛(123)은 본체(120)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콤펙트한 수동주사 프린터(110)가 유닛(123)위에 장착된다.
유닛(123)은 데이타전송단자와 전원공급단자를 갖춘 오목코넥터(124)를 가지고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10)는 전송 데이타와 공급전압을 입력시키도록 오목코넥터(124)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오목코넥터(124)의 형성위치에 대응하는 프린터(110)의 일측면에 구비된 볼록코넥터(111)를 가지고 있다. 즉, 프린터(110)가 본체(120)위에 장착될때 프린팅 데이타 및 프린팅 구동전압이 코넥터(124, 111)를 통하여 프린터(110)에 공급된다. 프린터(110)에 공급된 프린팅 데이타는 프린팅 데이타 기억유닛에 기억되고, 프린팅 구동전압은 2차 전지로 구성되는 전원유닛에 저장된다.
제12도는 워드프로세서 본체(120)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유닛(130)에는 키이입력 유닛(12) 및 디스플레이 유닛(122) 뿐만 아니라 데이타 기억유닛(131) 및 시리얼 송수신 유닛(132)이 연결된다. 키이 입력문자데이타는 데이타 기억유닛(131)에 기억된다. 키이입력 문자데이타는 소정의 키이조작에 의거하여 기억유닛(131)으로부터 제어유닛(130), 송수신 유닛(132), 그리고 오목코넥터(124)를 경유하여 프린터(110)측에 출력된다.
본체(120)의 전원 유닛(133)은 그의 충전 작용이 제어유닛(130)에 의해 제어되는 충전회로(134)가 연결되어 있다. 회로(134)는 프린터(110)으로부터 송수신 유닛(132)을 통하여 제어유닛(130)에 공급되는 충전요구에 따라서 프린터(110)의 2차전지(141, 상세히 후술됨)를 충전한다.
제13도는 수동주사 프린터(110)의 회로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프린터(110)의 주요부는 제3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주사 프린터(1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프린터(110)의 2차전지는 코넥터(111)에 연결되어 있다. 전지(141)는 서멀헤드(24)의 구동전원으로 사용된다. 전지(141)는 또한 워드프로세서 본체(120)로부터 코넥터(111)를 통하여 인가되는 충전 전원 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전지(141)의 전압은 통상 전원전압 검지유닛(142)에 의해 감시된다. 전지(141)의 전압이 구동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검지유닛(142)은 검지신호를 제어유닛(140)에 보낸다. 제어유닛(140)이 검지유닛(142)으로부터 검지신호를 받으며 워드프로세서 본체(120)에 충전요구를 보낸다.
상기 구성을 갖는 워드프로세서 시스템의 작동을 하기에 설명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주사 프린터(110)가 워드프로세서 본체(120)에 장착되면 프린터(110)의 코넥터(111)가 본체(120)의 코넥터(1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모드스위치(11)를 데이타 입력모드 IN에 세트하면 충전 전압이 본체(120)로부터 프린터(110)의 2차전지(141)로 인가되며, 프린팅 데이타가 수신된다.
제14 및 15도는 상기 상태에서 프린터(110) 및 본체(120)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챠아트이다.
프린터(110)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 동안 제13도에 도시된 전원전압 검지유닛(142)에 의해 감시되는 전지(141)의 전압레벨이 서멀헤드(24)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프린팅 구동전압 이하로 떨어질때 프린터(110)의 제어유닛(140)은 시리얼 송수신 유닛(51)을 통하여 본체(120)에 "충전요구 ON"신호를 공급한다.(스텝 F1 및 F2). 제12도에 도시된 제어유닛(130)은 프린터(110)로부터 오목코넥터(124)와 송수신 유닛(132)을 통하여 "충전요구 ON"신호를 수신하여 충전회로(134)를 작동하게 된다(스텝 E1 및 E2) 회로(134)로부터 출력된 충전 전압신호는 코넥터(124, 111)를 통하여 프린터(110)에 입력되고 전지(141)용 전원전압의 충전이 개시된다.
프린터(110)의 전지(141)의 충전되는 동안 검지유닛(142)에 의해 감시되는 전압레벨이 소정전압 레벨에 도달되면 프린터(110)에 제어유닛(140)은 본체(120)에 "충전요구 OFF"신호를 공급한다(스텝 F1→F3). 본체(120)의 제어유닛(130)은 프린터(110)로부터 "충전요구 OFF"신호를 받고 충전회로(134)의 충전 작동을 멈춘다(스텝 E1→E3).
이 경우에 작동자가 프린팅 데이타와 같이 워드프로세서 본체에서 만들어진 문서를 프린터(110)에 전송하기 위해 키이입력 유닛(121)상의 소정키이를 작동하면 본체(120)의 데이타 기억유닛(131)에 기억된 프린팅 데이타는 패턴화되어 제어유닛(130)으로부터 시리얼 송수신 유닛(132)을 통하여 프린터(110)에 전송된다(스텝 E4 내지 E6). 프린터(110)에서는 본체(120)에서 전송된 프린팅 데이타가 시리얼 송수신 유닛(51)을 통하여 제어유닛(140)에 공급되고 제1실시예에서처럼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등이 기억된다(스텝 F4 및 F5).
예를들어 문자입력키이가 본체(120)의 키이입력 유닛(11)에서 작동되었다면 키이입력 제어유닛(130)을 통하여 데이타 기억유닛(131)에 기억된다(스텝 E4, E5→E7).
이런식으로 프린터(110)의 전지(141) 충전과 본체(120)로부터 프린터(110)에 프린팅 데이타 전송이 수행된다.
전송된 프린팅 데이타를 프린트하기위해 프린터(110)는 본체(120)에서 분리되고, 모드스위치(11)가 프린트 모드 PRI로 세트된다. 그결과 제1실시예에서처럼 동일한 작동에 의해 프린팅이 수행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워드프로세서 시스템에 따라서 수동주사 프린터(110)가 본체(120)에 장착된 동안 워드프로세서 본체(120)에서 작성된 프린팅 데이타가 프린터(110)에 전송되고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에 기억된다. 따라서 본체(120)와 프린터(110) 사이에는 프린팅 데이타 전송용 코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수동으로 쉽게 프린팅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프린터(110)의 2차전지(1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110)를 본체(120)에 장착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충전되므로 데이타 전송 코드에 추가하여 전원코드가 필요없기 때문에 데이타는 어떠한 장소에서도 쉽게 전송되고 프린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하기에 서술한다.
제3실시예에서도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참고번호를 동일한 부품을 지칭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6도는 수동주사 복사기(210)가 제1도에 도시된 전자노트북(18)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복사기(210)는 그 하우징의 일단에 광학상을 판독하는 8㎜ 폭의 판독부(211)와 타단에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타를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팅부(212)를 포함하고 있다. 판독/통신 모드(INPUT)와 프린트 모드(PRINT) 사이를 절환하는 모드스위치(213)가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작동자가 복사기(210)의 모드스위치(213)를 판독/통신모드(INPUT)에 세트하고, 판독부(211)가 원고의 피판독면에 당접시켜서 동작키이(214)를 누르고 소정 방향으로 하우징을 이동시키면 하우징의 이동궤적에 대응하는 피판독면상의 이미지 정보가 이미지 데이타로서 과학적으로 판독되고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다.
또한 판독/통신 모드의 세트상태에서 전자노트북(18)에서 접속모드(19)를 통하여 복사기(210)로 데이타전송이 이루어지면, 전송된 데이타는 이미지 데이타로서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 경우에 전송된 데이타와 함께 메모리에 대한 기입제어데이타 및 프린팅에 대한 출력제어데이타가 전송된다.
복사기(210)의 모드스위치(213)를 프린트 모드(PRINT)에 세트하고, 프린팅부(212)가 기록지면과 접촉시켜 작동키이(214)를 누르면서 하우징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내부 메모리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타가 하우징의 이동궤적에 대응하는 기록지면상에 순차 프린트되어 나온다.
제17도는 복사기(210)의 전자회로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미지 판독(211)는 원고 B의 표면에서 복사기(210)가 주행한 거리를 검출하는 판독엔코더(220)와, 상기 엔코더(220)로부터의 주행거리 검출신호(엔코더 펄스)에 동기로 LED(221)에 의해 조명되는 원고 B의 표면상의 이미지 데이타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CCD 이미지센서(222)를 가지고 있다. 이미지센서의 행상도는 8도트/㎜이며, 이미지센서(222)의 8㎜ 폭에 대응하는 64도트의 라인형 CCD가 사용된다.
이미지센서(222)는 판독엔코더(220)로부터의 엔코더 펄스에 따라 제어유닛(223)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는 이미지센서 구동유닛(224)에 의해 구동되며, 원고 B면의 이미지 데이타를 광학상으로 판독한다. 이미지센서(222)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된 이미지신호는 바이너리 유닛(225)에 의해 광학상의 명함에 따른 흑백바이너리(디지탈)신호로 변환되고, 제어유닛(223)에 주어지며,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에 순차 기억된다. 시리얼 송수신 유닛(51)은 셀렉터(226)에 접속된다.
주변장치에서 판독/통신 모드에 아무런 데이타가 주어지지 않으면, 제어유닛(223)은 셀렉터(226)에 셀렉트신호를 출력한다. 이 셀렉트신호에 따라서 셀렉터(226)는 바이너리 유닛(225)으로부터 제어유닛(223)에 출력데이타를 공급한다. 제어유닛(223)은 이미지센서(222)에 의해 판독된 이미지신호를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에 기입한다.
또한 판독/통신 모드에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타가 주어진 경우에는 제어유닛(223)은 셀렉터(226)에 셀렉트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셀렉트신호에 따라서 셀렉트(226)는 주변장치로부터 시리얼 송수신 유닛(51)을 통하여 제어유닛(223)에 데이타를 공급한다. 제어유닛(223)은 주변장치로부터 공급된 데이타를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 프린트 제어데이타 기억유닛(54) 혹은 어드레스 기억유닛(56)에 기입시킨다. 이 경우 LED(221)는 소등되고 아무런 제어신호도 이미지센서 구동유닛(224)에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미지센서(222)의 이미지 데이타 판독 작동은 정지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시스템의 작동을 하기에 서술한다.
복사기(210)의 모드스위치(213)를 조작함에 의해 제어유닛(223)이 판독/통신 모드(INPUT)에 설정되면, 제어유닛(223)은 이미지센서(222)를 작동시키기위해, 이미지센서 구동유닛(224)에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이미지 데이타를 판독하기위해, 작동자는 원고 B면상에 복사기(210)를 놓고, 복사기(210)의 판독부(211)가 기록지면에 접촉하도록 한다음 작동키이(214)를 누르면서 복사기(210)를 이동시킨다. 그 결과 엔코더 펄스가 판독엔코더(220)로부터 제어유닛(223)에 공급된다. 제어유닛(223)은 LED(221)를 점등시키고 원고 B면의 피판독 영역을 조명시킴과 동시에 이미지센서(222)에서 바이너리 유닛(225) 및 셀렉터(226)를 통하여 공급되는 이미지 데이타를 엔코더 펄스와 동기로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에 순차기억시킨다. CCD 이미지센서(222)에 의해 판독된 이미지 데이타는 판독폭 8㎜에 대응하여 기억유닛(53)의 메모리 영역의 모든 종방향 어드레스에 기입된다.
한편, 제어유닛(223)이 판독/통신 모드에 설정되고 이미지센서(222)가 이미지센서 구동유닛(224)에 의해 작동된 상태에서 전자노트북(18)으로부터 송신된 문자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하여 전자노트북(18)은 데이타전송 개시하기위해 접속코드(19)를 통하여 시리얼 송수신 유닛(51)에 접속된다. 그결과 유닛(51)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는 셀렉터(226)를 통하여 제어유닛(223)에 공급되며, 제1실시예에서처럼 데이타 수신이 수행된다.
추가로 복사기(210)에 의한 프린팅은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작동으로 수행된다.
복사기(210)는 이미지 데이타를 판독하기위한 판독부(211)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판독부(211)에 의해 판독된 이미지 데이타와 전자노트북(18)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타(문자패턴)가 합성되어 프린트된다.
즉, 이미지 데이타 "PRINTER"가 전자노트북(18)에서 복사기(210)로 전송되었을때, 데이타는 이미지 데이타 기억유닛(53)의 종(X)방향으로 제6 내지 제8바이트로 기입되었다고 하고 판독부(211)에 의해 판독된 이미지 데이타가 기억유닛(53)의 종(X)방향으로 제1 내지 제5바이트에 미리 기억되었다고 가정한 경우, 제어플래그가 제8도에 도시된 스텝 B4에서 "1"이라면 수신된 데이타 "PRINTER"는 단지 제1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지 A상에 프린트해내고, 제어플래그가 "0"이라면 수신된 데이타 "PRINTER"는 제1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센서(222)에 의해 판독된 이미지 데이타와 함께 기옥지 A상에 프린트해낸다.

Claims (18)

  1. 주변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프린트하는 프린팅장치에 있어서, 프린팅 매체에 대해 수동주사할 수 있는 하우징수단과; 상기 주변장치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수단과; 접속수단을 통하여 주변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데이타 수신수단과;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시키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기억수단과; 하우징수단이 프린팅 매체에 대하여 수동주사 되었을때 하우징수단의 외부에 위치한 프린팅 매체에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타를 프린팅하기위해 하우징내에 간직된 프린팅수단과; 하우징수단이 프린팅 매체에 대하여 수동주사될때 프린팅 매체의 위치를 검지하고, 하우징수단이 소정거리를 지나 주사될때마다 프린팅 매체에 대한 하우징수단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검지신호를 발생시키기위한 위치검지수단; 위치검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위치검지신호에 따라 기억수단으로부터 데이타를 출력시키고, 프린팅수단이 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프린팅매체에 프린트하도록 하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로부터 프린팅 데이타와 제어데이타를 검지하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억수단은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프린팅 데이타를 기억시키기위한 제1영역과,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제어수단을 기억시키기위한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기억수단의 제2영역에 기억된 제어데이타에 따라 프린팅수단을 제어하기위한 프린트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검지수단은 프린팅 데이타의 프린팅 사이즈를 지정하기위한 지정데이타를 검지하며; 상기 프린트 제어수단은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지정데이타에 대응하여 기억수단의 제1영역에 기억된 프린팅 데이타의 프린팅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프린팅 사이즈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검지수단은 프린팅 데이타를 구획하기위한 세그먼트 데이타를 검지하며; 상기 프린트 제어수단은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세그먼트 데이타에 따라 기억수단의 제1영역으로부터 프린팅 데이타를 출력하고, 제1영역으로부터 출력된 프린팅 데이타를 공급하기위한 출력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로부터 프린팅 데이타와 제어데이타를 검지하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검지수단과;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제어데이타에 따라 기억수단의 기입작동을 제어하고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프린팅 데이타를 기억수단에 기입시키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기억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검지수단은 반복횟수 데이타를 검지하고,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반복횟수 데이타에 따라 기억제어수단은 반복하여 프린팅 데이타를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프린팅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전력공급수단과; 주변장치로부터 전력을 받아 전력공급수단을 충전시키기위한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전력공급수단의 전력전압치를 측정하기위해 하우징에 구비된 전압측정수단과; 전력공급수단의 출력전압치가 소정전압치 이하로 되었다는 것을 전방측정수단이 측정하였을때 전력공급수단에 전력을 충전하도록 주변장치로 하여금 프린팅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것을 요구하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요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수단은 주변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수단은 하우징수단이 주변장치에 착설되었을때 수신수단과 주변장치를 연결하기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수단이 기록매체에 대해 수동주사되었을때 기록매체로부터 이미지 데이타를 입력하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간직된 이미지 데이타 입력수단과; 이미지 데이타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 데이타를 기억수단에 기입하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기억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기억제어수단은,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수단이 일부분에 기입하고 기억수단의 다른 부분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타는 잔류시키기위한 기입제어수단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린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기억수단의 일부분에 기억된 데이타만을 프링팅수단에 출력하는 제1출력수단과; 기억수단의 일부분에 기억된 데이타와 기억수단의 다른 부분에 기억된 이미지 데이타를 함께 프린팅수단에 출력하는 제2출력수단과; 제1출력수단과 제2출력수단중 하나를 작동하도록 선택하는 셀렉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로부터 프린팅 데이타와 제어데이타를 검지하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검지수단을 포함하며, 기입제어수단은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프린팅 데이타를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제어데이타에 따라 기억수단의 일부분에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기억수단은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제어데이타를 기억하기위한 제어데이타 기억수단을 포함하며, 제어수단은 제어데이타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어데이타에 따라 기억수단의 일부분에 기억된 데이타를 출력하기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15. 데이타 소스장치와 프린팅 장치로 구성되는 프린팅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타 소스장치는 데이타 입력을 위한 데이타 입력수단과; 데이타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기억하는 데이타 기억수단과; 데이타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타를 보내기위한 데이타 송신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프린팅 장치는 프린팅 매체에 대해 수동주사되는 하우징수단과; 데이타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데이타 수신수단과; 데이타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기억수단과; 하우징수단이 프린팅 매체에 대해 수동주사될때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타를 프린팅하도록 하우징수단에 간직된 프린팅수단과; 하우징수단이 프린팅 매체에 수동주사될때 프린팅 매체의 위치를 검지하고, 하우징수단이 소정거리를 지나 주상될때마다 프린팅 매체에 대한 하우징수단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검지 신호를 발생시키기위한 위치검지수단과; 위치검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위치검지신호에 따라 기억수단으로부터 프린팅수단에 데이타를 출력시키고, 프린팅수단이 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프린팅 매체에 프린트하도록 하기위해 하우징수단에 구비된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데이타 소스장치는 프린팅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위한 고정수단과, 프린팅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데이타 송신수단에 접속된 제1접속수단을 포함하며, 프린팅 장치는 고정장치에 장착되었을때 제1접속수단과 연결되도록 데이타수신수단에 접속된 제2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데이타 소스장치는 전력을 공급하기위한 전원수단과, 프린팅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데이타 송신수단과 전원수단에 접속된 제1접속수단을 포함하며; 프린팅 장치는 제1접속수단과 연결되도록 하는 제2접속수단과, 적어도 프린팅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수단과, 제1 및 제2접속수단을 통해 전원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전력공급수단을 충전하도록 전력공급수단과 제2접속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프린팅 장치는 전력공급수단의 전력전압치를 측정하기 위한 전압측정수단과, 전력 공급수단의 전압치가 소정 전압치 이하로 되었다는 것을 전압측정수단이 측정하였을때 전력공급수단에 전력을 충전하도록 요구하기위한 요구수단을 포함하며; 데이타 소스장치는 상기 요구수단이 전력공급장치에 전력이 필요하다고 요구하였을때 전원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부터 충전전력을 발생시키고 충전전력을 전력공급수단에 공급하기위한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
KR1019890019941A 1988-12-28 1989-12-28 수동주사 프린팅 장치 및 시스템 KR920006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71585 1988-12-28
JP1988171585U JPH0720762Y2 (ja) 1988-12-28 1988-12-28 手動プリンタ
JPU63-171585 1988-12-28
JP89-35970 1989-03-29
JP1989035970U JPH0726764Y2 (ja) 1989-03-29 1989-03-29 小型データ処理装置
JPU1-35970 1989-03-29
JP19565189 1989-07-28
JP89-195651 1989-07-28
JP1-195651 1989-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580A KR900010580A (ko) 1990-07-09
KR920006771B1 true KR920006771B1 (ko) 1992-08-17

Family

ID=2728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941A KR920006771B1 (ko) 1988-12-28 1989-12-28 수동주사 프린팅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7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580A (ko) 199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9283A (en) Manually sweepable printing apparatus
US5532825A (en) Add-on scanner for existing ink jet printer
US4823195A (en) Recording apparatus
EP0605717B2 (en) Automatically initiated scanning system
US4684998A (en) Image reader suitable for manual scanning
CN100361489C (zh) 图像读取装置
EP072034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929455B2 (ja) 複写装置
US4769852A (en) Image processing system
US489773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multi-media copying machine
US20040012828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and image reading method
EP0795996B1 (en) Sheet supplying apparatus
US5079639A (en) Hand-held, manually sweepable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KR920006771B1 (ko) 수동주사 프린팅 장치 및 시스템
US582208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4858021A (en) Electronic blackboard capable of providing hardcopy
JP2008105333A (ja) プリンタ
JPH0669204B2 (ja) 画像読取装置
US6061479A (en) Image reader apparatus
JP2508569Y2 (ja) 通信機能を有する画像デ―タ読取り装置
JP2004015619A (ja) メモリー機能付き電子黒板装置
JPS62101498A (ja) コピ−再生ボ−ト
JPH0720762Y2 (ja) 手動プリンタ
KR930002019B1 (ko) 수동주사형 인자장치
JPS63125052A (ja) 複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