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974Y1 - 화장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화장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974Y1
KR930001974Y1 KR2019910002701U KR910002701U KR930001974Y1 KR 930001974 Y1 KR930001974 Y1 KR 930001974Y1 KR 2019910002701 U KR2019910002701 U KR 2019910002701U KR 910002701 U KR910002701 U KR 910002701U KR 930001974 Y1 KR930001974 Y1 KR 930001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cutting
cap
cutou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2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319U (ko
Inventor
배형훈
Original Assignee
배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형훈 filed Critical 배형훈
Priority to KR2019910002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974Y1/ko
Publication of KR920016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3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9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장지 케이스
제1도는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2도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요부의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캡 3 : 단차부
4 : 긴장보조편 5 : 축
6 : 중량체 7 : 버팀날
8 : 절취날 9 : 절취구
16, 16' : 쏠림방지편
본 고안은 롤화장지의 절취선을 이용,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임의 설정되는 길이만큼 절취할 수 있는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지중앙에 끼워지는 끼움봉을 갖는 화장지 홀더는 화장지의 교환마다 끼움봉을 끼워 넣어야하는 불편이 따르고, 더우기 공중화장실의 경우에는 끼움공이 자주 분실되어 화장지를 바닥에 놓고 그냥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에는 화장지 수납용기와 뚜껑을 같은 반원통상으로 구성하고 뚜껑단부에 절취날을 설치, 두손을 뚜껑을 같은 반원통상으로 구성하고 뚜껑단부에 절취날을 설치, 두손을 이용하여 화장지를 절취하는 것이 있으나 이는 두손을 다 사용하여야 하고 절취후 다시 뚜껑을 열어 내부의 화장지 단부를 끄집어내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또, 상기외에 랩(식품포장용 플라스틱필름)상자와 같이 종이상자 일측에 절취날을 설치하고 뚜껑을 닫으면서 절취하는 것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상기한 종래의 것과 다를바 없는 것이고, 일회용으로서 장형의 종이타월을 종이상자내의 양측에서 회전 캐리지를 이용하여 지지하고 상자밖에 설치된 절취날에 의하여 절취되게 한것이 있으나 랩상자형식으로써 응접실 등에서 일회용 소모품으로서의 사용만이 가능하고 정확한 절취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 역시 두손으로 잡고 뜯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장지의 절취가 한손에 의하여 정확하며 그 절취단부가 명확히 잡혀 있도록 이루어지고 그 구조와 조작이 간편하며 응접실 및 화장실벽 등에 공히 사용할 수 있는 화장지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부에 캡이 있고 그 일측에 절취수단이 주어진것에 있어서 축(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캡(2)의 일측을 경사지게 하고 상기 경사측에 단차부(3)를 형성하며 그 단부에 하방으로 향하는 긴장보조편(4)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와 같은 경사를 이루며 축(5)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중량체(6)에 의하여 복귀하고 양단에 버팀날(7)과 절취날(8)을 형성시킨 절취구(9)를 갖게 한것이다. 또, 본체(10)의 후면 상부의 양측에는 벽에 걸수 있는 키구멍(11, 11')이 형성되고 캡(2)의 양측에는 손잡이(12, 12')가 형성되며 그 하방의 본체(10)면에는 손가락이 살짝 들어갈수 있는 손가락 삽입홈(13)이 형성되고 수납실(14)내의 바닥 전후측에는 롤(15) 이작아짐에 따라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쏠림방지편(16, 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0)의 수납실(14)에 롤(15)을 집어넣고자할 경우에는 제2도와 같이 절취구(9)를 전방으로 젖히고 캡(2)을 후방으로 젖힌후 양 솔림방지편(16, 16')사이에 위치하도록 수납실(14)내에 집어 넣은 다음 다시 캡(2)을 먼저 닫고 나서 절취구(9)에서 손을 떼면 중량체(6)의 무게에 의하여 열려졌던 절취구(9)가 저절로 닫히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물론 화장지롤(15)의 단부를 절취구(9)밖으로 약간 빼놓은 상태이다. 다음, 제3도와 같이 화장지 단부를 잡아당기면 롤(15)에서 풀려나면서 45°로 젖혀진 절취구(9)의 버팀날(7)과 절취날(8)사이에 화장지가 걸리게 된다.
상기 걸림은 사용자가 화장지의 절취선을 보면서 적정길이에 해당하는 위치가 절취날(8)상에 오도록 조절한 상태이다.
이렇게 되면 다음 순간 화장지단부를 절취날(8) 전방에서 하방으로 당기면 화장지 단부는 잘려지고 절취구(9)는 중량체(6)에 의하여 다시 닫히게 된다.
상기 닫힘시에 다소 여분이 있게 잘려진 화장지 단부는 단차부(3)와 절취날(8) 사이에 끼이면서 직각으로, 즉 절취구(9)의 외면과 직각되게 꺽여지면서 서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롤(15)이 풀려나가 작아지게 되면 사용시 수납실(14)내에서 굴러다니게 되는바 쏠림방지편(16, 16')에 의하여 어느정도 잡아주게 되고,또 긴장보조편(4)은 절취구(9)가 열려진 상태에서 버팀날(7)과 절취날(8)간에 충분히 얹혀지도록, 즉 화장지의 중간 부분이 버팀날(7)에 유효하게 걸리도록 보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7은 본체(10)의 측면내측에 캡(2)이 스냅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결합돌기이며, 18은 바닥에 접착하기 위한 박리테이프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화장지의 절취가 한손에 의하여 정확하며 그 절취단부가 명확히 잡혀지도록 이루어지고 그 구조가 조작이 간편하며 응접실 및 화장실 벽에 공히 사용할수 있다.

Claims (1)

  1. 상부에 캡이 있고 그 일측에 절취수단이 주어진것에 있어서 축(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캡(2)의 일측을 경사지게 하고 상기 경사측에 단차부(3)를 형성하며 그 단부가 하방으로 향하는 긴장보조편(4)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와 같은 경사를 이루며 축(5)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중량체(6)에 의하여 복귀 가능하며 양단에 버팀날(7)과 절취날(8)을 형성시킨 절취구(9)를 갖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케이스.
KR2019910002701U 1991-02-26 1991-02-26 화장지 케이스 KR930001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701U KR930001974Y1 (ko) 1991-02-26 1991-02-26 화장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701U KR930001974Y1 (ko) 1991-02-26 1991-02-26 화장지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319U KR920016319U (ko) 1992-09-16
KR930001974Y1 true KR930001974Y1 (ko) 1993-04-19

Family

ID=1931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2701U KR930001974Y1 (ko) 1991-02-26 1991-02-26 화장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9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319U (ko) 199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87835B2 (ja) ペーパータオルディスペンサー
KR930001974Y1 (ko) 화장지 케이스
JP2004313558A (ja) 家具調ロールペーパーボックス
JPH07206055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JP2000041893A (ja) 携帯用便器
US4079874A (en) Roll dispenser
JP3396712B2 (ja) 手持式のカッター付ラップフィルム用詰替容器
CN209750894U (zh) 一种旋盖纸巾盒
KR930004342Y1 (ko) 두루마리 포장지의 인출절단기
KR940005260Y1 (ko)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케이스
KR940000341Y1 (ko)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케이스
KR200400704Y1 (ko) 탁상용 두루마리 화장지 케이스
JPH0355384Y2 (ko)
KR200405116Y1 (ko) 수용용량의 가변이 가능한 담배케이스
KR960003599Y1 (ko) 이쑤시개 통
JP2683617B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用ホルダー
KR930003415Y1 (ko) 위생두루마리 분배장치
JP3036036U (ja) ロールペーパー収納容器
JP2010172397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KR200199987Y1 (ko) 치간 치솔
JPH0647832Y2 (ja) 携帯用紙箱
CA1047981A (en) Roll dispenser
JPS6143709Y2 (ko)
JPH0647831Y2 (ja) タオルペーパーホルダー
JPS5822600Y2 (ja) 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