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341Y1 -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케이스 - Google Patents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341Y1
KR940000341Y1 KR2019910016279U KR910016279U KR940000341Y1 KR 940000341 Y1 KR940000341 Y1 KR 940000341Y1 KR 2019910016279 U KR2019910016279 U KR 2019910016279U KR 910016279 U KR910016279 U KR 910016279U KR 940000341 Y1 KR940000341 Y1 KR 940000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case
cutting
ho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6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194U (ko
Inventor
배형훈
Original Assignee
배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형훈 filed Critical 배형훈
Priority to KR2019910016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341Y1/ko
Publication of KR930008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1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케이스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화장지 케이스에서의 화장지 인출상태를 예시한 작동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예비화장지 보관함과 화장지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스 3 : 뚜껑
4 : 경사부 5 : 단차부
6 : 긴장보조편 8 : 절취구
8b : 가압돌부 13 : 절곡단
14 : 절곡홈 15 : 절곡편
16 : 축공 17 : 보조가압구
17' : 가압단 17" : 걸림단
18 : 축 19 : 가이드레일
20 : 화장지보관함 20' : 가이드
21 : 스프링
본 고안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1-2701호를 개량 보완한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인의 선출원 고안인 91-2701호는 기 제출된 도면 및 명세서에 밝혀진 바와같이, 일측단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케이스 상부에서 개폐 되도록 뚜껑의 타단일부를 적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에는 단차부를 형성해줌과 동시에 그 하단에는 긴장보조편을 연장 형성하며, 상기 뚜껑이 경사부와 동일각도로 경사지면서 축을 기점으로 회동작동되도록된형태의 절취구를 상기 뚜껑의 단차부측에 일치되는 상태로 결합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절취구의 상단에는 절취날을 형성해줌으로서, 케이스내에 수납되는 두루마리 화장지를 절취구의 절취날과 뚜껑의 단차부 사이로 인출시켜주면서 소정길이 만큼씩 간편히 절취하여 사용토록 구성된 것인바, 이와같은 선출원고안에 있어서는 화장지의 끝단부위가 내측으로부터 비교적 강한 힘으로 잡아 당겨지고 있거나 화장지 자체의 단위 면적당 무게가 고중량인 경우(X 예컨데 종이타월의 경우 등) 또는 절취과정에서의 부주의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화장지 끝단부가 노출되어 있지 못하고 수납실 내부로 말려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여 사용상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었고, 케이스 뚜껑의 단차부와 절취날 사이로 인출된 화장지 끝단부위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쳐지면서 케이스 외면에 근접되는 상태로 노출되어 있게됨에 따라 사용자가 노출부위를 파지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따르고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화장지를 잡아당겨줄때의 힘에 의해 절취구가 외측으로 하향회동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절취동작에 의해 절취날 부위에서의 화장지절취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절취과정에 있어서는, 수납상태의 두루마리 화장지로부터 풀려지는 화장지의 긴장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고 느슨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당김힘이 과도할 경우에는 화장지의 절취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서 수납실내에 위치되는 화장지 중간부위가 절취되어버리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화장지 케이스가 예비화장지의 보관수단이 결여된 단일물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케이스에 수납된 화장지가 다 소모된 후에도 사용자의 부주의로 새로운 화장지를 보충시켜 주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였던 등 사용상 여러가지의 불편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인바, 뚜껑의 경사부에 절곡요홈을 형성하여 인출되는 화장지가 2단계에 걸쳐 절곡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화장지 끝단이 수납실내로 말려들어 가버릴 우려가 완전히 배제되도록 함과 동시에 뚜껑 하단의 긴장보조편과 절취구 사이에는 유동 가능한 상태의 보조 가압구를 개재설치하여 절취구의 회동작동시 동시에 긴장보조편 축으로 유동되면서 화장지를 가압해 주도록 함으로서, 절취날부위에서의 화장지 절취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화장지 케이스의 저부측에는 별개제작되는 통체형의 화장지 보관함을 조립설치해줌으로서 항시 예비화장지를 수납시켜 놓을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상의 편리성 증대효과를 얻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인바,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힌지축(1)을 중심으로 케이스(2) 상부에서 개폐되도록된 뚜껑(3)의 끝단에 경사부(4)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4) 하방측에는 단차부(5)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단에는 긴장보조편(6)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뚜껑(3)의 경사부(4)와 동일 각도로 상방부가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하방내측에는 중량체(8a)가 고착되고 상단에는 절취날(9)이 형성된형의 절취구(8)가 축(7)을 기점으로 일정각도만큼씩의 회동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서 경사부 하방에 위치되는 케이스(2) 상방에 축설되어, 사용자의 당김동작에 의한 화장지 인출시 절취구(8)가 동시에 하향 회동되면서 화장지의 인출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되고 인출상태의 화장지 절취후에는 중량체(8a)의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서 케이스(2)의 수납실(10)에 수납되는 두루마리화장지(11)를 절취구(8)의 절취날(9)과 뚜껑(3)의 단차부(5) 사이로 인출시켜주면서 소정길이 만큼씩 절취하여 사용하도록된 통상의 화장지케이스(12)에 있어서, 뚜껑(3)의 경사부(4)에 마련되는 단차부(5)와 하단의 긴장보조편(6) 사이에는 절곡단(13)을 돌출형성하여 단차부(5)와 절곡단(13) 사이에 절곡홈(14)이 마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단차부(5)에 끝단의 절취날(9) 부위가 일치되는 상태로 케이스(2)에 축설되는 절취구(8) 내측면에는 상기 절곡단(13)에 일치되는 절곡편(15)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긴장보조편(6)과 절취구(8)의 축(7)사이에 위치되는 케이스(2) 적정부위에는 사각형태의 축공(16)을 관통 형성하는 한편, 상단중앙에 가압단(17')이 돌출형성되고 하단일측에는 걸림단(17")이 돌출형성된 막대형의 보조 가압구(17)를 별도 형성하여 상기 축공(16)을 통해 축설하되, 보조가압구(17)의 축(18)은 상기 축공(16)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하여 헐거운 상태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어느정도의 유동작동이 가능토록하는 한편, 축(7)을 기점으로 회동작동되도록된 절취구(8)의 하단부에는 가압돌부(8b)를 돌출형성하여 절취구(8) 상방부가 하향회동작동될때 상방부로 동시 회동되면서 보조가압구(17) 하단의 걸림단(17")에 접촉되도록하여 축공(16)에 축설된 상태의 보조가압구(17)를 긴장 보조편(7) 측으로 회동시켜주도록 함으로서 상단의 가압단(17')이 긴장보조편(6)에 접촉 가압되도록하고, 케이스(2)의 양측면 하방에는 배수공(2a)을 관통형성하는 한편, 화장지케이스(12)의 저면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9)을 돌출형성함과 동시에 상면이 개방되고 상단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9)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20')가 연장형성된 통체형의 화장지 보관함(20)을 별도 형성하여 화장지케이스(12)의 저부에 조립결합 하되, 화장지보관함(20)의 내측 중앙부에는 적정탄력을 보유하는 스프링(21)을 고정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뚜껑(3)을 열고 수납실(10)에 화장지(11)을 수납시켜준 다음 화장지의 끝단부위를 잡고 풀어내면서 긴장보조편(6)과 보조가압구(17) 및 경사부(4) 외측면을 순차적으로 거친후 단차부(5)와 절취구(8) 끝단의 절취날(9) 사이로 인출시켜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바, 이러한 상태로 인출되는 화장지는 긴장보조편(6) 상측의 절곡단(13)과 절곡홈(14) 및 단차부(5)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차부(5)와 절곡홈(4) 부위를 덮어쥐는 상태로 축설되는 절취구(8)의 절곡편(15) 및 절취날(9)에 의해 2단계로 절곡되게 되면서 상당치의 힘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가 유지하게 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화장지 끝단부위가 화장지의 자체중량이나 내부로 부터 당겨지는 힘에 의해 수납실(10)내로 말려들어가버릴 우려를 완전히 배제해주게됨은 물론 절곡단(13)과 단차부(5)사이에 마련되는 요홈부(14)의 바닥면에 화장지가 밀착 되면서 적절히 긴장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면서 각각의 절취날(9)과 단차부(5)를 통해 가압되는 상태로 노출되는 화장지의 끝단부위가 전방측으로 어느정도 뻗쳐지도록 하는 효과가 수반되도록하여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토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끝단 노출부위를 잡고 전방부측으로 잡아당겨주면서 화장지를 소정길이만큼 인출시켜주게되면 화장지가 전방측으로 당겨질때의 힘에 의해 절취구(8)가 어느정도 하향회동되는 상태가 지속되게 되면, 필요길이만큼 화장지를 인출시킨 사용자가 화장지를 하방으로 살짝 잡아당기면서 일측으로 재껴주게되면 절취구(8)의 절취날(9)에 의해 화장지가 쉽게 절취되게 되는바, 이때는 사용자가 화장지를 하방부측으로 당겨줌에 따라 절취구(8)의 상방부가 축(7)을 중심으로 완전히 하향회동됨과 동시에 하단의 가압돌부(8b)가 완전히 상향회동되면서 축공(16)에 설치된 상태인 보조가압구(17)의 걸림단(17")을 밀어올려주는 연계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보조가압구(17)가 긴장보조편(6)측으로 회동되면서 상단의 가압단(17')이 긴장보조편(6)에 가압접촉되게 됨으로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화장지를 가압해주는 상태가 유지되게되고, 이러한 화장지의 가압상태는 사용자의 화장지 절취동작 완료로 화장지에 가해지는 감김력이 소거될때까지 지속되게되면서 보조가압구(17)에 의한 화장지 가압부위와 절취구의 절취날(9) 사이에 존재하는 화장지가 팽팽히 긴장되는 상태에서 화장지의 절취동작이 진행되게됨에 따라 화장지가 원활상태로 절취되게되는 한편, 화장지의 절취동작이 종료되면서 화장지에 가해지던 당김력이 소거되게되면 완전히 하향회동되어 있던 절취구(8)가 중량체(8a)의 자중에 의해 급속히 원위치로 복귀되게됨과 동시에 상기 절취구(8)에 의해 회동되었던 보조가압구(17) 역시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게되며 화장지의 끝단 노출부위는 상기한 바와같이 절곡단(13)과 절곡홈(14) 및 단차부(5) 사이에서 2단계로 절곡 되어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화장지케이스(12)의 가이드레일(19)을 통해 조립되도록된 화장지보관함(20)에는 별개구비되는 예비화장지를 수납시켜 보관토록함으로서, 화장지케이스(12)의 화장지가 다 소모된후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되는바, 화장지보관함(20)의 내측에 적정탄성을 보유하는 스프링(21)이 내입설치되어 있어 화장지 수납시 화장지를 탄지해주게 됨으로서, 화장지를 꺼내기 위한 화장지 보관함을 열게되면 화장지가 스프링(21)의 탄발력에 의해 개방구측으로 튀어 올라오게되면서 용이하게 꺼낼수 있도록 하는 사용상의 편리성 증대효과를 얻는다.

Claims (2)

  1. 힌지축(1)을 중심으로 케이스(2) 상부에서 개폐되도록된 뚜껑(3) 끝단에 경사부(4)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4) 하방적정부위에는 단차부(5)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단에는 긴장보조편(6)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뚜껑(3)의 경사부(4)와 동일각도로서 상방부가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하방내측에는 중량체(8a)가 고착설치되고 상단에는 절취날(9)이 형성된형의 절취구(8)가 축(7)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 가능한 상태로서 경사부(4)하방측에 축설되어 이루어진 통상의 화장지 케이스에 있어서, 뚜껑(3)의 경사부(4)에 마련되는 단차부(5)와 하단의 긴장보조편(6) 사이에는 절곡단(13)을 돌출형성하여 단차부(5)와 절곡단(13)사이에 절곡홈(14)이 마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단차부(5)에 끝단의 절취날(9) 부위가 일치되는 상태로 케이스(2)에 축설되는 절취구(8) 내측면에는 상기 절곡단(13)에 일치되는 절곡편(15)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긴장보조편(6)과 절취구(8)의 축(7)사이에 위치되는 케이스(2) 적정부위에는 사각형태의 축공(16)을 관통 형성하는 한편, 상단중앙에 가압단(17')이 돌출형성되고 하단 일측에는 걸림단(17")이 돌출 형성된 막대형의 보조가압구(17)를 별도형성하여 상기축공(16)을 통해 축설하되, 보조가압구(17)의 축(18)은 상기 축공(16)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하여 어느정도의 유동작동이 가능토록하고, 축(7)을 기점으로 회동작동되도록된 절취구(8)의 하단부에는 가압돌부(8b)를 돌출형성하여 절취구(8)의 상방부가 외측으로 하향회동될때 상향으로 동시 회동되면서 보조가압구(17)의 걸림단(17")에 접촉되도록 하여 보조가압구(17)를 긴장보조편(6) 측으로 회동시켜주도록 함으로서 상단의 가압단(17')이 긴장보조편(6)에 접촉가압되도록하며, 케이스(2)의 양측면 하방에는 배수공(2a)을 관통 형성하는 한편, 케이스(2)의 저면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9)을 돌출형성 함과 동시에, 상면이 개방되고 상단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9)에 결합되는 가이드(20')가 연장형성된 통체형의 화장지 보관함(20)을 상기 케이스(2) 저면부에 조립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화장지 케이스(12)에 조립되는 화장지 보관함(20)의 내부에 스프링(21)을 설치함으로서 수납되는 화장지를 탄지토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 케이스.
KR2019910016279U 1991-10-02 1991-10-02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케이스 KR940000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279U KR940000341Y1 (ko) 1991-10-02 1991-10-02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279U KR940000341Y1 (ko) 1991-10-02 1991-10-02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194U KR930008194U (ko) 1993-05-24
KR940000341Y1 true KR940000341Y1 (ko) 1994-01-20

Family

ID=1932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6279U KR940000341Y1 (ko) 1991-10-02 1991-10-02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3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5239A1 (en) * 2000-04-01 2001-10-11 Kum Hoon Lee A toilet bowl equipped with far infrared lamps
KR20020007056A (ko) * 2000-07-15 2002-01-26 조현국 살균 및 탈취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좌변기용 좌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5239A1 (en) * 2000-04-01 2001-10-11 Kum Hoon Lee A toilet bowl equipped with far infrared lamps
KR20020007056A (ko) * 2000-07-15 2002-01-26 조현국 살균 및 탈취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좌변기용 좌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194U (ko) 199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040B1 (en) Container opener
KR940000341Y1 (ko) 예비화장지 보관함이 병설된 화장지케이스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US5480065A (en) Device for dispensing the contents of collapsible tube
US20050035134A1 (en) Wipe dispenser threader
JPS5815303Y2 (ja) 連続紙の取出し容器
FR2623178A3 (fr) Torchon ou lavette humide, constitue par des feuilles de tissu humides enroulees et reliees les unes aux autres dans la direction longitudinale, par des lignes perforees, pour faire des nettoyages
JP3058898U (ja) ロールペーパ保持具
KR940000342Y1 (ko) 화장지 케이스
CN207186563U (zh) 纸巾盒
JP2002096836A (ja) ロール紙繰出し容器
CN212307060U (zh) 一种伞巢结构及伞
KR200430232Y1 (ko) 두루마리 화장지용 화장지 보관함
JP3675588B2 (ja) ロール状シート収納箱
US4398656A (en) Dispensing apparatus for tissue rolls
JP3029036U (ja) ロールペーパー保持具
KR940002086Y1 (ko) 두루마리 화장지의 자동인출장치
KR930001974Y1 (ko) 화장지 케이스
JP3850414B2 (ja) ロール型ペーパータオル収納ケース
JPS5842341Y2 (ja) ロ−ルペ−パ−の繰出装置
JPH057991Y2 (ko)
CN217185452U (zh) 一种卷烟陈列装置
JP3388402B2 (ja) ロール紙ホルダ
KR102343067B1 (ko) 물티슈 케이스의 개폐커버 장치
JPH02399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