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953B1 - 스위치 접촉기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접촉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953B1
KR930001953B1 KR1019900002164A KR900002164A KR930001953B1 KR 930001953 B1 KR930001953 B1 KR 930001953B1 KR 1019900002164 A KR1019900002164 A KR 1019900002164A KR 900002164 A KR900002164 A KR 900002164A KR 930001953 B1 KR930001953 B1 KR 930001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ack
microswitch
contactor device
sub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552A (ko
Inventor
프로시 노엘
Original Assignee
텔레메카니끄
알랭 카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메카니끄, 알랭 카리아 filed Critical 텔레메카니끄
Publication of KR90001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14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bridging contact that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ither line contact in open position of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01H50/545Self-contained, easily replaceable micro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치 접촉기장치
제1도는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회로의 2개의 접촉단자축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본 접촉기장치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스위치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제1도에 따른 장치의 부분적인 외부 측면도.
제3도는 접속지지체와 결합되어 있는 마이크로스위치의 조립뭉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조립뭉치를 고정접속하기 위해 국부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의 상세단면도.
제5도는 외부접속단자의 사시도.
제6도와 제7도는 개방회로의 기능을 각각 가지는 제3도에 따른 장치의 저면도.
제8도는 접촉장치내에 설치된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랙의 사시도.
제9도는 분리된 접속기장치와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촉기 케이스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 접촉기장치 2 : 케이스
3 : 베이스 4 : 커버
5, 6, 7, 8, 73, 74, 75, 76 : 스위치 9, 10, 11, 12 : 절연부
15 : 가동접촉브리지 16 : 랙
16a : 횡재(cross-piece) 22, 23 : 랙의 연장부
24 : 구획챔버 28 : 틈새
31, 32, 33 : 단자 34, 34o, 34f : 인쇄회로기판
36, 37 : 개구 38, 39 : 장부(tenon : 단부의 돌기)
39o, 39f : 도전트랙 40 : 부조립뭉치
48, 49 : 외부개방공간 53 : 연장부
54 : 핀 50, 59, 72, 72', 92. 93 : 외부접속단자
60 : 작동레버 61 : 블레이드
70 : 도전편 71 : 가동보조접촉장치
86 : 접촉기의 고정수단 89 : 이동랙
90 : 접촉기의 전면 91 : 종래의 접촉기
본 발명은, 가동접촉브리지가 공동랙의 이동에 의하여 동작되고 제어되는 회로내에 설치된 스위치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병렬구간이 형성된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중 한 개 이상이 고속차단특성을 가지는 밀폐형 단안정 마이크로스위치이고, 그 내부단자는 상기 각 병렬구간에 설치된 2개의 외부접속자에 접속되고, 상기 병렬구간은 베이스와 결합된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접촉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위치 접촉기장치는, 종래 스위치의 신뢰성이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특히 이들 스위치를 저레벨제어회로나 모니터회로내에 장착할 경우에 사용되는데, 프랑스특허 공보 FR 1,150,455는 이하 밀접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특히, 이 접촉기의 제안에 있어서, 저전압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자석에 의해서, 미니스위치 혹은 마이크로스위치라고 일반적으로 칭하는 소형스위치를 밀폐된 케이스내에서 작동시키는 것이 이미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소형케이스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거나, 고전류의 정격을 가지는 동일한 스위치접촉기장치 및 인접해 있는 스위치접촉기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단자에 상기 소형케이스를 접속할때에, 작업자를 불안하게 하는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전원스위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경험이 없는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접촉기장치에 개방기능이나 폐쇄기능 및 결합기능을, 상기 스위치 접촉기장치가 작동되는 동안,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 접촉기장치의 다양한 기능조합의 빈번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방기능이나 폐쇄기능 및 결합기능이 부여되고, 또한 공장내에서 제조하는 동안 만족할 수 있는 요구사항이 부여된 스위치 접촉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위치 접촉기장치는, 부조립뭉치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외부접속단자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부분에 있는 두 개의 대향하는 개방공간 사이에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용 공간으로 이용되고, 랙의 일부분의 근처에 있는 제1측면에서 개구되고, 부조립뭉치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수단의 근처에 있는 제2측면에서 개구되고, 마이크로스위치를 구비하고 또한 설치하기에 적합한, 부조립뭉치의 선택단자에 접속된 도전부가 형성된, 절연지지체를 수용하고, 각 접속단자와 이에 대응하는 도전부 사이의 전기접속기을 행하기에 적합하고, 장치의 베이스에 의해 폐쇄되는 절연캐비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 접속장치는(1)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시하지 않은 수단을 사용해서 베이스(3)와 커버(4)을 결합하여 케이스(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스위치 접촉기장치는 제어되고 있는 회로에 각각 할당된 절열부(9), (10), (11), (12)중 어느 하나에 각각 위치한 스위치(5), (6), (7), (8)을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중에서 중심축(X-X')의 근처에 위치한 스위치(6), (7)는, 커버에 고정된 고정접촉면(13), (14)과 베이스에 설치된 전자석(18)의 가동전기자(17)와 결합한 랙(16)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접촉브리지(15)를 구비하고 있다. 절환형의 마이크로스위치(30)의 형태로 되어 있는 다른 2개의 스위치(5), (8)는 각각 단자(31), (32), (33)를 가지고 있다. 상기 랙은 도식적으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버내에서 안내되고, 단면사이에 위치한 절연벽(19), (20), (21)에 걸치는 홈을 가진 랙은,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절연부(9), (12)를 통과하는 두 개의 랙의 연장부(22), (23)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랙의 횡재(cross-piece)(16a)는 2개의 중앙인접부(10), (11)를 통하여 연장된다(제8도 참조).
제1도에는 측면연장부(22)중 어느 하나의 단면이 나타나 있고, 각각의 연장부는 2개의 외부접속단자(25), (26)간의 캐비티(27)를 가지는 구획챔버(24)를 통과하고, 랙의 연장부(22)가 이동할 수 있는 틈새(28)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부에서 개방되고, 또는 하부(29)에서도 개방되는 캐비티는, 캐비티가 커버와 결합할 경우, 베이스(3)에 의해서 폐쇄된다.
제3도, 제6도, 제7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30)의 케이스(35)는, 부조립뭉치(40)로서 알맞게 준비하기 위하여 5개의 개구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피복된 직사각형의 인쇄회로기판(34)에 마이크로스위치(30)의 단자(31), (32), (33)를 납땜하여 고정된다. 단부에 위치한 2개의 개구(36), (37)는 인쇄회로기판의 대칭축(Y-Y')에 대해서 약간 오프세트되어 있고, 이 인쇄회로기판의 단부에는 가로로된 2개의 좁은 부분으로된 장부(tenon : 단부의 돌기)(38), (39)가 형성되는데, 이 기능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캐비티(27)의 개구(29)는 커버(4)와 일체적으로 몰딩된 2개의 개구설편(41), (42)의 부근에 개구되어 있다. 상기 개구 설편은,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각각에 개구설편은 작은 장부구멍(mortise : 장부(tenon)를 삽입하는 구멍)(45)(제4도 참조)와 동일 편면상에 있는 경사진 훅(43)을 가지고 있다.
장부(38), (39)가 장부구멍(45)에 결합될때까지 설편을 구부림으로써 부조립뭉치(40)은 화살표방향(G)으로 캐비티(27)에 조립된다. 부조립뭉치가 대응하는 랙의 연장부에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위치고정되고 캐비티의 대칭평면(PP')에 실질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장부와 장부구멍의 크기를 충분히 조정하여야 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장부구멍(45)은 각각, 설편(41)을 지지하는 커버의 벽(46)과, 구획챔버의 외부개방공간(48), (49)과 이에 대응하는 캐비티(27)가 서로 통할 수 있는 통로(47)를 형성한다.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외부공간은, 마이크로스위치(30)의 단자와 이에 관계되는 외부회로를 접속하기 위하여 외부접속단자(50), (59)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5도는 접속단자(50)는, 인쇄회로기판(34)에 있는 도전트랙에 접촉될 수 있도록 캐비티(27)을 관통하는 연장부(53) 및 등자부
Figure kpo00001
가 결합되는 나사구멍과 접하는 영역(51)을 가지며 구부러지고 절단된 도전편(70)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통로(47)을 관통할 수 있도록 직각(90°)으로 3번 벤딩되고, 인쇄회로기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연장부(53)는, 금속으로 피복된 개구(36), (37)중 어느 하나를 관통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의 핀(54)을 가지고 있고, 단자가 미리 위치고정된 마이크로스위치의 부조립뭉치를 G방향으로 캐비티에 결합되고 훅(43)상에 고정할때에 알맞은 이동을 행함으로써 도전편(70)이 상기 통로(47)을 통과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27)내에서 연장부(22)에 고정된 블레이드(61)을 벤딩부(65)에 대면하는 작동레버(60)의 단부(66)을 위치고정하지 않는 부조립뭉치(40)가 그릇되게 위치고정되게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스위치(30)는 인쇄회로기판(34) 다른쪽 단부보다 한쪽단부에 가까이 위치고정되어야 한다.
기술적인 편리성을 위해, 2개의 단자(50), (50)는 동일하고, 2개 연장부의 핀은, 180°회전한 후에 평면(P-P')에 대하여 오프세트되어야 하기 때문에, 핀을 수용하기 위한 금속피복된 구멍(36), (37)이, 인쇄회로기판의 대칭축(Y-Y')에 대해 서로 오프세트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위치고정된 후에,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37), (38)를 관통하는 핀(54)를 인쇄회로기판(34)의 트랙에 세심하게 납땜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의 벤딩 부분이 인접한 벽의 홈(55), (56)에 단단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나사를 조이는 동안 인쇄회로 기판에는 기계적인 응력이 가해지지 않고, 또한 이 핀은 혹에 의해 고정될 경우에는 스위치 접촉기장치는 위치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부조립뭉치(40o), (40f)를 각각 형성하기 위해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할 경우, 회로에 할당된 기능이 개방(0)기능인지 폐쇄(f)기능인지에 따라서, 2개의 인쇄회로기판(40o), (40f)중 어느 하나를 마이크로스위치의 대응하는 단자(31), (33)에 연결되는 도전트랙(39o), (39f)로 사용한다. 문자 o와 f는 스위치 부조립용지(40o), (40f)의 각각에 부여된 기능의식별을 나타내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에 표시된다.
제3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마이크로스위치 케이스의 피벗에 의해 지지되고 틈새(28)에 대면하고,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작동베러(60)는 연장부(22)에 고정된 금소푸셔(61)에 의해 작동된다. 이 푸셔는 양호한 탄성블레이드로 형성되고, 푸셔의 한쪽단부(62)는 연장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단부(63)는 미리 약간 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푸셔의 연장부(22)에 있는 후단부(64)에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작동레버에 대향하고 있는 블레이드의 벤딩부(63)는 전자자가 J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할 때에, 레버가 회전하도록 힘이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레버(60)의 단부의 휴지위치에서의 편차를 보상 할 수 있고, 또한 전기자와 랙에 기인하여 이론적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밀봉된 케이스에 보호되는 스위치나 마이크로스위치. 모든 스위치에 공통으로 작용하는 랙(16)의 동작조건과 부조립뭉치의 위치 및 전기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스위치 접속기 장치의 절연부(9), (12)내에 위치하고, 이 랙의 동작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에 대한 양호한 안내를 제공하고 상보적인 절연기능을 제공하는 동안 충분한 강성을 부여하도록 랙의 형태를 안내하는 부가적인 이유를 설명한다.
절연안내홈(77)은 벽(20)의 오목한 부분에 결합되고, 축면안내리브(78)는 벽(21)의 홈에 결합되고, 벽부(79), (81), (82), (83)는, 결합된 벽과 함께 마이크로스위치보다 큰 사용전압 및 전류가 요구되는 전력스위치(6), (7)에 부속하고 있는 가동접촉브리지(15)의 두 개의 중아챔버(84), (85)내에 접근하는데 필요한 누설전류를 감소시킨다. 홈(77a), (77b)는 홈(77)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고, 캐비티(27), (28), (24)를 위한 것이다.
제1종류의 두 스위치(6), (7)와 제2종류의 두 스위치(5), (8)를 축(X-X')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전자석에 전류가 공급되어 가동하는 동안 유연하게 접동하고, 접촉자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부세하는 동안 움지이게 될 경우, 랙이 버릴 수 있는 양호한 힘의 균형을 제공한다.
접촉장치(1)의 몸체(2)이 일체적인 부분을 형성하는 커버(4)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가동보조접촉기(71)용 케이스(94)의 형태로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고,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것은 종래의 접촉기(91)의 전면(90)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에 있는 외부접속단자(72), (72')는 접촉기 브리지 스위치(73), (74)에 접속되고, 측면외부접속단자(92), (93)는 밀폐형 케이스 스위치(75), (76)에 접속되어 있다.
이 케이스와 전면(90)간의 분리가능한 접속은, 예를들면 접촉기의 고정수단(86), (87)을 가진 이동랙이, 케이스(94)와 결합한 이동랙(89)의 훅(88)에 연결되고, 장부(84)와 장부구멍(85)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의 랙은 제8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Claims (11)

  1. 가동접촉브리지가 공동랙의 이동에 의하여 동작되고 제어되는 회로내에 설치된 스위치를 각각 결합하는 복수의 병렬구간이 형성된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중 한 개 이상이 고속차단 특성을 가지는 밀폐형 단안정 마이크로 스위치이고, 그 내부단자는 상기 각 병렬구간에 설치된 2개의 외부접속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병렬구간은 베이스와 결합된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있는 스위치 접촉기장치에 있어서, 부조립뭉치(40)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외부접속단자(50), (59)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부분(9), (12)에 있는 두 개의 대향하는 개방공간(48), (49)사이에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용 공간으로 이용되고, 랙(16)의 일부분(22)의 근처에 있는 제1측면(28)에서 개구되고, 부조립뭉치 소정의 위치(43)에 고정하는 수단의 근처에 있는 제2측면에서 개구되고, 마이크로스위치(30)를 구비하고 또한 설치하기에 적합한, 부조립뭉치(40)의 선택단자(31), (32), (31), (33)에 접속된 도전부(39o), (39f)가 형성된, 절연지지체(34)를 수용하고, 각 접속단자와 이에 대응하는 도전부 사이의 전기접속을 행하기에 적합하고, 장치의 베이스(3)에 의해 폐쇄하는 절연캐비티(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접촉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조립뭉치(40)를 위치(43)에 고정하는 수단은, 마이크로스위치(30)의 단자(31), (32), (33)에 납땜된 도전트랙(39o), (39f)상의 인쇄회로기판(34)의 장부(38), (39)(tenon : 단부의 돌기)와 결합된 몸체(4)의 탄성적인 훅(43)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접촉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단자의 연장부(53)는 상기 몸체(4)에 고정된 구부러진 도전편(70)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접촉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도전편(70)의 연장부(53)는, 탄성적인 훅(43)의 근처의 위치하고, 또한 2개의 도전트랙(39o), (39f)의 근처에 위치한 인쇄회로 기판(36), (37)를 각각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접촉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스위치는 3개의 단자를 가지는 단안정절환형인 마이크로스위치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34o), (34f)은 2개의 분리된 전기적인 접속을 형성하는 2개의 트랙(39o), (39f)중의 어느하나를 각각 가지며 동일한 접속을 형성하는 도전트랙을 가지는 한쌍의 분리된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접촉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0)는, 이 마이크로스위치를 수용하는 캐비티(29)내에서의 부정확한 결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34)상에 비대칭으로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접촉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인쇄회로기판(34)내에 있는 개구(36), (37)는, 연장부(53), (54)와의 부정확한 결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축(Y-Y')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위치한 것을 스위치 접촉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스위치의 작동레버(60)를 대향하는 랙의 부분(22)은, 레버(60)와 결합되는 탄성적인 변경하능한 블레이드(6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접촉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공통랙(16)의 대향하는 2개의 (22), (23)는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5), (8)를 작동시키고, 랙의 중앙부(16a)는 고전류가 흐르는 회로내의 위치한 스위치(6), (7)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동접촉브리지(15)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접촉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단자(50), (59)와 스위치(5), (8), (6), (7)를 수용하는 장치(1)의 몸체(2)의 일부(4)는 제어전자석을 수용하는 베이스(3)에 고정된 커버(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접촉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단자(72), (72'), (92), (93)와 스위치(73), (74), (75), (76)를 수용하는 장치(71)의 케이스(94)는, 접촉기의 이동랙(86)과 부조립뭉치의 독립된 랙(89)사이를 접촉함으로써 접촉장치(91)이 표면(90)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분리 가능한 부조립뭉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접촉기장치.
KR1019900002164A 1989-02-21 1990-02-21 스위치 접촉기장치 KR930001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902215A FR2643503B1 (fr) 1989-02-21 1989-02-21 Appareil contacteur a interrupteurs proteges
FR8902215 1989-02-21
FR?2215 1989-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552A KR900013552A (ko) 1990-09-06
KR930001953B1 true KR930001953B1 (ko) 1993-03-20

Family

ID=937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2164A KR930001953B1 (ko) 1989-02-21 1990-02-21 스위치 접촉기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5012215A (ko)
JP (1) JPH02253531A (ko)
KR (1) KR930001953B1 (ko)
AU (1) AU628130B2 (ko)
BR (1) BR9000753A (ko)
CA (1) CA2010513A1 (ko)
CH (1) CH682433A5 (ko)
CZ (1) CZ281904B6 (ko)
DD (1) DD292105A5 (ko)
DE (1) DE9001448U1 (ko)
DK (1) DK169226B1 (ko)
ES (1) ES2020860A6 (ko)
FI (1) FI97429C (ko)
FR (1) FR2643503B1 (ko)
GB (1) GB2228369B (ko)
GR (1) GR1002623B (ko)
IT (1) IT1238487B (ko)
SE (1) SE469734B (ko)
SK (1) SK279797B6 (ko)
SU (1) SU1745143A3 (ko)
TR (1) TR25087A (ko)
ZA (1) ZA9013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7002A1 (de) * 1988-05-19 1989-11-30 Kloeckner Moeller Elektrizit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aet
DE4017674C2 (de) * 1990-06-01 2001-09-13 Teves Gmbh Alfred Elektrischer Schalter
US5252937A (en) * 1990-08-09 1993-10-12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modular bell alarm unit
JPH0664334U (ja) * 1993-02-19 1994-09-09 第一電装部品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の取付装置
FR2706220B1 (fr) * 1993-06-07 1995-07-21 Telemecanique Appareil interrupteur de protection à mécanisme de commande.
US5485134A (en) * 1994-05-31 1996-01-16 General Electric Company Auxiliary switch accessory module unit for high ampere-rated circuit breaker
DE4421268A1 (de) * 1994-06-21 1996-01-04 Murr Elektronik Gmbh Relaisbaustein
DE29517915U1 (de) * 1995-11-11 1997-03-13 Ivt Hannelore Blank Installationssystem
SE513442C2 (sv) * 1999-01-28 2000-09-11 Asea Brown Boveri Kontaktor
DE29916001U1 (de) * 1999-09-13 2000-01-05 Abb Patent Gmbh Installationsschalter
FR2804242B1 (fr) * 2000-01-21 2002-04-12 Abb Control Sa Bloc auxiliaire a contact etanche
DE10009499C1 (de) * 2000-02-29 2001-09-27 Siemens Ag Hilfsbaugruppe für ein elektromechanisches Schaltgerät und hiermit korrespondierendes elektromechanisches Schaltgerät
DE10116001A1 (de) * 2001-03-30 2002-10-02 Abb Patent Gmbh Installationsschaltgerät in Sockelbauweise
FR2871287B1 (fr) * 2004-06-04 2007-02-09 Schneider Electric Ind Sas Transformateur a bornes simplifiees
EP1978537B1 (de) * 2007-03-30 2011-12-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ütz mit Leitungskanal und Lastabzweig mit einem derartigen Schütz
ATE528776T1 (de) * 2007-08-07 2011-10-15 Siemens Ag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ät mit mehreren relativ zueinander abgestuften bereichen
JP6024439B2 (ja) * 2012-12-14 2016-11-16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6123269B2 (ja) * 2012-12-14 2017-05-1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CN106128873B (zh) * 2016-08-25 2018-02-06 江苏洛凯机电股份有限公司 低压固定式断路器的接线座
CN106449273A (zh) * 2016-09-29 2017-02-22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带双微动开关的直流接触器
KR102537548B1 (ko) * 2018-01-22 2023-05-26 엘에스일렉트릭(주) 보조접점이 구비된 직류 릴레이
CN109192619A (zh) * 2018-10-20 2019-01-11 天水二三电器有限公司 接触器辅助触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50455A (fr) * 1956-05-04 1958-01-14 Le Materiel Tech Ind Perfectionnements aux relais électromagnétiques
FR1563180A (ko) * 1968-02-29 1969-04-11
CH541228A (de) * 1969-07-15 1973-08-31 Sprecher & Schuh Ag Wechselstromschütz
FR2174772B1 (ko) * 1972-03-10 1975-06-13 France Etat
US4184134A (en) * 1978-08-14 1980-01-15 Clark Control, Inc.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having convertible contact structure
US4254316A (en) * 1979-08-30 1981-03-03 Clark Control, Inc.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US4309683A (en) * 1980-05-05 1982-01-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 control device
DE3572079D1 (en) * 1985-02-02 1989-09-07 Square D Starkstrom Gmbh Rapid-mount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s
FR2577075B1 (fr) * 1985-02-07 1987-04-24 Telemecanique Electrique Borne de connexion mixte pour circuit imprime et appareil electronique equipe d'une telle bor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00811A0 (fi) 1990-02-19
TR25087A (tr) 1992-11-01
DK169226B1 (da) 1994-09-12
JPH02253531A (ja) 1990-10-12
SE9000229L (sv) 1990-08-22
SK279797B6 (sk) 1999-03-12
FR2643503B1 (fr) 1991-05-10
FR2643503A1 (fr) 1990-08-24
GB2228369B (en) 1993-10-27
CZ281904B6 (cs) 1997-03-12
DD292105A5 (de) 1991-07-18
DK45890D0 (da) 1990-02-21
SU1745143A3 (ru) 1992-06-30
BR9000753A (pt) 1991-01-22
FI97429C (fi) 1996-12-10
KR900013552A (ko) 1990-09-06
IT9019293A0 (it) 1990-02-07
CH682433A5 (fr) 1993-09-15
IT9019293A1 (it) 1990-08-22
IT1238487B (it) 1993-08-18
ES2020860A6 (es) 1991-10-01
GB9001451D0 (en) 1990-03-21
DE9001448U1 (ko) 1990-04-12
CS9000819A2 (en) 1991-07-16
GB2228369A (en) 1990-08-22
SE469734B (sv) 1993-08-30
ZA901314B (en) 1990-11-28
AU628130B2 (en) 1992-09-10
US5012215A (en) 1991-04-30
GR900100059A (el) 1991-06-28
DK45890A (da) 1990-08-22
SE9000229D0 (sv) 1990-01-23
GR1002623B (el) 1997-03-03
AU4931290A (en) 1990-08-30
FI97429B (fi) 1996-08-30
CA2010513A1 (fr) 199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953B1 (ko) 스위치 접촉기장치
EP1615301B1 (en) Coaxial connector with a switch
US6034582A (en) Relay
US7179107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KR20050048693A (ko) 휴즈
EP1202307A2 (en) Switch and connector assembly
US4485365A (en) Small contactor with a removable subset of auxiliary switches
KR890004967B1 (ko) 전자계전기(電磁繼電器)
CA1075788A (en)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JP2965210B2 (ja) 電気コネクタ
EP0051255A1 (en) An electromagnetic device
JP2929420B2 (ja) 圧接コネクタ
KR950013942B1 (ko) 기계식 인터록 전자작동스위치
KR100384341B1 (ko) 전자기계식 컨택터
US4326108A (en) Hook switch for telephone instruments
JPH09509006A (ja) 互に相対的に可動に配置されたブリッジ片状の接触子を備えたブレーク接点ブロツク
EP1441418B1 (en) Ribbon cable connector
CN112582209A (zh) 继电器
KR101800731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US5041010A (en) Electrical connector
US4330693A (en) Multi-polar switch
CN216354047U (zh) 断路器
EP0405688B1 (en) Supporting frame for a switch
JPH039292Y2 (ko)
CN113725038A (zh) 一种具有隔磁功能且结构稳固的磁保持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