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638B1 -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 - Google Patents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638B1
KR930001638B1 KR1019900001403A KR900001403A KR930001638B1 KR 930001638 B1 KR930001638 B1 KR 930001638B1 KR 1019900001403 A KR1019900001403 A KR 1019900001403A KR 900001403 A KR900001403 A KR 900001403A KR 930001638 B1 KR930001638 B1 KR 93000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ojector according
projector
door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476A (ko
Inventor
비. 제위슨 찰스
Original Assignee
듀케인 코포레이션
루카스 이. 하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케인 코포레이션, 루카스 이. 하리스 filed Critical 듀케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1000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0Details adapted to collapse or fold, e.g. for portabil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2Overhead projectors, i.e. capable of projecting hand-writing or drawing during a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
제1도는 보관상태의 구조로 절첩된 본 발명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투영기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 투영기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 투영기의 저면도.
제5도는 사용상태의 구조로 전개된 제2도-제4도 투영기의 측면도.
제6도는 슬라이드 스테이지가 개방되고 램프격실의 커어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제5도 투영기의 평면도.
제7도는 제5도 투영기의 하우징 단면도.
제8도는 투영기 저면도어의 래치 기구를 보인 부분확대사시도.
제9도는 지주래치기구의 부분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 20 : 사각공
31 : 상부벽 33 : 프레넬 렌즈
40 : 저면도어 42 : 지지각
60 : 반사경 70 : 램프조립체
80 : 지주조립체 92 : 피니언 기어
95 : 래크 100 : 투사헤드조립체
본 발명은 오우버헤드(over head)형 투영기(投影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휴대형의 오우버헤드형 투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우버헤드형 투영기는 광원이 내장된 하우징과, 프레넬 렌즈를 지지하여 투영될 상(像)이 실려 있는 슬라이드가 배치되는 스테이지 수단으로 구성된다.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선은 상영 수단인 스테이지와 슬라이드를 통하여 하우징상부의 지주상에 지지된 투영헤드로 향하며, 투영헤드는 반사경과, 슬라이드로부터의 상을 초점을 맞추어 원격한 위치에 놓여 있는 스크린에 투영하는 투영 렌즈를 포함한다
투영헤드와 지주는 사용치 않을때에 접어 보관할수 있다. 더우기 이러한 형태의 오우버헤드형 투영기를 휴대용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바, 모든 부품이 운반과 보관을 위하여 하우징내에 배치될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종래기술의 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에 있어서는 이를 보관 또는 운반할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부품을 분리와/또는 분해하는 것이 요구된다. 분해가 요구되지 않는 휴대용의 오우버헤드형 투영기가 공지되어 있는바, 이러한 투영기의 한 예가 미국특허 제3,653,754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투영기는 하우징이 대형으로 부피가 크고 부품들을 사용상태의 구조와 보관상태의 구조로 변형시키기 위하여서는 매우 복잡한 일련의 절첩단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장치의 결점을 해결하여 부가적으로 구조적인 잇점과 조작상의 잇점을 주는 개선된 오우버헤드형 투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주요특징은 비교적 콤팩트하고 경량이며 보관상태의 구조와 사용상태의 구조로 변형시킬 때에 어떠한 부품도 분리 또는 분해할 필요가 없는 휴대용의 오우버헤드형 투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언급된 특징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의 상기 언급된 형태의 오우버헤드형 투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언급된 특징들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하우징 외부 구조물의 부분들을 영구적으로 배치하므로서 하우징의 크기를 최소화시킬수 있는 상기 언급된 형태의 오우버헤드형 투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특징들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하우징의 부분들이 보관상태의 구조와 사용상태의 구조로 변형될 수 있는 상기 언급된 형태의 오우버헤드형 투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특징들과 다른 특징의 본 발명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는 광원이 내장되고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개방부를 갖는 하우징, 광로를 따라 광원으로부터의 광선을 전달하기 위한 하우징상의 슬라이드 스테이지 수단, 하우징의 외부에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착설된 지주수단, 지주수단에 재가되어 있으며 원격장소의 스크린에 초점을 맞추어 상을 투영하기 위해 지주수단이 상승된 위치에 놓여 있을 때에 광로내에 배치되는 투영수단과, 하우징외부에 배치되는 사용상태의 위치와 지주수단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에 하우징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보관상태위치로 개방부를 통해 투영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제4도에서, 접혀 있는 상태로 본 발명의 오우버헤드형 투영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오우버헤드형 투영기(10)는 저면벽(12), 직립단부벽(13), (14)과, 직립측벽(15), (16)를 갖는 상자형 하우징(11)을 포함한다. 또한 제6도와 제7도에서, 측벽(15), (16)은 저면벽(12)에 수직이고 단부벽(14)으로부터 단부벽(13)까지의 거리에서 약 1 : 4 의 위치에 배치된 직립격벽(17)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격벽(17)은 하우징(11)의 내부를 대형전방격실(18)과 소형후방격실(19)로 나눈다.
저면벽(12)에는 대형 사각공(20)이 형성되어 있고, 단부벽(13)에는 그 중간에 역 "T"자형의 개방부(21)(제3도)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격실(19)의 내부는 측벽(15)에 형성된 통풍구(22)에 의하여 환기된다(제5도참조). 격벽(17)에는 그중간에 개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17)에는 그 상측변부에 인접하여 기다란 슬로트(24)가 그전 길이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 되어있다. 후방격실(19)은 배면커어버(25)로 폐쇄되며 이 배면커어버(25)는 측변부를 따라 측벽(27)이 일치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 및 배면측 변부를 따라서 단부벽(28)이 일체로 형성된 평면상의 사각상부벽(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27)은 측벽(15), (16)의 배면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편, 단부벽(28)은 후방격실(19)을 폐쇄하기 위하여 적당한 고정구(29)(제2도)로 고정된 격벽(17)과 단부벽(14)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전방격실(18)은 메인 커어버(30)로 폐쇄되고, 이 메인 커어버(30)는 스테이지를 형성하며 중간에 대형 사각 개방부(32)가 형성된 평면상의 사각상부벽(3')을 가지고, 사각개방부(32)에는 상부벽(31)의 상부면과 동일평면상으로 놓이는 평유리판(33a)과 그 하측에 프레넬 렌즈(33)로 폐쇄된다. 상부벽(31)의 전면 및 배면측변부에는 이에 종속하는 단부벽(3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벽(31)의 일측변부에는 이를 따라서 측벽(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변부는 피아노형 힌지(36)로 측벽(16)의 상측변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부벽(31)에는 타측의 변부를 따라서 측벽(15)의 상측변부에 결합되는 측벽(37)이 일체로 되어 있는 한편, 단부벽(34)은 전방격실(18)의 폐쇄를 위해 단부벽(13)과 격벽(17)에 각각 결합된다. 메인커어버(30)는 측벽(37)에 착설된 적당한 래치기구(38)로 고정되며 측벽(15)의 상측변부에 형성된 요입부(39)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수동으로 분리할수 있게 되어 있다. 메인커어버(30)는 제2도, 제3도, 제5도 및 제7도에서 보인 폐쇄상태의 위치와, 전방격실(18)의 내부로 접근할수 있는 제6도에서 보인 개방상태의 위치로 이동될수 있다.
저면벽(12)에 형성된 사각공(20)은 한쌍의 저면도어(40)에 의하여 폐쇄되며, 이들 각각은 힌지(41)로 착설되어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개방상태의 위치와 제4도에서 보인 폐쇄상태의 위치로 이동될수 있게 되어있다. 각 도어(40)에는 그 내측면을 따라서 보강부(43)로 보강된 한쌍의 지지각(4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지지각(42)은 도어(40)가 이후 상세히 설명될 목적으로 하측의 지지면과 저면벽(12)사이에 간극이 확보되도록 개방될 때에 하우징(11)을 지지하는 하측의 지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저면벽(12)에는 사각공(20)의 양측중앙에 정지편(44)(제8도 참조)이 형성되어 도어(40)의 폐쇄시에 도어(40)의 변부모서리가 접하여 정지될수 있게 되어 있다. 각 도어(40)에는 그 외측면에 자석(45)이 착설되어 있으며 이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될수 있도록 저면벽(12)의 외측면에 자석(45)이 착설되어 있으며 이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될수 있도록 저면벽(12)의 외측면에 착설된 자석부착판(46)에 자력으로 부착될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저면벽(12)에는 각 모서리에 도어(40)가 폐쇄되었을때에 하우징(11)을 지지하기 위한 4개의 지지각(48)이 구성되어 있다.
도어(40)는 사각공(20)의 양측중앙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래치조립체(50)에 의하여 이들 도어가 폐쇄상태에서 고정된다. 제4도와 제8도에서, 각 래치조립체(50)는 저면벽(12)에 형성된 요구(52)내에서 미끄럼운동토록 되어 있는 사각판체로 구성된 래치부재(51)를 포함한다. 각 래치부재(51)에는 그 외측단부에 래치조립체(50)를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수 있게 된 조작편(53)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부재(51)의 대향단부에는 전면벽(5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측 변부에는 사각공(20)의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플랜지(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저면벽(12)에는 요구(52)에 각각 두 개의 안내핀(56)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핀은 래치 부재(51)의 안내슬로트(57)에 삽입되어 제8도에서 보인 화살표 방향으로 고정 및 해제위치로 래치부재(51)의 수평방향 미끄럼운동이 안내될수 있도록 한다.
작동에 있어서, 도어(40)가 폐쇄되었을때에 래치부재(51)를 제4도와 제8도에서 보인 이들의 고정위치로 요구(54)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에 고정플랜지(55)가 도어(40)의 맞대어진 변부의 하측에 놓여 이들 도어가 폐쇄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도어(4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고정플랜지(55)가 도어(50)의 변부로부터 벗어나 도어가 개방될수 있을때까지 래치부재(50)를 요구(52)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제5도와 제7도에서, 하우징(11)의 전방격실(18)에는 대형의 사각평면형태인 기판(61)에 재가된 반사경(60)이 배치되어 있다. 이 기판(61)은 제5도에서 점선으로 보인 보관위치와 제5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보인 사용위치로 반사경(60)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측벽(15), (16)에 피봇트(62)로 결합되어 있다. 기판(61)의 단부에는 90°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단부판(6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단부판의 변부에는 반사경(60)이 사용위치에 놓일때에 제7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반사경(60)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각공(20)의 일측단부변에 얹히는 정지편(6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반사경(60)은 도어(40)를 폐쇄시에 그 보관위치로 이동되어 사용위치로 그 위치가 옮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어(40)를 개방하는 경우 반사경(60)은 그 사용위치로 내려오게 되며, 지지각(42)의 길이는 반사경(60)이 그 사용위치로 이동될수 있도록 저면벽(12)과 하측지지면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형성할수 있게 되어 있다.
후방격실(19)에는 램프조립체(70)가 착설되어 있다. 이 램프조립체(70)는 커어버(25)에 취부될수 있도록 양측단부에 취부각(72)이 구성되어 있는 사각프레임(7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71)은 중앙에 통공(73)이 형성되어 있다(제7도). 프레임(71)의 바로 뒤쪽에는 이를 따라 미끄럼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캐리지(74)가 착설되어 있으며, 이는 주 램프(75)와 보조램프(75a)를 지지한다. 이 캐리지(74)에는 램프(75), (75a)의 전방으로 통공(77), (7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캐리지(74)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수 있도록 격벽(17)의 슬로트(24)를 지나 다시 배면커어버(25)의 요구를 통해 상층으로 연장된 핸들 탭(78)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핸들 탭(78)을 조작하므로서 캐리지(74)는 각 통공(77), (77a)이 격벽(17)의 개방부(23)에 정렬된 프레임(71)의 통공(73)에 정렬되도록 제1 및 제2위치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단부벽(13)에는 램프(75), (75a)중의 하나가 개방부(23)에 정렬되었을때에 이를 점등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79)가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램프(75), (75a)중의 하나는 제7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반사경(60)이 그 사용위치에 놓여 있을때에 통공(77) 또는 (77a), 프레임(71)의 통공(73)과, 격벽(17)의 개방부(23)를 지나 전방격실(18)에서 반사경(60)의 기판(61)에 광선을 보낼수 있다. 램프(75)가 고장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간단히 캐리지(74)를 옮기어 다른 램프(75a)가 그 자리에 오도록 하여 사용하면 된다.
하우징(11)의 외측부에는 지주 조립체(80)가 착설된다. 특히 피봇트 브라킷트(81)가 메인 커어버(30)의 배면단부에 인접하여 측벽(15)의 상측변부에 적당한 고정구(82)로 고정되며, 이 브라킷트(81)는 메인 커어버(30)의 요구에 배치될수 있는 상향연장암(83)을 갖는다. 피봇트 브라킷트(81)에는 이로부터 외측으로 피봇트핀(84)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는 기다란 지주(85)에 형성된 보상적인 형태의 개방부를 통하여 연장되어 지주가 회전가능하게 착설될수 있도록 한다. 지주(85)는 횡방향 단면이 사각형의 형태이고 일측단부로부터 전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축설되는 것이 좋다. 피봇트 브라킷트(81)의 바로아래에서 측벽(15)의 외면에는 "L"자형 고정브라킷트(86)가 고정적으로 착설되어 있으며, 이 고정브라킷트(86)는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정지면 플랜지(87)를 갖는다.
측벽(15)에 착설된 고정브라킷트(86)의 타측 플랜지에는 지주(85)에 탄력적으로 착설된 래치핀(89)이 삽입되는 통공(88)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시에 지주(85)는 제1도-제4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측벽(15)의 인접변부를 따라 저면벽(12)에 평행하게 연장된 보관 상태의 위치와, 제5도 및 제6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저면벽(12)에 수직인 사용상태의 위치사이로 회전이동가능하게 된다. 사용상태의 위치에서, 지주(85)의 하측단부는 정지면 플랜지(87)에 접하여 지주(85)의 회전운동을 제한한다. 지주(85)가 사용상태의 위치에 놓여 있을 때에 래치핀(89)을 통공(88)에 삽입하여 지주를 그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래치핀(89)은 스프링의 힘에 대하여 외측으로 당기어 통공(88)으로부터 분리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지주(85)에는 조절캐리지(90)가 착설되어 있으며, 이 조절캐리지(90)에는 지주(85)의 단부가 삽입되는 사각통공(9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절캐리지(90)에는 조절손잡이(94)의 조작으로 축(93)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토록 피니언 기어(92)가 착설되어 있다. 이 피니언 기어(92)는 지주(85)의 인접한 측변부를 따라 형성된 기다란 래크(95)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 피니언 기어(92)를 회전시키면 조절캐리지(90)는 지주(85)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절캐리지(90)에는 지주(85)의 종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상향 연장된 기다란 돌출암(96)이 착설되어 있으며, 이 돌출암(96)의 단부에는 단부봉(97)이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출암(96)의 단부봉(97)에는 투사헤드조립체(100)가 착설되어 있다.
특히, 이 투사헤드조립체(100)는 지지판(102)을 갖는 렌즈 조립체(101)를 포함하고, 이 지지판(102)에는 단부봉(97)이 삽입되는 정렬된 개방부가 단부에 형성된 직립측벽(10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02)에는 개방부(104)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초점 렌즈(105)가 착설된다. 렌즈 조립체(101)는 제5도에서 실선으로 보인 사용상태의 위치와, 제5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보인 보관상태의 위치로 단부봉(97)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투사헤드조립체는 또한 취부편(107)을 갖는 사각반사경(106)을 포함하며, 취부편(107)의 후측단부는 렌즈 조립체(101)의 측벽(103)에 착설된 피봇트 핀(108)에 축설된다. 이 반사경(106)은 제5도에서 실선으로 보인 사용상태의 위치와, 제5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보인 보관상태의 위치로 회전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오우버헤드형 투영기(1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단부벽(113)에 손잡이(110)가 착설된다. 통풍구(22)를 통해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램프 조립체(7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후방격실(19)내에 송풍기(115)가 배설된다. 이 송풍기(115)는 램프조립체(70)와 함께 온-오프스위치(79)에 의하여 작동될수 있다.
오우버헤드형 투영기(10)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접어 보관한 상태의 구조로 운반된다. 이러한 구조로, 지주조립체(80)는 보관상태의 위치에 배치되는바, 지주(85)가 저면벽(12)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렌즈 조립체(101)와 투사헤드조립체(10)의 반사경(106)이 이들의 보관상태 위치로 배치되며 전체 투사헤드조립체(100)는 하우징(11)의 전방격실(18)내에 접히어 보관된다. 저면도어(40)는 이들의 폐쇄상태에서 감겨지고 메인 커어버(30)도 폐쇄되어 잠겨진다. 운반시에는 손잡이(110)를 이용하여 투영기(10)를 옮길수 있고 이는 단부벽(14) 또는 저면벽(12)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놓일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지주조립체(80)는 측벽(15)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한편 돌출암(96)의 단부봉(97)은 단부벽(13)의 요입부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체투영기(10)는 매우 콤팩트한 구조가 된다.
오우버헤드형 투영기(1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저면도어(40)를 풀어 개방하고, 하우징(11)을 지지각(42)으로 지지하여 반사경(60)이 그 사용상태의 위치로 하강될수 있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 전원 코오드(도시하지 않았음)도 도어(40)를 개방하였을때에 이에 접근할수 있도록 반사경(60) 하측의 전방격실(18)내에 보관될 수 있다.
투사헤드조립체(100)는 조절손잡이(94)를 회전시켜 펼칠 수 있으며, 조절손잡이(94)의 회전시에 조절캐리지(90)는 회전시켜 펼칠 수 있으며, 조절손잡이(94)의 회전시에 조절캐리지(90)는 지주(85)에서 그 단부측을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같이 조절캐리지(90)가 제5도에서 점선으로 보인 위치로부터 일점쇄선으로 보인 위치로 이동되므로서 투사헤드조립체(100)가 펼쳐지며 단부벽(13)의 개방부(21)를 통하여 전방격실(18)로부터 하우징(11)의 외부로 이동된다. 투사헤드조립체(100)가 단부벽(13)으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지주(85)를 그 직립된 사용위치로 회전시킨 다음 래치핀(89)으로 고정시킨다. 렌즈조립체(101)를 제5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그 보관상태의 위치로부터 사용상태의 위치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거울(106)은 제5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그 보관상태의 위치로부터 사용상태의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5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그 사용상태의 위치에서 투사헤드조립체(100)는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상부벽(31)의 프레넬 렌즈(33)의 상부에 놓인다. 그리고 온-오프 스위치(79)를 조작하여 램프(75)와 송풍기(115)를 작동시킨다.
램프(75)가 작동시에 이는 제7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광로(120)를 따라서 광선을 반사경(60)에 보내며, 이 반사경(60)은 프레넬 렌즈(33)를 통해 광선을 상측으로 반사하고, 이 광선은 렌즈(105)를 통해 반사경(106)에 입사된다. 슬라이드(도시하지 않았음)가 프레넬 렌즈(33)상에 배치되고 광선이 이를 통과하는 경우 슬라이드에 실려 있는 정보의 상이렌즈(105)로 초점이 맞추어져 반사경(106)에 입사되고, 이 반사경은 원격한 장소에 놓인 스크린(도시하지 않았음)에 평행하게 영상을 투사한다. 만약 램프(75)가 고장인 경우에 사용자는 제6도에서 보았을때에 우측으로 핸들 탭(78)을 이동시켜 캐리지(74)를 간단히 이동시키므로서 램프(75a)가 사용위치로 이동되게 할수 있다.
오우버헤드형 투영기(10)를 다시 접어 보관하고자는 경우, 렌즈 조립체(101)와, 투사헤드조립체(100)의 반사경(106)을 다시 이들의 보관 위치로 회전시키고, 지주(85)는 이를 풀어 그 보관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조절손잡이(94)를 회전시켜 조절 캐리지(90)가 지주(85)를 따라 보관위치로 이동되게 하고 단부벽(13)의 개방부(21)를 통해 투사헤드조립체(100)가 하우징(11)내의 전방격실(18)내에 접어 보관되게 한다. 이후에 하우징(11)을 손잡이(110)을 이용하여 세우고 반사경(60)을 그 보관위치로 되돌려 보내고 전원코오드로 접어 넣는다. 도어(40)를 폐쇄하고 이러한 폐쇄상태에서 잠근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어떠한 부품도 분리하거나 분해하지 않고 보관상태의 구조와 사용상태의 구조로 변형될수 있으며 보관상태의 구조에서는 매우 콤팩트한 형태가 될수 있는 개선된 절첩휴대용의 오우버헤드형 투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절첩휴대용의 오우버헤드형 투영기에 있어서, 광원이 내장되고 내부 공간에 연통하는 개방부를 갖는 하우징, 광로를 따라 광원으로부터 광선을 전달하기 위한 하우징상의 슬라이드 스테이지수단, 하우징의 외부에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착설된 지주수단, 지주수단에 재가되어 있으며 원격장소의 스크린에 초점을 맞추어 상을 투영하기 위해 지주수단이 상승된 위치에 놓여있을 때에 광로내에 배치되는 투영수단과,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는 사용상태의 위치와 지주수단이 하강위치에 있을때에 하우징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보관상태위치로 개방부를 통해 투영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슬라이드 스테이지 수단을 재가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접근할수 있도록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이동가능한 상부도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3.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수단이 상승위치와 하강위치로 회전가능하게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4. 청구범위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수단을 그 상승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5.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수단이 보관상태의 절첩된 구조와 사용상태의 펼쳐진 구조로 이동될 수 있게 착설된 반사수단과 렌즈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6.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투영수단을 상기 지주수단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7. 청구범위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래크와 피니언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8.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에 있어서, 광원이 내장되고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광선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상의 슬라이드 스테이지 수단, 상기 하우징내에 전체가 배치되는 보관위치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사용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사용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 스테이지 수단을 지나는 광로를 따라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수단과, 사용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로를 따라 원격한 장소의 스크린에 초점을 맞추어 상을 투영하는 투영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
  9.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이 그 보관위치와 사용위치로 회전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10.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이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수단이 상기 통공을 위해 그 사용위치로 하강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11. 청구범위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반사수단이 그 사용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하측의 지지면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하는 지지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12. 청구범위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이 그 사용위치에 놓여있을 때에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정지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13.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보조광원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14. 청구범위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지지하며 광선을 상기 반사수단측으로 보내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및 제2위치로 이동시킬수 있게 된 캐리지 수단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15.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에 있어서, 광원이 내장되고 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광선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상의 슬라이드 스테이지수단, 상기 하우징내에 전체가 배치되는 보관위치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사용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사용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 스테이지 수단을 지나는 광로를 따라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수단, 사용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로를 따라 원격한 장소의 스크린에 초점을 맞추어 상을 투영 하는 투영수단과, 상기 통공을 개방하고 상기 반사수단이 보관위치에 배치시에 폐쇄하기 위하여 각각 개방상태의 위치와 폐쇄상태의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착설된 도어수단으로 구성되고, 개방상태에서 상기 도어수단은 상기 반사수단이 그 보관위치와 사용위치로 이동될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
  16. 청구범위 15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이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17. 청구범위 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수단이 개방상태의 위치와 폐쇄상태의 위치로 회전이동가능하고 폐쇄상태에서 상기 통공을 폐쇄하는 한쌍의 도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18. 청구범위 1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이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 도어는 상기도어가 개방상태의 위치에 배치되었을때에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하측의 지지면사이에 간극이 확보되도록 하측의 지지면에 놓이는 지지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19. 청구범위 15항에 있어서, 폐쇄상태에서 상기 도어수단을 잠그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20. 청구범위 15항에 있어서, 개방상태에서 상기 도어수단을 고정하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기.
KR1019900001403A 1989-10-02 1990-02-06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 KR930001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15,617 US4969733A (en) 1989-10-02 1989-10-02 Foldable portable overhead projector
US415,617 1989-10-02
US415617 1995-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476A KR910008476A (ko) 1991-05-31
KR930001638B1 true KR930001638B1 (ko) 1993-03-08

Family

ID=2364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403A KR930001638B1 (ko) 1989-10-02 1990-02-06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69733A (ko)
JP (1) JPH03126021A (ko)
KR (1) KR930001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7656C2 (de) * 1992-03-11 1993-12-23 Liesegang Fa Ed Arbeitsprojektor
DE4230896C1 (de) * 1992-09-16 1994-03-17 Liesegang Fa Ed Arbeitsprojektor
US5296882A (en) * 1992-12-21 1994-03-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verhead projector with catadioptric fresnel lens
US5281986A (en) * 1993-04-02 1994-01-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atching mechanism for overhead projector post
US5757430A (en) * 1993-06-11 1998-05-26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nic viewer and film carrier
JP3342113B2 (ja) * 1993-06-11 2002-11-0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的ビューア
US5317349A (en) * 1993-06-29 1994-05-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verhead projector with achromatic fresnel lens
US5382991A (en) * 1994-05-13 1995-01-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ivoting projection head for overhead projector
US5428416A (en) * 1994-05-13 1995-06-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verhead projector support leg mechanism
US5416541A (en) * 1994-05-16 1995-05-16 Fog; Stephen C. Folding portable overhead projector
US5465127A (en) * 1995-03-15 1995-1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verhead projector with vibration control head
US5820242A (en) * 1996-03-29 1998-10-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act integrated LCD projector
US5876105A (en) * 1996-03-29 1999-03-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Notebook size LCD projector
US5639152A (en) * 1996-06-11 1997-06-17 Telex Communications, Inc. Collapsible LCD projector
US6595646B2 (en) 2001-03-19 2003-07-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profile overhead projector having a foldable post
US7281807B2 (en) 2003-07-16 2007-10-16 Honeywood Technologies, Llc Positionable projection display devices
US7156522B2 (en) * 2003-07-16 2007-01-02 Plut William J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s with reduced weight and size
TWI288251B (en) * 2006-01-25 2007-10-11 Lumens Digital Optics Inc Projector with a brightness-adju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brightness for the same
KR100726839B1 (ko) * 2006-12-29 2007-06-11 윤병식 책카버용 회동힌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책카버
JP4778477B2 (ja) * 2007-05-23 2011-09-21 株式会社エルモ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4035A (en) * 1964-03-10 Multi-purpose projection device
US2273936A (en) * 1938-02-02 1942-02-24 Ceroni Leonardo Opaque and slide projection apparatus
US2718171A (en) * 1951-08-09 1955-09-20 Harold G Fitzgerald Image projecting apparatus
US3167998A (en) * 1961-04-17 1965-02-02 Minnesota Mining & Mfg Portable overhead projecting apparatus
US3366005A (en) * 1965-06-01 1968-01-30 Visual Impact Materials Inc Portable dual display plane projector apparatus
US3285126A (en) * 1966-05-06 1966-11-15 James W Lucas Desk level overhead projector
US3653754A (en) * 1969-12-29 1972-04-04 Cabin Ind Overhead projector
US3979160A (en) * 1975-03-03 1976-09-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act overhead projector
JPS5872420A (ja) * 1981-10-28 1983-04-30 Hitachi Zosen Corp 繊維強化樹脂品の成形方法
DE3216224C2 (de) * 1982-04-30 1984-10-11 Klaus Georg 7800 Freiburg Krieger Epidiaskop
US4449800A (en) * 1983-01-26 1984-05-22 Buhl Industries, Inc. Portable overhead projector
US4588271A (en) * 1983-09-02 1986-05-13 Fuji Photo Film Co., Ltd. Overhead projector
DE3512465A1 (de) * 1985-04-04 1986-10-09 Demolux Gmbh & Co Kg, 6070 Langen Overhead-projektor
JPH079530B2 (ja) * 1985-07-31 1995-02-01 株式会社リコー オ−バ−ヘツドプロジエクタ−
US4776688A (en) * 1986-01-30 1988-10-11 Fuji Photo Film Overhead projector
JPS6356636A (ja) * 1986-08-27 1988-03-11 Tatsuro Nishitani 記録投写装置
JPS63165639U (ko) * 1987-04-18 1988-10-28
US4795252A (en) * 1987-05-26 1989-01-03 Buhl Industries, Inc. Overhead projector
US4728184A (en) * 1987-05-26 1988-03-01 Buhl Industries, Inc. Foldable transparency enlarger for overhead pro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69733A (en) 1990-11-13
KR910008476A (ko) 1991-05-31
JPH03126021A (ja) 1991-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638B1 (ko) 절첩휴대용 오우버헤드형 투영기
US5820242A (en) Compact integrated LCD projector
US4938587A (en) Foldable optical apparatus
US5374969A (en) Portable overhead projector
US4170408A (en) Microfilm viewer
US4449800A (en) Portable overhead projector
JPH10312024A (ja) プロジェクター
US3653754A (en) Overhead projector
US3522982A (en) Collapsible screen assembly for portable motion picture projector
US4721380A (en) Portable opaque projector
US5428416A (en) Overhead projector support leg mechanism
US5345282A (en) Foldable optical apparatus
US4120574A (en) Portable microfilm reader
US3951518A (en) Projector and projection screen assembly
US4730919A (en) Slide viewer
JPH09230504A (ja) 映写スクリーン
JP2562992B2 (ja) 反射型オ−バ−ヘッドプロジェクタ
US3173330A (en) Rear projection viewer
US3630135A (en) Folding-type waist level finder
US3914037A (en) Lap model microfilm viewer
US3536390A (en) Combination collapsible portable viewer and carrying case
JPH0355951Y2 (ko)
JP2002122937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RE32648E (en) Opaque projector
JPH0369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