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354Y1 - 톱 침포 - Google Patents

톱 침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354Y1
KR930001354Y1 KR929206958U KR920006958U KR930001354Y1 KR 930001354 Y1 KR930001354 Y1 KR 930001354Y1 KR 929206958 U KR929206958 U KR 929206958U KR 920006958 U KR920006958 U KR 920006958U KR 930001354 Y1 KR930001354 Y1 KR 930001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urvature
radius
shap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9206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쓰지 나까무라
히로유끼 야마구찌
시계끼 가나사와
도오루 미쓰요시
Original Assignee
가나이 히로 유끼
가나이 쥬우요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히로 유끼, 가나이 쥬우요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나이 히로 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01G15/12Details
    • D01G15/14Constructional features of carding elements, e.g. for facilitating attachment of card clothing
    • D01G15/24Flats or like memb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84Card clothing;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1G15/86Card clothing;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flexible non-metallic b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톱 침포
제 1도는 본 고안의 톱 침포의 침포선을 표시하는 확대단면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톰 침포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일부 확대 단면도.
제 3도는 침선부(針先部)의 부분확대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톱 침포와 종래의 톱침포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a)는 넵(nep)수의 비교설명도, (b)는 플랫스트립(flat strip)량의 비교설명도.
제 5도는 종래 톱 침포의 침 설치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기층 3 : 면포
4 : 합성섬유 직포 5 : 탄성고무시이트
6 : 침 7 : 선단
8 : 니이들형상 9 : 측면연마
10 : 허리부 11 : 기포이면
12 : 마름모꼴의 침포선
본 고안은 면, 화합섬(化合織)에 사용하는 톱침포(Top card clothing)의 구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면기는 현저하게 고속화, 고 생산화가 행해져서 단위시간당 섬유의 통과량이 많아져, 소면공정의 주요부분인 실린더 톱 사이에서는, 실린더와이어의 개섬력(開織力)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작동각도나 종자찌꺼기, 잎찌꺼기의 막힘이 생기지 않는 침두수(針頭)를 설정한 금속 와이어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실린더와이어의 강력한 개섬력에 대응하는 종래의 톱침포는 침포선의 단면이 평행 또는 타원형이고, 소면작용방향의 선단, 후단이 큰 곡률반경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침두수를 증가하여도 소면되는 소과상 섬유의 침선선단(針先先端)에서의 포착이 불충분해서 소면작용을 충분지 받지 못하고 통과하는 소섬유괴(小織維)가 많고 이것이 넵(nep)의 발생원인이 되었다.
또 상기한 결점을 개량하여 개섬력이 우수한 톱침포를 얻기 위하여,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보 소화 54년 제26610호에 표시된 바와같이, 침포선의 단면 형상을 침의 작용방향에 대한 선단. 후단의 예각부를 0.1 내지0.01㎜의 곡률반경으로 형성하고, 4면을 평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한 마름모꼴선으로서 형성한 것이 제안되고 있었다.
이러한 마름모꼴 단면의 침포선을 침을 심어 설치한 톱침포는 종래의 둥근선, 트랙선에 비하여 섬유의 파지력이 커서, 섬유가 소면작용을 받았을때 충분히 인신(引伸)되어 분섬(分)할수 있도록 되있다.
그러나 이 마름모꼴 단면의 침포선은 기포에 침을 심어 설치하면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침포선(12)의 단면 마름모꼴의 단측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서로 대향하는 각부(角部)가 첨예하기 때문에 침을 심어 설치한 침포선의 각부가 기포의 이면(11)과 직각으로 접하는 상태로 배치되므로 침의 착좌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때문에 기침(起針), 난침(針)이 발생하기 쉽고, 톱침포의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사용에 견디지 못하고 수명이 단축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톱침포에 영향을 미치는 침포선의 단면형상을 상기한 종래의 타원형과 마름모꼴의 장점을 채택하여 개섬성 및 제진능력을 한층더 향상시킴과 아울러 침의 시이트를 안정시키고, 더우기 연마에 의해 침두면적(針頭面)의 변화를 억제가능하게 한 톱침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U자형으로 절곡되고, 더우기 선단부를 <자형으로 굽힌 침포선을 면포 및 합성섬유 직포의 복수매와 그 사이에 탄성고무 시이트를 삽입한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기층을 보유하는 침포용 기포에 침을 심어 설치한 공지의 톱침포에 있어서, 상기한 침포선은 그의 단면형상이 침의 작용(장축)방향에 있어서의 곡률반경 R1을 0.03 내지 0.10㎜의 양단과, 단축방향에 있어서의 곡률반경 R2을 0.08 내지 0.12㎜의 양단을 연결한 4면을, 곡률반경 R3을 0.20 내지 0.50㎜의 곡선으로 연결하여 R1<R2<R3의 관계을 보유하는 마름모꼴과 타원의 복합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침선단이 니이들형상으로 또 측면연마에 의해 침선의 두께를 점진적으로 얇게 형성하고, 더우기 열처리에 의해 연화점이 침의 허리부 상부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한 곡률반경 R1을 0.03㎜미만으로 하면, 섬유가 소면작용을 받는 선단부분이 첨예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섬유에 커다란 굽힘응력이 발생되고 카아드를 통과한후의 슬라이버(섬유속)에 의해서도 잔류응력이 남아, 섬유는 커얼(carl)형상으로 되고, 다시 상기한 굽힘응력에 소면작용의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어 섬유절단들 발생시키는 등의 문재점을 발생시킨다.
또 곡률반경 R1이 0.01㎜를 초과하면, 고속, 고생산에서의 면섬유방출시에 있어서, 소괴형상 섬유의 침선선단에서의 포착이 불충분하게 되어, 소면작용을 충분하게 받아들일수 없어 통과하는 소섬유덩어리가 많게되고, 넵 발생의 원인이 되는 등의 결점을 지니게 된다.
또 곡률반경 R2및 곡률반경 R3가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면 톱바아 클립핑시에 기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어 불안정하게 되고 흔들림에 의해 기침이 발생하는 등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톱바아 클립핑시에 기포에 대한 침의 착좌가 가장 안정된 첨단면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기침, 난침 및 이에 수반하는 침의 불균일(침높이가 고르지 못한것)이 생기지 않는다.
또 침의 장축(작용)방향에 있어서의 선단, 후단의 곡률반경을 가능한 한 작게 하므로써, 섬유의 파지를 확실하게 하여 개섬, 제진효율을 향상시킨다.
또 침착용 방향의 선단에 있어서의 단축방향의 두께를 가능한 한 작게한 예리한 침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침의 마모에 의한 침두면적의 변화를 극력억제하여 장기간 안정된 개섬성능을 발위한다.
더우기, 인화점을 침의 허리부 보다 상부에 위치시키므로써 최적의 핀액션(pin action)을 얻을수 있어 기침의 발생도 없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사용하는 침포선의 단면형상을 표시하며, 침의 작용(장측)방향(W)에 있어서의 침포선의 선단 및 후단의 곡률반경 R1을 0.03㎜ 내지 0.10㎜, 예컨대 0.07㎜로 하고, 단축방향(D)에 있어서의 양단의 서로 대향하는 각부(角部)의 곡률반경 R2을 0.08 내지 0.12㎜, 예컨대 0.1㎜로 하며, 상기한 곡률반경 R1과 R2는 R1<R2의 관계로하고, 상기한 곡률반경 R1R2의 단부를 연결하는 4면이 외측으로 볼록곡면을 가지고 있는 곡률반경이 0.2㎜ 내지 0.50㎜의 곡선 R3으로서 연결한 마름모꼴과 타원형을 결합시킨 것을 같은 단면 형상을 보유하는 침포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장측방향(W) 및 단측방향(D)의 각각 그 치수는 예컨대 0.41㎜, 0.29㎜이다.
그런데 화섬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면섬유와 같이 제진성이 요구되지 않고, 또 미세 데니트(Denier)의 섬유를 방출하는 경우 섬유의 손상이 발생하므로, 상기한 곡률반경 R1은 그 범위의 상한인, 예컨대 0.07㎜를 초과하여 0.10㎜의 범위(단 R1<R2)로 설정하면 양호하다.
상기한 침포선은 U자형상으로 만곡되고,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표층(1)에 천연 또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클로로프렌고무(CR), 우레탄고무(U)등의 합성고무시이트 또는 이들의 발포체시이트와 기층(2)에 면포(3) 및 합성섬유직포(4)(예컨대 고항장력, 고 모듈러스의 폴리에스테트, 아라미드, 비닐론, 벤조에이드, 6.6나이론 등에서 선택되는 실을 최소한 경사(날실)로 한 직포)의 복수매와 그 사이에 탄성고무시이트(5)(예컨대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을 삽입하고, 각층 사이를 천연 또는 합성고무접착제를 개재하여 일체로 적층 접차하여서 이루어진 침포용 기포를 형성한다.
이 기포에 IOT 4L의 식침조직(針組織)으로서 포인트수 300 내지 650P/25.㎟, 작동각도 X0=75°(72 내지 78°), 심음각도 Y0=75°(72 내지 80°)침높이 A=8 내지 1l.0㎜, 예전대 9.0㎜로 설정하여 침을 심어 설치하고, 또한 침(6)을 <모양으로 굽혀서 중간부분 이상의 치수 B=3.0 내지 6.0㎜, 예컨대 4.0㎜로 한 본 발명의 톱침포를 구성한다.
또한 제 2도, 제 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자형상의 침의 선단(7)은 니이들형상(8)으로 하고, 측면연마(9)를 실시하여, 선단 바로 아래, 대략 0.5㎜거리(m)에 있어서의 침선경(p)을 0.10 내지 0.20㎜의 첨예한 침선으로하고, 또한 열처리에 의하여 선단의 침선경도를 760 내지 900Hv로 높이고 연화점의 위치를 가능한 한 침의 허리부(10)보다 상부의 침의 선단에서 대략 2 내지 5㎜사이의 거리(s)로 설정하여 침선에 근접시켰다.
또한 식침조직은 상기한 IOT X 4L이외는 공지의 종래 조직을 사용할수가 있으며, 침높이 허리부 상부측치수, 작동각도, 심음각도 등은 상기한 범위내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해도 좋다.
그런데 본 고안에 관한 톱침포(A)와 종래의 둥근선, 트랙션, 마름모꼴선의 톱핌포(B)(C)(D)를 사용하여 넵수, 플랫 스트립량을 측정하였는바, 제4도 (a)(b)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톱침포는 종래의 톱침포에 비하여 넵수, 플랫 스트립량 모두를 감할수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으로 한것에 의하여, 기포에 대한 착좌가 양호하게 안정하고, 기침, 난침의 원인이되는 흔들림의 발생이 방지되어 수명을 연장시킬수 있고, 또 침의 연마를 행하여도 침두면적이 별로 변화하지않으므로, 장기적으로 안정된 개섬성능을 발휘할수 있다.
그리고 개섬시의 응력이 허리부레 집중하여도, 최적의 핀액숀을 얻게되고, 기침이 발생하지 않음과 아울러, 고속, 고생산하에서의 면섬유의 방출시에 있어서도 침선선단에서 섬유를 확실하게 파지하므로써, 개섬성, 제진성이 향상하여, 넵수, 플랫 스트립량을 대폭 감소시킬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보유하는 고안이다.

Claims (1)

  1. U자형으로 절곡되고, 더우기 선단부를 <자형으로 굽힌 침포선을, 침포 및 합성섬유직포(4)의 복수매와 그 사이에 탄성고무시이트(5)를 삽입한 적층체로 이루어진 기층을 보유하는 침포용기포에 침(6)을 심어 설치한 공지의 톱침포에 있어서, 상기한 침포선은, 그의 단면 형상이 침의 작용(장축)방향(W)에 있어서의 곡률반경 R1이 0.03 내지 0.10㎜의 양단과, 단축방향(D)에 있어서의 곡률반경 R2가 0.08 내지 0.12㎜의 양단을 연결한 4면을 곡률반경 R3가 0.20 내지 0.50㎜의 곡선으로 연결하여, R1<R2<R3의 관계를 보유하는 마름모꼴과 타원의 복합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침선단이 니이들형상(8)으로 또한 측면연마(9)에 의해 침선의 두께를 점진적으로 얇게 형성하고, 또 열처리에 의해 연화점이 침의 허리부(10)보다 상부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침포.
KR929206958U 1985-07-12 1992-04-25 톱 침포 KR93000135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452485 1985-07-12
JP154524 1985-07-12
KR1019860005519 1986-07-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519 Division 1985-07-12 1986-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354Y1 true KR930001354Y1 (ko) 1993-03-27

Family

ID=1558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9206958U KR930001354Y1 (ko) 1985-07-12 1992-04-25 톱 침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72371B2 (ko)
KR (1) KR9300013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969Y2 (ja) * 1989-12-19 1997-12-08 金井 宏之 メタリック針布
JP2791537B2 (ja) * 1993-12-22 1998-08-27 金井 宏之 トップ針布
DE19815625B4 (de) * 1998-04-07 2008-08-28 Hollingsworth Gmbh Deckelstreifen
CN117248305B (zh) * 2023-11-16 2024-01-26 东华大学 一种用于亚麻、大麻干纺纱的双梳理区梳理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15U (ko) * 1974-06-11 1976-01-05
JPS545851U (ko) * 1977-06-16 1979-01-16
JPS5428491A (en) * 1977-08-08 1979-03-03 Yoshinori Nishida Double head vibration massa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72371B2 (ja) 1995-08-02
JPS62104928A (ja) 198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01066A (ja) ニードリング固定ベロア織物ウエブのためのニードリング装置
KR930001354Y1 (ko) 톱 침포
US3151362A (en) Clothings for flats of carding machines
US3929082A (en) Needles for tufting or the like
US4068500A (en) Knitting machine needle with front and back cut-outs and spring
EP0069589A2 (en) Cover fabric for a toothed driving belt
US7146829B1 (en) Yarn clamp assembly of a knitting machine
JPH0770875A (ja) タオル地
KR0148485B1 (ko) 톱 침포
KR100945385B1 (ko) 래칫 니들
EP1785517A1 (en) A yarn clamping method
JP4242031B2 (ja) 補強用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3661144B2 (ja) モツプ縁の製造装置
JP2012205854A (ja) 薄型ブラシ及び薄型ブラシの製造方法
JP2750657B2 (ja) ドッファ用メタリックワイヤ
RU2042754C1 (ru) Лента игольчатая для шерсточесальных машин
CN218203348U (zh) 一种耐磨织针
JPH04209852A (ja) 緯糸の2本同時挿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溝付きインサートレピアならびに溝付きキヤリアレピア
US5233846A (en) Needles for knitting machines
CN220202162U (zh) 防滑织带
JPH0160087B2 (ko)
JP4089767B2 (ja) コンベヤベルト
JP4351375B2 (ja) 起毛立体経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KR20000062455A (ko) 카드의 플랫용 침포
US3837183A (en) Thread guides having restricted apertures for use in warp knit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