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172Y1 -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172Y1
KR930001172Y1 KR2019900004509U KR900004509U KR930001172Y1 KR 930001172 Y1 KR930001172 Y1 KR 930001172Y1 KR 2019900004509 U KR2019900004509 U KR 2019900004509U KR 900004509 U KR900004509 U KR 900004509U KR 930001172 Y1 KR930001172 Y1 KR 930001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verter
integrated circuit
cmos logic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971U (ko
Inventor
김상룡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4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172Y1/ko
Publication of KR910018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9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172Y1/ko

Links

Landscapes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
제1도는 종래의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인버터 4, 5. : 피모오스 트랜지스터
6, 7. : 엔모오스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CMOS회로의 클락 스큐우(Clock Skew)를 감소시키는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CMOS논리소자 집적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개의 인버터(CMOS 인버터)(1, 2)로 구성된다.
즉 인버터(1)의 출력이 인버터(2)의 입력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출력()이 되는데 이신호는 인버터(2)의 출력(Q)과 반대신호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로에서 입력(IN)이 논리 '1'('하이'레벨)이면 출력신호()는 논리 '0'(로우레벨)이 되고, 출력신호(Q)는 논리 '1'이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CMOS논리소자 집적회로에서는 입력(IN)이 논리 '1'('하이'레벨)이 되면 출력()은 출력(Q)보다 먼저 논리 '0'('로우'레벨)이 되고 반대로 입력(IN)이 논리 '0'이면 출력(Q)는 출력()보다 먼저 논리 '1'이 되는 즉 인버터(2)의 전달지연 시간만큼의 클락 스큐우(Colck Skew)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에서 그 구성을 보면 클락입력신호(8)는 인버터(CMOS인버터)(3)의 입력과 연결되는 동시에 피모오스 트랜지스터(5)의 게이트와 피모오스 트랜지스터(4)의 드레인에 동시 연결되고, 또한 클락 입력신호(8)는 엔모오스 트랜지스터(7)의 게이트와 엔모오스 트랜지스터(6)의 드레인에 동시 연결되고 인버터(3)의 출력은 피모오스 트랜지스(4)와 엔모오스 트랜지스터(6)의 게이트에 동시 연결되는 동시에 출력()이 되고 피모오스 트랜지스터(4)의 소오스와 피모오스 트랜지스터(5)의 드레인과 엔모오스 트랜지스터(6)의 소오스와 엔모스 트랜지스터(7)의 드레인이 서로 접속되어 출력()을 얻어내고 피모오스 트랜지스터(5)의 소오스는 접지되고 엔모오스 트랜지스터(7)의 소오스는 전원(VDD)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클락 입력신호(8)가, '0'(로우레벨)이면 인버터(3)의 출력()은, '1'(하이 레벨)이 되며, 이 '1'(하이레벨)신호 즉 인버터(3)의 출력에 의해 피모오스 트랜지스터(4)는 '오프'상태가 되고 엔모오스 트랜지스터(6)는 '온'상태가 된다.
또한 입력 클락신호(8)가 '0'상태이므로 피모오스 트랜지스터(5)는 '온'되고 엔모오스 트랜지스터(7)는 '오프' 된다.
따라서 출력는 '0'(로우레벨)이 된다.
입력 클락신호(8)가 '1'(하이)이면 인버터(3) 출력(α)는 '0'(로우레벨)이 되며 이 '0'(로우레벨)신호 즉 인버터(3)의 출력에 의해 피모오스 트랜지스터(4)는 '온'되고 엔모오스 트랜지스터(6)는 '오프'된다. 또한 클락 입력신호(8)가 '1'상태이므로 피모오스 트랜지스터(5)는, '오프' 가 되고 엔모오스트랜지스터(7)는 '온' 이 된다.
따라서 출력는 '1'(하이레벨)이 된다.
종래 회로에서는 인버터의 게이트 딜레이에 의해 클락 스큐우가 발생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피모오스 트랜지스터(5)와 엔모오스 트랜지스터(7)를 통해 효과적으로 클락스큐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클락입력신호(8)받아 반전하는 인버터(3)와, 상기 인버터(3)의 출력()을 게이트로 받으며 인버터로 동작되어 출력()을 얻어내는 피모오스 트랜지스터(4) 엔모오스 트랜지스터(6)와, 드레인(D)단이 출력()과 연결되며 상기 입력 클락신호(8)를 게이트로 인가받아 동작하여 클락 스큐우가 방지된 출력()을 얻어내도록하는 피모오스 트랜지스터(5) 엔모오스 트랜지스터(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
KR2019900004509U 1990-04-13 1990-04-13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 KR930001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509U KR930001172Y1 (ko) 1990-04-13 1990-04-13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509U KR930001172Y1 (ko) 1990-04-13 1990-04-13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971U KR910018971U (ko) 1991-11-29
KR930001172Y1 true KR930001172Y1 (ko) 1993-03-13

Family

ID=1929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509U KR930001172Y1 (ko) 1990-04-13 1990-04-13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1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971U (ko) 199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4083A (en) Voltage converting buffer circuit capable of realizing high speed flip-flop action in the flip-flop circuit
KR910002130A (ko) 반도체집적회로
KR970705231A (ko) 전원 노이즈 아이솔레이션을 갖는 전압 제어 지연회로를 갖춘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cluding voltage controlled delay circuit with power supply noise isolation)
KR840008075A (ko)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용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KR940000253Y1 (ko) 엔모스 배타 오아게이트 회로
US6060909A (en) Compound domino logic circuit including an output driver section with a latch
CA2101559A1 (en) Complementary logic input parallel (clip) logic circuit family
KR910016077A (ko) 반도체집적회로
KR930001172Y1 (ko) Cmos 논리소자 집적회로
KR970023374A (ko)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및 소진폭 신호 수신 방법
US6069498A (en) Clock generator for CMOS circuits with dynamic registers
KR940000256Y1 (ko) 반가산기 회로
US6335639B1 (en) Non-monotonic dynamic exclusive-OR/NOR gate circuit
GB2207572A (en) CMOS exclusive ORing circuit
KR890006531Y1 (ko) 논리소자 집적회로
KR880004655A (ko) 전송 게이트 회로
KR930004307Y1 (ko) 슈미트 트리거회로
JP2000295081A (ja) レジスタ回路及びラッチ回路
KR940000254Y1 (ko) 멀티게이트 시모스에 의한 배타 오아게이트
KR940000252Y1 (ko) 씨모스 낸드게이트
KR100278992B1 (ko) 전가산기
KR900002789B1 (ko) 시모스를 이용한 고 전류 드라이버
KR0117118Y1 (ko) 와이어드 앤드 로직 게이트 회로
KR910017613A (ko) 파워 온 리세트 회로
KR930010941B1 (ko) 전가산기 집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