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079A - 요청신호개수에 독립적인 중재시간의중재기 - Google Patents

요청신호개수에 독립적인 중재시간의중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079A
KR930001079A KR1019910009444A KR910009444A KR930001079A KR 930001079 A KR930001079 A KR 930001079A KR 1019910009444 A KR1019910009444 A KR 1019910009444A KR 910009444 A KR910009444 A KR 910009444A KR 930001079 A KR930001079 A KR 930001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rbitration
tlu
inh
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048B1 (ko
Inventor
윤영우
Original Assignee
윤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우 filed Critical 윤영우
Priority to KR1019910009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048B1/ko
Publication of KR93000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3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요청신호개수에 독립적인 중재시간의 중재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종래의 트리중재기의 구성의 일실시례를 도시하는 블록다이아그램.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재기의 구성의 일실시례를 도시하는 블록다이아그램.
제 3 도는 본 발명의 중재기에 사용되는 중재모듈의 블럭다이아그램.
제 4 도는 중재모듈내의 RS 래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연산표.
제 5 도는 중재모듈의 논리회로도.
제 6 도는 중재집적회로를 사용한 64개 요청시의 중재기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재모듈 4 : 요청신호발생기

Claims (1)

  1. 요청신호 R0…Rn로써 중재모듈들에 대한 요청신호를 발생시키며 그 일반논리식이
    단, 1=j2ku=1+2k-1, 0≤j≤n-1,
    0≤k≤「log2n」-1, 0≤1≤n-1‥‥‥‥‥‥‥‥‥‥‥‥‥(1)
    인 요청신호발생기(4)와, 승인신호 YG0…YGn와 G0…Gn을 발생시키며 그 일반논리식이,
    단, 1=0,…, n-1,
    m =「log2n」-1, 1=「i/2k」2k, u=1+2k-1‥‥‥‥‥‥(2)
    인 승인신호발생기(6)와, 요청신호가 끝나는 순간부터 승인신호가 끝날때까지 일정한 길이의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며 [R0…Rn]와 신호[YG0…YGn]로써 트리거신호와 금지신호[INH]를 발생시키고, 트리거신호는 각 중재모듈들이 상황에 따라서 우선순위를 바꾸게 하고 금지신호는 중재모듈들이 변화하는 과도시간에 잘못된 승인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신호로서 트리거신호의 논리식과 금지신호의 일반논리식이,
    G1 INH∧YG1단, i=0,…,n-1‥‥‥‥‥‥‥‥‥‥‥‥‥‥(3)
    T1 R1∧YG1단, i=0,…,n-1‥‥‥‥‥‥‥‥‥‥‥‥‥‥‥(4)
    단, 1=j2k, u=1+2k-1, 0≤j≤n-1,,
    0≤k≤「log2n」-1, 0≤1, u≤n-1‥‥‥‥‥‥‥‥‥(5)
    INH=Tlu∨Delay(Tlu, td) 단, 1=0, u=n=1‥‥‥‥‥‥‥‥(6)
    이며 Delay(Tlu, td)는 신호 T를 시간 td만큼 지연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함수이며 td인 트리거신호발생기(5)와, 우선순위를 기억하는 RS래치(7)와, RS래치(7)의 출력과 요청신호는 [AND]게이트로 결합되며, RS래치(7)를 구동하는 회로인 입력논리회로(8)로 구성되고, S, R의 논리식이,
    으로 구성되고 제 5 도와 같은 논리회로도를 가지는 중재모듈을 가지며 ; n 개의 프로세서를 몇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집적회로화하고 이 집적회로들을 결합하여 전체 중재기를 구성하기 위하여, 각 [IC]가 n개의 요청을 중재한다면, [RR] 및 [TO]의 논리식이 각각,
    TO = TI∨T1U단, 1=0, u = n-1 ……………………………(8)
    와 같으며,
    이에 따라 식(3)(5)(6)은
    G1=GGINH∧YG1단, i=0, …, n-1…………………(9)
    Tlu=단, 1=j2k, u=1+2k-1,
    0≤j≤n-1, 0≤k≤「log2n」-1, 0≤1, u≤n-1…………(10)
    INH=TO∨Delay(Tlu, td) 단, 1=0, u=n-1……………………(11)
    로서 되며, N개의 [TO] 출력이 하나의 [TI]입력에 들어가고, 그중 한 개 이상의 [TO]=1 이면 [TI]=1 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TO]는 [wired-OR]가 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청신호개수에 독립적인 중재시간의 중재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09444A 1991-06-05 1991-06-05 요청신호개수에 독립적인 중재시간의 중재기 KR930008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9444A KR930008048B1 (ko) 1991-06-05 1991-06-05 요청신호개수에 독립적인 중재시간의 중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9444A KR930008048B1 (ko) 1991-06-05 1991-06-05 요청신호개수에 독립적인 중재시간의 중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079A true KR930001079A (ko) 1993-01-16
KR930008048B1 KR930008048B1 (ko) 1993-08-25

Family

ID=1931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9444A KR930008048B1 (ko) 1991-06-05 1991-06-05 요청신호개수에 독립적인 중재시간의 중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0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424B1 (ko) * 1994-09-02 2005-05-24 디랩 고형 약물 조성물 전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424B1 (ko) * 1994-09-02 2005-05-24 디랩 고형 약물 조성물 전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048B1 (ko) 199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12323A (ko) 에러정정회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JPH08321183A (ja) 半導体記憶装置のデータ入力回路
KR100214399B1 (ko) 고속 동기 카운터 회로
KR930001079A (ko) 요청신호개수에 독립적인 중재시간의중재기
US4282488A (en) Noise eliminator circuit
JPH06311127A (ja) ディジタルデータ調停装置
JPS63204355A (ja) デ−タ転送制御回路
JP2578144B2 (ja) 並列データポート選択方法及び装置
JPS6382014A (ja) 擬似ランダム雑音符号発生回路
US6512397B1 (en) Circuit structures and methods for high-speed low-power select arbitration
KR910008729A (ko) 그의 주변에 분포된 복수의 어드레스 입력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00000606B1 (ko) 라운드-로빈 방식에 의한 우선처리 회로
SU1149400A2 (ru) Пересче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нтролем
SU634276A1 (ru) Накапливающий сумматор
KR940004642A (ko) 컬럼 어드레스 래치신호 발생장치
KR950003997A (ko) 메모리 맵방식 입출력영역의 자동인식 장치
SU9436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SU771725A1 (ru) Регистр
SU169183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ртировки чисел
SU126417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рганизации очереди
SU396719A1 (ru) Регистр сдвига
SU1091162A2 (ru) Блок приоритета
SU116631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екодировани
KR940015859A (ko) 타이콤 시스템의 인터럽트 중재장치
KR950004740A (ko) 데이타 출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