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696B1 - 팩시밀리 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696B1
KR930000696B1 KR1019900003684A KR900003684A KR930000696B1 KR 930000696 B1 KR930000696 B1 KR 930000696B1 KR 1019900003684 A KR1019900003684 A KR 1019900003684A KR 900003684 A KR900003684 A KR 900003684A KR 930000696 B1 KR930000696 B1 KR 93000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image signal
image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515A (ko
Inventor
다케히코 미노와
아키히코 시가미
가즈요시 순도
후미코 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3049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2316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08733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6664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1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1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from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의 팩시밀리장치의 기계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부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의 팩시밀리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팩시밀리장치중의 CPU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제4도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팩시밀리장치중의 CPU처리수순중에서 착신시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
제5도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팩시밀리장치중의 CPU처리수순중에서 기록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의 팩시밀리장치의 기계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부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어서의 팩시밀리장치의 기계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부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서의 팩시밀리장치의 CPU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의 팩시밀리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10도는 상기 제9도에 도시된 팩시밀리장치중의 CPU동작 플로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조작패널
3 : 원고입구 4 : 원고출구
5 : 자급(自給)롤러 6a,6b : 구동롤러
7a,7b : 핀치롤러 8 : 이미지센서
9 : 배면롤러 10 : 가이드
11 : 원고대 12 : 기록지공급구
13 : 기록지출구 14 : 가이드
15 : 기록헤드 16 : 플라텐(platen)롤러
17 : 가이드 18 : 기록지대
19 : 기판 20 : 표시장치
21 : 표시창 22 : 회로기판
23 : 전원유닛 24 : 통지 (通知)장치
25 : 종이센서 30 : 판독주사부
30a : 판독부 30b : 원고반송계
31 : 부호화부(符號化部) 32 : 제어부
32a : CPU 32b : ROM
32c : 입력인터페이스 32d : 출력인터페이스
33 : 송수신부 33a : 모뎀
33b : NCU 34 : 화상메모리
35 : 복호화부(復號化部) 36 : 기록주사부
36a : 기록부 36b : 기록지반송계
37 : 조작스위치 38 : 표시장치
39 : 전화회선 70 : 종이입구
71 : 종이출구 72 : 종이센서
90 : 프린터인터페이스 91 : 프린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팩시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종래의 화상신호(畵像信號)수신을 실행하는 팩시밀리장치는 적어도 화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구와, 이 수신기구에서 수신한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용지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기구, 기록지를 격납(格納)하기 위한 기록지격납기구, 상기 기록기구에 상기 기록지격납기구에 격납된 기록지를 공급하기 위한 기록지 공급기구를 필수구성요소로 갖추고 있다.
그런데, 근래에 와서 팩시밀리장치가 보급됨에 따라 팩시밀리장치의 사용형태가 다양화되고 있어, 소형화에로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팩시밀리장치에서는,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의 기구를 필수구성요소로서 갖추고 있기 때문에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대폭적인 소형화가 가능한 팩시밀리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의 4가지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1)접속된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된 화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화상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 상기 화상신호에 대응된 화상을 기록지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상기 기록수단에 상기 기록지를 수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록지수동공급수단, 기록의 개시를 수동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기록개시지시수단, 상기 기록수단 및 상기 기록개시지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개시지시 수단에 의한 기록개시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기록지수동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기 기록지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2)접속된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된 화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이 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화상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 상기 화상신호에 대응된 화상을 기록지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 상기 기억수단에 화상신호가 기억되어 있을 때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신호에 관한 소정의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수단, 기록수단에 상기 기록지를 수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록지수동공급수단, 기록의 개시를 수동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기록개시지시수단, 상기 기록수단 및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에 의한 기록개시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기록지수동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기 기록지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3)접속된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된 화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수신된 화상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 상기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을 종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 종이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수단, 상기 기록수단 및 상기 판독수단에 상기 종이를 수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종이수동공급수단, 이 종이수동공급수단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종이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종이의 공급을 검출하기 위한 종이검출수단, 기록의 개시를 수동적으로 하기 위한 기록개시지시수단, 판독의 개시를 수동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판독개시지시수단, 상기 기억수단과 상기 종이검출수단 및 상기 기록 개시지시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종이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종이가 검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에 의해 행해진 기록개시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종이수동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종이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 상기 종이검출수단 및 상기 판독개시지시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종이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종이가 검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판독개시지시수단에 의해 행해진 판독개시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종이수동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기 종이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수단을 제어하는 판독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4)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된 화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수신된 화상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 상기 외부기억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수단, 기록의 개시를 수동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기록개시지시수단, 상기 기억수단과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 및 외부기록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에 의한 기록개시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외부기록장치에 기록시키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며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의 팩시밀리장치의 기계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부단면도이다.
이 팩시밀리장치는 본체(1), 조작패널(2), 원고입구(3), 원고출구(4), 자급(自給)롤러(5), 구동롤러(6a,6b), 핀치롤러(7a,7b), 이미지센서(8), 배면롤러(9), 가이드 (10),원고대(11), 기록지공급부(12), 기록지출구(13), 강드(14), 기록헤드(15), 플라텐(platen) 롤러(16), 가이드(17), 기록지대(18), 기판(19), 표시장치(20), 표시창 (21), 회로기판(22), 전원유닛(23), 통지장치(24) 및 종이센서(25)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체(1)는 상자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본체(1)의 상면(上面)중앙부에 조작버튼(도시하지 않음)과 표시창(21)등을 설치한 조작패널(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1) 상면부와 한 쪽 측부(側部)에는 원공급구(3)가 형성되며 상면부의 다른 쪽 측부에는 원고출구(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의 내부에는 원고입구(3)로부터 원고출구(4)까지 자급롤러(5), 구동롤러(6a), 핀치롤러(7a), 이미지 센서(8), 배면롤러(9), 구동롤러(6b) 및 핀치롤러(7b)가 차례로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각 부품과 본체(1)의 원고출구(4)에 마주보게 설치한 가이드(10)와 수평인 원고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본체(1)의 한 쪽 측면부에는 기록지공급부(12)가 형성되며, 또 상면부의 다른 쪽 측부에는 원고출구(4)와 나란히 기록지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의 내부에는 기록지공급부(12)로부터 기록지출구(13)까지 가이드(14), 기록헤드(15), 플라텐롤러(16), 가이드(17)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부품과 상기한 가이드(10)를 조합하여 U자형으로 턴(turn)하는 기록지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가이드(14)에는 기록지공급부(12)로부터 공급된 기록지를 검출하기 위한, 예컨대 마이크로스위치, 광차단기 등의 종이센서(25)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의 내부에는 기판(19)에 지지(支持)된 표시장치(20)가 조작패널(2)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 표시장치(20)는 조작패널(2)에 형성된 표시창(21)에 면하여 있어 외부로부터의 확인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이 표시장치(20)는 팩시밀리 장치의 송신시의 각종 정보 및 수신시의 각종 정보를 각각 표시한다. 그리고 이 표시장치(20)로는 액정표시패널 또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표시패널 증의 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체(1)의 내저부(內底部)에는 회로기판(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로기판 (22)에는 후술(後述)하는 메모리수신부, 제어부를 구성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소정의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23)은 전원유닛이다.
또 본체(1)의 상면에는 화상신호를 수신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통지장치(본 실시예에서는 LED ; 2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원고의 판독을 행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원고대 (11)에 실린 원고(도시하지 않음)를 자급롤러(5)로 송출하고, 자급롤러(5)로 송출된 원고를 구동롤러(6a)와 핀치롤러(7a) 및 구동롤러(6b)와 핀치롤러(7b)에서 반송(搬送)하면서 밀착센서(8)와 배면롤러(9)의 사이를 통과하게 한다. 이때 원고에 형성된 화상을 이미지 센서(8)에서 판독한다. 그후 원고는 원고출구(4)로부터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 기록을 행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조작자에 의해 기록지공급구(12)로부터 공급된, 예컨대 커트(cut)형의 기록지(도시하지 않음)을 가이드(14)에서 안내하면서 기록헤드(15)와 플라텐롤러(16)의 사이에 도입한다. 그리고 기록지는 플라텐롤러(16)및 가이드(10,17)에 의해 기록지출구(13)로 부터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기록지에 기록헤드(15)에 의해 화상을 기록한다.
제2도는 본 팩시밀리장치의 전기적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여기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팩시밀리장치는 전기적으로는 판독주사부(30), 부호화부(31), 제어부(32) , 송수신부(33), 화상메모리(34), 복호화부(復號化部 ; 35), 기록주사부(36), 조작스위치(37) 및 표시장치(38)를 포함한다.
판독주사부(30)는 판독부(30a)와 원고반송계(30b)를 포함한다. 판독부(30a)는 제1도에 도시된 이미지센서(8)와 이미지센서(8)에서 얻어진 전기신호를 처리하여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원고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에 대응된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원고반송계(30b)는 제1도에 도시된 자급롤러(5) 및 구동롤러(6a,6b)와 이 자급롤러(5)와 구동롤러(6a,6b)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도시하지 않음), 이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판독부(30a)에서 판독하는 원고의 전송을 행한다.
부호화부(30)는 판독부(30a)에서 생성된 화상신호를 부호화하여, 화상데이터로 한다. 여기에서 얻어지는 화상데이터는 제어부(32)를 통해 송수신부(33)에 도입된다. 송수신부(33)는 모뎀(33a) 및 NCU(33b)로 구성되어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모뎀 (33a)에서 변조시킨 후, NCU(33b)를 통해 전화회선(39)으로 송출한다.
한편, 전화회선(39)을 통해서 도래(到來)한 화상데이터는 송수신부(33)에서 수신복조(受信復調)된다. 그리고 이 화상데이터는 제어부(32)의 제어에 의해 화상메모리(34)에 격납된다.
복호화부(35)는, 제어부(32)로 부터 공급된 화상데이터를 복호하여 화상신호를 재생하고 이 재생한 화상 신호를 기록주사부(36)에 공급한다. 기록주사부(36)는 기록부(36a)와 기록지반송계(36b)를 포함한다. 기록부(36a)는 제1도에 도시된 기록헤드(15)와 기록헤드(15)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공급된 화상신호에 따라 화상을 기록지에 기록한다. 기록지반송계(36b)는 제1도에 도시된 플라텐롤러(16)와 이 플라텐롤러(16)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도시하지 않음), 이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기록부(36a)에서 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기록지의 반송을 행한다.
그런데 제어부(32)는 CPU(32a), ROM(32b), 입력인터페이스(32c) 및 출력인터페이스(32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CPU(32a)는 ROM(32b)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여, 본 팩시밀리장치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입력인터페이스(32c)에는 CPU(32a)의 데이터입력포트로서 종이센서(25), 부호화부(31), 모뎀 (33a), 화상메모리(34)가 각각 접속되어있다. 출력인터페이스(32d)는 CPU(32a)의 데이터출력포트로서 통지장치(24), 원고반송계(30b), 복호화부(35), 기록지반송계 (36d)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입력인터페이스(32c)에는 조작스위치(37)도 접속되어 있다. 이 조작스위치 (37)는 다이얼키와 그외의 기능키 등을 갖추어, 본 팩시밀리장치의 오퍼레이터가 CPU (32a)에 대해 지시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출력인터페이스(32d)에는 표시장치 (38)도 접속되어 있다. 이 표시장치(38)는, 예컨대 LCD(액정표시장치)등으로 본 팩시밀리장치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팩시밀리장치의 동작을 CPU(32a)의 처리수순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CPU(32a)는 대기상태에서, 제3도에 나타내듯이 스텝(3a) 및 스텝(3b)에서 발호(發呼)및 착호(着呼)의 발생감시를 , 또 스텝(3c)에서 기록지시의 입력유무의 감시를 각각 행하고 있다.
이 대기상태에 있어서 조작스위치(37)에 의해 발호지시가 이루어지게 되면, CPU(32a)는 스텝(3a)에서 발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CPU(32a)는 처리를 스텝(3a)으로부터 스텝(3d)으로 이행하여, 이 스텝(3d)에서 주지(周知) 의 일반적인 송신처리를 실행한다.
또, 대기상태에서 전화회선을 통한 착호가 있으면, CPU(32a)는 스텝(3b)에서 착호의 발생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CPU(32a)는 처리를 (3b)으로부터 스텝(3e)으로 이행한다. CPU(32a)는 처리를 스텝(3e)에서 착호시처리를 실행한다. 이 착호시처리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즉,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32a)는 스텝(4a)에서 예컨대, 통신수속과 화상데이터의 수신 등의 수신처리를 주지의 순서로 행하고, 여기에서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스텝(4b)에서 화상메모리(34)에 격납한다. 다음으로 CPU (32a)는 스텝(4c)에서 수신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처리를 스텝(4c)으로부터 스텝 (4d)으로 이행하고, 이 스텝(4d)에서 주지의 순서에 따라 종화(終話)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CPU(32a)는 스텝(4e)에서 통지장치(24)의 구동개시, 즉 LED의 점 등을 행한 후 제3도에 도시된 메인루틴으로 전환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대기상태에서 조작스위치(37)로부터 기록지시기 입력되면, CPU(32a)는 스텝(3a)는 스텝(3c)에서 이 기록지시의 입력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CPU(32a)는 처리를 스텝(3c)으로부터 스텝(3f)으로 이행한다.
CPU(32a)는 스텝(3f)에서 얻은 종이센서(25)의 출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CPU(32a)는 스텝(3g)에서 스탭(3f)에서 얻은 종이 센서(25)의 출력정보를 기초로, 기록지공급구(12)에 기록지가 공급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CPU (32a)는 기록지가 공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처리를 스텝(3g)으로부터 스텝(3a)으로 이행하여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 한편, 이때 CPU(3a)는 필요에 따라 기록지가 없다는 것을 표시장치(38)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CPU(32a)는 스텝(3g)에서 기록지가 있다고 판단되면 처리를 스텝(3g)으로부터 스텝(3h)으로 이행한다. CPU(32a)는 스텝(3h)에서 기록처리를 행한다. 이때 기록처리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32a)는 스텝(5a)에서 화상메모리(34)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독출하여,이것을 스텝(5b)에서 복호화부(35)로 출력한다. CPU(32a)로부터 복호화부(35)로 출력된 이 화상데이터는 복호화부(35)에서 복호되어 화상 신호로 재생되며, 기록부(36a)에 공급된다. 그리고 기록부(36a)에서는, 이 공급된 화상신호에 따라 화상을 기록지공급구(12)로부터 공급된 기록지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CPU(32a)는 스텝(5c)에서 화상메모리(34)에 격납되어 있는 모든 화상데이터의 복호화부(35)로의 출력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화상 메모리(34)에 격납되어 있는 모든 화상데이터의 복호화부(35)로의 출력이 종료될 때까지 스텝(5a) 및 스텝(5b)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스텝(5c)에서 화상메모리(34)에 격납되어 있는 모든 화상데이터의 복호화부(35)로의 출력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CPU(32a)처리를 스텝(5c)으로 부터 스텝(5d)으로 이행한다. CPU(32a)는 이 스텝(5d)에서 통지장치(24)의 구동정지, 즉 LED의 소 등을 행한다음 제3도에 나타낸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에서는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34)에 격납하여 둔다. 그리고 기록지공급구(12)로부터 기록지가 공급된 상태에서 기록지시가 이루어졌을 때에 기록부(36a)에 의해, 화상메모리(34)에 격납한 화상데이터를 복호화부(35)에서 복호화하여 얻은 화상신호에 따라 화상을 기록지공급구 (12)로부터 공급된 기록지에 기록한다. 이때문에 본체(1)에 기록지를 내장해 둘 필요가 없으며, 기록지를 격납하는 격납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록지의 격납부에 필요한 공간(예컨대 제1도에서 점선(A)로 나타낸 부분)만큼 본체(1)를 소형화할 수 있다. 즉, 롤형의 기록지를 격납하는 공간(예컨대 제1도에서 점선(A)로 나타낸 부분)을 확보하고 있는 종래의 팩시밀리장치에 비교하여 본체(1)가 대폭 소형화된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에서는,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 (34)에 격납하고 나서 이 화상 메모리(34)에 격납된 화상데이터에 따라 화상을 기록할 때 까지의 사시에는 LED로 구성된 통지장치(24)를 점등시키므로, 본 팩시밀리장치의 조작자는 이 LED를 보는 것 만으로 화상메모리(34)에 화상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메모리(34)에 화상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지시를 조작자가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지장치(24)로서 LED를 예시하고 있지만, 통지장치(24)로서 LED이외의 램프, 부저, 음성합성 등의 발음장치 및 LCD등의 표시기(表示器)등이라도 좋으며, 혹은 포시장치(38)를 유용 (流用)하여도 좋다. 게다가 기록부(36a)를 유용 (流用)하여 기록지공급구(12)로부터 공급된 기록지에 화상메모리(34)에 화상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기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지장치(24)가 화상메모리(34)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인지 아닌지 만을 통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수신매수와 수신시간 등의 화상메모리(34)에 격납된 화상데이터에 관한 다른 정보를 부가하여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통지장치(24) 및 종이센서(25)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므로 제거하여도 무방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스위치(37)로부터의 기록지시에 응답하여 화상메모리(34)에 격납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기록지공급부(12)로 부터의 기록지공급동작을 기록지시로 하여 기록을 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3도에 나타낸 CPU(32a)의 제어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즉 스텝(3c)의 처리를 소거하여 스텝(3a),스텝(3b) 및 스텝(3g)의 처리를 대기상태에서 행한다. 이에 따라 대기상태에서, 조작자가 기록지공급구(12)로부터 기록지의 공급을 행하면 스텝(3h)의 기록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작자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계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의 기계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부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제1도에 나타낸 팩시밀리장치에서의 기록지통로와 원고통로를 공통으로 한 것이다. 이때문에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에 나타낸 팩시밀리장치에서의 원고입구(3)를 기록지출구로서도 사용한다.또 기록지공급구(12)를 원고출구로서도 사용한다. 그리고 본체(1)의 내부에서는 원고입구(3)로부터 기록지공급부(12)까지 자급롤러(5), 구동롤러(6a) 및 핀치롤러(7a)와 이미지센서(8) 및 배면롤러(16)가 순서대로 배열하여 설치되어져 있으며, 원고 및 기록지의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전기적구성 및 제어수순은 제1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팩시밀리장치에서, 자급롤러(5), 구동롤러(6a),(6b), 핀치롤러(7a),(7b) 및 플라텐롤러(16)는 원고의 판독시에는 제6도의 실선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또 기록시에는 제6도의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이에 따라 판독시에 있어서, 원고입구(3)로부터 공급된 원고는 자급롤러(5)에 의해 본체(1)의 내부로 도입된다. 그리고 구동롤러(6a) 및 핀치롤러(7a), 배면롤러 (9), 구동롤러(6b), 핀치롤러(7b), 플라텐롤러(16)에 의해 반송되어 기록지공급구 (12)로부터 본체(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이미지센서(8)에 의해, 원고에 형성된 화상의 판독이 행하여 진다. 한편 기록헤드(15)의 구동은 행하지 않는다.
또 기록시에 있어서, 기록지공급구(12)로부터 공급된 기록지는 플라텐롤러 (16)에 의해 본체(1)의 내부로 도입된다. 그리고 구동롤러(6b),및 핀치롤러(7b), 배면롤러(9), 구동롤러(6a), 핀치롤러(7a)에 의해 반송되어 원고입구(3)로부터 본체 (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기록헤드(15)에 의해 기록지에 대한 화상의 기록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미지센서(8)의 구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라면,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록지의 격납부에 필요한 공간(예컨대, 제1도에서의 점선(A)로 나타낸 부분)만큼 본체(1)를 소형화할 수 있다. 즉, 롤형의 기록지를 격납하는 공간(예컨대 제6도에 있어서 점선(A)로 나타낸 부분)을 확보하고 있는 종래의 팩시밀리장치와 비교하여 본체(1)가 대폭 소형화된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에서는, 원고통로와 기록지통로가 동일하기 때문에 원고통로와 기록지통로를 별도로 구성한 제1실시예의 팩시밀리장치와 비교하여 가이드 등을 삭감할 수 있어, 보다 더 소형화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의 기계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부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1)의 상면부의 한 쪽 측부에는 종이입구(70)가 형성되고 다른쪽 측부에는 종이출구(7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의 내부에는 종이입구(70)로부터 종이출구(71)에 까지 자급롤러(5), 구동롤러(6a), 핀치롤러(7a), 이미지센서 (8),배면롤러(9), 구동롤러(6b), 핀치롤러(7b), 기록헤드(15) 및 플라텐롤러(16)가 순서대로 배열하여 설치되어져 있으며, 원고 및 기록지의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즉, 본 팩시밀리장치에서는 상기한 제2실시예의 팩시밀리장치와 거의 동일한 모양이지만, 원고와 기록지를 같은 종이입구(70)로부터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1)내부의 종이입구 (70)근방에는, 종이의 통로에 면하여 종이센서(72)가 설치되어져 있다.
한편, 전기적구성은 제2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팩시밀리장치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팩시밀리장치의 동작을 CPU(32a)의 처리수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CPU(32a)는 대기상태에서,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8a)의 착호발생감지를 행하고 있다. 또 스텝(8b)에서 종이센서(25)의 출력정보를 입력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종이입구(70)에 종이가 공급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하고 있다.
이 대기상태에서, 전화회선을 통해 착호가 있으면 CPU(32a)는 스텝(8a)에서 착호의 발생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CPU(32a)는 처리를 스텝(8a)으로부터 스텝(8d)으로 이행 한다. CPU(32a)는 스텝(8d)에서 착호시의 처리를 행하다. 이 착호시처리는 제4도에 나타낸 처리이다.
한편 대기상태에서, 종이입구(70)로부터 기록지 또는 원고의 공급이 이루어지면 CPU(32a)는 스텝(8c)에서 종이가 삽입되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CPU(32a)는 처리를 스텝(8c)으로부터 스텝(8e)으로 이행한다. CPU(32a)는 스텝(8e) 및 다음의 스텝(8f)에서, 기록지시의 입력 및 발호지시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의 판단을 반복하여 행하고 있다. 즉 CPU(32a)는 이 스텝(8e)및 스텝(8f)에서 기록지시 또는 발호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기다리고 있다.
여기에서 조작스위치(37)로부터 기록지시가 입력되면, CPU(32a)는 스텝(8e)에서 이 기록지시의 입력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CPU(32a)는 스텝(8e)으로부터 스텝(8g)으로 이행한다. CPU(32a)는 스텝(8g)에서 기록처리를 행한다.이 기록처리는 제5도에 나타낸 처리이다.
또 스탭(8e) 및 스텝(8f)에서 기록지시 또는 발호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기다리고 있을 때에 조작스위치(37)로부터 발호지시가 입력되면, CPU(32a)는 스텝(8f)에서 이 발호지시의 입력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CPU(32a)는 처리를 스텝(8f)으로부터 스텝(8h)으로 이행한다. CPU(32a)는 스텝(8h)에서, 주지의 일반적인 송신처리를 행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에서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고통로와 기록지통로가 동일하므로, 원고통로와 기록지통로를 별도로 구성한 제1실시예의 팩시밀리장치와 비교하여 가이드 등을 삭감할 수 있어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에서는 원고와 기록지를 동일한 종이입구 (70)로부터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어, 원고와 기록지를 별도의 입구로부터 공급하는 제2실시예의 팩시밀리장치에 비해 조작성이 좋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데 따른 팩시밀리장치의 전기적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여기서 제2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가 특징으로 하는 것은, 상기한 제1실시예의 팩시밀리장치의 기록주사부(36)를 배제하고 대신에 복호화부(35)에 프린터인터페이스(90)를 접속하여 이루어진 점이다. 이 프린터인터페이스(90)는, 퍼스널 컴퓨터용 등의 통상의 프린터 또는 탈착가능하게 구성된 전용의 프린터 등 외부의 프린처(91)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팩시밀리장치의 동작을 CPU(32a)의 처리수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CPU(32a)는 대기상태에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10a) 및 스텝(10b)에서 발호 및 착호의 발생감시를, 또 스텝 (10c)에서 기록지시의 입력유무의 감시를 각각 행하고 있다.
이 대기상태에서는 조작스위치(37)로부터 발호지시가 이루어지면, CPU(32a)는 스텝(10a)에서 발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CPU(32a)는 처리를 스텝(10a)으로부터 스텝(10d)으로 이행하여, 이 스텝(10d)에서 주지의 일반적인 송신처리를 행한다.
또 대기상태에서 전화회선을 통해 착호가 있으면, CPU(32a)는 스텝(10b)에서 착호의 발생을 검출한다. 이에따라 CPU(32a)는 처리를 스텝(10b)으로부터 스텝 (10e)으로 이행한다. CPU(32a)는 스텝(10e)에서 착호시처리를 행한다. 이 착호시처리는 제4도에 나타낸 처리이다. 그리고 CPU(32a)는 스텝(10e)에서 착호시처리를 행한 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대기상태에서 조작스위치(37)로부터 기록지시가 입력되면, CPU(32a)는 스텝(10c)에서 이 기록지시의 입력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CPU(32a)는 처리를 스텝 (10c)으로 부터 스텝(10f)으로 이행한다. CPU(32a)는 스텝(10f)에서 프린터인터페이스(90)에 프린터(91)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CPU(32a)는 대기상태에서 조작스위치(37)로부터 기록지시가 입력된 경우, 프린터인터페이스(90)에 프린터(91)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CPU(32a)는 프린터인터페이스(90)에 프린터(9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처리를 스텝(10f)으로부터 스텝(10a)으로 이행하여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 한편 이때 CPU(32a)는 필요에 따라 프린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표시장치(38)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CPU(32a)는 프린터인터페이스(90)에 프린터(91)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처리를 스텝(10f)으로부터 스텝(10g)으로 이행한다. CPU(32a)는 스텝(10g)에서 기록처리를 행한다. 이 기록처리는 제5도에 나타낸 처리이다. 그리고 CPU(32a)는 이 스텝(10g)에서의 기록처리르 ㄹ행한 후, 처리를 종료한다.
그러므로 본 팩시밀리장치에서, CPU(32a)는 프린터(91)가 프린터인터페이스 (90)에 접속된 상태에서 조작스위치(37)로 부터 기록지시가 이루어지면, 화상메모리 (34)에 격납된 화상데이터를 독출하고 이 독출된 화상데이터를 복호화부(35)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복호화부(35)로 출력된 화상데이터는 복호화부(35)에서 복호되어 화상신호로 재생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재생된 화상신호는 프린터인터페이스(90)를 통해 프린터(91)에 입력된다. 프린터(91)에서는 입력된 화상신호에 따라 화상을 세트된 기록지에 기록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팩시밀리장치에 의하면, 외부의 프린터(91)를 이용하여 화상의 기록을 행할 수가 있다. 이때문에, 상기한 제1실시예의 팩시밀리장치와 마찬가지로 기록지를 격납하기 위한 공간을 소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더우기 제1실시예의 팩시밀리장치에서의 가이드(14), 기록헤드(15), 플라텐롤러(16) 및 가이드(17)등을 포함하는 기록주사부(36)까지 소거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대폭적인 소형화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예컨대「들고다니면서 출장지 등에서 사용한다」,「이동톤신기술과 조합하여, 이동중 등에 임의의 장소로 부터의 통신을 행한다」라는 등의 사용형태를 취할 수가 있으므로, 그 사용범위가 넓어진다.
또 기록주사부를 내장하지 않음으로써 장치코스트를 감소시킬 수 있어, 퍼스널컴퓨터용 등의 프린터를 이미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유용(流用)할 수 있으므로 기기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한 화상데이터는 화상메모리(34)에 격납하여 두고 기록지시가 이루어졌을 때에 이 화상메모리에 격납한 화상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을 프린터(91)에 기록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외부 프린터(91)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팩시밀리수신의 경우에는 리얼타임(real time)에 화상의 기록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지시가 이루어졌을 때에 화상메모리(34)에 격납된 모든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하고 있지만, 문서단위(1통신분)로 행하여도 좋다. 이외,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종류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 판독주사부(30)를 소거한 수신전용으로 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외,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종류의 변형실시가 가능하하다.

Claims (9)

  1. 통신회선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된 화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화상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 상기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지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 상기 기록수단에 상기 기록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 ; 상기 기록수단에 상기 기록지를 수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록지수동공급수단; 기록의 개시를 수동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기록개시지시수단; 상기 기록수단 및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에 의한 기록개시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기록지수동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기 기록지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기록개시지시수단이 상기 기록지수동공급수단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기록지수동공급수단으로부터의 기록지공급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팩시밀리장치.
  3. 통신회선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된 화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화상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 상기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지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 상기 기억수단에 화상신호가 기억되어 있을때,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신호에 관한 소정의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수단; 상기 기록수단에 상기 기록지를 수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록지수동공급수단; 기록의 개시를 수동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기록개시지시수단; 상기 기록수단 및 상기기록개시지시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에 의한 기록개시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기록지수동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기 기록지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가시표시(可視表示)를 행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음을 발생하는 발음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기록지수동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기록지에 통지에 관한 소정의 화상을 상기 기록수단에 의해 기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은 상기 기록지시수동공급수단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기록지수동공급수단으로부터의 기록지공급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
  8. 통신회선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된 화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수신된 화상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 상기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을 종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 종이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수단; 상기 기록수단 및 상기 판독수단에 상기 종이를 수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종이공급수단; 이 종이수동공급수단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종이 수동공급수단으로부터의 종이공급을 검출하기 위한 종이검출수단; 기록의 개시를 수동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기록개시지시수단; 판독의 개시를 수동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판독개시지시수단; 상기 기억수단, 상기 종이검출수단 및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종이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종이가 검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록개시지수단에 의해 행해진 기록개시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기록지수동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종이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수단을 제어하는 기록제어수단; 상기 종이검출수단 및 상기 판독개시지시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종이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종이가 검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판독개시지시수단에 의해 공급된 상기 종이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도록 상기 판독수단을 제어하는 판독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
  9. 통신회선 및 외부기록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된 화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이 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수신된 화상신호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 상기 외부기록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수단; 기록의 개시를 수동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기록개시지시수단; 상기 기억수단,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 및 외부기록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개시지시수단에 의한 기록개시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외부기록장치에 기록시키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
KR1019900003684A 1989-03-17 1990-03-17 팩시밀리 장치 KR930000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0493 1989-03-17
JP1989030493U JPH02123164U (ko) 1989-03-17 1989-03-17
JP01-030493 1989-03-17
JP01-087338 1989-04-06
JP1-087338 1989-04-06
JP1087338A JPH02266649A (ja) 1989-04-06 1989-04-06 ファクシミリ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515A KR900015515A (ko) 1990-10-27
KR930000696B1 true KR930000696B1 (ko) 1993-01-29

Family

ID=2636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684A KR930000696B1 (ko) 1989-03-17 1990-03-17 팩시밀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124813A (ko)
KR (1) KR930000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357B1 (ko) * 1990-10-08 1994-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레임 대응 라인 메모리 제어장치 및 방법
JP3454855B2 (ja) * 1993-02-01 2003-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ァクシミリサーバシステム
JPH05316351A (ja) * 1992-05-10 1993-11-26 Minolta Camera Co Ltd 画像読取装置の較正処理用パラメ−タの調整方式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282A (en) * 1980-02-11 1982-03-09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Facsimile method and apparatus with sheet feeding
US4587633A (en) * 1982-11-10 1986-05-06 Wang Laboratories, Inc. Management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515A (ko) 1990-10-27
US5124813A (en) 199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0004299A1 (en) A multi-purpose communications device
KR930000696B1 (ko) 팩시밀리 장치
KR910010224B1 (ko) 정보통신기기
JP2004304299A (ja) 通信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JP339192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US6427004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3890580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2764720B2 (ja) 情報処理装置
JPS60163174A (ja) 電話番号用バ−コ−ド記録装置
US6535300B2 (en) Pictur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68837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AU643668B2 (en) A multi-purpose communications device
JPH07112225B2 (ja) 画像処理装置
JPH067008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117829A (ja) モデム及びこのモデムを内蔵した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68335B1 (ko) 팩시밀리의 상태 표시 장치
JPH0417275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1187192A (ja) 画像処理装置
JPH0846715A (ja) 通信端末装置
JPH0623302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90032253A (ko) 전화단말장치에서 단축다이얼 외부 표시장치 및방법
JPH06164807A (ja) ポータブルファクシミリ装置
JPH1155398A (ja) ページング機能を有する通信装置
JP2000059548A (ja) 画像形成装置
JPH0983719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