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700887A - 시트의 폭확장 및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의 폭확장 및 고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700887A
KR920700887A KR1019910701488A KR910701488A KR920700887A KR 920700887 A KR920700887 A KR 920700887A KR 1019910701488 A KR1019910701488 A KR 1019910701488A KR 910701488 A KR910701488 A KR 910701488A KR 920700887 A KR920700887 A KR 920700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lever
adjustable
guide rai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87807B1 (ko
Inventor
만프레트 스테프
Original Assignee
베렌호퍼
브뤽크너 마쉬넨바우 게르노트 브뤼크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렌호퍼, 브뤽크너 마쉬넨바우 게르노트 브뤼크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베렌호퍼
Publication of KR92070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 B65H23/02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 B65H23/02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by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29C55/165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트의 폭확장 및 고정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하 체인차의 제1실시예로서의 대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변화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체인차의 대략적인 종 단면도.

Claims (26)

  1. 링크로 서로 열결되고, 롤주행장치를 통해 최소한도 1개의 가이드레일(1)을 둘러싸는 안내장치를 마주보고서 지지되며, 또 이것을 따라 운반가능한 체인차(5)로 이루어지고, 이때 최소한도 각각 1개의 굴림롤러(7)는 대치되어 정렬된 가이드레일 장치(1)의 주행면(1´,1˝)상으로 굴러가는 순환하는 운반체인(3)을 구비하는 시트의 폭확장 및 고정장치에 있어서, 최소한도 1개의 이러한 굴림롤러 (7´)는 연속적인 죔쇠조임하에서 체인차(5)와 마주보고서 가이드레일(1)의 횡축방향으로 위치변화 가능하도록, 또 이와 동시에 떠다니는 체인차의 배치에 의해 대치되면서 정렬된 주행면(1´)상에 굴러가는 굴림롤러(7)는 각기 자기소유의 주행면(1´,1˝)상의 고정된 장치에서 지지되고, 이로써 체인차(5)상에 본래 자기소유의 주행면(1´,1˝)상으로 최소한도 1개의 조절가능한 굴림롤러 (7´)및 동력회전 운전장치가 구비되어, 이들에 의해 본래 주행방향으로 효과적이고, 다음의 체인차(5)상으로 전달하는 견인력으로 부터 영향을 받은 체인인장에 의해 게다가 본래 자기소유의 주행면(1´,1˝)상으로 가로지르도록 조절할수 있으며, 또 최소한도 1개의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폭확장 및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동력회전 운전장치는 링크로 체인차(5)상에 놓여지고 또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를 적어도 간접적으로 수평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안내된 최소한도 1개의 체인레버(13)에 둘러싸여, 이 체인레버(13)상에 견인력이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최소한도 1개의 체인레버(13)는 체인차(5)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회전축을 형성한 자신의 지지축(19)의 첨단각도(β)에서 주행면(1´,1˝)으로 달려가면서 정렬되고, 이때 체인레버(13)상에서 본래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방향으로 유효한 견인력은 이동되면서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의 측면상에 있는 체인레버(13)의 링크형상의 지지부(19) 위쪽으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최소한도 1개의 체인레버(13)는 체인차(5)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회전축을 형성하는 자신의 지지축(19)의 첨단각도(β)에서 주행면(1´1˝)으로 달려가면서 정렬되며, 이때 체인레버(13)상에서 유효하고 또 본래 대치되면서 굴림롤러(7´)쪽으로 유효한 견인력은 이동되면서 체인레버(13)의 링크형상의 지지부(19)상으로 마주보고 위치하면서 체인레버(13)상의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최소한도 1개의 체인레버(13)는 자기소유의 주행면(1´1˝)으로 0.1˚내지 10˚사이의 첨단각도를 형성하고, 그중에서도 최소한도 0,2˚,0.3˚,0.4˚로, 그 중에서도 특히 0.5˚로, 또한 그중에서도 7.5˚,5˚,4˚,3˚,2˚,1.5˚ 이하 또는 그중에서도 특히 1˚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체인레버(13)는 자기소유의 체인차(5)상에서 이동 불가능한 회전-및 지지축(19)을 통해서만 지지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체인레버(13)는 자기소유의 체인차(5)상에서 전치되어 마주보고 위치한 2개의 지지축 (19,15)상에 각기 자유도로, 한번은 본래 종축성분으로써 가이드레일(1)의 방향으로, 다른 한번은 일성분으로써 본래 가이드레인(1)의 자기소유의 주행면(1˝)으로 가로질러 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동력회전 운전장치는 최소한도 각각 2개가 링크로 서로 연결되어 토글레버를 이루는 체인레버(13´,13˝)를 둘러싸고, 이 체인레버를 통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자기소유의 주행면의 토글레버(13´,13˝)는 위치하여 170˚ 이상의 무딘 개방각(α)을 형성하고, 이때 토글레버는 도입된 결인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견인부하가 걸려서,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는 가이드레일(1)상으로의 죔쇠조임 방향으로 조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자기소유의 주행면의 토글레버(13´,13˝)는 위치하여 190˚이하의 무딘 개방각을 형성하고, 이때 토글레버는 도입된 결인력에 자신의 180˚-종축 연장방향으로 견인부하가 걸려서,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는 가이드레일(1)상으로의 죔쇠조임 방향으로 조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8항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토글레버(13´,13˝)는 자기소유의 체인차(5)상의 양쪽의 체인레버(13′)(13″)중 한군데상에 다지 선회운동 가능하도록만, 또 자신의 각기 또다른 체인레버(13′)(13″)상에서 본래 종축성분을 갖는 자유도로써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이때 링크측과 함께 조절가능한 굴림바퀴(7′)의 축은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8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토글레버(13´,13˝)는 자신의 양쪽의 체인레버(13´,13˝)상에서 각각 본래 종축성분을 갖는 자유도로써 자기소유의 체인차(5)상의 가이드레일(1)의 방향으로 종축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또 3번째의 지지점(15,15´) 그중에서도 링크축(15)으로써 본래 자기소유의 가이드레일(1)의 주행면(1˝)으로 가로지르는 1성분에서만 자유도로로써 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2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토글레버(13´,13˝)의 지지축(19,21)은 경첩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2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된 체인레버(13´,13˝)는 활판 (23˝)내지 특히 핀에 의해 선회운동 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이때 활판(23˝)은 자기소유의 체인차(5)의 종축 오목부(23´)안에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활판(23˝)는 활석(滑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8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의 회전축은 토글레버 (13´,13˝)의 링크축(15)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2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의 회전축(15´)은 전치되어 토글레버(13,13˝)의 링크축(15)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체인레버(13´,13˝)상에서 각이진 부착물 (31)은 형성되고, 이부착물상에서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는 지지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각이진 부착물(31)과 함께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의 회전축은 토굴레버(13´,13˝)의 링크축(15)보다도 가이드레일(1)의 자기소유의 주행면(1˝)상으로 더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8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180˚-확장과의 각도(α)의 차이는 그중에서도 0.2˚내지 5˚이고 그중에서도 특히0.3˚, 0.4˚ 및 특히 0.5˚ 내지 4˚,3˚,2˚및 특히 1.5˚또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항내지 제2항중 어느 한항에있어서, 최소한도 1개의 체인레버(13,13′
    ,13˝)의 수평선회영역은 죔쇠조임 방향과 대치되면서 정지장치(43) 특히, 제동요소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항 내지 제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최소한도 1개의 체인레버(13,13´,13˝)는 부가적으로 체인차(5)상에 구비된 스프링장치(47)위쪽으로의 죔쇠조임 방향으로, 또다시 주행면(1˝)상으로의 죔쇠조임 방향으로 부가적으로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항 내지 제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죔쇠조임력에 영향을 주는 최소한도 1개의 체인레버(13)의 주행면 (1´,1˝)또는 토굴레버(13´,13˝)의 방향과의 첨단각도(β)는 지지축,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의 회전축및 이 굴림롤러의 직경의 상응하는 배치에 의해,또 최소한도 1개의 체인레버(13,13´,13˝)의 형태 및 크기와 가이드레일(1)의 두께에 의해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항 내지 제2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주행면(1´,1˝)의 간격과 함께 특히, 가이드레일(1)의 두께및/ 또는 체인의 체인죔쇠조임력 및/또는 구동력은 상이한 굴림롤러의 죔쇠조임력을 얻기 위해 변화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1항내지 제2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각각의 체인차(5) 내에서 주행방향으로 전치되어 마주보고 위치하는 최소한도 2개의 굴림롤러(7´)는 조절가능하고, 이때 각각의 또다른 조절가능한 굴림롤러(7´)는 주행방향으로 분리되고 전치되어 체인차(5)상에서 상응하거나, 또는 체인으로 연결된 직렬배치상태에서의 직렬식배치법으로, 또는 거의 대칭적으로 체인으로 연결된 직렬 배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항 내지 제2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고서 협동하는 굴림롤러(7,7´)사이에서의 체인기어(35)의 영역에서 곧은 가이드레일(1)의 통로상에 떠다니는 이동가능한 형판(41)은 체인기어(35)상에서의 저지력을 흡수 및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701488A 1990-03-01 1991-02-25 시트를 신장 및 고착하기 위한 장치 KR100187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006440.9 1990-03-01
DEP40064409 1990-03-01
DE4006440A DE4006440A1 (de) 1990-03-01 1990-03-01 Vorrichtung zum breitstrecken sowie fixieren von folienbah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887A true KR920700887A (ko) 1992-08-10
KR100187807B1 KR100187807B1 (ko) 1999-06-01

Family

ID=640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488A KR100187807B1 (ko) 1990-03-01 1991-02-25 시트를 신장 및 고착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71052B1 (ko)
JP (1) JP2583167B2 (ko)
KR (1) KR100187807B1 (ko)
DE (2) DE4006440A1 (ko)
WO (1) WO1991012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6041B1 (fr) * 1992-01-13 1996-07-19 Darlet Marchante Tech Sa Dispositif d'etirage transversal pour la fabrication de films biorientes.
DE4241213C2 (de) * 1992-12-08 1999-04-08 Dornier Gmbh Lindauer Vorrichtung zur simultanen, biaxialen Behandlung von Folienbahnen
DE19510141C1 (de) * 1995-03-21 1996-08-14 Brueckner Maschbau Transportvorrichtung für eine bewegte Materialbahn, insbesondere eine Reckanlage für Kunststoffolien-Bahnen
DE19510281C1 (de) * 1995-03-21 1995-12-07 Brueckner Maschbau Transportvorrichtung für eine bewegte Materialbahn, insbesondere eine Reckanlage für Kunststoff-Folienbahnen
DE19515036A1 (de) * 1995-04-24 1996-10-31 Brueckner Maschbau Transportvorrichtung sowie zugehörige Führungsschiene
DE19613562A1 (de) * 1996-04-04 1997-10-09 Hoechst Trespaphan Gmbh Spannkluppe mit Rollenlagerung
DE102008021506A1 (de) 2008-04-30 2009-11-05 Lindauer Dornier Gmbh Vorrichtung zum Querrecken von Folienbahnen
DE102010023347A1 (de) 2010-06-10 2011-12-15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Vorrichtung zum Recken einer bewegten Materialbahn, insbesondere Folienreckanlage
DE202010016962U1 (de) 2010-12-23 2012-04-02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Vorrichtung zum Recken einer bewegten Materialbahn, insbesondere Folienreckanlage
JP5507603B2 (ja) * 2012-03-27 2014-05-28 株式会社テクノスマート シート用同時二軸延伸装置
JP6086995B2 (ja) 2012-12-20 2017-03-01 ブリュックナー・マシーネンバウ・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ー・カーゲー 延伸装置
DE102012025487A1 (de) 2012-12-20 2014-06-26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Transportsystem, insbesondere Querreckanlage
DE102013011965A1 (de) 2013-07-18 2015-01-22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Linearmotorgetriebene Transportanlage, insbesondere Reckanlage
DE102013011953A1 (de) 2013-07-18 2015-01-22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Seitenführungsschiene für ein Transportsystem, insbesondere eine Reckanlage
DE102013017011A1 (de) 2013-10-14 2015-04-30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Kluppen-Transporteinheit
DE102014011513A1 (de) 2014-07-31 2016-02-04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Kluppe mit Kniehebel-Anordnung
DE102019127701A1 (de) 2019-10-15 2021-04-15 Brückner Maschinenbau GmbH & Co. KG Kluppenwagen für eine Transportkettenanordnung einer Reckanlage sowie eine zugehörige Reckanlag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3693A (en) * 1937-05-20 1939-06-27 Otis Elevator Co Moving stairway
GB1080915A (en) * 1964-11-28 1967-08-31 Dornier Gmbh Lindau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nter frames
DE6603964U (de) * 1966-11-11 1969-11-13 Tafelglas Ag Detag Fa Deutsche Kluppenkette zum spannen von bewegten bahnen
US4103403A (en) * 1974-11-18 1978-08-01 Marshall And Williams Company Tenter guide rail gap crossing mechanism
EP0410494B1 (en) * 1985-06-25 1993-12-29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Horizontal drawing machine
DE3716603C1 (de) * 1987-05-18 1989-03-09 Dornier Gmbh Lindauer Vorrichtung zur simultanen biaxialen Behandlung von Folienbah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83167B2 (ja) 1997-02-19
EP0471052A1 (de) 1992-02-19
DE4006440C2 (ko) 1992-10-22
DE59103329D1 (de) 1994-12-01
KR100187807B1 (ko) 1999-06-01
EP0471052B1 (de) 1994-10-26
DE4006440A1 (de) 1991-09-05
WO1991012952A1 (de) 1991-09-05
JPH04505432A (ja) 199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700887A (ko) 시트의 폭확장 및 고정장치
US6776280B2 (en) Guidance unit for conveyor belt
JPH06211397A (ja) 帯状フィルムの二軸同時処理装置
CA2198138A1 (en) Device for the rotation of sheets on a roller conveyor
DE4123575A1 (de) Antrieb fuer sektionaltore
US5390398A (en) Foil stretching machine for shrinking foils
JP5048893B2 (ja) ブックブロック綴じ込み装置内で表紙に綴じ込むブックブロックの糊付けされた外面に表紙を擦り付けるための装置
US2787366A (en) Endless chain conveyor
JPS62121165A (ja) 関連ガイドまたは偏向用ロ−ラに対するウエツブまたはコンベヤベルトの位置を制御する装置
DE59403645D1 (de) Diagonal bewegliche Gliederbrücke als Teil eines Übergangs zwischen zwei Fahrzeugen
KR20050061331A (ko) 시트형상물의 연신기
US5265313A (en) Apparatus for a tentering chain having tentering clamps with a continuously variable pitch between two neighboring clamping bodies
US4674159A (en) Stenter frame clip chain assembly
KR930701696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US3750924A (en) Web tensioner and guide system
US5327836A (en) Returning system for rail-borne transporting carts without self-driving means
US3972099A (en) Centering device for bodi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JPH04189378A (ja) ボーリングレーンメンテナンスマシンの操作方法及び操作装置
JPH08232119A (ja) 少なくとも一つの接線ベルトで駆動されるスピンドルを備えたリング精紡機
JP2721736B2 (ja) テンタクリップ用張力付与装置
JP3016062B2 (ja) 平行定規における水平スケール支持装置
JPH0371655B2 (ko)
DE3016203C2 (de) Einrichtung zur Aufrechterhaltung des Geradlaufes von Förderbändern, insbes. bei Förderanlagen für die Herstellung von Spanplatten, Faserplatten u.d.gl.
JPS6023885B2 (ja) 傾斜ロ−ラ型圧延機の円すいロ−ラを交換する装置
JP2691067B2 (ja) テンタ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