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701B1 - 자외선 억제 발광원, 자외선 억제 발광원용 도포제 및 자외선 억제 발광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억제 발광원, 자외선 억제 발광원용 도포제 및 자외선 억제 발광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701B1
KR920010701B1 KR1019900001865A KR900001865A KR920010701B1 KR 920010701 B1 KR920010701 B1 KR 920010701B1 KR 1019900001865 A KR1019900001865 A KR 1019900001865A KR 900001865 A KR900001865 A KR 900001865A KR 920010701 B1 KR920010701 B1 KR 920010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inder
parts
ultraviolet
emitting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570A (ko
Inventor
아기라 다야
게이지 하다야마
가네히로 사이도오
미쯔마사 사이도오
가즈히고 오사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시바
아오이 죠이찌
스미모도 시멘트 가부시기가이샤
아마가와 히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시바, 아오이 죠이찌, 스미모도 시멘트 가부시기가이샤, 아마가와 히고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900013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5Vessels; Container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8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 H01J61/40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by light filters; by coloured coatings in or on the envelop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ther inorganic material
    • C03C17/23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28Envelopes; Vessels
    • H01K1/32Envelopes; Vessel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Vessels or coating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20Materials for coating a single layer on glass
    • C03C2217/21Oxides
    • C03C2217/23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10Deposition methods
    • C03C2218/11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 C03C2218/112Deposition methods from solutions or suspensions by spra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외선 억제 발광원, 자외선 억제 발광원용 도포제 및 자외선 억제 발광원의 제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의 형광램프의 분광에너지 분포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3의 형광램프의 분광에너지 분포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5의 형광램프의 분광에너지 분포도.
제4도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피막을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형광램프의 분광에너지 분포도.
제5도는 유리관의 내표면에 TiO2를 함유하는 피막을 형성한 비교예 2의 형광램프의 분광에너지 분포도.
제6도는 유리판상에 산화아연과 산화티탄의 배합비율이 다른 피막을 형성한 4종의 시험편의 파장 40nm 부근의 자외선·가시광선의 투과율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자외선의 방사를 근소하게 억제할 수 있는 형광램프, 할로겐램프등의 발광원, 이들 발광원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도포체 및 이들 발광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백화점, 미술관, 박물관등과 같은 상품이나 전시물의 퇴색에 주의를 요하는 장소의 조명광원으로서는 종래부터 퇴색억제형의 형광램프(NU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 NU램프는 유리관의 내표면에 입경(粒徑)이 0.2 ~ 0.3㎛인 산화티탄(TiO2)을 함유하는 두께 5 ~ 10㎛의 피복과 두께 30 ~ 50㎛의 형광체 피막을 2층으로 순차적으로 형성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산화티탄의 피막은 퇴색원인인 400nm이하의 자외선을 흡수하는 작용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NU램프는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피막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같은 종류의 램프와 비교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1) 충분한 자외선 흡수기능을 갖게하기 위해서는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피막의 막두께를 두껍게 하여 산화티탄의 함유량을 많게 하여야 한다. 이 결과, NU램프의 광속(光束)은 통상의 램프의 광속보다 5 ~ 10% 저하된다.
(2) 산화티탄은 자외선 및 가시광(특히 청색광)을 흡수하기 때문에 NU램프의 광색은 통상의 램프의 광색과는 다르다.
(3) (2)와의 관련에서, NU램프는 연색성(演色性)이 저하된다.
(4) NU램프에서는 상술한 2층구조의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600℃정도의 고온프로세스를 2회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제조공정이 번잡해 진다. 또 2회의 고온프로세스를 거치면 유리관의 강도가 저하된다.
또,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1-110959호 공보에는 유리관의 외표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용제가 용성의 함불소중합체의 피복층을 형성한 NU형광램프가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등의 유기화합물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NU형광램프에서는 유리관의 외표면에 함불소중합체를 구워 붙일때의 온도가 높고 또 충분한 자외선 흡수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피복층의 막두께를 10 ~ 30μ정도로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형광램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예를들면 할로겐램프나 HID(hig-intensity discharge)램프에서도 자외선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들 램프에 관해서는 자외선을 유효하게 억재할 수 있고 또 이들 램프를 사용할때 장기간에 걸쳐서 고온에서 견딜수 있는 적당한 수단이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의 억제효과가 높고 또 높은 광속을 가지며, 광색이 변하지 않고, 연색성이 양호하며, 제조가 용이한 자외선 억제 발광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광원용의 도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광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억제 발광원은, 발광원을 구성하는 유리관의 외표면에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미분체와 바인더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피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억제 발광원용 도포제는,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미분체와 바인더를 용매로 분산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억제 발광원의 제조방법은, 발광원을 구성하는 유리관의 외표면에 상기 도포제를 도포한 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형광램프뿐만 아니라 할로겐램프나 HID램프등과 같이 사용할때에 고온으로 되는 램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피막은 상기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미분체와 바인더를 조합시키므로써 자외선 억제기능을 높힐 수 있으며, 박층(薄層)으로도 충분한 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광원에서는 높은 광속이 얻어지며 또 그 연색성이 충분히 유지된다.
또 본 발광원은 유리관의 외표면에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 진다. 따라서 본 발광원의 제조시에 있어서, 종래의 램프에서와 같은 2회의 고온프로세스를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시간의 단축, 유리관 강도의 저항방지등의 이점이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관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은,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미분체와 바인더를 구성성분으로 한다. 이 피막은 투명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막에 함유되는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미분체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작용한다. 이들 미분체의 입경은 0.1㎛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체의 입경이 0.1㎛를 초과하면 그 자외선 흡수기능 및 가시광 투과율이 저하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미분체 이외에 산화세륨이나 산화철등의 미분체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막을 구성하는 바인더에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요구된다. 즉, 자외선에 의해서 쉽게 열화되지 않고 가시광을 잘 투과할 것, 및 유리관에 대한 부착성, 막강도, 성막성(成膜性), 건조성이 양호할 것등이다.
이와같은 성질을 가지는 바인더로서 부티랄수지 ; 아크릴수지 ; 불소수지 ; 실리콘수지 ; 규산소다와 같은 알칼리실리케이트 ; 실리카졸, 알루미나졸과 같은 무기콜로이드 ; 테트라에톡시실란과 같은 알킬실리케이트 ; 인산알류미늄과 같은 인산염 ; 금속알콕시드, 알루미늄킬레이트, 초산주석과 같은 유기금속화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HID램프등과 같이 고온으로 되는 발광원의 경우에는, 내열성의 면에서 상술한 바인더중 부티랄수지, 아크릴수지, 불소수지를 제외한 그 외의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막을 구성하는 미분체(자외선흡수제)와 바인더의 배합비율은, 통상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분체 10 ~ 90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25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150중량부의 범위로 설정된다. 미분체의 양이 상기한 범위보다 작으면 충분한 자외선 흡수기능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피막의 막두께를 두껍게 해야 한다. 반대로 미분체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유리관에 대한 피막의 부착력이 약해짐과 동시에 피막의 강도가 저하되며 또 가시광의 투과율도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막은 통상 0.1 ~ 100㎛, 바람직하게는 0.5 ~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5㎛ 범위의 막두께로 형성된다. 피막의 막두께가 0.1㎛보다 얇으면 그 자외선 흡수기능이 저하되며, 피막에 핀홀(pin hple)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피막의 막두께가 100㎛보다 두꺼우면 그 가시광 투과율이 저하되며, 유리간에 대해 피막의 부착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제는 주성분으로서 상술한 미분체, 바인더 및 용매를 함유한 것이다. 도포제를 구성하는 용매는 바인더를 용해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단, 이 용매는 저온에서 건조가 가능하도록 그 비점이 60 ~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용매로서는 크실렌, 톨루엔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 이소프로필알코올 또는 n-부탄올과 같은 알코올 ; 초산부티과 같은 에스테르 ; 메틸이소부틸케톤과 같은 케톤 ; 에틸세로솔브와 같은 글리콜에테르 ; n-헥산, 리그로인, 미네달스피릿과 같은 포화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물론, 용매에 따라서는 실온에서 건조하며 피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HID램프에서는, 점등시험등을 할때에 300℃정도까지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이 열에 의해서 증발하는 용매를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제는 미분체, 바인더, 용매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미량의 표면처리제, 분산제, 윤활제, 건조제, 소포제, 경화제등을 함유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자외선 억제 발광원은,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유리관 내표면에 미리 형광체를 함유하는 피막을 형성하고, 전극을 부착하고, 유리를 봉입하는 등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형광램프등의 발광원을 제작하여 놓는다. 이어서 유리관의 외표면에 상기한 도포제를 도포한 후 가열하므로써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하고, 굽기등의 경하처리를 실시한다.
도포제의 도포방법에 대해서는, 도포제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다. 예를들면 붓칠법, 스프레이법, 팁핑법(tipping), 케텐도장법등을 들 수 있다. 또 도포제의 점성은 도포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적정량의 용매를 사용하여 도포제의 점성을 조정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유리관의 외표면에 막두께가 얇은 투명한 피막이 형성된다. 또한 피막이 광택, 강도, 표면 경도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피막위에 오버코트층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발광원에서는, 유리관 외표면의 피막중에 함유되는 자외선 흡수체, 즉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미분체의 입경이 0.1㎛이하로 대단히 작기 때문에 피막의 막두께를 대단히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피막은 막두께가 얇아도 충분한 자외선 흡수기능을 발휘한다. 예를들면 유리관의 외표면에 자외선 흡수체를 함유하는 함불소중합체의 피막을 형성한 램프와 비교하면, 본 발명에 관한 램프에서는 피막의 막두께가 1/10이라 하더라도 같은 자외선 흡수기능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피막의 막두께가 얇기 때문에 발광원의 광속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 이 피막을 형성하므로써 발광원의 광색, 연색성이 영향을 받는 정도도 적다. 또 피막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단가도 저렴하다.
본 발명의 발광원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피막을 형성하는 경우는, 유리관의 내표면에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피막을 형성하는 경우, 또 유리관의 외표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함불소중합체의 피막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 볼때, 굽는 온도가 낮고, 제조가 용이하다. 따라서 제조설비에서 필요로하는 단가도 저렴해진다. 또 굽는 온도가 낮아 유리관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피막이 유리관의 보호막으로서도 작용하기 때문에 유리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원으로 사용되는 피막중의 자외선 흡수제는 내열성이 양호한 무기재료이기 때문에, 형광램프 이외에도 사용할때에 고온으로 되는 할로겐램프나 HID램프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테트라에톡시실란 100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0중량부, 0.1N염산 35중량부를 혼합하고, 60℃에서 2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서 테트라에톡시실란을 가수분해시킨 후, 이소프로필알코올 245중량부를 첨가하여 테트라에톡시실란 가스분해액을 조제하였다. 이것을 바인더용액으로서 사용하였다. 이 바인더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경 0.03㎛의 초미립자 산화아연(스미도모시멘트(주)제품) 4.5중량부 및 입경 0.03㎛의 초미립자 산화티탄(루틸형, 스미도모시멘트(주)제품) 0.5중량부를 배합하고 볼밀(ball mill)중에서 100시간 분산시켜서 도포제를 조제하였다. 이때, 바인더와 미립자와의 배합비율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립자 80중량부, 이 도포제를 형광램프(FL20S·N-SDL,(주) 도오시바제품)의 유리관 외표면에 스프레이 도포하고 10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두께 2㎛의 투명피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초미립자 산화아연 3중량부 및 초미립자 산화티탄 3중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게하여 형광램프의 유리관 외표면에 두께 2㎛의 투명피막을 형성하였다. 이때, 바인더와 미립자와의 배합비율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립자 95중량부.
[실시예 3]
초미립자 산화아연 2중량부 및 초미립자 산화티탄 4중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게하여 형광램프의 유리관 외표면에 두께 2㎛의 투명피막을 형성하였다. 이때, 바인더와 미립자와의 배합비율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립자 95중량부.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바인더로서 사용한 테트라에톡시실란 가수분해액에 암모니아를 첨가하여 pH7로 조정하고, 170℃에서 교반환류하면서 2시간 반응시킨 후, 톨루엔을 첨가하고, 감압증류하여 고형분 40%의 바인더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바인더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초미립자 산화아연 25중량부, 초밀립자 산화티탄 5중량부, n-부탄올 100중량부, 초산부틸 120중량부를 배합하고 샌드그라인더로 30분간 분산시켜서 도포제를 조제하였다. 이때, 바인더와 미립자와의 배합비율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립자 75중량부. 이 도포제를 형광램프(FL20S·N-SDL)의 유리관 외표면에 스프레이 도포하고 120℃에서 5분간 건조하여 두께 3㎛의 투명피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5]
실리콘와니스(불휘발분 50%) 100중량부, 초미립자 산화아연 25중량부, 초미립자 산화티탄 25중량부, 톨루엔 350중량부를 배합하고 샌드그라인더로 30분간 분산시킨 후,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20중량부를 첨가하여 도포제를 조제하였다. 이때, 바인더와 미립자와의 배합비율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립자 100중량부, 이 도포제를 형광램프(FL20S·N-SDL)의 유리관 외표면에 스프레이 도포하고 6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두께 5㎛의 투명피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6]
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 80중량부, 에틸렌 12중량부, 낙산비닐 16중량부, 에틸비닐에테르 10중량부, 크실렌 250중량부, 부틸화멜라인 20중량부, 초미립자 산화아연 30중량부, 초미립자 산화티탄 10중량부를 페인트세이커로 잘 혼합하고, 이것에 크실렌 170중량부를 첨가하여 적당한 점도 및 고형분 함유율을 가지는 도포제를 조제하였다. 이때, 바인더와 미립자와의 배합비율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립자 112중량부. 이 도포제를 형광램프(FL20S·M-SDL)의 유리관 외표면에 스프레이 도포하고 9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두께 2㎛의 투명피막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7]
대두유지방산 50중량부, 이소프탈산 45중량부, 글시세린 30중량부, 크실렌 50중량부를 반응용기에 넣고, 질소분위기하에서 200℃에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생성물에 메틸페닐실리콘 100중량부를 첨가하고 150℃에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생성물을 크실렌으로 희석하여 불휘발분이 50%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것을 바인더용액으로서 사용하였다. 이 바인더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초미립자 산화아연 20중량부, 초미립자 산화티탄 30중량부, 톨루엔 160중량부를 배합하고 샌드그라인더로 1시간 분산시켜서 도포제를 조제하였다. 이때, 바인더와 미립자와의 배합비율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립자 100중량부. 이 도포제를 형광램프(FL20S·N-SDL)의 유리관 외표면에 스프레이 도포하고 100℃에서 15분간 건조하여 두께 3㎛의 투명피막을 형성하였다.
이들 형광램프와 비교하기 위하여, 유리관의 내표면 및 외표면 어느쪽에도 자외선 흡수피막을 형성하지 않은 형광램프(FL20S·N-SDL)(비교예 1)와, 유리관의 내표면에 두께 10㎛의 산화티탄층 및 형광체층이 2층으로 순차 형성된 형광램프(FL20S·N-SDL NU)(비교예 2)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2의 형광램프의 특성을 제1표로 나타낸다. 제1표중 Ra는 평균연색평가수이고, UV는 자외선의 방사량이다. 자외선 방사량은 자외선 강도계(UVR-365, 도코고오가구기까이(주) 제품)를 사용하고, 램프와 수광부와의 거리를 30Cm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UV란의 「-」은, 상기 자외선강도계에서는 자외선이 검출되지 않았던 것을 나타낸다.
또 제1도 ~ 제5도는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싱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의 형광램프의 분광에너지 분포곡선을 나타낸다.
[제1표]
Figure kpo00001
제1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실시예 1 ~ 7의 형광램프는 피막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형광램프(비교예 1)와 비교해볼때 전광속의 거의 같다. 또 제1도 ~ 제3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제4도에 도시한 비교에에서의 405nm의 수은휘선의 분광강도를 비교해 볼때, 본 발명에 관한 형광램프는 자외선을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형광램프와 비교예 1의 형광램프간의 광색의 차이도 거의 없다. 또 실시예 1 ~ 7의 형광램프는 유리관 내표면에 산화티탄층을 형성한 형광램프(비교예 2)와 비교하면 전광속이 대폭 향상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3과의 비교에서, 자외선 흡수제로서 산화아연 및 산호티탄을 사용한 경우, 양자의 배합비율과 램프의 전광속 및 자외선 흡수기능(405nm이 수은휘선의 분광강도)과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정성적(定性的)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산화아연의 배합비율이 많을수록 전광속은 높아지지만 자외선 흡수기능은 저하된다. 반대로 산화티탄의 배합비율이 많을수록 자외선 흡수기능은 높아지지만 전광속은 저하된다.
따라서, 요구되는 램프의 특성에 따라 산화아연과 산화티탄의 배합비율은 적절하게 설정된다. 이 배합비율로서는 중량비로 나타내어 산화아연 : 산화티탄 = 99 : 1 내지 20 : 80, 바람직하게는 95 : 5 내지 50 : 50의 범위가 특히 좋다. 이 범위를 이탈하면 피막이 자외선(파장 40nm이하)의 차폐와 가시광에 대한 높은 투과율을 모두 만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 관계를 제6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험을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우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하여 중량비로 나타내어 산화아연 : 산화티탄이 (a) 90 : 10, (b) 50 : 50. (c) 30 : 70, (d) 100 : 0 (즉 산화아연만)의 각 비율로 배합된 도포제를 조제하였다. 이들 도포제를 형광램프에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유리판에 각각 도포한 후, 건조하여 피막을 형성한 4종의 시험편을 만들었다. 제6도는 이들 4종의 시험편에 대한 파장 400nm부근의 자외선·가시광선의 투과율을 나타낸 것이다.
제6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피막을 형성한 시험편(a ~ c)은 산화아연만을 함유하는 피막을 형성한 시험편(d)과 비교해 볼때, 파장 400nm이하의 자외선에 대하여 현저한 차폐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a), (b), (c) 및 (d)의 도포제를 이용하여 막두께 4㎛의 피막을 형성한 형광램프(FC20S·M-SDL)를 제조하고, 이것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 (b) 및 (c)의 도포제에 의한 피막을 가지는 램프에 비하여 (d)의 도포제에 의한 피막을 가지는 램프는 자외선 억제효과가 불충분하며, 특히 파장 400nm부근에서는 거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또, 상기 (d)의 도포제를 이용하여 막두께가 10㎛, 30㎛ 및 50㎛인 램프를 제조하였으나, 이것들 모두가 자외선 억제 효과가 불충분하였으며, 또한 막두께 50㎛의 것은 막의 밀착성이 떨어지고 광속의 저하도 인정되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여러 실시형태로 변경,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20)

  1. 발광원을 구성하는 유리관의 외표면에, 산화아연과 산화티탄의 중량비가 99 : 1 ~ 20 : 80의 범위내에서 설정되며 입경이 0.1㎛이하로 되는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미분체와 바인더를 그 배합비율이 상기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분체 10 ~ 900중량부의 범위내에서 구성성분으로 하는 피막을 두께가 0.5 ~ 100㎛의 범위로 형성한 자외선 억제발광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원이 형광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원이 할로겐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원이 HID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의 바람직한 두께는 0.5 ~ 30㎛, 보다더 바람직하게는 1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체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산화아연과 산화티탄의 중량비가 95 : 5 ~ 5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체와 상기 바인더의 바람직한 배합비율이 상기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분체 25 ~ 250중량부, 보다더 바람직하게는 59 ~ 1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부티랄수지 ; 아크릴수지 ; 불소수지 ; 실리콘수지 ; 규산소다와 같은 알칼리실리케이트 ; 실리카졸, 알루미나졸과 같은 무기콜로이드 ; 테트라에톡시실란과 같은 알킬실리케이트 ; 인산알류미늄과 같은 인산염 ; 금속알콕시드, 알루미늄킬레이트, 초산주석과 같은 유기금속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실리콘수지 ; 규산소다와 같은 알칼리실리케이트 ; 실리카졸, 알루미나졸과 같은 무기콜로이드 ; 테트라에톡시실란과 같은 알킬실리케이트 ; 인산알류미늄과 같은 인산염 ; 금속알콕시드, 알루미늄킬레이트, 초산주석과 같은 유기금속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위에 오버코트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
  11. 산화아연과 산화티탄의 중량비가 99 : 1 ~ 20 : 80의 범위내에서 설정되며 입경이 0.1㎛이하로 되는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미분체와 바인더를, 그 배합비율이 상기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분체는 10 ~ 900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설정되고, 바인더를 용해시킴과 아울러 저온에서 건조가능하도록 그 비점이 60 ~ 200℃로 되는 용매에 분산하여 이루어진 자외선 억제발광원용 도포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체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산화아연과 산화티탄의 중량비가 95 : 5 ~ 5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 도포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체와 상기 바인더의 바람직한 배합비율이 상기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분체 25 ~ 250중량부, 보다더 바람직하게는 59 ~ 1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용 도포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부티랄수지 ; 아크릴수지 ; 불소수지 ; 실리콘수지 ; 규산소다와 같은 알칼리실리케이트 ; 실리카졸, 알루미나졸과 같은 무기콜로이드 ; 테트라에톡시실란과 같은 알킬실리케이트 ; 인산알류미늄과 같은 인산염 ; 금속알콕시드, 알루미늄킬레이트, 초산주석과 같은 유기금속화합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용 도포제.
  15. 제11항에 있어서, HID램프에서는 상기 바인더가 실리콘수지 ; 규산소다와 같은 알칼리실리케이트, 실리카졸, 알루미나졸과 같은 무기콜로이드 ; 테트라에톡시실린과 같은 알킬실리케이트 ; 인산알류미늄과 같은 인산염 ; 금속알콕시드, 알루미늄킬레이트, 초산주석과 같은 유기금속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용 도포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크실렌, 톨루엔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 이소프로필알코올 또는 n-부탄올과 같은 알코올 ; 초산부틸과 같은 에스테트 ; 메틸이소부틸케톤과 같은 케톤 ; 에틸세로솔브와 같은 글리콜에테르 ; n-헥산, 리그로인, 미네달스피릿과 같은 포화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용 도포제.
  17. 제11항에 있어서, 미량의 표면처리제, 분산제, 윤활제, 건조제, 소포제 및/또는 경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용 도포제.
  18. 산화아연과 산화티탄의 중량비가 99 : 1 ~ 20 : 80의 범위내에서 설정되며 입경이 0.1㎛이하로 되는 산화아연 및 산화티탄의 미분체와 바인더를, 그 배합비율이 상기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분체는 10 ~ 900중량부의 범위에서 설정하고, 바인더를 용해시킴과 아울러 저온에서 건조가능하도록 그 비점이 60 ~ 200℃로 되는 용매에 분산하여 이루어진 도포제를 발광원을 구성하는 유리관의 외표면에 두께가 0.5 ~ 100㎛의 범위로 도포한 후, 피막을 건조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제의 도포제가 붓칠법, 스프레이법, 팁핑법, 또는 커텐도장법에 의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의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 200℃이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억제발광원의 제조방법.
KR1019900001865A 1989-02-17 1990-02-15 자외선 억제 발광원, 자외선 억제 발광원용 도포제 및 자외선 억제 발광원의 제조 방법 KR920010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7686A JP2856754B2 (ja) 1989-02-17 1989-02-17 紫外線抑制発光源、紫外線抑制発光源用塗布剤、及び紫外線抑制発光源の製造方法
JP89-37686 1989-02-17
JP1-37686 1989-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570A KR900013570A (ko) 1990-09-06
KR920010701B1 true KR920010701B1 (ko) 1992-12-12

Family

ID=1250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865A KR920010701B1 (ko) 1989-02-17 1990-02-15 자외선 억제 발광원, 자외선 억제 발광원용 도포제 및 자외선 억제 발광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51650A (ko)
EP (1) EP0383634B1 (ko)
JP (1) JP2856754B2 (ko)
KR (1) KR920010701B1 (ko)
DE (1) DE69011151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87B1 (ko) * 2007-07-20 2009-05-07 최상근 치아 미백 시술용 램프 및 블루 코팅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3554A (ja) * 1989-03-28 1990-10-12 Sumitomo Cement Co Ltd 紫外線遮蔽ランプ及びその製法
JP2730259B2 (ja) * 1990-03-30 1998-03-2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けい光ランプ
DE69117316T2 (de) * 1990-03-30 1996-08-0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Leuchtstofflampe und ihr Herstellungsverfahren
DK0573639T3 (da) * 1991-12-26 2000-02-07 Atochem North America Elf Coatingsammensætning til glas
JPH0572041U (ja) * 1992-02-28 1993-09-28 岩城硝子株式会社 高輝度照明ランプ
JP2511393B2 (ja) * 1992-09-15 1996-06-26 パテント−トロイハント−ゲゼルシヤフト フユア エレクトリツシエ グリユーランペン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US5723937A (en) * 1993-03-22 1998-03-03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scattering coating, its preparation and use
JP3189558B2 (ja) * 1993-03-31 2001-07-1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ラピッドスタート形けい光ラ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US5410212A (en) * 1993-04-01 1995-04-25 General Electric Company Soft white reflector lamp
JP2545727B2 (ja) * 1993-04-19 1996-10-23 工業技術院長 消臭灯及びその製造方法
DE4318905A1 (de) * 1993-06-07 1994-12-08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Metallhalogenidentladungslamp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5578893A (en) * 1993-11-16 1996-11-26 Piaa Corporation Bulb for vehicular lighting equipment
US6387844B1 (en) * 1994-10-31 2002-05-14 Akira Fujishima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t
JPH09231821A (ja) * 1995-12-22 1997-09-05 Toto Ltd 照明器具及び照度維持方法
TW445380B (en) * 1996-10-23 2001-07-11 Sumitomo Chemical Co Plasma display front panel
JP3463557B2 (ja) * 1998-03-20 2003-11-05 ウシオ電機株式会社 放電ランプ
EP1065092A3 (en) 1999-07-01 2005-03-30 Hitachi,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aking and propulsion in a vehicle
AU4473701A (en) * 2000-04-07 2001-10-23 Shunichi Haruyama Cold-cathode tube and illuminator
EP1538659A3 (en) * 2003-06-11 2005-06-29 Fan, Szu Min Casing structure with yellow light passing surface and its manufacture method
WO2006006097A2 (en) * 2004-07-05 2006-01-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pact fluorescent lamp
DE102005007657A1 (de) * 2005-02-19 2006-08-24 Hella Kgaa Hueck & Co. Gasentladungslamp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scheinwerfer
EP2341526B1 (en) 2005-05-31 2012-05-23 Panasonic Corporation Fluorescent lamp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lighting system
JP2017025120A (ja) * 2014-04-28 2017-02-02 旭硝子株式会社 液状組成物および抗菌性物品
CN113149434A (zh) * 2021-05-12 2021-07-23 斯卡特(北京)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中透光高隔热节能浮法玻璃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4903A (en) * 1951-01-17 1956-12-18 Sylvania Electric Prod Non-actinic fluorescent lamp
US3226249A (en) * 1960-10-24 1965-12-28 Philips Corp Method of providing light diffusing coatings on quartz and quartz objects provided with such coatings
US3531677A (en) * 1966-12-14 1970-09-29 Sylvania Electric Prod Quartz glass envelope with radiation-absorbing glaze
US3676729A (en) * 1969-06-23 1972-07-11 Sylvania Electric Prod Arc discharge lamp having a thin continuous film of indium oxide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US4006378A (en) * 1975-10-01 1977-02-01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cal coating with selectable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S623045A (ja) * 1985-06-25 1987-0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紫外線カツトガラス製品の製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87B1 (ko) * 2007-07-20 2009-05-07 최상근 치아 미백 시술용 램프 및 블루 코팅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16751A (ja) 1990-08-29
EP0383634B1 (en) 1994-08-03
DE69011151D1 (de) 1994-09-08
EP0383634A3 (en) 1991-01-23
JP2856754B2 (ja) 1999-02-10
EP0383634A2 (en) 1990-08-22
US5051650A (en) 1991-09-24
KR900013570A (ko) 1990-09-06
DE69011151T2 (de) 199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701B1 (ko) 자외선 억제 발광원, 자외선 억제 발광원용 도포제 및 자외선 억제 발광원의 제조 방법
US5811924A (en) Fluorescent lamp
TW201532999A (zh) 波長變換用石英玻璃構件及其製造方法
DE4410117A1 (de) Ultraviolette Strahlen absorbierende Beschichtungen
US5214345A (en) Ultraviolet ray-shielding agent and tube
EP3451031B1 (en)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light emitting device
EP0389717A2 (en) Ultraviolet ray-shielding tube
US2392095A (en) Light filter
KR101647764B1 (ko) 인광체에 대한 개선
JP3626062B2 (ja) 着色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着色電球
JPH09142882A (ja) 蓄光顔料を含有するセラミックカラー組成物及びこれを施したガラス製品
JPH0320955A (ja) 紫外線抑制蛍光ランプ、紫外線抑制蛍光ランプ用塗布剤及び紫外線抑制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
JP2008231367A (ja) 紫外線熱線遮蔽性を有する透明層形成用組成物、その透明層およびその用途
JP2003073624A (ja) 高反射性塗料と塗装金属板
JPH09241630A (ja) 表面処理された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70548A (ja) 近赤外線吸収粉末
JP2944819B2 (ja) ガラスゲル薄膜形成用コーティング液組成物、着色ガラスゲルフィルターおよび表示装置
JP6934316B2 (ja) 波長変換部材
JPH0992213A (ja) 紫外線抑制発光源
CN1730605A (zh) 荧光粉,聚合光转换涂层,蓝绿发光二极管,和基于蓝绿发光二极管的信号装置
JPH0320956A (ja) 紫外線抑制蛍光ランプとその製造方法
JP4254906B2 (ja) 高反射性塗料と塗装金属板
JP2012032441A (ja) 照明用光拡散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11727A (ja) 低光散乱蛍光体とその製造方法
JPH0420587A (ja) 蛍光体およびel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