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284B1 -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284B1
KR920010284B1 KR1019900022273A KR900022273A KR920010284B1 KR 920010284 B1 KR920010284 B1 KR 920010284B1 KR 1019900022273 A KR1019900022273 A KR 1019900022273A KR 900022273 A KR900022273 A KR 900022273A KR 920010284 B1 KR920010284 B1 KR 92001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denier
pet
weight
super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577A (ko
Inventor
안병훈
송주화
이태호
강신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하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0002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284B1/ko
Publication of KR92001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Syste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할형 초극세섬유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이형고흡수사(a) 및 중공형 고흡수사(b)의 확대도.
본 발명은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근에 기술이 정립된 초극세섬유와 고흡수사의 합성섬유를 사용하여 타올포지를 제조하므로서 천연섬유가 가진 특성인 수분율과 부드러운 감촉을 보다 향상시키고 고흡수, 속건성을 가진 성능이 우수한 합성섬유를 사용한 직물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타올의 용도로 사용되는 포지의 원사는 피부와 접촉감이 좋고 흡수성이 양호한 것이 요구되므로, 합성섬유의 경우는 소수성을 가지고 있어 흡수성이 불량하고 표면의 감촉이 좋지 않아 타올의 용도로서는 부적합하기 때문에 친수성인 천연섬유 즉 면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천연섬유인 면을 사용할시는 면의 특성에 의해 수분율은 양호하지만 수분의 흡수속도와 건조속도가 늦은 결함을 지니고 있어 사용후 재사용까지는 상당한 건조시간을 요하며 특히 사용후 빠른 시간안에 건조를 시키지 않으면 심한 악취를 풍기는 결함이 있어, 감촉이 부드러운면서 보다 흡수속도가 빠르고 재사용이 가능한 속건성 타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타올제조 기술로서는 천연섬유 일변도에서 탈피하기 위하여 흡수성포지, 소재의 다양화를 시도해 왔으나 합성사소재의 극세화기술과 고흡수사 제조기술의 부족으로 해결하지 못하였다.
선출원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소 56-134263호 및 동 소 60-119253호에서는 원단을 표면은 친수성인 천연섬유로 구성하고 이면에는 소수성인 합성사로 구성된 양면구조의 편물을 제조하여 흡수성을 가지며 피부와의 접촉면은 소수성인 합성섬유를 사용하여 피부의 청량감을 높이는 기술로 이는 타올을 표리를 구별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따르며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천연섬유를 사용하므로 건조속도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였으며 또한 타올용으로는 충분한 수분율을 지니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기술이 정립된 초극세 섬유와 고흡수사의 합성섬유를 사용하여 타올포지를 제조하므로써 천연섬유인 면이 가진 흡수력과 부드러움을 보다 향상시키고 흡수, 속건성을 가진 성능이 우수한 합성섬유를 사용한 직편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첫째, 수분의 흡수 및 발산속도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1도와 같은 초극세섬유를 사용하여 초극세 섬유의 치밀한 미세구조 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수분의 흡수 및 발산을 극대화시킨다.
둘째, 방사시 원사에 산화규소(SiO2)를 다량 투입하여 만든 원사를 감량가공으로 산화규소를 녹여내면서 형성되는 구멍에 의해 수분율을 극대화시킨 이형 고흡수사(제2a도)와 중공형 고흡수사(제2b도)를 사용하므로서 수분율을 극대화시킨다.
셋째, 고흡수사를 중심으로 초극세 섬유를 커러빙(Covering)하여 수분흡수시 수분의 농도구배차에 의하여 수분농도가 낮은 내부로 초극세사의 모세관 구조를 타고 신속히 내부로 침투하여 내부에 존재하는 고흡수사에 집적되도록 한다.
수분 발산시는 이와 반대 현상으로 건조되며, 수분농도가 낮은 표면으로 극세사의 모세관구조를 타고 신속히 이동하여 표면에서 쉽게 발산된다.
넷째, 초극세섬유를 표면에 표출시킴으로써 종래 합성사를 사용함에 있어서 문제가 되었던 표면감촉문제가 극세사의 섬세한 구조로 해결이 가능하다.
다섯째, 이상의 물리적 방법으로 흡수성을 최대로 한후 가공공정에서 감량가공을 하므로서 흡수성을 향상시키고 흡수가공을 하므로써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타올포지를 제조하면 흡수성, 속건성이 우수한 포지가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초극세섬유원사로는 총데니어 50∼100데니어의 나이론(NY) 및 폴리에스테르(PET)로 구성된 분할형극세사로 분할후 단사데니어가 0.5d 이하인 극세섬유 또는 단사데니어가 0.3d 이하인 단일성분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는데, 직, 편물에서 전체중량의 30% 이상이 되어야만 흡수성 및 속건성이 양호하며 표면감촉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흡수사로서는 제2a,b도와 같이 알카리처리에 의해 미세요철의 형성이 가능한 산화규소(SiO2)를 전체 PET에 대하여 적어도 0.05∼10중량% 함유한 이형 또는 중공형태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로서 직편물에서 전체중량의 20% 이상일때 효과가 나타나며 이형고흡수사(제2a도)는 중공형 고흡수사(제2b도)보다는 흡수성은 낮지만 발산성이 우수하며 중공형 고흡수사는 이형고흡수사보다 흡수성은 높지만 발산성이 낮으므로 이형 고흡수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흡수사는 초극세사를 이용한 고흡수성, 속건성 원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고흡수사 1Ply 이상과 2Ply 이상의 초극세사를 Z방향으로 120∼1500T/M 연사후 이를 초극세사 1Ply 이상과 S방향으로 120∼1500T/M 연사하여 고흡수사는 내부에 들어가고 초극세사는 표면으로 돌출되어 S.Z 상호반대연의 효과로 벌키(bulky)성이 풍부한 원사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전체데니어는 100∼600데니어가 적합하며, 직, 편직하여 감량가공, 흡착가공을 하므로서, 흡수성, 속건성이 우수한 포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PET 65 : 나이론 35의 구성비를 가진 총데니어가 60D/36F-8seg로 제1a도와 같은 형태의 분할형 이수축 혼섬사(0.13D수준) 2Ply와 이형고흡수사와 같은 형태의 전체 PET에 대해 산화규소(SiO2)를 5중량% 함유한 고흡수사 폴리에스테르 3Ply를 Z방향으로 1000T/M 연사한 후 이를 제1a도의 원사 3Ply와 S방향으로 1000T/M 연사하여 위사로 사용하고 이형고흡수사를 2Ply하여 경사로 사용한다.
위사가 부출하는 이중직으로 제직한 후 NaOH 4% 용액으로 감량한 후 흡수가공하여 열처리한다.
[실시예 2]
초극세섬유로 제1b도(0.13D수준)을 고흡수사로 중공형 고흡수사로 구성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한다.
[비교예 1]
Reg Polyester 75D/36F을 가열한 후 경,위사로 하여 이중직으로 제직한 후 NaOH 4%용액으로 감량처리한 후 열처리한다.
[비교예 2]
면으로 이중직 제직한 후 정련, 염색후 열처리한다.
[표 1]
※시험 방법
1. 흡수높이(cm/10min) : 2cm폭으로 절단한 후 하단부위 1cm를 물속에 침지하여 10분동안 물이 이동한 높이측정
2. 흡수속도(sec/cm) : 2cm 폭으로 절단한 후 하단 부위 1cm를 물속에 침지하여 1cm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측정
3. 흡수율(%) :×100(%) 물속에서 20분간 침지한 후 압력 20kg.f/cm2, 속도 20cm/sec로 스퀴징(Squeezing)
4. 건조시간 : 물속에 20분간 침지한 후 압력 2kg.f/cm2, 속도 20cm/sec로 스퀴징하여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침지전 시료무게와 일치할때까지의 시간 측정(25℃,RH 40%)
5. 악취시험 : 일정수분을 함유후 상자에 넣어 3일간 방치한 다음 20명이 후각시험한 결과측정
6. 촉감시험 : 20명이 시험한 결과측정

Claims (3)

  1. 단사데니어 0.5d 이하인 극세사와 산화규소(SiO2)를 0.05∼10중량% 함유한 이형 또는 중공형태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합연하여 경,위사로 사용하여 제직 또는 편직한 후 알카리처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극세사는 총데니어 50∼100d인 나이론과 PET로 조성된 분할형 극세사 또는 단사데니어 0.3d 이하인 단일성분의 P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직편물중에서 극세사의 함유량이 30중량% 이상이고, 이형 또는 중공형태의 PET가 20중량%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KR1019900022273A 1990-12-28 1990-12-28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KR920010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273A KR920010284B1 (ko) 1990-12-28 1990-12-28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273A KR920010284B1 (ko) 1990-12-28 1990-12-28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577A KR920012577A (ko) 1992-07-27
KR920010284B1 true KR920010284B1 (ko) 1992-11-21

Family

ID=1930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273A KR920010284B1 (ko) 1990-12-28 1990-12-28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2725A1 (en) * 2006-03-03 2008-11-19 Uchino Co., Ltd. Towel produ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417B1 (ko) * 1997-08-25 2005-08-24 주식회사 휴비스 경량감이우수한신축성직물의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2725A1 (en) * 2006-03-03 2008-11-19 Uchino Co., Ltd. Towel product
EP1992725A4 (en) * 2006-03-03 2010-05-05 Uchino Co Ltd TOW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577A (ko) 199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9353B1 (en) Moisture-absorbing heat-generating quick-drying moisture-retaining thermal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S5951609B2 (ja) 吸水性布帛
CN107083605A (zh) 具有单向导吸功能的梭织面料及其生产工艺
CN107190537A (zh) 排汗单导面料及其制备工艺
KR101946409B1 (ko) 냉감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냉감 원단
JPH08113846A (ja) 張り、腰及びソフト風合いに優れた布帛及びその製造法
KR20020036223A (ko) 흡한속건성 직편물
KR920010284B1 (ko) 합성섬유를 사용한 고흡수, 속건성 직편물의 제조방법
KR101069354B1 (ko) 천연섬유의 외관과 흡한속건성(洽汗速乾性)이 우수한복합가연사의 제조 방법
CN111155257B (zh) 一种混纺布料印染工艺
JPS5921744A (ja) 二重編織物
JPS626933A (ja) 偏在吸水性布帛
JP4085316B2 (ja) 着用快適性に優れた布帛
JPS6253438A (ja) 偏在吸水性布帛
CN111188185A (zh) 一种舒适抗静电校服面料及其制备方法
JPS632470Y2 (ko)
JP4332272B2 (ja) 吸水性複合仮撚加工糸の製造方法並びに吸水性布帛
KR102268026B1 (ko) 연약한 피부에 적합한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2066B1 (ko) 수피마 면 원사와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조합한 이중지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3533279B2 (ja) ストレッチ織物の加工方法
JPS6123296B2 (ko)
KR200281055Y1 (ko) 고흡수성 크리너
JPS59199845A (ja) 保温性偏在吸水性編物
JP3087253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糸およびフィブリル化ポリエステル布帛
US2111486A (en) Process of treating cotton fabric and the produc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