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619B1 - 유기유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유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619B1
KR920009619B1 KR1019890008366A KR890008366A KR920009619B1 KR 920009619 B1 KR920009619 B1 KR 920009619B1 KR 1019890008366 A KR1019890008366 A KR 1019890008366A KR 890008366 A KR890008366 A KR 890008366A KR 920009619 B1 KR920009619 B1 KR 92000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llylcarbonate
composition
vinyl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401A (ko
Inventor
렌찌 피오렌쪼
리베티 프란코
가글리아르디 클라우디오
토마노 우고
Original Assignee
에니켐 신테시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니켐 신테시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에니켐 신테시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900000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1Polyesters;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8/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18/24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C08L67/07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기유리 제조방법
제1도는 노출시간의 함수로서 나타낸 황색지수를 표시하는 그래프.
본 발명은 디올이나 폴리올의 최소한 하나의 디-(알릴 카보네이트) 혹은 폴리-(알릴카보네이트)가 들어있는 액체 조성물을 중합반응시킴으로써 유기 유리(organic glasses)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알릴카보네이트 단량체 중에서 열경혼아성 수지형태로 중합된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보네이트)는 가장 우수했으며 고(high)공학적 및 역학적 특성을 잘 나타내는 유기 유리 및 공학적 입자의 공업적 제조에 응용할 수 있다(“화학적 가공 및 디자인 백과사전”, Vol. I, F, 스트레인, 인터사이언스 발행, 뉴욕, 1964, pp 799-foll.)
공업적인 실행에서 위의 물질로부터 얻은 광학입자 즉 교정용 안과렌즈 또는 선글라스, 실드(shields), 보호용 마스크 또한 그밖의 것은 투명성, 무색성, 내마멸성 및 용매와 노화에 대한 저항성이 아주 좋다.
이와 같은 광학입자는 일반적으로 과산화물 형태의 중합반응 기폭제를 미리 부가하고 나서 단량체를 주형(mould)(주조법)속에서 중합시키면 생성된다.
중합반응은 보통 생성된 광학입자에 따라 또한 적절한 온도 구배에서 약 10시간에서 100시간까지의 범위내에 오븐 또는 수조에서 실행된다. 오랜 시간의 중합반응은 공정을 제한(억제)하는 것으로 즉 공정의 경제성에 큰 영향을 끼치고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이것은 문제의 물질이 우수한 광학적 및 역학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부분, 건축공업용 유리부문 및 그와 같은 종류의 대량소비 부문에서 사용되기에는 한계가 있거나 또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을 설명한다.
미국특허 제4,521,577호는 유기 유리를 수득하기 위해 라디칼 루트(경로)에 의해 중합될 수 있는 알릴카보네이트 단량체로 된 액체 조성물을 발표한다. 이 조성물에는 약 3 내지 100시간 범위 내의 경화시간이 요구된다.
유럽특허출원 공고 제0227178호 역시 라디칼 경로에 따라 유기 유리를 수득하기 위해 중합될 수 있는 알릴카보네이트 단량체로 된 경화시간이 필요하다.
영국특허출원 제2,171,709호에서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및 40wt%까지의 비닐에스테르가 들어있는 액체조성물을 사전-중합반응 단계를 통해 과산화물에 의해 경화되고 그 후 본격적인 중합반응에는 약 8시간이 소요된다.
본원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릴카보네이트 단량체 및 광기폭제가 한정량의 비닐 단량체 및/또는 유기적 과산화물 등과 결합한 형태로 들어있는 액체 조성물이 15분을 넘지 않는 시간 내에서 완전히 경화된 유기 유리 또는 표면 코팅물을 형성하도록 중합될 수 있음을 발표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최소한 하나의 알릴카보네이트 단량체가 들어있는 조성물의 중합반응수단에 의해 유기 유리 또는 코팅물을 제조하는 공정과 관계가 있으며: (a) 최소한 하나의 디올 또는 폴리올 각각의 비스-(알릴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알릴카보네이트)와; (b) (a)성분의 (b) 성분(비닐에스테르)에 대한 중량비율이 100:0 내지 70:30 인 비닐에스테르; 또한 (c) (a) 및 (b)성분의 총중량을 100으로 했을 때 0 내지 5의 범위에 있는 양으로 된 유기과산화물; 또한 (d) (a) 및 (b)성분의 총중량을 100으로 했을 때 0.5 내지 5의 범위에 있는 양으로 된 유기 광기폭제가 들어있는 중합가능한 액체조성물은 (b) 및 (c)성분이 모두 동시에 결여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면 자외선 반응에 다르게 된다.
바람직한 실태예에서는 (b) 및 (c)성분이 모두 존재한다. 자외선의 저급화(degrading) 반응에 대해 유기중합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에 사용되는 물질 중에는 선택한 소량의 (e)성분이 상기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에서는 중합 가능한 조성물을 자외선 반응시키기 전에 실온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한다.
(a) 성분
조성물의 (a)성분은 디올 또는 폴리올 각각의 비스-(알릴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알릴카보네이트)이다.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시크로헥산디-메틴올 및 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스클로데칸 등의 지방족 또는 고리지방족 디올의 비스-(알릴카보네이트)가 이러한 목적에 사용된다. 또한 트리메틸올 프로판 및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트리스-(알릴카보네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알릴카보네이트) 등의 폴리-(알릴카보네이트)폴리올이 사용될 수 있다. 디알릴 카보네이트를 디올 또는 폴리올과 반응시키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수단에 따라 위와 같은 알릴카보네이트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유럽특허출원 공고 제35,305호).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공정이 진행된 결과 디올 또는 포리올에 대한 디알릴 카보네이트 반응물의 비율의 함수로서 적당한 로리고머와 혼합된 디올 또는 포리올 각각의 단량체 비스-또는 폴리-(알릴카보네이트)가 수득된다.
즉 예를 들어 디알릴카보네이트를 디에틸렌 글리콜과 반응시켜 얻은 디에틸렌 글리콜의 비스-(알릴카보네이트)의 일반적인 구조식을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R은 디에틸렌 글리콜 라디칼 또한 n은 다음의 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에 대한 반응물의 비율의 함수.
좀 더 구체적으로 표의 R0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에서 디에틸렌 글리콜에 대한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몰비율을 나타내며 각각의 개별비율로 나타낸 백분율은 반응혼합물 속에 있는 단량체(n=1) 및 올리고머(n>1)의 함량을 중량비율로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kpo00002
다른 디올 및 포리올을 이용하여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실행하더라도 이와 유사한 모습이 관찰된다. (a) 성분을 구성하는 비스-(알릴 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알릴카보네이트)가 부분적으로 단량체 형태이고 또한 혼합물의 70%가 넘지 않는 함량의 올리고머 형태인 조성물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a)성분은 디에틸렌-글리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 디메틸올-시클로헥산 비스-(알릴 카보네이트), 트리스-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알릴카보네이트) 및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올리고머 형태의 펜타에리트리롤 테트라키스-(알릴카보네이트) 또는 그들의 혼합물 등이다. 또한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 올리고머의 총함량이 위에서 정한 값보다 크지 말아야 한다.
(b) 성분
조성물의 (b)성분은 비닐에스테르이며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피발레이트, 베르사산(versatic acid)의 비닐에스테르, 비닐벤조에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아디페이트 및 비닐숙시네이트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가장 바람직한 성분은 비닐아세테이트이다. 본 발명의 (b)성분은 존재할 수도 또는 위에서 말한 조건에서 없을 수도 있으며 (b)성분에 대한 (a)성분의 중량의 값은 100:0 내지 70:30의 범위내에 있다. (b)성분이 조성물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b)성분에 대한 (a)성분의 중량비가 85:15 내지 96:4의 범위에 있는 값이 되도록 유지한다.
(c) 성분
조성물의 (c)성분을 유기과산화물로서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은 특별한 조건의 경우 없을 수도 있다. (a) 및 (b)성분의 총중량을 100으로 할 때 1 내지 5의 함량으로 (c)성분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기의 목적을 위해 이용되는 유기과산화물은 액체조성물에 녹을 수 있고 또한 30 내지 120%의 온도범위에서 자유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는 것들이다.
이러한 유기과산화물이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디이프로필 페토기디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페톡시디카보네이트, 디-sec. 부틸 페톨시디카보네이트 sec.-부틸-시클로헥실 페톡시-디카보네이트, tert.-부틸 페르벤조에이트, tert.-부틸 페르피발레이트 및 벤조일 페톡시드 등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c)성분은 (a) 및 (b)성분의 총중량을 100으로 할 때 2 내지 4의 함량으로 조성물 속에 들어 있다.
(d) 성분
조성물 (d)의 성분은 유기광기폭제로서 (a) 및 (b)성분의 총중량을 100으로 할 때 0.5 내지 4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이용되는 유기광기폭제는 액체조성물에 녹을 수 있고 또한 자외선 반응하에서 자유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유기광기폭제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온-1, 티옥산론 및 벤조인 에테르 등이 있다. (d)성분은 (a) 및 (b)성분의 총중량을 100이라고 할 때 1 내지 3의 함량으로 들어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에 따르면 중합가능한 액체 조성물에는 자외선의 저급화 반응에 대해 유기중합체를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에 사용되는 물질 중에서 택한 소량의 유기화합물[(e)성분]이 첨가적으로 들어있다. 이러한 안정화 유기화합물은 입체장애적 아민류, 벤조페논 및 벤조트리아졸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입체장애적 아민은 보통 “할스(HALS)”라고 알려진 물질로 그 전형적인 한예는 시중에 나온 Ciba-Geigy사 제품인 티누빈(INUVIN)770이다. 소기의 목적에 적당한 벤조페논의 예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이소-옥토시-벤조페논 및 2-히드록시-4-도데실옥시 벤조페논 등이다. 소기의 목적에 적당한 트리아졸의 예는 2-(3´-tert.-qnxlf-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및 2-(2´-히드록시-3´, 5´-디-ter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이 있다.
본 특허출원은 (e)성분이 (a) 및 (b)성분의 총중량을 100으로 할 경우 0.05 내지 0.15의 함량으로 들어있을 때 조성물의 중합반응 진행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이렇게 해서 얻은 유기 유리의 광학적 특성 및 내노화성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발표한다. 중합가능한 액체조성물에는 이 조성물 중량에 대해 1% 이하의 양으로 되어 있을 경우 주형-탈형제, 염색제, 안료 및 그와 같은 종류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래적인 첨가제가 부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성물은 목재(가구 및 플로어), 금속, 플라스틱재 및 섬유와 같은 고형대상물의 보호용 피막으로 이용될 수 있다. 피막의 두께는 5 내지 5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피막된 물질은 스크래치(scratch) 및 용매에 대한 내성(resistance)이 있고 광택성이 좋다. 중합가능한 액체조성물은 주형 내부에서의(in-mould) 중합반응 공정(주조법)에 의해 유기 유리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성분이 있는 바람직한 실시태에 따르면 주형속으로 유입시킨 조성물을 자외선 처리하기 전 미리 가열한다. 가열온도는 예를 들어 사용하는 과산화물의 함수로서 다양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4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의 범위 내에 있다. 동일한 조성물속에 들어 있는 기폭제의 분해반응, 열적효과 및 자외선 처리에 따라 생성되는 자유 라디칼에 의하여 중합반응이 시작된다.
본 발명의 공정을 조작할 때 중합반응 시간은 약 15분을 넘지 않으며 정상적으로는 몇 분 정도가 소요된다. 여기에서 얻은 유기 유리의 광학적특성(투명성, 무색성 광학적 저(low)왜고성)이 우수하고 역할적 및 열적특성이 좋다. 다음의 실험적 실시예에서 위의 사항이 증명되며 이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서 과산화물로 된 기폭제 및 광기폭제를 구성하는 액체조성물을 제조하고 그 후 유기 유리(형성될)의 두께를 결정하는 가소화된(plasticized) 폴리-(비닐클로라이드) 가스켓(gasket)으로 만들어진 유리주형 안에서 중합 반응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1.4㎜ 및 3.0㎜ 두께의 편평한 사이트 및 2㎜ 두께의 중립렌즈가 만들어진다.
중합될 표본으로부터 11㎝ 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한 80w/㎝전력의 중간-압력 수온 자외선 램프에서 방출된 자외선 방사에 의하여 조성물이 중합된다. 표본은 5m/min의 운반속도로 콘베이어 벨트 위에서 이동하고 약 5초 간격으로 양쪽 측면에서 연속하여 반복 노출됨에 따라 중합된다. 어떤 경우 표본의 온도를 90℃ 정도로 올리기 위해 몇분간 가열한 후 자외선 중합반응시킨다. 이렇게 처리하면 동적(kinetic)특성에서 유리하고(노출시간의 단축) 수득된 유기 유리의 광학적 성질이 개선되는(광학적 저 왜곡성) 장점이 생긴다.
여기에서 얻어진 유기 유리에 대해 다음과 같은 특성 값이 결정된다.
a) 광학적 특성:
=굴절률(nD20): 압베(Abbe) 굴절계로 측정(ASTM D-542)
=가시범위에서의 헤이즈(Heze) 및 투과율(%): 가드너´즈 헤이즈가드(Hazegard) XL-211로 측정(ASTM D-1003)
=YI=
Figure kpo00003
(1.277X-1.66)으로 정의된 황색지수(YI): 가드너´즈 XL-805 비색계로 측정(ASTM D-1925)
b) 물리적 및 역학적 특성:
=밀도: 15℃의 온도에서 유체정력학적 평형법으로 측정(ASTM D-792)
=중합반응 동안의 부피감소(수축): 다음의 방정식으로 계산
Figure kpo00004
=록크웰 경도(M): 폭크웰 듀로미터로 측정(ASTM D-785)
=탄성만곡 모둘러스(modulus)(ASTM D-790)
서덜랜드 내마모성
테스트가 렌즈위에서 실행되며 5.5×7.5㎝의 사이즈의 2/0등급으로서 630g 중량의 강면(steel wool) 패드를 25회 왕복시켜(50회 통과)표본이 마모되도록 한다. 그 마모 정도를 디에틸렌-글리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의 호모고분자(homopolymer)를 기초로 한 참고표본과 비교하여 스크래치의 수, 길이 및 깊이의 가시적인 관찰에 따라 평가한다. 내마모성은 완전히 스크래치 된 표본(디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의 경우)의 값을 0으로 하고 참고 표본인 스크래치 되지 않은 표본의 값을 10으로 할 때 0 내지 10의 범위에 있는 값으로 표현된다. 참고표본과 비교하여 시험한 표본의 스크래치율(%)을 기초로 하여 1 내지 9의 중간값을 정한다. 예를 들어 참고표본에 대한 시험표본의 스크래치율이 60%일 경우 그 마멸강도는 4이고 스크래치율이 30%일 경우 그 마멸강도는 7이다.
c) 열적 특성
=1.82MPa의 하중에서의 왜곡온도(HDT)(ASTM D-648).
d) 내노화성(Ageing Resistance)
내노화성 자외선에 대한 표본 노출에 의하여 측정된다. 6.500w의 크세논 램프를 구비한 일기계(ATLAS)의 광선은 계속적으로 방사된다. 참고용 측색 판넬의 온도는 63℃이고 상대습도는 50%이다. 내노화성은 자외선에 대한 노출시간을 여러번 변화시킨 후 그 황색지수를 측정하여 평가한다. 증합반응에 실시예 1에서 3까지는 자외선 램프 아래를 통과한 횟수의 함수인 밀도를 측정하여 알릴 불포화물의 전환을 결정함으로써 평가된 중합반응 동력학에 대해 발표한다.
[실시예 1]
서로 다른 양의 디에틸렌-글리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 및 비닐아세테이트가 함유되어 있는 중합가능한 액체조성물을 제조한다. 디에틸-글리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DEG-BAC)는 상호 몰비가 12:1인 디알릴카보네이트와 디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서 나온 생성물이고 또한 다음의 구조식으로 정의된 단량체 및 올리고머의 혼합물이다.
Figure kpo00005
여기에서:
R=디에틸렌글리콜의 라디칼
n=1 88.3wt.%
n=2 10.5wt.%
n=3 1.1wt.%]
n=4 0.1wt.%
이 조성물에 디시크롤헥실 페톡시디카보네이트(DCPD) 및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온-1(시중에 나온 제품 DAROCUR 1173)을 첨가한다.
이 결과로 생성된 조성물 1 내지 6이 표 1에 나와 있다. 이 표에서 1의 조성물은 비교용 조성물이다.
[표 1]
Figure kpo00006
각 성분에 대해 표에서 나타낸 값은 모두 중량비율이다. 이 조성물들은 1.4㎜의 두께의 편평한 시이트로 얻기 위해 자외선 램프 방사법에 따라 주조하여 중합된다. 알릴불포화물의 전환율은 자외선 램프 아래를 통과한 횟수의 함수인 밀도를 측정함에 따라 결정된다. 이 전환율은 완전 중합반응의 조건에서 즉 중합체의 밀도가 일정한 값에 도달했을 때 얻어진 밀도의 총증가 값에 상대적으로 측정된 밀도의 증가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측정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kpo00007
[실시예 2]
디메틸올-시클로헥산 비스-(알킬카본이트)(CEDM-BAC)비닐아세테이트, DCPD 및 DAROCUR 1173이 함유된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제조한다. 디메틸올-시클로헥산 비스-(알릴카보네이트)는 상호 몰비가 4:1인 디알릴카보네이트와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서 나온 생성물이고 또한 단량체와 약 35wt.%정도 함유된 올리고머의 혼합물이다. 각 성분의 중량비를 표시한 7 내지 9의 조성물이 표 3에 나타나 있다. 이 조성물들은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중합되고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중합되고 평가된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3]
Figure kpo00008
[표 4]
Figure kpo00009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알릴카보네이트)(THEIC-TAC), 비닐아세테이트, DCPD 및 DAROCUR 1173가 함유되어 있는 중합 가능한 조성물을 제조한다.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알릴카보네이트)는 상호몰비가 12:1인 디알리카보네이트와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에스테를 교환반응에서 나온 생성물이고 또한 다량체와 25 내지 30wt.% 정도 함유되어 있는 올리고머의 혼합물이다. 각 성분의 중량비를 표시한 조성물 10 내지 12가 표 5에 나타나 있다. 이 조성물들은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중합 및 평가된다.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5]
Figure kpo00010
[표 6]
Figure kpo00011
[실시예 4]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비스-(알릴 카보네이트)(실시예 2의 CEDM-BAC), 비스-(알릴카보네이트)(DEG-BAC), 비닐아세테이트, DCPD, DARCOCR 1173 및 자외선 안정제인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미국시안 아미드회사에서 제조된 시판제품 CYASORB UV 9)이 함유되어 있는 중합가능한 조성물을 제조한다.
디에틸렌-글리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는 상호 몰비가 2:1인 디알릴 카보네이트와 디에틸렌 글리콜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서 나온 생성물이고 또한 다음의 구조식으로 정의된 단량체와 올리고머의 혼합물이다:
Figure kpo00012
여기에서:
n=1 33.9wt%
n=2 25.1wt%
n=3 16.6wt%
n=4 10.2wt%
n>4 14.2%
이 결과로 나온 조성물 13 및 14가 표 7에 나와 있다. 각 성분에 대해 표에서 나타낸 값은 모두 증량비율이다.
[표 7]
Figure kpo00013
이 조성물을 앞에서 설명한 자외선 장치의 양쪽측면에서 30회 통과시켜 2㎜ 두께의 중립렌즈를 제조한다.
자외선 처리전에 먼저 90℃의 강제공기순환 오븐속에서 3분간 열처리한다. 자외선 방사를 5분 정도 지속한 후 주형을 열면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완전 경화된 렌즈가 얻어진다. 이 렌즈의 특성은 표 8에 나와있다.
비교목적으로 광기폭제 DAROCUR 1173을 제외하면 조성물 13 및 14와 모두 유사한 조성물 13(a) 및 14(a)가 경화공정에 제공된다.
이 경우 경화물질을 약 40 내지 80℃의 온도의 수조에서 20시간 동안 순환주기를 이용하는 종래적인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이 비교시험에 따른 결과도 표 8에 나와있다.
[표 8]
Figure kpo00014
[실시예 5]
중합가능한 조성물 15 및 16을 제조한다.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물은 CEDM-BAC 대신 사용된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투레이트 트리스-(알릴카보네이트)(실시예 3의 THEIC-TAC)만 제외하고 실시예 4의 중합가능한 조성물 13 및 14와 유사하다.
[표 9]
Figure kpo00015
이 조성물은 2㎜ 두께의 중립렌즈를 얻기 위해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중합된다. 이 결과는 광기폭제가 없는 전통적인 경로에 따라 중합된 조성물 15(a) 및 16(a)에 관련된 결과와 함께 표 10에 나타난다.
[표 10]
Figure kpo00016
[실시예 6]
중합가능한 조성물 17 및 18을 제조한다. 이 조성물은 CEDM-BAC 대신 사용된 펜타에리트리를 테트라키스-(알릴카보네이트)(PE-TETRAKIS)만 제외하고 실시예 4의 중합가능한 조성물과 유사하다. 이 펜타에리트리롤 테트라키스-(알릴카보네이트)는 상호 몰비가 24:1인 디알릴카보네이트와 펜타에리트리롤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서 나온 생성물이고 또한 단량체와 20∼25wt.%정도 함유된 올리고머의 혼합물이다.
이 조성물은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1]
Figure kpo00017
이 조성물은 2㎜ 두께의 중립렌즈를 얻기 위해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중합된다. 이 결과는 광기폭제가 없는 전통적인 경로에 따라 중합된 조성물 17(a)와 관계된 결과와 함께 표 12에 나타난다.
[표 12]
Figure kpo00018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중합가능한 조성물 19 내지 21이 제조된다.
[표 13]
Figure kpo00019
(*) 상호 몰비율이 12:1인 디알릴카보네이트와 트리스-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의 생성물.
(**) 상호 몰비율이 2:1인 디알릴카보네이트와 디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의 생성물.
(***) 상호 몰비율이 12:1인 디알릴카보네이트와 디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의 생성물.
이 조성물은 1.4㎜ 두께의 편평한 시이트를 얻기 위해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에 따라 중합된다; 그 결과적인 특성은 표 14와 같다.
[표 14]
Figure kpo00020
[실시예 8]
실시예 7에서 나타낸 조성물 21은 3㎜ 두께와 1.7㎜ 두께의 편평한 시이트를 얻기 위해서 중합된다. 실시예 4와 유사한 조건하에서 조작하여 중합반응을 완료하고 여기에서 전통적인 열적경로로부터 얻어진 시이트와 유사한 특성의 중합시이트가 수득된다. 3㎜ 두께의 시이트에 있어서 그 특성이 표 15에 나와 있다. 일기제(Weather-O-Meter)에서 내노화성을 평가하기 위해 1.4㎜ 두께의 시이트가 사용된다. 그 결과 도면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황색지수는 노출시간의 함수로서 표시한다(○-○).㎜
유사한 방법이지만 CYASORB UV 9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조작한 경우는 ●-●선으로 나타낸다.
CYASORB UV 9를 첨가함으로써 시이트의 중합반응 직후 측정된 황색지수의 값과 노화 후 측정된 값이 개선될 수 있다.
[표 15]
Figure kpo00021
[실시예 9]
표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5와 동일한 성분에서 출발하여 중합가능한 액체조성물 22 및 23이 제조된다.
[표 16]
Figure kpo00022
조성물 22의 점도는 5.500cst이고 조성물 23의 점도는 980cst이다.
알루미늄 시이트 또는 목질시이트 위에 필름 연전기(spreader) 장치로 조성물을 살포하여 약 200㎛ 두께의 필름(막)을 형성한다. 이렇게 얻은 피막을 불활성 대기(질소)하에서 15㎝만큼 떨어져 있는 500W 전력의 중간-압력 수온 자외선 램프광선에 약 1분간 노출시킴으로써 경화시킨다. 자외선에 대한 노출작업이 끝나면 이 피막은 밀도측정에서 결정된 것과 같이 완전히 중합된다. 이 피막에는 결점이 없으며 고경도 및 고광택의 특성이 있다.

Claims (14)

  1. 최소한 하나의 알릴카보네이트 단량체가 들어있고 또한 (b)와 (c)성분이 동시에 결여되어 있지 않은 조건에서: (a) 디올 또는 폴리올 각각의 최소한 하나의 비스-(알릴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알릴카보네이트)와; (b) 100:0 내지 70:30 범위의 중량비로 된 (a)성분 비닐에스테르에서의 비닐에스테르; 또한 (c) (a) 및 (b)성분의 총량을 100으로 할 때 0 내지 5의 함량으로 된 유기과산화물; 마지막으로 (d) (a) 및 (b)성분의 총량을 100으로 할 때 0.5 내지 5의 함량으로 된 유기 광기폭제(photoinitiator)가 들어있는 중합가능한 액체조성물을 자외선 반응시키는 것으로 된 중합-반응방법에 의한 유기 유리 또는 표면 코팅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서이물의 (a)성분이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그리콜, 트리에틸렌 그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시클로 헥산메탄올 및 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데칸으로 된 그룹에서 선택된 디올의 비스-(알릴카보네이트)이거나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로 된 그룹에서 선택된 트리올의 트리스-(알릴카보네이트)이거나 또는 펜타에리트리롤 테트라키스-(알릴카보네이트) 혹은 그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a)성분이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카보네이트), 디메틸올-시클로헥산 비스-(알릴카보네이트), 트리스-히드록시메틸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알릴카보네이트) 및 펜타에리트리롤 테트라키스-(알릴카보네이트) 또는 그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a)성분이 단량체와 또한 총혼합물의 총중량의 70wt.%을 넘지않는 양으로 된 올리고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b)성분이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피발레이트, 베르사산의 비닐에스테르, 비닐벤조에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및 비닐숙시네이트 중에서 선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b)성분이 비닐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c)성분이 (a) 및 (b)성분의 총중량을 100으로 할 때 1 내지 5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c)성분이 디이소프로필 페록시디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페록시디카보네이트, 디-sec.-부틸 페록시디카보네이트, sec.-부틸-시클로헥실 페록시디카보네이트, tert.-부틸-페르벤조-에이트, tert.-부틸페르피발레이트 및 벤조일 페록시드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d)성분이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온-1, 티옥산톤 및 벤조인에테르 등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85:15 내지 96:4의 상호 중량비율로 (a) 및 (b)성분이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고 (a) 및 (b)성분의 총중량을 100으로 할 때 2 내지 4의 함유량으로 된 (c)성분이 존재하며 또한 (a) 및 (b)성분의 총중량을 100으로 할 때 1 내지 3의 함유량으로 된 (d)성분이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a) 및 (a)성분의 총중량을 100으로 할 때 입체장애적 아민, 벤조페논 및 벤조트리아졸 중에서 선택된 0.05 내지 0.15의 함유량의 유기적 안정제가 조성물에 부가적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주형-탈형제, 염색제 및 안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나 그 이상의 첨가제가 조성물에 부가적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중합가능한 액체조성물이 자외선반응 전에 4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사전-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전술한 조성물이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사전-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890008366A 1988-06-17 1989-06-17 유기유리 제조방법 KR920009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1009A/88 1988-06-17
IT21009/88A IT1217842B (it) 1988-06-17 1988-06-17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vetri organici
IT21009A88 1988-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401A KR900000401A (ko) 1990-01-30
KR920009619B1 true KR920009619B1 (ko) 1992-10-22

Family

ID=1117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366A KR920009619B1 (ko) 1988-06-17 1989-06-17 유기유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128384A (ko)
EP (1) EP0346996B1 (ko)
JP (1) JPH0238410A (ko)
KR (1) KR920009619B1 (ko)
AT (1) ATE108462T1 (ko)
AU (1) AU613766B2 (ko)
DE (1) DE68916712T2 (ko)
ES (1) ES2056192T3 (ko)
IT (1) IT1217842B (ko)
MX (1) MX1699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0244B1 (en) 1986-01-28 2004-05-04 Q2100, Inc. Plastic len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6201037B1 (en) * 1986-01-28 2001-03-13 Ophthalmic Research Group International, Inc. Plastic lens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5415816A (en) 1986-01-28 1995-05-16 Q2100, Inc.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lastic lenses
GB9011785D0 (en) * 1990-05-25 1990-07-18 Unilever Plc Fabric treatment compositions
JPH05140441A (ja) * 1991-11-25 1993-06-08 Nippon G Ii Plast Kk 艶消し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514214A (en) 1993-09-20 1996-05-07 Q2100, Inc. Eyeglass lens and mold spin coater
US6022498A (en) 1996-04-19 2000-02-08 Q2100, Inc. Methods for eyeglass lens curing using ultraviolet light
US6280171B1 (en) 1996-06-14 2001-08-28 Q2100, Inc. El apparatus for eyeglass lens curing using ultraviolet light
US5952441A (en) * 1997-12-30 1999-09-14 Ppg Industries Ohio, Inc. Partially polymerized mixture of diethylene glycol (allyl carbonate) compounds
ITMI20030758A1 (it) * 2003-04-11 2004-10-12 Great Lakes Chemical Europ Composizione liquida polimerizzabile in vetri organici dodati di buone proprieta' ottiche e fisico-meccaniche.
ITMI20030759A1 (it) * 2003-04-11 2004-10-12 Great Lakes Chemical Europ Composizione liquida polimerizzabile in vetri organici con bassa colorazione e buone proprieta' fisico-meccaniche.
JP4369194B2 (ja) * 2003-09-30 2009-11-18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ITUA20162086A1 (it) 2016-03-29 2017-09-29 Mitsui Chemicals Inc Composizione polimerizzabile a base di monomeri allilcarbonato, prodotto polimerizzato ottenibile da detta composizione e relativi usi.
FR3057868B1 (fr) * 2016-10-26 2018-10-26 Arkema France Composition a base de monomeres allyliques et de peroxyde(s) pour la fabrication de verres organiqu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20784C3 (de) * 1974-04-29 1979-02-1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urch energiereiche Strahlen vernetzten Formkörpern aus Polyolefinen
US4561951A (en) * 1982-11-26 1985-12-31 Neckers Douglas C Method for polymerizing a bis(allyl carbonate)
US4623708A (en) * 1985-03-01 1986-11-18 Coburn Optical Industries, Inc. Prepolymerization of monomer compositions containing diethylene glycol bis(allyl carbonate)
US4620954A (en) * 1985-06-07 1986-11-04 Ciba Vision Care Corp. Hydrogel from ultraviolet-initiated copolymerization
IT1207518B (it) * 1985-12-19 1989-05-25 Enichem Sintesi Composizione liquida e polimerizzabile per la produzionedi sostituiti di vetri ottici.
IT1223527B (it) * 1987-12-18 1990-09-19 Enichem Sintesi Composizione liquida polimerizzabile in vetri organici dotati di basso assorbimento d'acqua e di elevata stabilita' term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17842B (it) 1990-03-30
US5128384A (en) 1992-07-07
JPH0238410A (ja) 1990-02-07
ATE108462T1 (de) 1994-07-15
KR900000401A (ko) 1990-01-30
DE68916712T2 (de) 1995-03-02
MX169951B (es) 1993-08-02
AU613766B2 (en) 1991-08-08
EP0346996A2 (en) 1989-12-20
IT8821009A0 (it) 1988-06-17
ES2056192T3 (es) 1994-10-01
AU3636789A (en) 1989-12-21
DE68916712D1 (de) 1994-08-18
EP0346996A3 (en) 1991-03-20
EP0346996B1 (en) 1994-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619B1 (ko) 유기유리 제조방법
US481254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bstitutes for optical glasses and polymerizable liquid composition suitable to that purpose
US4912185A (en) Cross-linkable casting compositions
EP3436489B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based on allyl carbonate monomers, polymerized product obtainable from said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IE913269A1 (en) Copolymerization process and optical copolymer produced therefrom
JPH0440366B2 (ko)
JP2613785B2 (ja) 重合可能な液状組成物
JP2840947B2 (ja) 液状組成物
US4835233A (en) Liquid polymerizable compositions for the production of substitutes for optical glasses
EP1208124B1 (en) Liquid composition polymerizable into organic glass having good optical and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US4713433A (en) Liquid and polymerizable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organic glasses endowed with high abrasion strength
EP1124787B1 (en) Liquid composition polymerizable into organic glasses having good optical and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KR100819998B1 (ko) 광변색성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광학제품
KR900007767B1 (ko) 고마모강도의 유기질 안경제조방법
ITMI982563A1 (it) "composizione liquida polimerizzabile in vetri organici ad elevacoindice di rifregerazione"
JPH0284409A (ja) 重合可能な液状組成物
IT9020432A1 (it) Composizione liquida polimerizzabile in vetri organici a bassa colorazione e ad elevato indice di rifr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