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185Y1 - 건설장비의 슬라이딩식 콘트롤 스탠드 - Google Patents

건설장비의 슬라이딩식 콘트롤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185Y1
KR920007185Y1 KR2019890011685U KR890011685U KR920007185Y1 KR 920007185 Y1 KR920007185 Y1 KR 920007185Y1 KR 2019890011685 U KR2019890011685 U KR 2019890011685U KR 890011685 U KR890011685 U KR 890011685U KR 920007185 Y1 KR920007185 Y1 KR 920007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tand
stand
work lever
fixing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1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408U (ko
Inventor
박종욱
윤여현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1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185Y1/ko
Publication of KR910004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1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설장비의 슬라이딩식 콘트롤 스탠드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건설장비 운전실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콘트롤 스탠드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상부 콘트롤 스탠드의 전후 이동작동 상태도.
제5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하부 콘트롤 스탠드의 전후 이동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전석 2 : 하부 콘트롤 스탠드
3 : 작업레버 4 : 상부 콘트롤 스탠드
5, 31 : 고정볼트 6 : 콘트롤 스탠드
7, 7', 41, 41' : 고정부 8, 8', 42, 42' : 장공
9, 9', 10, 10', 33, 33', 34, 34' : 와셔 11, 35 : 스페이서
20 : 받침판
본 고안은 건설장비에 있어서, 각종 계기 및 작업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 스탠드(Control stand)의 위치를 전·후 이동 조절하여 작업레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량한 건실장비의 슬라이딩식 콘트롤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설장비는 그 조절기구가 기계식으로 작동 되도록 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소형으로 부터 대형의 굴삭기에 이르기까지 유압을 이용하는 파일로드(pilot) 방식이 채택되어 양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에는 기계구조상 길이가 긴 작업레버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으나 파일로트 유압조절방식이 채택되면서 부터는 작업레버의 크기를 상당히 작게하여 운전석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 스탠드의 상부전측에 설치하여 운전자들이 편리하게 굴삭기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콘트롤 스탠드는 그 자체가 운전석 바닥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레버의 위치 이동조절이 불가능한바, 신체조건이 굴삭기의 운전석 조건과 맞지 않는 운전자의 경우에는 고정된 작업레버의 위치에 운전자가 맞추어 가면서 운전을 해야 함으로써, 육체적으로 많은 피로를 느끼게하고 이에 따른 작업능률 저하 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신체조전을 갖는 운전자들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작업레버의 위치를 임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데에 인식하여, 작업레버가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콘트롤 스탠드를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본 고안의 슬라이딩식 콘트롤 스탠드 장치를 안출하게 되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석(1) 양측의 바닥면(20)에 하부 콘트롤 스탠드(2)가 설치되고 그 상부로 상면에 각종 계기가 부착되고 전측에 작업레버(3)가 설치되는 상부 콘트롤 스탠드(4)가 고정되는 통상의 건설장비 콘트롤 스탠드(6)에 있어서, 하부 콘트롤 스탠드(2)의 상부 내측으로 끼워지는 상부 콘트롤 스탠드(4)의 하단 고정부(7)(7') 전·후측에 각각 장공(8)(8')을 천공하고 그 고정부(7)(7')의 장공(8)(8') 내외측에는 와셔(9)(9')(10)(10')를 두고 중앙부로 스페이서(11)를 개재시켜 고정볼트(5)를 체결하는 한편, 바닥면(20)에 고정된 브라켓(30)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하부 콘트롤 스탠드(2)의 하단 고정부(41)(41') 전, 후측에 상기와 같은 장공(42)(42')을 천공하고 그 고정부(41)(41')의 장공(42)(42') 내외측에 와셔(33)(33')(34)(34')를 두고 중앙부로 스페이서(35)를 개재시켜 고정볼트(31)를 체결하여서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은 주행레버이고, 13은 너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콘트롤 스탠드(6)를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에 설치된 작업레버(3)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이용하여 작업레버(3)의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2가지 수단으로 행할수 있는데, 첫째 콘트롤 스탠드(6) 전체를 이동시켜 작업레버(3)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볼트(31)의 너트(32)를 풀어 이완시킨후, 하부 콘트롤 스탠드(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하부 콘트롤(2)는 고정부(41)(41')의 장공(42)(42')의 길이 범위내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하부 콘트롤 스탠드(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음 다시 고정볼트(31)의 너트(32)를 조이게 되면 작업레버(3)의 전방위치 이동조절을 할 수 있으며, 둘째 상부 콘트롤 스탠드(4)만을 이동시켜 작업레버(3)의 위치 조절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고정볼트(5)의 너트(13)를 풀어 이완시킨후, 상부 콘트롤 스탠드(4)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부콘트롤 스탠드(4)는 고정부(7)(7')의 장공(8)(8')의 길이 범위내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상부 콘트롤 스탠드(4)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음 다시 고정볼트(5)의 너트(13)를 조이게 되면 작업레버(3)의 전방위치 이동조절이 완료되는 것이다.
반대로 작업레버(3)의 위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고정볼트(31)의 너트(32)를 풀어 이완시킨후, 하부 콘트롤스탠드(2)를 후방으로 알맞게 이동시킨 다음 다시 고정볼트(31)의 너트(32)를 체결하는 수단으로 콘트롤 스탠드(6) 전체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고정볼트(5)의 너트(13)를 풀어 이완시킨후 상부콘트롤 스탠드(4)만을 후방으로 알맞게 이동 시킨다음 다시 고정볼트(5)의 너트(13)를 체결하는 2가지 수단으로 간단히 작업레버(3)의 위치를 후방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부 콘트롤 스탠드(21)와 하부 콘트롤 스탠드(2), 하부 콘트롤 스탠드(2)와 브라켓(30)의 연결부위를 상호 전, 후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게 구성하였는바, 작업레버(3)의 위치 이동이 크게 요구되는 경우에는 하부 콘트롤스탠드(2)를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후 상부 콘트롤 스탠드(4)를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재차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작업레버(3)의 위치 이동거리를 크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서는 작업레버(3)의 위치 조절거리가 작아도 되는 경우에는 상부 콘트롤스탠드(4)와 하부 콘트롤 스탠드(2)의 연결부위를 완전 고착시킴으로써 작업레버(3)의 위치 조절시 콘트롤 스탠드(6) 전체를 전, 후 이동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하부 콘트롤 스탠드(2)와 브라켓(30)의 연결 부위를 완전 고착시킴으로써, 작업레버(3)의 위치조절시 상부 콘트롤 스탠드(6)만을 전, 후 이동시켜 작업레버(3)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상부 및 하부 콘트롤 스탠드를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에 설치되는 작업레버의 위치를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조절 할 수 있는 바, 굴삭기의 운전시 운전자의 육체적 피로를 경감시키고 이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킬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운전석(1) 양측의 바닥면(20)에 하부 콘트롤 스탠드(2)가 설치되고 그 상부로 상면에는 각종 계기가 부착되고 전측에 작업레버(3)가 설치되는 상부 콘트롤 스탠드(4)가 설치되는 통상의 건설장비 콘트롤 스탠드에 있어서, 하부 콘트롤 스탠드(2)의 상부 내측으로 끼워지는 상부 콘트롤 스태드(4)의 하단 고정부(7)(7') 전·후측에 각각 장공(8)(8')을 천공하고, 그 고정부(7)(7')의 장공(8)(8') 내외측에는 와셔(9)(9')(10)(10')를 두고 중앙부로 스페이서(11)를 개재시켜 고정볼트(5)를 체결하는 한편, 바닥면(20)에 고정된 브라켓(30)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하부 콘트롤 스탠드(2)의 하단 고정부(41)(41') 전·후측에 상기와 같은 장공(42)(42')을 천공하고, 그 고정부(41)(41')의 장공(42)(42') 내외측에 와셔(33)(33')(34)(34')를 두고 중앙부로 스페이서(35)를 개재시켜 고정볼트(31)를 체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실 장치의 슬라이딩식 콘트롤 스탠드.
KR2019890011685U 1989-08-07 1989-08-07 건설장비의 슬라이딩식 콘트롤 스탠드 KR920007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685U KR920007185Y1 (ko) 1989-08-07 1989-08-07 건설장비의 슬라이딩식 콘트롤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685U KR920007185Y1 (ko) 1989-08-07 1989-08-07 건설장비의 슬라이딩식 콘트롤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408U KR910004408U (ko) 1991-03-19
KR920007185Y1 true KR920007185Y1 (ko) 1992-10-08

Family

ID=1928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1685U KR920007185Y1 (ko) 1989-08-07 1989-08-07 건설장비의 슬라이딩식 콘트롤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1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408U (ko) 199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185Y1 (ko) 건설장비의 슬라이딩식 콘트롤 스탠드
JPS6299525A (ja) モ−タグレ−ダのサドル構造
KR930000285B1 (ko) 초소형 셔블카용 좌석장치
JP2008011930A (ja) 建設機械のアームレスト
US1629381A (en) Automobile pedal
JP2007092284A (ja) 作業車
JPH06230841A (ja) 油圧アクチュエータ制御用ペダル装置
JP2006298540A (ja) 操作桿装置
JPH0635356U (ja) 運転席のアームレスト
JP2569991Y2 (ja) 安全ロックレバー装置
JP4589556B2 (ja) 操作ノブの位置調整装置
JPH07331703A (ja) 産業用車両の操作レバー装置
JPH07292724A (ja) バックホウの操縦部構造
JP2001209447A (ja) 操作ノブの位置調整装置
KR970000167Y1 (ko) 토건 중장비 주행 변속레버의 틸팅장치
KR0134275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중장비용 팔걸이
KR940008301Y1 (ko) 트랙터용쟁기틀체의 편심이동유압장치
JP2536418Y2 (ja) 産業機械における作業機の操作装置
JPH0122731Y2 (ko)
JP2017143788A (ja) 作業車両
JPS6145769Y2 (ko)
JPH0642410Y2 (ja) 作業車輛におけるモノレバ−装置
KR910006880Y1 (ko) 차량용 액압 마스터 실린더의 장착구조
JPH035942Y2 (ko)
JPH01167453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