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469B1 - 직물의 텍스쳐 가공방법과 그 제품 - Google Patents

직물의 텍스쳐 가공방법과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469B1
KR920006469B1 KR1019850007134A KR850007134A KR920006469B1 KR 920006469 B1 KR920006469 B1 KR 920006469B1 KR 1019850007134 A KR1019850007134 A KR 1019850007134A KR 850007134 A KR850007134 A KR 850007134A KR 920006469 B1 KR920006469 B1 KR 920006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fluid
fabric
lea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612A (ko
Inventor
에버리지 윌밴크스 차알즈
새들러 러브 3세 프랭클린
윌리암 길패트릭 마이클
Original Assignee
미리켄 리서어치 코오포레이션
포올 부이 마아틴 쥬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리켄 리서어치 코오포레이션, 포올 부이 마아틴 쥬니어 filed Critical 미리켄 리서어치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6000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04H1/49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for formation of patterns, e.g. drilling or rearrange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물의 텍스쳐 가공방법과 그 제품
제1도는 직물의 절단면이 솔레노이드(solenoid)나 공기밸브 조절하에서 왕복 액체 제트(Jet)에 의해 패턴(pattern)되거나 텍스쳐 가공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2도는 단일제트의 오리피스(orifice) 조립체의 측면도.
제3도는 직물의 연속웨브(web)가 솔레노이드나 공기밸브 조절하에서 왕복 액체 제트에 의해 패턴되거나 텍스쳐 가공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4도는 제3도 장치의 개략적인 설계도.
제5도는 각각의 솔레노이드나 공기 실린더 조절하에서 복수제트가 직물의 웨브를 패턴하거나 텍스쳐 가공하는데 사용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6도는 제5도 장치의 게략적인 투시도.
제7도는 제5도와 제6도 장치에 사용하기 적절한 오리피스 조립체의 단면도.
제8도는 직물의 절단면이 제트와 직물표면 사이에 삽입되는 스텐실(stencil)반대편에 위치한 왕복 액체제트에 의해 패턴되거나 텍스쳐 가공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9도는 액체 제트의 배열이 실린더 형태로 스텐실 내부에 위치하고 교대로 직물 표면에 인접하게 될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10도는 제9도 장치의 개략적인 투시도.
제11도 내지 제32도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장치의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
제11도 및 제12도는 가요성 리이드(flexible reed)(58)가 피스톤(60)의 행동에 의해서 유체 제트의 통로속으로 추진될 때,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장치의 절단 입면도.
제13도는 선 XⅢ-XⅢ를 따라 절단된, 제11도 장치의 부분 만면도.
제14도는 일반적으로 다중 리이드 배열의 반대쪽쌍이 조밀한 공간의 다중 액체 지류가 되도록할 때, 제11도 및 제13도에 묘사된 발명을 실시하는 장치의 부분 절단 입면도.
제15도는 제14도 장치에 사용된 다중 리이드 배열의 투시도.
제16도는 리이드가 지류를 방해하기 위하여 액체 지류 통로속으로 추진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제14도 장치의 단면도.
제17도는 일반적으로 반대쪽 하중 리이드 배열의 동요위치를 나타내는, 제14도를 선XVⅡ-XV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18도는 평판면내의 평행 흠이지류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반면 일반적으로 반대쪽 하중 리이드 배열이 이지류를 방해하는데 사용될 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의 부분 단면 투시도.
제19도는 유체 지류의 초기 형성과 관계있는 장치의 부분을 더 상세히 묘사하는, 선 IXX-IXX 따라 절단한 제18도 장치의 단면도.
제20도 및 제21도는 피스톤 또는 플런저가 캔틸레버 튜우브의 자유단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목적 가공물상 또는 장벽에 대해 인도되는 튜우브에 의해 지류를 형성시키게 하고, 캔틸레버에서 유체 다기관으로 부터 연장되는 견고한 튜우브의 구멍을 통하여 유체를 분출시켜 유체 지류가 형성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입면도 ; 제21도는 이 차단동작을 설명함.
제22도는 견고한 캔틸레버 튜우브의 구멍을 통하여 유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지류를 형성할 때, 다중 유체지류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를 설명한 부분 단면 입면도.
제23도 및 제24도는 제22도의 각각 선 XXⅢ-XXⅢ와 XXIV-XXIV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25도 및 제26도는 제22도 내지 제24도에 설명된 캔틸레버 튜우브 형태로부터 초래되는 지류형성과 지류 차단동작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제24도를 선 XXV-XXV을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
제27도는 복수-튜우브 배열의 로울 축(21)에 따라 지류의 선형밀도를 더 크게 할때, 제22도에 묘사된 구체적인 부분의 부분단편 입면도.
제28도는 튜우브(136)의 옵셋(offset)위치를 보여주는 제27도를 선 XXVⅢ-XXVⅢ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29도는 조절유체의 횡단지류가 홈(166)에 형성된 유동지류를 방해하는데 사용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투시도.
제30도는 제29도를 선 XXX-XXX를 아라 절단한 단면도.
제31도는 조절지류를 강화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제30도 장치의 입구와 배출 캐비티(discharge cavities)의 확대 단면도.
제32도는 제31도를 선 XXXII-XXX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33도 및 제34도는 각각 반사광과 투시광을 사용한 실시예 1의 패턴 직물표면의 현미경 사진(1.9배).
제35도 및 제36도는 각각 반사광과 투시광을 사용한 실시예 1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37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2의 패턴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9배).
제38도는 왼쪽부분을 처리한, 실시예 2의 직물 표면의 정밀 전자 현미경 사진(17배).
제39도 및 제40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3의 패턴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각각 1.9배와 10배).
제41도 및 제42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3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각각 1.9배와 10배).
제43도와 제44도는 윗끝 부분을 처리하고, 각각 반사광과 투시광을 사용한, 실시예 4의 패턴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45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4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46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5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47도는 투시광을 사용한, 실시예 5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9배).
제48도 및 제49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6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각각 1.9배와 10배).
제50도는 투시광을 사용한, 실시예 6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51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6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52도는 투시광을 사용한, 실시예 7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9배).
제53도 및 제54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7의 직물 표면과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55도 및 제56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8의 직물 표면과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57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9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9배).
제58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9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59도 및 제60도는 각각 반사광과 투시광을 사용한 실시예 10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9배).
제61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0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62도 및 제63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1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각각 1.9배와 10배).
제64도는 투시광을 사용한, 실시예 11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65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1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66도 몇 제67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2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각각 1.9배와 10배).
제68도는 투시광을 사용한, 실시예 12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69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2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70도 몇 제71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에 13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각각 1.9배와 10배).
제72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3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73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4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9배).
제74도는 왼쪽 상단부분을 처리하고,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4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75도는 우측 상단부분을 처리하고,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4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76도는 우측 하단부분을 처리한, 실시예 14의 직물 뒷면의 정밀 전자 현미경 사진(15배).
제77도 및 제78도는 우측부분을 처리하고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5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각각 1.9배와 10배).
제79도는 우측부분을 처리하고 투시광을 사용한, 실시예 15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80도는 우측부분을 처리하고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5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81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6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9배).
제82도 및 제83도는 각각 반사광과 투시광을 사용한, 실시예 16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84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6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85도 및 제86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7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각각 1.9배와 10배).
제87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7의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88도 및 제89도는 반사광과 투시광을 각각 사용한, 실시예 18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9배).
제90도 및 제91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8의 직물 표면과 직물 뒷면의 현미경 사진(10배).
제92도 및 제93도는 반사광을 사용한, 실시예 19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각각 1.9배와 10배).
제94도는 투시광을 사용하여, 실시예 19의 직물 표면의 현미경 사진(1.9배).
본 발명은 패터닝하거나 직물 표면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속 유체지류를 보냄으로써 직물, 편물 또는 결합직물의 촉감 또는 표면외관을 변경시키는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섬유산업은 상업적으로 실질적인 방법을 꾸준히 찾아왔다. 즉 섬유직물 특히 의류용이나 장식용으로 적절한 제직 또는 편직된 평직물 또는 파일(pile)직물을 패턴하거나 텍스쳐가공을 하거나 또는 기존방법을 통하여 경제성이 더 크고 다양한 매력적인 것으로 만들었으며 또는 독특하고 매력적인 방법에 의하여 이러한 직물을 패턴하거나 텍스쳐 가공을 하였다. 하기 특징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가지는 방법이 특히 가치가 있다.
1. 패턴되는 직물의 공정조건과 성질에 의존하는 여러가지 다른 패턴이나 텍스쳐 가공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특징.
2. 직물, 편물, 평직물, 파일직물, 식모(埴毛)직물, 피복직물과 같은 여러가지 다른 기질(基質)상에 장식적인 패턴 또는 텍스쳐 가공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특징.
3. 통상 접하는 장식적인 제직 또는 편직 시스템과 관련된 것과 초과되는 속도의 웨브 형태내에 섬유직물상에 장식적인 제직 또는 편직 효과를 현저히 낮은 비용으로 위장할 수 있는 특징.
4. 통상 접하는 엠보싱(embossing)시스템과 관련된 것보다 동등하거나 더 적은 비용으로 웨브형태내에 섬유직물을 패터닝하거나 텍스쳐 가공할 수 있는 특징.
5. 한 패턴 또는 직물을 생산시간 또는 생산비의 손실을 최소로 하면서 완전히 다른 패턴 또는 직물로 변형시킬수 있는 특징.
6. 전자식으로 발생하거나 저장되는 패턴 데이타를 사용하여 섬유직물을 패턴할 수 있거나 그렇게하여 직물을 숫자적으로 고쳐쓴 패턴 데이타로 부터 직접 패턴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
7. 패턴 반복 길이에 종래의 한계점이 없는 패턴을 가진 섬유직물을 패턴할 수 있는 특징.
본 발명에서 설명된 공정은 모든 상기 가능성을 가능하게 하며, 예를들어 물과 같은 작동 유체의 고속지류를 예정된 패턴에서 이들의 표면 외관 또는 표면 촉감을 물리적으로 변형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형태내에서 인터레이스(imerlace)되는 실제적인 연속사로 구성되는 직물 표면에 보내지는 공정이다. 유체지류의 크기, 지류속도, 직물 지지면의 성질등을 조절함으로써, 많은 다른 예기치 못한 패턴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예를들어 자카드-타입(Jacquard-type)제직 공정의 효과를 흉내내는 촉감의 차이를 가져오지만, 더 큰 속도와 휠씬 더 적은 비용으로 이러한 특수한 제직공정을 연관시킬 수 있다. 여러 엠보싱 로울이나 고온기체 엠보싱 시스템으로 얻어진 엠보싱효과와 유사한 효과가 엠보싱 매체를 가열할 필요없이 그리고 이와 관련된 비용을 들일 필요없이 또한 얻어질 수 있다. 다른 효과는 하기 설명과 첨부도면을 참고하면 분명해질 것이다. 작동 유체로서 여러가지 가열되지 않은 기체를 사용할 때에는 숙고해야 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공정은, 여러가지 유체 기류 조절수단과 여기에 설명된 방법과 연관시켜 사용할때, 전자식으로 저장되거나 발생되는 패턴를 가진 직물을 패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지류 조절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패턴 직물이 임의로 선택된 패턴 반복길이를 갖게 하고, 직물상에 위치한 패턴이 패턴장치의 시간을 감소시키지 않고 또 중요한 저장공간를 점유하는 "마스터스(masters)"페턴을 가질 필요도 없이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이 하기 설명과 첨부도면을 참고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공정를 실시하고 본 발명의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른 유체들이 대용(代用)된다할지라도 물을 선택하여 유체로서 사용하기로 한다. 펌프(8)은 바라는 속도와 압력으로 물이나 다른 작동 유체를 펌핑(pumping)할 수 있는 펌프이다. 단일 액체 지류가 사용되면, 펌프는 약 300psig부터 약 3000psig범위(즉 물지류 속도로 약 200-667f.p.s임)의 동적 압력에서, 약 0.003-약 0.03인치(inch)의 범위내의 최소 단면 차원을 가지는 단일 지류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비록 이 범위외의 지류크기와 지류압력 또는 속도가 어떤 조건하에서 장점이 있다고 증명되었다 할지라도 일반적으로 약 0.007-0.03인치 범위내에 있는 지름을 가진 둥근지류가 바람직하다. 이런 지류는 대부분의 섬유직물에서 인접한 실사이의 공간의 두배 크기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진다. 약 1000psig를 초과하는 동적 압력이 역시 바람직하다.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다중 지류를 동시에 사용하면 증가된 펌프 용량이 요구될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펌프(8)는 통로(4)와 필터 조립체(6)를 통해 바라는 작동 유체 즉 물의 소스(2)(source)에 연결시킨다. 필터 조립체(6)은 하기 상세히 설명한 여러 오리피스 조립체를 막히게할 수 있는 작동유체로부터 불필요한 입자물질을 제거하도록 고안되었다. 또한, 부수적인 필터가 사용되며 하기에 논의된다. 펌프(8)의 고압 배출물은 고압통로(10,10A)를 통해서, 고속 유체 오리피스 조립체(12)로 공급된다. 단순형태에서, 오리피스 조립체(12)는 원하는 단면 모양과 면적의 유체지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크기의 단일 오리피스를 갖는 통로(10A)의 적절한 종점이다. 그리고 이것은 제2도에서 묘사된 바와같이 원하는 압력으로 안전하게 작동할 것이다. 통로(10,10A)는 원하는 유체압력과 유속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고 오리피스 조립체(12)가 처리될 기질에 대해 원하는 대로 위치할 수 있는 충분한 가요성(可搖性)이나 견고성을 가질 수 있는 적절한 통로이다.
오리피스 조립제(12)에 인접해 있는 로울(20)이 있고 이 위에 패턴되는 섬유직물이 놓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로울(20)은 고체로 되고 매끄럽고 구부러지지 않는 표면(즉 매끄러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을 갖고 특수 처리 형성된 표면을 갖는 로울은 선택된 기질상에 어떤 특수한 효과를 달성하는데 유용하다. 예를들어 윤곽이 있는 표면의 로울을 사용하면 기질상에 로울 표면 윤곽에 따른 패턴 효과를 초래한다고 밝혀쳤다.
로울(20)과 관련된 직물(25)은 로울(20)의 주위에 팽팽하게 싸여있고 제1도에 설명한 것과 같이 양끝에 부착된 직물 단면의 형태로 있게 되거나 다음 도면(26)에 묘사된 로울(20)의 부위에 대하여 위치하는 연속적인 웨브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직물(25)상에 패턴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직물과 오리피스 조립체(12)로부터 흘러나오는 고속 유체지류와의 접촉이 설정되어야 하고 원하는 패턴에 상응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어떤 직물 표면상에 미리 형성된 고속 유체지류가 직접 충돌되는 것을 막기위한 어떤 적절한 수단이 사용된다. 바람직한 제법이 제1도 내지 제31도에 묘사되었고, 하기에 상세히 논의하였다.
우선 제1도에 나타난 지류방해나 조절방법을 살펴보면, 제1도는 텍스쳐 가공 및 패턴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내며, 이안의 오리피스 조립체(12)는 단일 고속 유제 제트(18)를 이루며 왕복 테이블(14)과 관련이 있다. 테이블(14)은 오리피스 조립체(12)를, 정밀하게 조절하고 재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직물(25)의 단면에 부착된 로울(20)의 축에 평행하게, 로울(20)의 원주 양쪽에 견고히 부착된 슬리브(sleeve)형태나 작은 단면의 형태로, 제거해야 한다. 오리피스 조립체(12)는 제2도에서 묘사된 바와같이, 적절한 고압통로(10A)의 말단에 적절한 크기의 단일 오리피스를 갖는 고압캡(13)을 설치함으로써 구성된다. 물론 하기 논의된 바와같이 보다 더 정교한 오리피스 조립체를 사용할 수 있다.
통로(10,10A)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유체밸브(16)는 밸브(16)와 오리피스 조립체(12)와의 사이에 통로(10A)의 길이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 오리피스 조립체(12)에 인접하여 바람직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밸브(16)는 전기적으로, 공기에 의해,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한 실시에 있어, 밸브(16)는 민내아폴리스, 미네소타의 스킨너 밸브회사에 의해 모텔 V52H로서(Skinner Valve Company, a division of Honeywell,
Inc., of Minneapolis, Minnesota, as Model V52H) 판매된 형태인 전기적인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다. 이 밸브는 통로(10A)내의 유체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대로, 오리피스 조립체(12)의 상단지류에 설치한다.
작동시, 물과 같은 작동유체는 유체원(2)으로부터 필터장치(6)를 통해 밸브(16)까지 펌프(8)에 의해 펌핑된다. 오리피스 조립체(12)의 정반대 방향인 직물(25)의 부분이 처리된다면, 밸브(16)는 전기적인 또는 공기에 의한 명령신호에 의해 열려지고, 고압수가 통로(10A)를 통과하여 물의 가늘고 고속인 제트 (18)가 형성되어 직물(25)에 도달하는 오리피스 조립체(12)까지 통과되도록 한다. 원하는 패턴이 제트(l8)가 직물(25)에 충돌되지 않는 것을 요구할때, 적절한 전기적인 또는 공기에 의해 전달된 신호가 밸브(16)를 차단하게 된다. 제트(18)하의 직물표면의 원하는 면적을 위치시키는 것을 로울(20)의 회전위치와 왕복테이블(14)의 전달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며 성취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 조절을 통해 바람직하게 이룩될 수 있다.
적절한 지시 수단이 디지탈 신호를 통해 로울(20)의 정확한 회전위치과 왕복테이블(14)의 측면 위치를 규정하는데 사용된다면, 컴퓨터는 미리 프로그램된 패턴 데이타에 따라 밸브(16)의 지시를 개폐하는데 사용된다. 왕복테이블(14)이 로울축을 따라, 선형증가단계로, 비교적 서서히 이동하는 동안에, 로울(20)이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만들어 지거나, 또는 바람직하게, 왕복 테이블(14)이 로울(20)의 각각의 증가회전이동에 대해 직물면을 통과하는 동안에, 로울(20)이 주기적으로 이동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를 생각해야 한다. 후자의 기술이 사용된다면, 직물(25)은, 제3도 및 제4도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로울(21)을 통과하는 웨브(26)의 형태로 되고, 그 자체가 상업적으로 좋은 생산방법이다.
필요하다면, 하중 제트 배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오리피스 조립체가 단일 제트 오리피스 조립체(12)로 대치될 수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대부분의 상업적인 적응에 있어, 특히 컴퓨터 조절이 이 시스템에서 필요한 하중 밸브와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면, 이는 바람직하게 실시되며,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같다.
제5도 내지 제7도에 묘사된 바와같이, 하중 제트 배열 오리피스 조립체(32)는, 웨브(26)가 로울(21)로 통과할 때, 직물 웨브(26)의 표면에 인접된다. 배열 조립체(32)는 충분히 넓어서 웨브(26)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고, 또는 웨브(26)의 폭의 밑부분을 구성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에, 전폭을 카바(cover)하기 위하여, 상기 논의된 바와같이, 왕복 테이블이나 다른 수단이 사용될 것이다. 상응하는 통로(10A)내에 위치한 배열 조립체(32)내의 관련된 각각의 오리피스는(16A)로 도시된 배열조립체(32)내의 각각의 오리피스로부터 발산하는 고속유체지류를 방해하거나 조절하는 원격분리 작동밸브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이러한 밸브는 전기적인, 공기에 의한 것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압축 유체를 안전하고 적극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어떤 만족스런 종래의 방법대로 설치될 것이다. 수력축적기 또는 발라스트 탱크(ballast tank)(30)는 펌프(8)와 밸브(16A)의 배열사이에 삽입한다. 이 탱크(30)를 사용하여, 펌프(8)를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약간 작은 용량으로 특징한다. 모든 제트가 주어진 단시간동안 분출될때와 같이, 고압 액체의 단시간의 필요는 탱크(30)내에 저장되거나 축적된 용량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7도는 로울(21)의 표면에 수직이고 조립체(32)내의 오리피스를을 양분하는 배열 조립체(32)의 단면도이다. 오리피스블록(34)은 구멍을 뚫어 블록(34)을 넘어 연장하며 각각 공급통로(10A)에 연결될 수 있는 튜우브(35)로 설치한다. 오리피스 플레이트(Plate)(33)는 제트 배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렴통로(36)가 되게 구멍을 뚫는다.
제8도에 설명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에 있어서, 스텐실은 단일제트나 제트 배열과 직물(25)사이에 삽입시켜 상기의 열린 밸브를 대신하여 액체 지류를 방해한다. 제8도에 나타난 형태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적절한 플라스틱 또는 처리되지 않은 직물면적을 가릴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믈질로 구성된 슬리브형 스텐실(40)을 로울(20)에 부착된 직물조각(25)위에 고정시킨다. 필요하다면, 왕복장치(14)는, 스텐실과 직물이 로울(20)위에 함께 회전될 때, 스텐실(40)의 표면을 가로질러 조립체(12) 또는 조립체(32)에서 형성된 고속유체제트 또는 고속유체제트들을 이동하는데 사용된다. 충분히 넓은 다중 제트 배열이 사용된다면, 왕복수단(14)은 불필요하다. 유체지류는 스텐실(40)내의 아퍼쳐(Aperture)에 의해 허용될 경우에만 직물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선택적이고 바람직한 스텐실 실시에 있어, 스텐실은 이동웨브의 형태로 직물이 패턴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제9도 및 제10도는 실린더형의 스텐실(40A)내의 (32)에 나타낸 바와같이 다중 제트 배열 오리피스조립체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형태를 보여준다. 이 형태에서 오리피스 조립체(32)는 스텐실(40A)의 전폭을 가로질러 뻗을 수 있고 반대로 직물 웨브(26)의 전폭을 가로질러 뻗을 수 있는 제트배열을 구성한다. 오리피스 조립체(32)는 실린더형의 스텐실(40A)의 내면에 아주 인접하게 위치시키고, 스텐실(40A)의 바깥 표면은 직물웨브(26)의 표면에 아주 인접하게 직접 접촉시켜 위치시킨다. 보이지 않는 장치는 직물웨브(26)의 운동과 일치하게 스텐실(40A)의 원활한 회전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예를들어 이것은 실린더형 스텐실(40A)의 한쪽 또는 양쪽 끝과 관계있는 링 기아(ring gear)상에 작동하는 적절한 기아 트레인(gear train)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단일 또는 다중 제트 배열이 직물웨브(26)의 전폭이 처리될 수 있도록 실린더형 스텐실(40A)내에서 왕복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이같은 왕복 제트 또는 제트 배열을 사용하면 상기와 같이 직물 웨브(26)의 증가운동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제트까지 작은 왕복 측면운동(예를들어 쇼깅(shogging))을 생각해보면, 직물상에 보다 더 완전하거나 편평한 표면이 주어진 제트 크기에 대해 얻어질수 있다. 패턴정보에 대해 직물표면상에 고속액체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류의 충돌을 선별적으로 방해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충돌을 조절하는 다른 방법은 하기에 설명된다.
제11도 내지 제13도는 전기적인 명령신호에 따라 물과 같은 가늘고 고속인 유체지류를 방해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의 여러 도면이다. 통로(10A)는, 적절한 가느다란 연결관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U"-자형 오리피스 블록(50)에 원하는 압력과 유속으로 물 또는 다른 액체를 공급한다. 블록(50)내에 입구 캐비티(cavity)(52)를 파고, 이 끝에서 블록(50)의 반대면과 캐비티(52)를 연결하는 구멍(54)을 뚫는다. 구멍(54)는 조절되는 소망의 유체 지류 단면에 따라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화 된다. 오리피스 블록(52)과 관련된 스프링 모양의 리드 조립체(58)는, 제13도와 같이, 금속쐐기와 같은 가요성 물질의 편평하고 가느다란 부분으로 구성되어, 단지 하나만이 표시되어 있는 볼트(56)에 의해 조립체(58)의 일부분의 각끝에서 보호된다. 리이드 조립체(58)는 구멍(54)이 있는 블록(52)의 내부면에 부착된 편평한 중심부를 가지며 구멍(54)으로부터 유체제트가 방해를 받지 않고 통과할 수 있는 아퍼쳐(59)를 가진다. 리이드 조립제(58)는 또한 구멍(54)에 의해 형성된 액체지류의 통로와 일치되며 평행하게 직접 연장될 수 있는 편평한 캔틸레버 부분을 가지고 있다. 리이드 조립체(58)는 리이드 조립체(58)의 캔틸레버 부분의 자유로운 말단이, 플런저(60)의 작동에 의한 것과 같이, 구멍(54)으로부터 분출되는 고속 액체지류의 경로속으로 추진되도록 하기 위하여 오리피스 블록(50)내에 위치되어야 한다. 상대적으로 고속인 속도의 액체 제트가 리이드 조립체(58)의 튀어나오는 자유말단부분을 때릴때, 제트는 일치하는 지류처럼 편향되거나 분산되는 것처럼 보인다. 즉 조밀한 안개가 형성되어 액체줄기의 외관이 거의 남아있지 않는다. 플런저(60)가 후퇴할때, 리이드 조립체(58)의 자유말단상의 액체의 충돌은 극히 빠른 대응시간으로 액체 제트의 길위에 원래의 위치대로 회복되는 것을 돕는다.
플런저(60)는 충돌 프린터(printer)에 사용된 형태의 전기적으로 조절되는 솔레노이드(62)에 의해 작동되며, 솔레노이드(62)는 전기적으로 공급되는 패턴정보에 따라 작동된다. 물른 패턴정보에 대한 공기압력을 조절하는 수단과 관련된 공기밸브 및 공기 실린더는 솔레노이드로 대치된다. 세트 스크류(set screw)(63)은 오리피스 블록(50)내에 솔레노이드(62)를 견고히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정반대편 구멍(54)은 아퍼쳐 플레이트(Aperture plate)(64)이며, 이를 봉하여 제트의 궤도안의 그 점에서 액체 제트의 단면차원보다 약간 더 큰 구멍(65)을 뚫는다. 볼트(55)장치에 의해 오리피스 블록(50)에 보호된 아퍼쳐 플레이트(64)는 제트의 경로안으로 리이드 조립체(58)의 자유말단을 강제도입함으로써 초래되는 제트의 나머지에 대한 용기벽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액체가 사용될때,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제트 액체를 버리는 드레인 통로(drain Channel) 또는 다른 수단이 어떤 편리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제14도 내지 제17도는 본 장치의 여러실시를 설명한다. 여기서 다중 제트는 제트 경로에 추진되는 플런저-활성리이드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조절된다. 제14도 내지 제17도에서, 제15도에 묘사된 것과 유사한 두 분리된 리이드 배열(81,82)은, 오리피스 블록(74)내에 구멍을 뚫거나 형성시킨 지류-형성 구멍 또는 오리피스(75)의 선형배열의 앞과 양쪽의 조절블록(79,80)내에 일반적으로 반대관계로 겹쳐 놓는다. 리이드 배열(81,82)의 편평하고 캔틸레버 부분은 구멍(75)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지류에 일치된다. 오리피스 블록(74)은 종래의 수단 예를들어 볼트(73)에 의해, 교대로 연결된 액체분포 다기관(多峽脅)(70)에, 가느다란 입구(72)와 필터 조립체(71)를 통해, 표시되지 않은 원하는 작동유체의 고압원(高壓頰)에 부착된다. 상단 및 하단 장벽 플레이트(88,89)는 리드배열(81,82)앞에 겹쳐지고, 제17도에 나타난 플레이트(88,89)내의 슬로트(slot)같은 컷-아웃(cut-out)은 배열(81,82)내의 각각의 리이드가 구멍(75)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제트에 연결하지 못할때마다 엑체제트가 직물(25), 로울(21), 또는 다른 목직물을 때리게 한다. 제16에 묘사된 바와같이, 플린저(84)의 연장은 각각의 리이드(81)를 각각의 구멍(75)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제트의 경로속으로 강제 도입되게 하여, 제트를 분산시키고 제트에 남아있는 것이 장벽 플레이트(89)를 때리게 한다.
제15도의 선 XVII-XVII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인 제17도에서과 같이, 배열(81,82)내의 각각의 리이드와 관련이 있고 일치된 개개의 명령-작동하는 플런저(84)뿐 아니라 리이드 배열(81,82)은 오리피스(75)배열의 각 측면상에 서로 엇갈린 관계로 위치시킨다. 이러한 배열은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인접한 제트가 효력을 잃게되는 조절블록(79,80)의 반대측으로부터 배열(81,82)내의 각각의 리이드를 끼워 넣게된다. 플런저(84)는상기 표현되고(86)에 나타난 솔레노이드와 같이 전자기적 수단, 공기에 의한 수단등에 의한 종래의 방법으로 활성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84)는 EPROM 또는 유사한 소스(source)에 의해 제공되는 계수 접속데이타에 대응하게 된다.
제18도 및 제19도는 제트-형성 구멍 또는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방법과 주로 관련이 있는 제14도, 제16도 및 제17도에 나타난 여러가지 장치를 묘사한다. "U"-자형 단면을 가진 슬로트 블록(90)은 용기블록(94)과 연결된 유체 다기관(91)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리이드 배열(81,82)에 가장 가까운 블록(90)의 넓은 상단면을 따라서, 원하는 엑체제트의 단면과 상응하는 깊이, 폭 및 윤곽를 갖는 균일한 공간의 평행한 슬로트 또는 홈(92)으로 잘라진다. 유체지류가 리이드 배열(81,82)의 작용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면, 홈(92)은 압축유체를 다기관(91)으로 내보내서 로울(21)을 때리게 한다. 편평한 용기블록(94)은 압력-저항, 유체 방관(tight seal)을 형성하는, 지지블록(98)을 통하여 확장되는 볼트(95)장치에 의해 블록(90)의 정상에 대해 압력을 받게된다. 필터(71)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같은 고압유체는, 종래의 적절한 가느다란 커플힝을 통해 블록(90,94)에 의해 형성된 다기관속으로 도입된다. 지지블록(98)을 통하여 연장되는 볼트(96)는 조절블록(79,80)에 대하여 블록(90,94)을 밀치시키고 보호하는 것을 도우며, 제14도 내지 제17도의 실시와 제19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리이드 배열(81,82), 플런저(84), 밸브(86) 및 장벽 판(88,89)을 집합적으로 구성한다. 조절블록(79,80)은 볼트(99)장치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지지블록(98)에 보호된다.
제20도 및 제21도는 계수화된 전기적 신호와 같이 외부적으로 공급되는 명령정보에 따라 가늘고, 고속인 유체지류의 충돌을 방해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장치의 여러 도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 가느다란 유체지류는 직물표면에 대한 것보다 오히려 장벽에 대한 유체를 전달하는 튜우브의 캔틸레버 말단근처에 작동하는 다른수단이나 피스톤 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편향된 단단하고 가느다란 캔틸레버 윌 튜우브(walled tube)를 통하여 유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통로는 원하는 압력과 유속으로, 적절한 연결관을 통해 캐비티 블록(110)까지 원하는 유체("작동"유체)를 공급한다. 블록(110)내에 다기관 또는 캐비티(112)가 놓여있다. 통로(114)는 구멍을 뚫거나 블록측면(110)에 놓이도록 한다. 이 통로는 만들어지는 원하는 유체지류의 크기와 모양에 상응하는 구멍크기와 모양을 갖는 견고하고 가느다란 윌 튜우브(walled tube)(116)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다. 원한다면, 블록(110)은두개의 짝을 이루는 형태로 만들어지며, 그래서 통로(114)는 구멍을 뚫기보다는 한쪽 또는 양쪽의 짝면을 홈을 파서 형성시킬 수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다른 적절한 물질로 만들어지는 튜우브(116)은 통로(114)속으로 삽입시키고, 작동유체와 관련되는 고압이 튜우브를 제거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작동유체를 누출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부착되어야 한다. 튜우브(116)은 튜우브(116)에 손상을 주지않고 작은 각도를 통하여 튜우브(116)의 자유말단부분이 편향되게 하기 위하여 충분한 거리로 로울(21)의 방향으로 통로(114)로부터 내밀어지도록 만들어진다. 튜우브(116)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플런저(120)는 플런저(120)가 연장될때마다 튜우브(116)의 편향을 야기시키기 위하여 튜우브(116)의 캔틸레버 또는 말단 가까이에 위치한다. 장벽 판(118)은 튜우브(116)의 말단의 약간 앞쪽에 부착하고, 제21도와 같이, 튜우브(116)이 플런저(120)에 편향될때마다 튜우브(116)에 의해 형성된 유체제트가 플레이트(118)의 상단부분을 때리도록 충분히 멀리 유체지류의 길을 향해 연장한다. 튜우브(116)가 편향되지 않을때마다, 결과 제트는 배리여 플레이트(barrier plate)(118)의 상단부분을 제20도와 같이 통과한다. 원한다면, 배리어 플레이트(118)의 형태는 튜우브(116)가 편향될때에만 제트가 배리어 플레이트(118)의 모서리를 통과하도록 변형된다.
배리어 플레이트(118)와 관련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처리하거나 재순환할 편향한 액체를 운반하는 드레인(drains)이 있다. 플런저(120)은 (122)로 묘사된 전기적인 솔레노이드, 공기 실린더 및 밸브,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한 종래의 방법으로 작동된다. 임의로, 튜우브(116)와 접촉하고 있는 플런저(120)의 끝은 튜우브(116)의 윤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즉 튜우브(116)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플런저(120)의 말단부분의 윤곽에도 불구하고, 튜우브(116)가 편향되지 않을때, 플런저(120)가 튜우브(116)에 접촉하거나 가까이 인접하는 점까지 연장되도록, 플런저(120)가 튜우브(116)를 편향하도록 연장될때, 운동이 거의 손실되지 않고 불필요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플런저(120)의 스트로크(stroke)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2도 내지 제28도는 제20도 및 제21도의 장치의 조작에 관련된 장치를 표시한 것이며 제20도 및 제21도에 묘사된 방법으로 형성된 제트 배열을 조절하기에 적절하다. 우선 제22도 및 제24도를 살펴보면, 작동유체는 고압통로(10A)(제24도)와 적절한 가느다란 연결관을 통하여, 오리피스 블록(130)의 길이를 따라서 형성된 통상의 실린더형 인풋 캐비티(input cavity)(132)속으로 도입된다. 각각 원하는 내부의 차원을 갖고 통상 로울(21)의 표면에 수직으로 위치한 튜우브(136)는 튜우브(136)의 외부의 차원과 일치하는 오리피스블록(130)내의 통로(134)에 부착된다, 튜우브(136)와 통로 (134)에 의해, 캐비터(132)내의 고압에서 유지된 유체는 직물(25), 로울(21)또는 다른 목직물의 표면방향으로 튜우브(136)을 통하여 전달된다.
튜우브(136)가 통로(134)를 통하여 캐비터(132)에 연장되는 것이,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바림직하다. 튜우브(136)는 오리피스 블록(130)에 직접 튜우브를 납땜하거나, 블록(130)내에 기계적인 홈에 안전하게 위치하도록 튜우브에 접판을 납땜하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통로(134)내에 보호된다. 튜우브(136)는 플런저(140)의 작동에 의해 작은 각도를 통하여 튜우브(136)의 편향이 튜우브(136)의 불필요한 변형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고안되어야 하며, 오리피스 블록(130)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연장해야 한다.
오리피스 블럭(130)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위치한 편향 프레임(deflection frame)(138)을 통하여 중공(牛空)플런저 가이드(guide)(141)에 의해 덮혀진 가요성 편향 플런저(140)가 도입된다. 플런저(140)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다른 적절한 물질로 구조된다. 플런저 가이드(141)는 원하는 대로 구부리고 모양을 변하게할 수 있도록 필요한 가요성을 가진 적절한 물질로부터 만들어진 적절한 구멍크기를 갖는 튜우브이다. 각 플런저(140)와 플런저 가이드(141)는 각각의 튜우브(116)와 관련되어 있고 상세히는 편향 프레임(138)에 의해 일치된다. 각 플런저(140)는 제23도 및 제25도와 같이, 편향되지 않은 위치에 튜우브가 있을 때에도 각각의 튜우브(136)와 접촉하도록 조절된다. 이렇게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응답시간이 증가되고, 플런저(14)와 각각의 튜우브(136)사이에 충격으로 유발된 진동이 제거되며, 튜우브(136)를 따라 생기는 다른 진동 또는 요동을 감소시킨다. 편향 프레임(138)은 역시 가이드와 같은 역할을 하며, 제23도와 같이, 편향과 회수 동안에 튜우브(136)의 운동을 일치시키게 한다. 플런저(140)는, 이를의 상대적인 크기 때문에, 플런저(140)가 튜우브(136)상에서 작동하는 지점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위치하는 밸브(142)에 의해 작동된다. 편리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22도 및 제24도와 같이, 편향 프레임(138)은 8개의 튜우브(136)를 갖는 오리피스 블록(130)의 부분과 함께 8개의 분리된 밸브/플런저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제24도와 같이, 비교적 넓은 로율표면위에 동시처리를 할수 있도록 가지런히 놓일 수 있는 유체조절모듈(module)을 형성한다.
작동시에, 제25도 및 제26도와 같이, 플런저(140)의 하나가 연장되지 않을때, 즉 튜우브(136)이 편향되지 않을때, 작동유체는 캐비티(132)으로부터 튜우브(136)을 통하여 고압으로 통과하고 배리어립(barrier lip)(144)을 때리게 되며, 여기서 유체 제트는 편향되고 분산되게 된다. 상용하는 밸브(142)와 플런저 가이드(141)를 통하여, 밸브(142)에 공급된 패턴 정보에 대응하는 것과 같이, 플런저(140)를 연장함으로써, 튜우브(136)가 약간 편향된다. 이는 튜우브(136)내에 불필요한 변형을 야기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지만, 튜우브(136)에 의해 형성된 제트가 배리어립(144)을 깨끗이 하고, 제26도와 같아, 로울(21)의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기에는 충분하다.
제27도 및 제28도는 상기 설명한 장치와 유사한 장치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제트 밀도(로울(21)면을 가로지른 선형거리마다의 제트의 수)가 높아야 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제22도 내지 제24도 장치의 제트 밀도는 2배로 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두개의 평행 튜우브 배열(136,136A)는 통로(134,134A)를 통하여 오리피스 블록(130A)속으로 삽입되며 챔바(chamber) 또는 다기관(132A)과 연결된다. 제22도의 편향 프레임(138), 플런저 배열(140), 플런저 가이드(14l), 밸브배열(142) 및 배리어 립(144)은 제22도의 장치 형태의 거울-상(mirrorimage)결합과 같이 보이는 "상/하(over/under)"장치를 각각 이루도록 그 짝 138A, 140A, 141A, 142A 및 144A로 구성된다. 반대편 튜우브 배여(136.136A)과 편향 프레임(138,138A)은 제28도와 같이 상대되어 로울(21)의 축 방향으로 부수적인 제트가 균일한 위치를 갖도록 한다. 편향되는 것과 같이, 제28도의 상단 및 하단 배열로부티 튜우브(136,136A)는 로울(21)의 축을 따라 직선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주시해야 한다. 이 엇갈린 배열은 이들의 편향위치에서 로울(21)의 표면에 튜우브(136,136A)의 비정상 배향을 만회하려고 한다. 플런저(140,140A)의 작동에 의해 우발된 작은 각도는, 플린저 확장 길이 등과 같은 로울(21)의 표면까지의 전거리를 적절히 조절할때, 엇갈린 튜우브(136,136A)에 의해 방출되는 제트가 완전히 일치하도록 로울(21)의 표면을 때리거나 로울에 대하여 위치한 기질(25)을 때리도록 하게 한다.
제29도 내지 제32도는 본 발명의 중요한 부분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고압 유체 지류의 유동을 형성하고 방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장치를 묘사한 도면이다. 제30도의 단면도와 같이, 통로(10A)는 필터(71,제29도)를 통하여 입구 다기관 블럭(160)내에 형성된 다기관 캐비티(162)로 고압 유체를 공급한다. 플랜지(164)는 다기관 블록(160)의 한 쪽을 따라 형성된다. 균일한 공간의 평행한 홈(166)이 플랜지(164)의 밑 속에서 잘라진다. 각각의 홈(166)은 캐비티(l62)로부터 플랜지(164)최전단까지 연장되고, 지류의 원하는 단면 차원에 상응하는 단면 차원을 가진다. 비교적 저압공기 또는 다른조절 유체의 지류가 명령시 통과되는 조절 튜우브(170)는 홈(166)과 1 : 1관계로 배열되고, 한 실시에서 실제적으로 일치하게 위치하고, 소킷장치 또는 플랜지(164) 내의 웰(well)(172)에 의한 홈(166)에 수직으로 위치하며, 이들의 각각은 플랜지(164)내의 각각의 홈(166)과 수직으로 일치하게 놓이며, 이속으로 각 튜우브(170)가 고정된다. 각 소켓(172)의 플로아(floor)는 각각의 홈(166)밑과 직접 연결되는 작은 통로(174)를 갖는다. 통로(174)의 한 형태는 제32도와 같이 일치된 원형의 아퍼쳐 시리즈이다. 임의로, 홈(166)은 더 넓고 더 얕게 만들어지고, 단일의 더 큰 통로가 작은 통로(174)대신 대치된다. 제29도 뿐 아니라, 제32도와 같이, 튜우브/소켓 결합 배열은 홈(166)이 플랜지(164)의 전체 구조에 역효과를 끼치지 않고 보다 더 밀접한 공간이 되도록 임의로 엇갈리게 한다. 입구 다기관 블록(160) 반대편에 위치하고 볼트(16)를 통하여 이 블록에 접촉된 것이 출구 다기관 블록(180) 과 용기판(178)이다.
용기판(178)은 스크류(179) 장치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출구 다기관 블록(180)에 부착된다. 배출 캐비티(182)와 출구 드레인(184)은 출구 다기관 블록(180)내에 만든다. 배출 캐비티(182)와 출구 드레인(184)은 플랜지(164)내에 여러개의 홈(166)을 가로질러 연장하거나, 또는 각각의 캐비티와 각 홈(166)의 출구가 제공된다. 그러나 통로(174)가 직접 캐비티(182) 속으로, 도달되고 출구 다기관 블록(180)의 상단표면이나 용기판(178)속으로는 도달되지 않도록 캐비티(182)를 위치시킨다. 배출 캐비티(182)는 용기판(178)속으로 만든 충돌 캐비티(177)를 포함한다. 볼트(183)과 (185)는 입구 다기관 블록(160)과 출구 다기관 블록(180)과 용기판(178)과의 결합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일치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작동시에, 고압 작동 유체를 입구 캐비티(162)속으로 공급하고, 최초의 밀폐된 통로를 통하여 유동시키고, 플랜지(164)반대편 출구 다기관 블록(180)면과 플랜지(161)내의 홈(166)에 의해 형성시키고, 이렇게 함으로써 원하는 단면모양과 단면적을 갖는 불연속지류속으로 유체를 형성시킨다. 미리 형성된 지류는 배출캐비티(182)의 폭을 왕복운동하는 반면, 플랜지(164)내의 홈(166)에 의해서만 인도된다. 조절 튜우브(170)가 불활성 상태로 남아 있는 한, 즉 튜우브(170)의 유체가 어떤 유의의 압력에서 홈(166)속으로 주입되도록 조절되지 않는 한, 작동유체지류는 지류크기나 또는 단면 모양의 간접 또는 변화에 있어서, 유의한 손실이 없이 홈(166)에 의해서만 형성된 오픈 체널(open channel)내에서 배출 캐비티(182)의 폭을 왕복하도록 만들어진다. 배출 캐비티(182)의 폭을 왕복한 후에, 지류가 로울(21)의 방향으로 분출되기에 앞서, 용기판(178)의 상단과 플랜지(164)내의 홈(166)에 의해 형성된 두번째의 완전히 밀폐된 통로내에서 흐로도록 할때, 지류는 용기판(178)의 모서리에 직면하게 된다. 상세한 지류의 윤곽이 필요할 때, 이 두번째의 완전히 밀폐된 통로의 단면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로울(21)에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정확한 명제를 갖는 지류 단면을 다시 정의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제로 어떤 유의한 지류의 확산을 제거할 수 있고, 인접한 홈(166)등에서 약간의 평행하지 못한 점과 관련한 일치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홈(166)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속유동을 방해하기 위하여, 비교적 저압공기의 비교적 소량이나 또는 각각의 조절 튜우브(170)을 통한 다른 조절 유체를 유동이 방해되는 관련 홈(166)속으로 연결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제31도와 같이, 작동 유체의 정적압력보다 상당히 저압일지라 해도(즉 1/20 또는 그 이하), 조절유체는 홈(166)으로부터 작동유체 지류를 들어올릴 수 있고 지류를 실질적으로 분산시키는 지류내에 불안정성을 야기시킬 수 있다. 반면, 전체적인 편리를 위하여, 제31도는 액체 지류가 용기판(178)의 곡선모양의 임팩트(impact) 캐비티(177)속으로 단순히 편향되며, 사실 액체 지류가 홈(166)의 벽에 자유롭게 있자마자 곧 액체 지류가 비교적 저압 조절 지류의 침입에 의해 거의 완전히 해체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나타낸다. 임팩트 캐비티(177)와 용기판(178)은 주로 이같은 해체로부터 초래되는 잠재력을 가진 안개를 포함하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속 액체 지류는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섬유 직물 기질을 패턴하거나 텍 스쳐 가공하는 데 사용된다. 기질의 성질과 선택된 운전조건에 따라, 많은 시각의 특징적인 패턴닝효과와 텍스쳐 가공효과가 하기 실시예로부터 결정된 지칭을 사용하면 가능하게 되었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이다.
[실시예 1]
제1도에서 도식적으로 묘사한 것과 유사한 장치를 하기 명세에 준하여 사용하였다.
직물 : 직물무게가 2.16oz/yd2인 100%텍스쳐 가공한 폴리에스테르 폰지. 경사는 1/70/47다크론 56T 가연텍스쳐 가공한 폴리에스테르이고, 위사(fill yam)는 1/70/34 다크론 92T 가연 덱스쳐 가공한 폴리에스테르이다. 제직은 2x1 능직이며, 픽 카운트가 88, 엔드 카운트가 92이다. 직물을 염기성 및 분산염료의 혼합물로 염색하여 크로스 염색(cros-dye)효과를 달성한다.
노즐직경 :0 .017인치.
유체 : 1500p.s.i.g. 압력의 물.
패턴 게이지 : 20줄/인치.
패턴 데이타 원 : EPROM 및 종래 디자인의 적당한 관련 전자 장치.
유체 제트 조절 : 제20도 및 21도에서 묘사한 장치로서 전기적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플런저 120를 활동시킨다.
로울 : 고체의 평활한 알루미늄으로서 직물의 경사와 동일방향으로 10yd./min.의 원주속도로 회전한다.
직물표본을 도면을 외부로 하여 운반로울에 고착하여 특정속도로 연속적으로 회전시켰다. 제트 노즐을 로울축을 따라 특정한 패턴 게이지에 상응하는 속도로 자동적으로 가로 지르게 하며, 제1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장치배열을 이용한다. 직물표면에 대하여 워터 제트(water jet)를 충돌시키는 것이 견고한 튜우브를 편향시키는 솔레노이드의 작용에 의해 방해받으며, 견고한 튜우브는 EPROM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타에 대하여 물지류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직물의 양면에 시각적으로 유사한 패턴 또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제33도 내지 제36도의 현미경 사진에서 볼 수 있다. 위사와 경사는 모두 이동되었다. 특정한 실, 특히, 위사를 위로 올려서 직물표면에 3차원 효과를 제공했다. 직물내 상대 실장력을 다시 분배하였는데, 처리하지 않은 직물과 비교하여 몇몇 실은 비교적 팽팽하게 하고, 기타 실들은 비교적 느슨하게 하였다. 워터 제트는 명몇 실들은 압축하고, 몇몇 다른 실들은 거칠어 지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후자 효과는 제35도 및 제36도에서 명확히 관찰할 수 있다.
[실시예 2]
제8도에서 도시적으로 묘사한 것과 유사한 장치를 하기 명세에 준하여 사용하였다 :
직물 : 1/70/34 56T 가연 테스쳐 가공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표면과 1/70/14 다크론 56T 가연 텍스쳐 가공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뒷면을 가지는 이중 편직 폴리에스테르, 74단과 45코로 구성하는 구조, 무게가 9oz./yd2. 직물의 표면상에 보풀이 생겼다.
노즐 : 원형 단면 ; 직경 0.017인치.
유체 : 2000p.s.i.g. 압력의 물,
패턴 게이지 : 20줄/인치.
패턴 데이타 원 : 패턴 외형을 유지하는 스텐실.
유체 제트 조절 : 패턴 외형을 유지하는 스텐실.
로울 : 고체의 평활한 알루미늄으로서 10yd/min의 원주속도로 회전한다.
직물표본을 표면을 외부로하여 운반 로울에 고착한 후 원하는 패턴의 외형을 유지하는 원통형 스텐실로 덮었다. 운반로울을 특정 속도로 연속적으로 회전시켰다. 제트 노즐을 로울축을 따라 특정한 패턴 게이지에 상응하는 속도로 자동적으로 가로 지르게 하였다. 직물표면(페이스 사이드)에 대하여 제트를 충돌시키는 것이 노즐과 직물표면사이에 플라스틱 스텐실을 중간에 위치시키므로써 방해 받았다. 이러한 절차는 직물의 양면에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제37도 및 제38도의 현미경 사진에서 알 수 있다. 처리를 하면 기재 또는 기질 방향으로 자유단부를 아래로 구부리므로써 파일길이를 감소시켰다. 처리 및 미처리 지역사이의 명백한 반사도(reflectidty)의 차이는 물론 명백한 2-수준 스컬프쳐 효과가 있었다. 기질내로 또는 기질을 통한 파일사의 유의성 침입은 처리된 직물의 뒷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100/54 다크론 T56으로 구성되는 표면과 70/34 다크론 T57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뒷면을 가지는 면직 100%폴리에스테르 파일직물. 직물 구조는 27단, 47.5코이고 전체 직물 무게는 13.8oz/yd2.
유체 : 2400 p.s.i.g.의 물.
패턴 게이지 : 16줄/인치.
워터 제트는 직물의 표면방향으로, 즉, 직물파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였다. 유체 지류에 의해 충격을 받는 직물에 있어서, 파일은 거꾸로 되었는데, 즉, 자유파일단부가 뒷면물질을 통하여 구동되거나 직물의 뒷면을 통하여 돌출하였다. 직물표면의 처리된 지역에 있어서, 그리고 단지 처리된 지역에 있어서, 바닥실을 명확 볼 수 있다. 그 효과는 제39도 내지 제42도의 현미경 사진에서 명확히 볼 수 있다.
[실시예 4]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25/1 폴리에스테르/면으로 구성된 경사와 25/1 폴리에스테르/면으로 구성된 위사로 구성된 65/35폴리에스테르/면 포플린, 픽 카운트 52, 엔드 카운트 102, 그리고 무게가 4.5oz./yd2. 직물은 크로스염색되어 폴리에스테르는 청색, 면은 백색으로 염색되었다.
유체 : 2200 p.s.i.g. 압력의 물.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 직물표면은 일면의 일접한 간격의 줄로 처리되었지만 스몰 대조(small contorl)지역은 제외하엿다. 물지류는 경사방향으로 직물을 가로질리 횡단하였다. 이렇게 하여 직물의 전후면에 나타나는 효과는 제43도 내지 제45도의 검사로부터 알 수 있다.
직물의 충격면에서, 물지류는 실을 거칠어지게 한 것으로 보인다. 자유단부를 갖는 섬유는 위로 올리지고, 미세한 정도로 얽히게 한 것으로 보인다. 상당수의 자유단부가 직물을 통하여 구동되고 직물뒷면에 올려진 섬유로서 나타난다. 면직물에서 실이 끊겨진 곳이 몇군데 관찰되었다. 물지류가 직물에 충돌하는 곳에서 실이 측면으로 이동되었다.
[실시예 5]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1/70/34 카크론 T26 폴리에스테르 평직으로 구성되는 뒷면과 40/8 다크론 T55 폴리에스테르 평적을 가지는 편직 100% 폴리에스테르. 28코 및 73단의 구조와 3.3oz./yd2.의 무게.
유체 : 2400 p.s.i.g. 압력의 물.
패턴게이지 : 16줄/인치.
제46도 내지 제47도의 검사로부터 알 수 있듯이, 직물 표면에서 실로 구성하는 섬유는 대체로 평행하고, 반면에 처리 지역에 있어서는 상기 섬유가 평행하지 않았다. 또한 랩(lap)사가 위로 올려지고 개개의 섬유는 상당히 퍼져 나가는 것으로 보였다.
[실시예 6]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2/150/68 다크론 56T 가연 텍스쳐 가공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경사,1/135/54 다크론 693T 가연 텍스쳐 가공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위사, 픽 카운트 90, 엔드 카운트 90, 직물무게 6.08oz./yd2. 1x4 필링 새티인으로 구성한 제직을 가지는 100% 폴리에스테르 새티인.
유체 : 2400p.s.i.g. 압력의 물.
물지류는 직물의 뒷면을 향하도록 하였다. 로울의 회전은 위사의 방향과 일치하였다. 패턴의 효과는 제48도 내지 제51도의 현미경 사진 검사로부터 알 수 있다. 쟈카드 모양의 패턴 효과가 나타났다. 직물표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물지류가 경사 및 위사 모두를 퍼지게 하는 동안, 주요효과는 부사 및 섬유의 퍼짐 또는 이들이 위로 올라가는 것이었다. 뒷면(제51도)에서 개개의 섬유는 이동되었고 여러가지 정도로 거칠어졌으며 국부적으로 실 클램프(yarm crimp)정도가 변화되었다.
[실시예 7]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1/75/34 다크론 T56 텍스쳐 가공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경사, 1/150/34 다크론 56T텍스쳐 가공된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위사, 픽 카운트 60, 엔드 카운트 160, 가공무게 3oz./yd2.4x1 새티인의 제직으로 된 100% 폴리에스테르 새티인.
유체 : 2400p.s.i.g. 압력의 물.
물지류를 직물의 표면으로 향하게 하였다. 로울방향은 경사방향과 일치하였다. 이렇게 하여 나타난 패턴직물을 제52도 내지 제54도의 현미경 사진에서 볼 수 있다. 직물의 표면에서, 경사의 이동이 격심하였고, 이는 거의 레이스 모양(lace-like) 효과와 유사하다. 단지 소수의 위사만이 퍼졌다는 것이 관찰되었지만, 위사 다발은 어느 정도 거칠어졌으며, 즉 어느 정도 부피가 더욱 커졌다. 경사는 위로 올려졌다. 게다가, 경사가 이동되어지는 지역을 둘러싸는 실구조 및 제직이 뚜렷히 촘촘하게 되었다. 긴 부사의 이동은 직물의 반사율(reflectance)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직물의 뒷면에서, 어느 정도 유사한 효과가 관찰되었고, 그러나, 긴 부사가 없으면 효과가 크게 감소되었다.
[실시예 8]
실시예 7의 직물을 로울방향과 위사방향이 같도록 배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이렇게하여 나타난 패턴직물은 제55도 및 제56도의 현미경 사진에서 볼 수 있하. 특히 측면으로 보다는 수직으로 어느 정도 더 이동되어진 부사의 위사가 이동되었다. 또한 위사가 이동되어진 지역를 둘러싸는 제직 및 실구조가 촘촘하게 되었다. 경사는 크게 거칠어졌다. 직물의 뒷면에서, 어느 정도 유사하지만 약화된 효과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9]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TiO2를 함유한 아크릴 포옴으로 포옴피복하고 나서 카본블랙을 함유한 아크릴포옴으로 피복하고 마지막으로 TiO2를 함유한 아크릴포옴으로 피복하므로써 암포(black out cloth)의 형태로 제조된 100%면 오스나버어그.
유체 : 직물의 표면을 향하는 2400 p.s.i.g. 압력의 물.
제57도 내지 제59도의 현미경 사진 검사로부터 알 수 있듯이, 워터제트는 백색 코팅을 제거하엿고, 밑에 깔려 있는 흑색 코팅을 노출시켜서 극심한 대비를 나타내는 패던을 제공하였다. 기질내에서 몇몇 실의 이동이 있었다는 사실도 주목하여야 한다.
[실시예 10]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엿다 :
직물 : 미지의 섬유성분 및 구조의 식모직물을 사용하였다.
유체 : 2400p.s.i.g.의 물.
물지류를 직물표면을 향하게 하엿다. 로울회전방향을 직물의 경사방향과 일치시켰다. 물지류를 식모직물표면을 향하게 하였다. 짧은 파일의 유의성 부분이 손실되었고, 파일사의 또 다른 유의성 부분이 내려 앉았고, 파일사의 기타부분은 구부러졌거나 기질을 통하여 뒷면으로 도달되었다.
직물의 뒷면에서 관찰하면 기질은 제직구조의 팽창 몇 조밀화는 물론 성분사의 오프닝(opening) 및 조밀화를 나타냈다. 직물의 표면에서, 처리전에 처음에 대체로 평행한 섬유는 대체로 후속처리에 의해서 대체로 배향되지 않았으며, 여러곳에서 기질직물이 노출되었다. 노출된 기질의 양은 처리시에 사용된 워터제트의 속도에 관련된다는 사실도 관찰되었다.
[실시예 11]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1/70/47 56T 가연 텍스쳐 가공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경사, 1/70/34 다크론 92T 가연 텍스쳐 가공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위사로 되었으며, 픽 카운트 88, 엔드 카운트 92, 가공무게 3.6oz./선야드(63인치 폭), 1×1평직의 제직으로된 100% 폴리에스테르 직물. 직물은 크로스 염색되었다.
유체 : 약 1500 p.s.i.g. 압력의 물.
물지류를 직물표면을 향하게 하였고, 로울방향을 경사방향과 일치시켰다. 직물의 뒷면은 후속단계에서 유사한 방법으로 처리되었다. 지류의 직경은 0.008인치였고 ;노즐을 직물표면과 약
Figure kpo00001
인치 간격을 두고 배치하였다. 이렇게 하여 나타난 패턴직물을 제62도 내지 제65도의 현미경 사진에서 볼 수 있다. 경사는 분리되었고 어느정도 이동 및 일그러졌다. 유사한 효과가 직물의 뒷면에서 관찰되었다. 결국 처리를 하여 반사광및 투시광 효과를 나타냈다(제63도 몇 제64도 참조).
[실시예 12]
오리피스 직경이 0.017인치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의 직물을 실시예 11에서와 같이 처리한다.이렇게 하여 나타단 패턴직물을 제66도 내지 제69도의 현미경 사진에서 볼 수 있다. 실의 이동에 의해 밝고 어두운 실의 균일한 배열이 해제되었다. 일반적으로 직물이 비교적 팽팽하게 짜여진 경사를 나타내는 곳에서, 유체의 지류는 위사를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직물이 비교적 팽팽하게 짜여진 위사를 나타내는 곳에서, 유체의 지류는 경사를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반사광 및 투시광 현미경사진(즉, 제67도 및 제68도)이 반사광 및 투시광 효과가 있음을 모두 나타낸다는 사실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그러한 효과는, 실시예 11의 직물에서 분간할 수 있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 상당히 더 인상적이었다.
[실시예 13]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12.8oz./yd2.의 무게를 갖는100% 면 데님(denim). 경사는 짙은 청색으로 염색되었고 ; 위사는 백색으로 염색되었다. 청색의 경사는 완전히 염색되지 않았지만 단지 실의 외부표면 근처만 염색되는데, 즉 고리형 또는 셸(shell)형으로 염색된다. 이렇게하여 나타나는 패턴직물은 제70도 내지 제72도의 현미경 사진에서 볼 수 있다. 경사의 외부층의 섬유는 찢어져 나갔고, 이러한 섬유의 일부분은 직물내부로 들어갔으며, 그 부분은 직물뒷면으로 이동되었고, 유의성 부분은 직물표면에 남아있다. 처리된 실의 프레임(fraying)과 오프닝이 있었으며, 결국 부피가 증가했다.
[실시예 14]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엔드 카운트 84, 픽카운트 46인 2×1능직.
경사는 14/1 폴리에스테르/면 65/35이고 ; 위사는 14/1 폴리에스테르/면65/35이다. 직물 뒷면에 보풀(nap)이 생겼으며, 무게는 6.83oz./yd2.이다. 이렇게하여 나타난 패턴직물은 제73도 내지 제76도의 현미경사진에서 알 수 있다. 직물에는 투톤(two-tone)효과가 있다. 직물표면의 보풀로 구성하는 대부분의 섬유는 기질내로 밀려들어갔다. 보풀로 구성하는 여러 섬유의 유의성 부분은 기질을 통하여 밀려들어갈 수 있고 직물의 뒷면에 보풀모양의 표면을 형성한다. 직물에 충돌하는 워터제트의 경로는 직물의 표면 및 뒷면 모두에서 볼 수 있다. 광투과율의 변하는 거의 없지만 처리 및 비처리 지역간의 광반사율에 유의성 변화가 있다.
[실시예 15]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무게 5oz./yd2.인 100% 스핀 폴리에스테르 저어지 편직.
패턴게이지 : 약 16줄/인치.
물지류를 직물표면을 향하게 하였다. 이렇게하여 나타난 패턴직물을 제77도 내지 제80도의 현미경 사진에서 볼 수 있다. 다단(multi-level)효과가 일반적으로 "U"형 홈의 형태의 코에서 나타났으며, "U"형 홈은 직물의 반대면상에 상응하는 이랑을 형성한다. 제78도 및 제79도는 홈지역내의 편직구조의 조밀화를 나타낸다. 처리지역내의 실의 벌킹 및 퍼짐이 관찰되었다. 직물 뒷면에 유의 정도의 섬유 기모가 있다(제80도 참조).
[실시예 16]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1×1 제직내에 엔드가 107, 픽이 48인 14/1실로 구성되는 경사 및 위사로 되고, 직물무게가 8.21oz./yd2.인 65/35 폴리에스테르/면 2×1능직.
패턴게이지 : 약 0.067인치 간격으로 그리고 접합적으로는 약 0.37인치 간격으로 배열된 5개의 평행 "줄"또는 제트트랙.
노즐직경 : 0.012인치.
유체 : 2000 p.s.i.g.압력의 물.
로울 : 원주로울속도는 5yd./분이었다.
물지류를 5개의 독립된 노즐로 구성되는 배열에서 직물표면으로 향하게 하였다. 이렇게하여 나타난 직물이 제81도 내지 제84도의 현미경 사진에 나타나 있다. 경사 및 위사방향 모두에서 제직구조의 조밀화가 있으며, 결국 제트트랙의 인접군사이의 비처리 직물의 버클링 또는 퍼커링을 초래한다. 이러한 버크링 또는 퍼커링은 적당한 장력하에서 습기있는 직물을 건조시키므로써 제거될 수 있다. 각각의 매 제트마다 인접경사가 분리되고, 제트트랙을 따라 직물 뒷면에서 표면으로 보풀섬유가 유의적으로 이동한다.
[실시예 17]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3×1 제직내에 엔드가 85, 픽이 54인 14/1 실로 구성되는 경사 및 위사로 되고, 직물무게가 7.34oz./yd2. 인 65/35 폴리에스테르/면 샌디드(sanded)능직.
노즐직경 : 0.020인치.
유체 : 2500 p.s.i.g. 압력의 물.
물지류를 직물표면상으로 향하게 하였다. 이렇게하여 나타난 직물은 제85도 내지 제87도의 현미경 사진에 나타냈다. 직물뒷면 및 표면상의 상응하는 위치에 실의 기모가 있고, 결국 슬러브 모양의 외관을 나타내는 직물의 정반대면상에 이랑(ridge)을 형성한다. 처리지역내에 실의 버클링 및 오프닝이 있다. 표면보풀섬유는 처리지역을 따라서 생성되고 이동되는 것으로 보인다. 대개의 그렇게 생성된 보풀섬유는 직물을 통하여 밀려들어가고 처리지역과 반대에 있는 직물뒷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실시예 18]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25/1 폴리에스테르/면 경사 및 25/1 폴리에스테르/면 위사로 되고 엔드가 98, 픽이 56이며, 직물무게가 4.92oz./yd2.인 65/35 폴리에스테르/면 1×1평직.
유체제트조절 : 제29도에 묘사된 장치.
수압은 2500 p.s.i.g.로 유지하였고, 대조유체는 공기였으며, 압력은 외부적으로 공급된 패턴정보에 대하여 2-85 p.s.i.g.으로 변화된다. 직물은 플랜지(164)의 전면으로부터 약 0.37인치되는 곳에 위치시켰다. 원주로울속도는 5yd./분이었다. 이렇게하여 나타난 패턴직물은 제88도 내지 제91도의 현미경 사진에 나타나 있다. 처리된 실이 약잔 벌깅되었음은 물론 인접경사가 분리되었다. 표면 보풀섬유는 처리지역을 따라 생성되고 이동되는 것으로 보인다. 대개의 그렇게 생성된 보풀섬유는 직물을 통하여 밀려들어가는 처리지역과 반대에 있는 직물 뒤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실시예 19]
하기 내용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실시하였다 :
직물 :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의 직물을 사용하였다.
유체제트조절 : 공기실린더를 사용하여 플런저(60)를 활동시키는 제11도 내지 제13도에서 묘사된 장치.
두께 0.003인치의 쇄기모양의 스테인레스 강으로 리이드(reed)를 만들었다. 편향은 워터제트의 출구로부터 약 0.5인치 떨어져 위치한 편향판을 통해 이루어진다. 편향판에 직경 약 0.05인치의 구멍를 만들어서 편향되지 않은 제트를 그곳을 통과하게 하여 직물에 부딪치게 하였다. 리이드의 작동은 일본 토오쿄오에 있는토미타 컴퍼니 리미팃드사에서 모델번호 1C-0.10-NFS-0.197로 배포한 소형 공기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졌다. 공기실린더 플런저는 리이드로부터 약 0.03인치의 간격을 두고있다. 공기실린더는 코네티컷, 웨스트부룩에 있는 리 컴퍼니사에서 모델번호 LFAX 0460900 AG로 배포한 공기밸브에 의해 차례로 조절되었다. 공기압력은 60 p.s.i.g.로 유지되었다. 고압수(즉,1500 p.s.i.g)의 공급과 관련하여 사용되면, 고속의 물 지류는 EPROM 및 관련 전자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패턴 데이타에 따라서 섬유직물 기질상에 방출되었다. 직물은 워터제트의 출구점과 약 0.75인치의 간격을 두고 ; 직물이 고착되어 있는 로울의 원주속도는 약 4인치/초였다. 이렇게 하여 나타난 패턴직물은 제92도 내지 제94도의 현미경사진에서 볼 수 있다. 실의 이동에 의해 밝고 어두운 실의 균일한 배열이 해체되고 반사광 및 투시광 효과가 있었다. 정밀검사시에 직물효과는 일반적으로 실시예 12에서 달성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제66도 내지 제69도에 나타나 있다.

Claims (20)

  1. 반복형태로 짜여지는 연속적인 사들로 구성외는 섬유직물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직물을지지부재에 대해서 배치하고, b. 최소의 소요 패턴 디테일(patteru detail)보다 작은 최소 크기의 단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체흐름을 상기 직물 표면으로 향하게 하고, c. 300 p.s.i.g.를 초과하는 최고동압력으로 상기 흐름을 뿜어내고, d. 상기 직물내의 실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전기적으로 부호화된 패턴 정보에 응하여 상기 흐름과 상기 표면간의 접촉을 방해 및 재확립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직물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흐름이 상기 실를 상당히 얽히게 하지 않으면서 상기 실를 이동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평활하고 불가입성의 표면을 제공하는 방법.
  4. 제3항의 방법에 의한 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직물이 파일사로 구성되는 파일 표면을 갖는 방법으로서, a. 파일표면을 노출시키면서 기질을 지지부재에 대하여 배치하고, b. 300 p.s.i.g.를 초과하는 최고 동압력으로 상기 기질의 노출표면에 대하여, 상기 파일사의 일부분을 상기 기질내로 이동시키는데 충분한 힘으로 상기 파일표면에 부딪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체 흐름을 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의 방법에 의한 제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이 물로 구성되고, 상기 물 흐름은 개방된 채널내로 유동하고, 상기 흐름은 측면에서 상기 채널내로 제한되어 있고, 상기 흐름이 상기 물흐름하에서부터 상기 개방된 채널내에서 상기 물흐름내로 향하는 조절유체의 횡류에 의해 방해받으므로써 상기 물흐름을 끌어 올리고 상기 채널내에서 상기 물흐름의 유동을 방해하는 방법.
  8. 개방된 채널내에서 제1의 유체흐름의 유동을 단속적으로 방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흐름은 상기 제1의 유체흐름이 상기 채널의 경계를 강제로 떠나게하는데 충분한 압력을 가지고 제1의 유체흐름하에서 그리고 채널내의 한 점으로부터 제1의 유체흐름내로 향하게 되는 조절 유체의 횡류에 의해서 상기 채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또한 상기 채널내에 측면에서 제한되는 상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체 흐름이, 상기 개방된 채널과 일치하고 비교적 높은 속도로 상기 채널내에서 유동하는 액체 흐름이고, 상기 횡류가 상기 액체흐름의 유동을 분열시켜서 상기 흐름를 흩뜨리는데 충분한 압력을 갖는 가스로 구성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체 흐름이 상기 개방된 채널과 정렬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채널내에서 통로를 따라가는 소요의 단면을 가지는 방법.
  11. 제2의 유체의 횡류에 의해서, 개방된 채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상기 채널내에 측면에서 제한되는 제1의 유체흐름의 유동을 상기 채널내에서 단속적으로 방해하는 장치로서, a. 상기 채널과 일치하여 상기 제1의 유체 흐름을 공급하는 수단, b. 상기 조절 유체의 횡류를 상기 제1의 유체흐름하에서 그리고 상기 채널내의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1의 유체흐름내로 향하게 하는 수단, 및 c. 상기 제 1의 유체흐름이 상기 채널의 경계를 떠나게 하는데 충분한 압력으로 상기 조절 유체를 상기 지향 수단으로 공급하는 유체 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상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 수단이 상기 기부로부터 외측으로 향한 상기 채널의 기부내의 통로로 구성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유체흐름이 상기 개방된 채널내에서 상기 유체 흐름의 유동을 따라가는 소망의 단면을 갖게 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채널과 일치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흐름 형성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장치.
  14. 단속적인 유체 흐름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a. 소망의 압력으로 상기 유체를 수용하는 다기관 수단, b. 상기 다기관 수단과 유체가 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는 흐름형성 수단, c. 상기 다기관 수단 외부에 있고, 견고한 탄성 물질의 엷은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흐름 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흐름의 경로에 인접해 있고, 상기 하기관 수단과 캔틸레버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고정된 기단부와 자유 말단부를 갖게 되며, 상기 말단부가 상기 흐름의 경로를 통하여 탄성 운동을 할 수 있게된 리이드 수단, d. 상기 리이드 수단의 상기 말단부의 일부를 상기 흐름의 경로내로 단속적으로 진전시키는 리이드 작동수단으로서, 연장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고 명령 받은 수축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리이드 수단과 접촉하고 상기 리이드수단의 상기 말단부를 상기 위치들중 하나에서 상기 흐름의 경로대로 이동시키고 상기 리이드 수단이 상기 위치들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경로밖으로 이동하게 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리이드작동수단, 및 e. 상기 흐름 형성 수단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있지만 상기 리이드 수단의 상기 말단부에 밀접하게 근접하여 있고, 상기 유체 흐름의 경로내에 위치되어 있는 수용 수단으로서, 상기 리이드 수단의 말단부가 상기 흐름의 경로밖으로 이동할 때마다 상기 유체흐름이 구멍을 통과하게 상기 흐름 형성 수단과 정렬된 구멍을 갖는 베리어 수단을 포함하는 수용 수단으로 구성되는 상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이드 수단이 뻣뻣한 금속의 기다란 스트립이고, 스트립의 말단이 둔각으로 구부러져 있고, 상기 스트립이 상기 흐름의 경로를 따라서 평행한 배열로 위치되어 상기 플런저가 연장될때 상기 기다란 스트립의 말단이 상기 흐름의 경로내로 밀려 들어가게 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형성수단이, 정렬된 다수의 구명을 형성하고 동시에 유체 흐름의 배열을 형성하는 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리이드수단이, 상기 구멍에 접하는 2개의 평행한 배열로 위치되는 다수의 리이드수단이고, 개개의 상기 구멍들이 그에 상응하는 개개의 리이드 수단을 가지며, 상기 배열은 다소 측면으로 이동되어 있어 개개의 배열로부터 리이드 수단의 삽입를 허용하게 하며, 상기 리이드 작동수단은 상기 리이드 수단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되어 위치된 다수의 리이드 작동수단이고, 상기 개재의 리이드 수단은 그와 관련된 상응하는 개개의 작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흐름 형성 수단에서 일정간격을 갖지만 상기 다수의 리이드 수단의 상기 말단부와 밀접하게 근접해 있는 수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다수의 구멍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지는 베리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리이드 수단의 말단부가 상기 흐름의 경로로부터 철회될 때마다 상기 유체흐름이 상기 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장치.
  17. 외부에서 공급된 명령 데이타에 따라서 단속적으로 목적물에 부딪치는 엷은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a. 소망의 압력으로 상기 유체를 수용 및 분배하는 다기관, b. 목적물로 향하고 상기 다기관으로부터 캔틸레버된 비교적 뻣뻣한 튜우브 부분을 포함하고, 다기관에 유체가 동하게 연결되며, 상기 튜우브가 영구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적절히 편향될 수 있는 흐름 형성수단, c. 상기 튜우브의 기단부를 지나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흐름 경로의 방향에 횡으로 연장되어 있는 베리어 수단으로서, 상기 튜우브가 제1의 위치에 있고 상기 흐름이 실질적으로 불변하게 통과하도록 위치한때 상기 흐름의 경로와 교차하게 되고, 상기 튜우브가 제2의 위치에 있을때 목적물에 부딪치게 되는 베리어 수단, d. 연장된때 상기 캔틸레버된 튜우브와 접촉하고 상기 튜우브의 상기 말단을 편향시키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튜우브 편향 수단으로 구성되는 상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연장될 때, 상기 튜우브가 상기 제1의 위치에 있게 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연장될 때, 상기 튜우브가 상기 제2의 위치에 있게 되는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형성 수단은 상기 목적물로 향하여지고 상기 다기관으로부터 캔틸레버된 비교적 견고한 튜우브 구역들의 배열로 구성되고, 상기 튜우브는 2개의 일반적으로 평행한 배열로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배열은 측면으로 치우쳐 있어 개개의 배열에서의 각각의 튜우브가 마주보지 않도록 하고, 상기 베리어 수단은 개개의 배열의 상기 튜우브의 기단부를 지나 연장된 개개의 배열을 베리어 수단이고, 상기 튜우브 편향수단은 2개의 평행한 배열로 정렬된 다수의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배열은 측면으로 치우쳐 있어 개개의 배열에서의 각각의 플런저가 마주보지 않도록 하고, 각각의 플런저는 상기 흐름 형성 수단내 상응하는 캔틸레버된 튜우브와 관련되어 있는 장치.
KR1019850007134A 1984-09-28 1985-09-27 직물의 텍스쳐 가공방법과 그 제품 KR920006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596684A 1984-09-28 1984-09-28
US65611984A 1984-09-28 1984-09-28
US65596784A 1984-09-28 1984-09-28
US65596884A 1984-09-28 1984-09-28
US655966 1984-09-28
US655967 1984-09-28
US655968 1984-09-28
US656119 1984-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612A KR860002612A (ko) 1986-04-28
KR920006469B1 true KR920006469B1 (ko) 1992-08-07

Family

ID=2750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134A KR920006469B1 (ko) 1984-09-28 1985-09-27 직물의 텍스쳐 가공방법과 그 제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177277B1 (ko)
JP (1) JP2609223B2 (ko)
KR (1) KR920006469B1 (ko)
AU (1) AU581024B2 (ko)
DE (1) DE3580643D1 (ko)
DK (1) DK438685A (ko)
ES (4) ES8701872A1 (ko)
FI (1) FI87807C (ko)
IE (1) IE56947B1 (ko)
IL (1) IL76495A (ko)
MX (1) MX162576A (ko)
NZ (1) NZ213654A (ko)
PT (1) PT81218B (ko)
TR (1) TR225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0630A (en) * 1988-04-14 1990-10-02 International Paper Company Apparatus for producing symmetrical fluid entangled non-woven fabrics and related method
JPS61252339A (ja) * 1985-04-30 1986-11-10 東レ株式会社 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743483A (en) * 1985-12-05 1988-05-10 Toray Industries, Inc. Napped sheet having a pattern thereon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5136761A (en) * 1987-04-23 1992-08-1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US4967456A (en) * 1987-04-23 1990-11-06 International Pape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US4953270A (en) * 1987-09-04 1990-09-04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ethod for marking textile substrates
US5632072A (en) 1988-04-14 1997-05-27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ethod for hydropatterning napped fabric
US5737813A (en) 1988-04-14 1998-04-14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ed patterning of dyed fabric by hydrojet treatment
DE68927102T2 (de) * 1988-04-21 1997-02-13 Int Paper Co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wasserbehandlung von geweben
US5337460A (en) * 1993-01-21 1994-08-16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create an improved moire fabric
WO1995021740A1 (en) * 1993-01-21 1995-08-17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create an improved moire fabric
US5475905A (en) * 1993-01-21 1995-12-19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Apparatus to create an improved moire fabric
US5657520A (en) * 1995-01-26 1997-08-19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ethod for tentering hydroenhanced fabric
US5806155A (en) 1995-06-07 1998-09-15 International Pape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aulic finishing of continuous filament fabrics
DE10064687A1 (de) * 2000-12-22 2002-07-04 Fleissner Maschf Gmbh Co Verfahren zur hydrodynamischen Beaufschlagung einer auch mit endlichen Produkten versehenen Warenbahn mit Wasserstrahlen und Düseneinrichtung zur Erzeugung von Flüssigkeitsstrahlen
DE10132563A1 (de) * 2001-07-10 2003-01-30 Fleissner Maschf Gmbh Co Verfahren zur farblosen Musterung einer Warenbah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50205422D1 (de) 2001-11-08 2006-02-02 Pelz Gmbh & Co Kg W Kosmetisches Wattepad
EP2302120B1 (de) * 2009-09-22 2012-06-20 Groz-Beckert KG Injektor für eine Textilbearbeitungsmaschine
EP3802938A1 (en) * 2018-05-25 2021-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nonwoven and apparatus suitable therefor
WO2019222992A1 (en) 2018-05-25 2019-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8308A (en) * 1962-07-06 1970-04-28 Du Pont Jet-treatment process for producing nonpatterned and line-entangled nonwoven fabrics
US3635625A (en) * 1970-01-12 1972-01-18 Phillips Petroleum Co Apparatus for carving a material sheet
US4095444A (en) * 1977-06-15 1978-06-20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liquids to moving materials
JPS6055627B2 (ja) * 1978-04-13 1985-12-05 帝人株式会社 立毛布帛に天然皮革様外観を付与するための装置
US4393562A (en) * 1981-01-23 1983-07-19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Apparatus for imparting visual surface effects to relatively moving materials
US4418451A (en) * 1981-01-23 1983-12-06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multi-level surface patterned materials
US4471514A (en) * 1981-07-10 1984-09-18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Apparatus for imparting visual surface effects to relatively moving materials
AU1570083A (en) * 1982-06-11 1983-12-15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Surface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555191A0 (es) 1987-07-01
ES555192A0 (es) 1987-02-16
MX162576A (es) 1991-05-27
DK438685D0 (da) 1985-09-27
FI853707A0 (fi) 1985-09-26
FI87807C (fi) 1993-02-25
JP2609223B2 (ja) 1997-05-14
DK438685A (da) 1986-03-29
EP0177277B1 (en) 1990-11-22
FI853707L (fi) 1986-03-29
EP0177277A1 (en) 1986-04-09
PT81218A (en) 1985-10-01
IL76495A (en) 1990-09-17
ES8703551A1 (es) 1987-02-16
IE852369L (en) 1986-03-28
ES8701872A1 (es) 1986-12-01
NZ213654A (en) 1990-08-28
ES555193A0 (es) 1987-08-16
AU4794685A (en) 1986-11-27
IL76495A0 (en) 1986-01-31
ES8707778A1 (es) 1987-08-16
ES8706873A1 (es) 1987-07-01
PT81218B (pt) 1987-08-19
FI87807B (fi) 1992-11-13
AU581024B2 (en) 1989-02-09
TR22563A (tr) 1987-10-30
KR860002612A (ko) 1986-04-28
IE56947B1 (en) 1992-02-12
ES547381A0 (es) 1986-12-01
DE3580643D1 (de) 1991-01-03
JPS61179361A (ja) 198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469B1 (ko) 직물의 텍스쳐 가공방법과 그 제품
US5080952A (en) Hydraulic napping process and product
US5337460A (en) Method and apparatus to create an improved moire fabric
AU6006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thin stream of fluid
GB2050443A (en) Weft picking device of air jet type weaving loom
CA1261644A (en) Method for patterning fabrics, and products
KR910009412Y1 (ko) 다색 유체 분사식 직기의 위사동반 끊어짐 방지장치
KR920700929A (ko) 잉크리본용 기포 및 그 제조방법
EP0289263B1 (en) Fabric patterning process and product
KR19990029267A (ko)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
EP0077787B1 (en) Weaving loom
WO1995021740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reate an improved moire fabric
CN103061007B (zh) 喷水织机引纬机构的多喷针组合装置
NO161630B (no) Fremgangsmaate og apparat for behandling av et tekstilstoff
JPH0124152Y2 (ko)
GB2178071A (en) Method of apparatus for inserting weft yarn in weaving machines
ES8504285A1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aparatos de insercion de la trama para maquinas de tejer de chorro
JPH11181656A (ja) 経糸開口内への風綿侵入防止装置
WO1991010005A2 (en) Dyeing apparatus
JP2005528535A (ja) よこ糸の伸長のための方法及び当該方法の実施のための織機
KR200206937Y1 (ko) 워터제트직기용 위사분사노즐.
KR960007438Y1 (ko) 유체분사직기의 위사역인출장치
JPH0262616B2 (ko)
JPH07145537A (ja) 水噴射織機の緯入れノズル
JPS63270841A (ja) ウオ−タジエツトル−ムの多色緯入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