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267A -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267A
KR19990029267A KR1019980030543A KR19980030543A KR19990029267A KR 19990029267 A KR19990029267 A KR 19990029267A KR 1019980030543 A KR1019980030543 A KR 1019980030543A KR 19980030543 A KR19980030543 A KR 19980030543A KR 19990029267 A KR19990029267 A KR 19990029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base
needle
needles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2351B1 (ko
Inventor
피셔 요아힘
Original Assignee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Publication of KR1999002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32Thread guide bar assemblies with independently-movable thread guides controlled by Jacquard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위한 경편기에 의해, 하나 이상의 문양사가 하나 이상의 바탕사 다발의 배후에 공급되고, 그 바탕사 다발에 틈새가 형성되며, 집게(24)가 그 틈새를 통해 도입되어 문양사를 붙잡을 수 있게 된다. 문양사는 임의의 시점에서 편물의 바탕의 외부에 유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문양사 뜨개 바아(16, 17)와 집게(24)를 구비한 선택 장치(23)와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바탕 뜨개 바아(14, 15)가 배치된다. 각각의 집게(24)가 구역에는 서로 전후로 또는 밀접하게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자유 바늘 통로(30)를 형성하는 2개의 인접된 바탕사 뜨개 바늘(9, 10)이 마련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공백의 편물 모양 및 자유로운 문양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및 청구항 9의 전제부에 따른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형식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는 DE 44 32 222 C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 문헌에 개시된 실시예의 경우, 문양 뜨개 바아(뜨개 레일)는 경편기의 정면측에 배치된 선택 장치와 2개의 바탕 뜨개 바아와의 사이에 위치된다. 문양사는 문양 뜨개 바아와 바탕 뜨개 바아와의 사이에 배치된 중력판에 의해 편물의 바탕에 결찰된다. 그 경우, 선택 장치는 자유롭게 문양사를 인출하여 그 문양사를 집게에 의해 붙잡고, 절단하고, 직접적으로 흡인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 있어서, 문양사는 문양이 없는 구역에서는 편물의 바탕에 떠있는 실로서 그대로 뜨어지지 않고 후속적으로 절단된다. 오히려, 문양사는 일시적으로 편물 뜨기 과정으로부터 배제되고, 원하는 시점에서야 비로소 다시 편물의 바탕에 결찰된다. 따라서, 공백의 문양이 제공되고, 문양사 재료의 손실이 매우 적어진다.
DE 42 26 899 C1로부터, 피에조 전기에 의한 만곡 변환기에 의해 이동되어 임의로 분배될 수 있는 가압식 바늘이 개시되어 있다. 아직 예비 공개되지 않은 독일 특허 출원 제195 51 053.8-26호에도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1개 또는 2개로 분배될 수 있는 뜨개 레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전제된 형식의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문양의 다양성을 적은 비용으로 확대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집게에 의해 문양사가 붙잡힌 시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경편기의 작업 구역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이미 놓여진 문양으로부터 문양사를 절단하기 직전의 작업 구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문양사를 편물의 바탕에 새로이 결찰시킬 때의 작업 구역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선택 장치, 2개의 바탕 뜨개 바아 및 문양 뜨개 바아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2열의 바탕 뜨개 바늘을 구비한 바탕 뜨개 바아 및 2개의 문양 뜨개 바아가 마련된 변형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변형된 바탕 뜨개 바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문양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편물의 편물 뜨기 작업도,
도 8은 7개의 문양사에 의한 편물 뜨기 작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10, 35, 36, 39, 40 : 바탕사 뜨개 바늘
11, 12 : 문양사 뜨개 바늘
14, 15, 32, 38 : 바탕 뜨개 바아
16, 17 : 문양 뜨개 바아
20 : 이동 제어 장치
23 : 선택 장치
24 : 집게
30, 37, 41 : 바늘 통로
33, 34 : 바탕사 뜨개 바늘의 열
42 : 회피 이동의 지시선
그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의 특징부에 기재된 구성에 의해 달된다.
그러한 구성에 있어서, 바탕사 다발은 문양사와 선택 장치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에 의해, 문양사가 바탕사에 의해 편물의 바탕에 결찰되기 때문에, 중력판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선택 장치가 선택된 문양사를 인출하는 것이 바탕사 다발에 의해 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탕사 다발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집게는 그 틈새를 통해 도입되어 문양사를 붙잡게 된다. 집게가 문양사를 붙잡아서 외측으로 인출하는 즉시, 인출된 문양사로의 출입이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공지의 방식대로 아무런 장애가 없이 후속 선택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르면, 바탕사 다발에 있는 틈새는 작업 사이클의 짧은 시간 동안에만 형성된다. 집게의 첨두부가 틈새 속에 도입되고 문양사를 붙잡아서 바탕사를 떠나는 즉시, 바탕사 뜨개 바늘은 그 정상 위치로 복귀되는데, 그 이유는 틈새를 형성하는 바탕사가 인출된 문양사에 의해 서로 분리된 채 유지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따라 틈새를 생성하기 위해 자유 바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틈새는 통상의 이동 제어의 한도 내에서 생성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제 2 이동 열에서 안내되는 문양사도 역시 집게에 의해 붙잡혀질 수 있다.
청구항 6은 문양사를 편물 뜨기 과정으로부터 배제시킬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구성을 유도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문양을 놓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청구항 7에 따른 또 다른 구성도 주목할만하다.
청구항 8에 따라 절단을 하기 전에 2개 이상의 편물 뜨개 바늘에 의해 문양사를 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매우 견고한 결찰이 이루어진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9의 특징부에 따른 경편기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한 경편기에서 부각되는 구성은 하나 이상의 바탕 뜨개 바아가 정해진 위치, 즉 문양 뜨개 바아와 선택 장치와의 사이의 위치를 차지하고, 각각의 집게가 자유 바늘 통로를 형성하도록 서로 전후로 또는 밀접하게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원하는 틈새를 제공하는 인접된 2개의 바탕사 뜨개 바늘을 부속한다는 것이다.
청구항 10의 구성에 따르면, 바탕 뜨개 바아의 모든 바탕사 뜨개 바늘은 회피 이동을 하여 바늘 통로를 형성한다.
청구항 11의 구성에 따르면, 2열의 바탕사 뜨개 바늘 중의 1열의 바탕사 뜨개 바늘은 개별적으로도 회피 이동을 실시한다.
청구항 12는 회피 이동을 생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
청구항 13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안뜨기 이동을 할 때에 회피 이동이 실시된다. 회피 이동과 동시에, 집게도 그러한 회피 이동에 의해 형성된 틈새 속으로 도입된다.
청구항 14에 따른 문양사 뜨개 바늘의 배치에 의해 다양한 문양이 놓여질 수 있고, 불필요한 문양사를 확실하게 결찰 과정으로부터 배제시킬 수 있다. 특히, 다른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문양의 폭을 한정하였던 것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경편기의 작업 구역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좌측에는 편물 직공의 스탠드, 즉 경편기의 정면측이 위치되고, 도면의 우측에는 경편기의 배면측이 위치된다. 편물 뜨개 바늘(1)에 의해 생성되는 편물(2)은 배출 장치(3)를 경유하여 인출된다. 바탕사(4, 5), 문양사(6, 7) 및 바탕사(8)는 바탕사 뜨개 바늘(9, 10), 문양사 뜨개 바늘(11, 12) 및 바탕사 뜨개 바늘(13)에 의해 공급된다. 그러한 뜨개 바늘은 2개의 바탕 뜨개 바아(14, 15), 2개의 문양 뜨개 바아(16, 17) 및 바탕 뜨개 바아(18)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그러한 뜨개 바아는 이동 제어 장치(그 장치 중에 장치(19 내지 22)가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동된다. 선택 장치(23)는 집게(24), 흡인 장치(25) 및 상시적으로 작업하는 절단 장치(26)를 구비하는데, 집게(24)에는 작동 장치(27)가 부속된다. 그러한 장치(19 내지 22 및 27)는 문양 놓기 및 이동 제어 장치(28)에 의해 상관적으로 조정된다. 선택 장치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DE 44 32 222 C1이 참조될 수 있다.
바탕 뜨개 바아(14, 15)는 각각 그 치밀도가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절반인 바탕사 뜨개 바늘(9, 10)을 구비하는데, 그러한 바탕사 뜨개 바늘(9, 10)은 상호 보완되어 완전한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를 이루게 된다. 문양 뜨개 바아(16, 17)는 그 치밀도가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절반인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는데, 각각의 문양 뜨개 바아의 문양사 뜨개 바늘(11, 12)에는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1/4의 치밀도가 할당된다. 문양사 뜨개 바늘(11, 12)은 밀어 젖혀져서 1개 또는 2개로 분배될 수 있는 가압식 바늘이고, 그 이외에도 이동 제어 장치(21)에 의해 00/44의 바탕 뜨기로 그 작동이 제어된다. 바탕 뜨개 바아(18)의 바탕사 뜨개 바늘(13)에는 완전한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에 해당하는 치밀도가 부여된다. 바탕 뜨개 바아(18)는 자카드(Jacquard) 바아로서 형성될 수 있고, 또 다른 형태의 편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어떻게 집게(24)가 후술되는 바탕사(4, 5) 다발의 틈새 속에 맞물려서 문양사(6 또는 7)를 붙잡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따르면, 그러한 문양사(6, 7)는 자체의 집게(24)에 의해 각각 외측으로 인출되는데, 그 문양사의 실 부분(29)은 절단 장치(26)의 바로 전방에 놓여져서 즉시로 절단된다. 이어서, 실 부분(29)의 자유 단부는 흡인 장치(25)에 의해 흡수된다.
도 3은 선택적인 후속 시점에서 문양사(6, 7)가 바탕사(4, 5)에 의해 형성된 편물의 바탕에 결찰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문양사가 확실하게 앵커식으로 결찰되는 즉시, 절단 장치(26)는 새로이 절단 활동을 실시한다. 집게(29)는 다음의 선택 작업을 할 때에야 비로소 실 부분(29)을 풀어주는데, 풀려난 실 부분(29)은 완전하게 흡인된다.
도 4는 선택 장치(23), 2개의 바탕 뜨개 바아(14, 15) 및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는 2개의 문양 뜨개 바아(16, 17)가 각각 그들의 집게(24), 바탕사 뜨개 바늘(9, 10) 및 문양사 뜨개 바늘(11, 12)에 의해 편물 뜨개 바늘(1)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히 선정된 집게(24)가 그 전진 이동을 시작하려는 상황에서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바탕사 뜨개 바늘(9, 10)은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절반에 해당하는 치밀도로, 즉 2개의 편물 뜨개 바늘에 분배되는 간격으로 바탕 뜨개 바아(14, 15)에 고정적으로 조립된다. 2개의 바탕 뜨개 바아(14, 15)는 정상 작업에서는 바늘이 분배되어 모든 편물 뜨개 바늘이 바탕사에 할당되도록 반대로 이동되는데, 원한다면 공통적으로 함께 이동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집게(24)가 문양사(6)를 붙잡으려면, 바탕사 뜨개 바아(15)가 바탕사 뜨개 바아(14)와는 반대로 이동되어 바늘을 분배해야 한다. 그러면, 바탕사 뜨개 바늘(9, 10)로부터 자유로운 바늘 통로(30)가 제공되고, 결과적으로 전술된 틈새가 형성되어 집게(24)가 그 틈새를 통해 문양사 뜨개 바늘(11 또는 12)에 의해 지지되는 문양사(6 또는 7)를 붙잡을 수 있게 된다. 집게(24)가 문양사를 붙잡아서 인출하는 즉시, 바탕 뜨개 바아(15)는 다시 그 정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바탕 뜨개 바아(14, 15)는 공통의 바탕 뜨개 바아(32)로 대체된다. 그러한 바탕 뜨개 바아(32)는 2열(33, 34)의 바탕사 뜨개 바늘(35, 36)을 지지한다. 바탕사 뜨개 바늘(35)은 고정적으로 조립되고, 바탕사 뜨개 바늘(36)은 개별적으로 이동되어 분배될 수 있는 가압식 바늘이다. 개개의 가압식 바늘을 이동시킴에 의해 역시 바탕사로부터 자유로운 바늘 통로(37)가 형성되는데, 선정된 집게(24)가 그 바늘 통로(37)를 통해 그에 대응된 문양사를 붙잡을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바탕 뜨개 바아(32) 대신에 열의 위치가 바뀐 바탕 뜨개 바아(38)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그러한 바탕 뜨개 바아(38)에서는 고정된 바탕사 뜨개 바늘(39)과 밀어 젖혀질 수 있는 바탕사 뜨개 바늘(40)이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후자를 밀어 젖혀서 전자의 옆에 밀접하게 위치시키면, 마찬가지로 자유 바늘 통로(41)가 제공된다. 그러한 구성 방안은 바늘을 정밀하지 않게 분배할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도 7은 바탕사(4, 5) 및 문양사(6)에 의한 문양 놓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바탕사(4)는 술(fringe)로서 뜨어진다. 바탕사(5)도 역시 술(fringe)로서 뜨어지지만, 각각의 제 2 작업 사이클에서 도면에 지시선(42)으로 나타낸 회피 이동을 하고, 그러한 이동에 의해 도 4와 연계하여 전술된 자유 바늘 통로(30)가 형성된다. 그러한 회피 이동은 안뜨기를 할 때에 단지 짧은 시간 동안에만 실시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바탕 뜨개 바아(15)는 42/024의 변위 이동을 실시하는 반면에, 바탕 뜨개 바아(14)에 대해서는 42/24의 정상적인 변위 이동이 그대로 적용된다.
문양사(6)는 씨실로서 결찰된다. 제 1 절단 과정은 문양사(6)가 2개 이상의, 본 경우에는 4개의 편물 뜨개 바늘을 경유하여 뜨어져서 편물의 바탕에 고정적으로 결찰된 후에 지점(43)에서 실시된다. 후속되는 2개의 작업 사이클에서는, 점선(44)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사(6)가 문양 뜨개 바아의 이동에 대항하여 반대로 밀어 젖혀져서 화살표(45)로 나타낸 2개의 바늘 분포를 이루게 되고, 그에 따라 문양사(6)가 바탕사(4, 5)에 맞물림이 없이 유지된다. 다음 단계는 역시 문양사(6)가 편물의 바탕에 고정적으로 결찰된 후에 지점(46)에서 실시된다. 따라서, 실 부분(29)은 그대로 떠있는 실로서 편물 상에 놓여지는 것이 아니라, 선택 장치(23)에 의해 편물의 바탕과 맞물림이 없이 유지된다.
도 8에서의 바탕사(4, 5) 뜨기는 변동이 없다. 그러나, 씨실로서가 아니라 코(47)에 의해 편물의 바탕에 결찰되는 총 7개의 문양사(6)가 소요된다.
문양을 놓기 위해 모든 공지의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문양사 뜨개 바늘(11, 12)은 우선적으로 가압식 바늘로 된다. 특히, 피에조 전기에 의해 제어되어 바늘을 2개로 분배하도록 이동될 수 있는 가압식 바늘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가압식 바늘은 다른 방식으로, 예컨대 전자석 또는 통상의 자카드 제어 장치의 통사(通絲)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관적으로 배치하는 것은 역시 문양 놓기 및 이동 제어 장치(28)에 의해 실시된다.
전술된 구성에 의해 다음의 작업 방식이 제공된다. 편물 뜨개 바늘이 배출 위치로 이동되고, 뜨개 바아(14 내지 18)를 구비한 현수 장치가 최전방의 위치로 선회되면, 바탕 뜨개 바아(15)는 회피 위치로 이동된다. 사용하기로 정해진 집게(24)를 선정하고, 바탕사 다발에 생성된 틈새를 통해 그에 대응된 문양사(6 또는 7)로 이동시킨다(도 1을 참조). 문양 뜨개 바아(16, 17)의 안뜨기 이동에 의해 문양사(6 또는 7)가 집게(24)의 클램프 후크 속에 넣어진다. 이어서, 집게(24)가 복귀 이동된다. 집게(24)가 바탕사 다발의 틈새를 떠나는 즉시, 바탕 뜨개 바아(15)가 회피 위치로부터 기본 위치로 복귀 이동된다. 문양사(6 또는 7)는 집게(24)에 의해 고정적으로 클램핑된다. 선택된 문양사(6, 7)에 대응되는 문양사 뜨개 바늘(11, 12)은 전체적인 문양 뜨개 바아의 안뜨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2개의 바늘에 의해 밀어 젖혀진다(도 7의 화살표(45)를 참조). 그에 의해, 문양 놓기에 불필요한 실이 결찰되지 않는다(도 2를 참조). 이어서, 뜨개 바아(14 내지 18)는 최후방의 위치로 선회된다. 그러면, 바탕 뜨개 바아(14, 15)의 겉뜨기가 시작될 수 있다. 불필요한 실(6, 7)은 2열 또는 3열의 코를 지난 후에 절단 장치(26)에 의해 편물의 바로 위에서 절단된다. 그 경우, 문양사(6, 7)의 절단된 단부 부분은 흡인장치(25)로 흡인된다.
계속 문양을 놓으려면, 선택된 문양사(6, 7)의 안뜨기를 더 이상 중단시키지 말고, 문양사(6, 7)를 씨실 또는 코로서 편물의 바탕에 결찰시킨다. 선택 장치(23)에 클램핑된 실은 2열 또는 3열의 코를 지난 후에 절단 장치(26)에 의해 절단되고, 잔여 실의 제 2 단부 부분은 흡인 장치로 흡인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서는, 전체적으로 편물의 바탕과 문양과의 사이에 공백의 편물 모양을 수반하여 자유롭게 문양을 놓을 수 있는 가능성이 부여된다. 문양사는 임의의 시점에서 편물 뜨기 과정으로부터 배제되고 임의의 시점에서 다시 결찰될 수 있기 때문에, 문양사를 편물의 바탕에 섞어넣거나, 떠있는 실로서 편물에 바탕 상에 놓아두고 후속적으로 제거하는 작업들이 불필요하다.

Claims (14)

  1. 편물 뜨개 바늘의 뜨개 바아, 하나 이상의 바탕사 뜨개 바늘을 지지하는 바탕 뜨개 바아, 하나 이상의 문양사 뜨개 바늘을 지지하는 문양 뜨개 바아, 편물이 경유하여 인출되는 배출 장치 및 편물 뜨개 바늘의 안뜨기측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집게가 마련된 선택 장치를 포함하는 경편기에서, 하나 이상의 문양사를 하나 이상의 바탕사에 의해 형성된 편물의 바탕에 결찰시키고, 선택된 문양사를 문양사 뜨개 바늘과 배출 장치와의 사이에서 집게에 의해 붙잡아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배출 장치의 인근에서 절단하여 일시적으로 편물 뜨기 과정으로부터 배제시키며, 이어서 선택된 문양사를 다시 편물의 바탕에 결찰시키고 빨라도 코를 형성한 후에 새로이 배출 장치의 인근에서 절단하여 새로운 선택 작업시에 남은 문양사 잔존물을 풀어내는 형식의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문양사를 하나 이상의 바탕사 다발의 배후에 공급하고, 그 바탕사 다발에 틈새를 형성하며, 그 틈새를 통해 집게를 도입하여 문양사를 붙잡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바탕사 다발에 있는 틈새를 작업 사이클의 짧은 시간 동안에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이동 구역에서 바탕사 뜨개 바늘이 각각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절반의 치밀도로 배치되는 경우, 2개의 인접된 바탕사 뜨개 바늘 중의 하나를 다른 하나의 배후로 이동시켜 자유 바늘 통로를 형성함에 의해 틈새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이동 열에서 바탕사 뜨개 바늘이 완전한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로 배치되는 경우, 2개의 인접된 바탕사 뜨개 바늘 중의 하나를 다른 하나의 옆으로 이동시켜 자유 바늘 통로를 형성함에 의해 틈새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이동 열에서 문양사 뜨개 바늘이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1/4의 치밀도로 배치되는 경우, 전방 이동 열에 있는 개재 공간과 후방 이동 열에 있는 문양사 뜨개 바늘을 바탕사 다발에 있는 틈새에 맞춰 정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문양사에 대응되는 문양사 뜨개 바늘을 문양 뜨개 바아의 변위 이동의 반대의 진로로 밀어 젖힘에 의해 문양사를 편물 뜨기 과정으로부터 배제시킨 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편물 코의 사슬 뜨기의 구역에서 집게에 의해 붙잡힌 문양사를 다른 편물 코의 사슬 뜨기의 구역에서 다시 결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문양사를 절단하기 전에 2개 이상의 편물 뜨기 바늘을 경유하여 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양사가 하나 이상의 바탕사에 의해 형성된 편물의 바탕에 결찰되고, 편물 뜨개 바늘의 뜨개 바아, 하나 이상의 바탕사 뜨개 바늘을 지지하는 바탕 뜨개 바아, 하나 이상의 문양사 뜨개 바늘을 지지하는 문양 뜨개 바아, 편물이 경유하여 인출되는 배출 장치 및 편물 뜨개 바늘의 안뜨기측에 배치되는 선택 장치를 구비하며, 선택 장치는 선택된 문양사를 문양사 뜨개 바늘과 배출 장치와의 사이에서 붙잡아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제어가 가능한 하나 이상의 집게 및 인출 장치에 인접되고 집게에 의해 유지되는 문양사를 편물의 바탕의 인근에서 절단하는 절단 장치를 구비하는 형식의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를 위한 경편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바탕 뜨개 바아(14, 15; 32; 38)는 문양 뜨개 바아(16, 17)와 선택 장치(23)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집게(24)의 구역에 2개의 인접된 바탕사 뜨개 바늘(9, 10; 35, 36; 39, 40)을 구비하며, 그 바탕사 뜨개 바늘(9, 10; 35, 36; 39, 40)은 서로 전후로 또는 밀접하게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자유 바늘 통로(30, 37, 4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를 위한 경편기.
  10. 제9항에 있어서, 바탕사 뜨개 바늘(9, 10)이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절반의 치밀도로 고정되어 서로 보완적으로 배치되는 2개의 바탕 뜨개 바아(14, 15)가 마련되고, 이동 제어 장치(20)는 하나의 바탕 뜨개 바아에 정상적인 바아 이동에 추가하여 회피 이동(42)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를 위한 경편기.
  11. 제9항에 있어서, 각각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절반의 치밀도로 서로 보완되는 2열(33, 34)의 바탕사 뜨개 바늘(35, 36)이 마련되고, 제 1 열(33)의 바탕사 뜨개 바늘(35)은 고정되고 제 2 열(34)의 바탕사 뜨개 바늘(36)은 가압식 바늘로서 형성되며, 이동 제어 장치(20)는 가압식 바늘에 정상적인 뜨개 바아 이동에 추가하여 회피 이동(42)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를 위한 경편기.
  12. 제9항에 있어서, 바탕 뜨개 바아(28)는 하나의 이동 열로 교호되는 고정된 문양사 뜨개 바늘과 밀어 젖혀질 수 있는 문양사 뜨개 바늘(39, 40)을 지지하고, 이동 제어 장치(20)는 밀어 젖혀질 수 있는 개개의 문양사 뜨개 바늘(40)에 고정된 문양사 뜨개 바늘(39)과 인접될 때까지의 회피 이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를 위한 경편기.
  13. 제10항에 있어서, 회피 이동(42)은 안뜨기 이동시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를 위한 경편기.
  14. 제9항에 있어서, 동일한 기본 이동을 실시하는 2개의 문양 뜨개 바아(16, 17)는 치밀도가 직기의 편물 뜨기 치밀도의 1/4이고 개별적으로 밀어 젖혀져서 1개 또는 2개로 분배될 수 있는 문양사 뜨개 바늘(11, 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를 위한 경편기.
KR1019980030543A 1997-09-09 1998-07-29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272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9540.6 1997-09-09
DE19739540A DE19739540C1 (de) 1997-09-09 1997-09-0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gemusterten Wirkwa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267A true KR19990029267A (ko) 1999-04-26
KR100272351B1 KR100272351B1 (ko) 2000-11-15

Family

ID=784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543A KR100272351B1 (ko) 1997-09-09 1998-07-29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997669B2 (ko)
KR (1) KR100272351B1 (ko)
DE (1) DE19739540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2948B4 (de) * 2001-09-01 2006-03-2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emusterten Wirkware und Kettenwirkmaschine
CN103966756B (zh) 2014-05-26 2015-12-09 江南大学 基于伺服驱动的槽针经编机形成压纱组织的方法
CN104032478B (zh) * 2014-06-30 2016-05-18 常州市第八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经编机勾纱器
CN104480624B (zh) * 2014-11-10 2017-01-18 江南大学 一种带有剪线装置的多梳经编机及其生产方法
CN105002650A (zh) * 2015-08-05 2015-10-28 福建省鑫港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不使用沉降片的拉舍尔经编机
CN106283377A (zh) * 2016-10-26 2017-01-04 福建省鑫港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不使用沉降片的拉舍尔经编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6899C1 (de) * 1992-08-14 1994-01-13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Steuerung
DE4432222C1 (de) * 1994-09-10 1996-05-02 Mayer Textilmaschf Verfahren und Kettenwirk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gemusterten Wirkware
DE19651053C1 (de) * 1996-12-09 1998-06-10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Legebar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40751A (ja) 1999-05-25
JP2997669B2 (ja) 2000-01-11
DE19739540C1 (de) 1999-03-04
KR100272351B1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3840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weave-knit material
JP2702100B2 (ja) 柄出し編地を製造する方法及び経編機
US5660062A (en)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producing textile net-like fabrics
JP2008280630A (ja) 経編機
US4421142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abric, particularly tape fabric, loom for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and fabric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KR100272351B1 (ko) 문양이 놓여진 편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01164447A (ja) レース編物及びその編成方法
JPH05247806A (ja) 経編地と該経編地を編成するための経編機及び経編方法
CN1045824A (zh) 带绒头经编织物的制造方法及其所用经编机
JPH04241154A (ja) 柄入りニット製品とその製造のための方法並びに経編機
US5653127A (en) Device on a warp knitting machine for crocheting an elastic band with fleece and an elastic band produced by this device
US4581905A (en) Process and weaving machine to produce patterned fabrics
JP2877787B2 (ja) パイル地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れに適した経編機
KR960015659B1 (ko) 편물의 단사(端絲) 처리방법
KR100272352B1 (ko) 뜨개 레일을 구비한 경편기
JP4128328B2 (ja) たて編み機
US6116058A (en)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producing textile net-like fabrics
SU1291629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ворсового трикотажа и основов зальна машина дл осуществлени способа
US4389860A (en)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jacquard-patterned pile-knit fabrics
US3603114A (en) Warp-knitting machine
JPS6360142B2 (ko)
GB2107363A (en) Warp-knitting machine
JP7306526B1 (ja) 経編地の編成方法及び経編機
KR930018071A (ko) 경사편성포와 그 경사편성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51849B1 (ko) 편물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