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364B1 - 용융상태에서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용융상태에서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364B1
KR920006364B1 KR1019890003742A KR890003742A KR920006364B1 KR 920006364 B1 KR920006364 B1 KR 920006364B1 KR 1019890003742 A KR1019890003742 A KR 1019890003742A KR 890003742 A KR890003742 A KR 890003742A KR 920006364 B1 KR920006364 B1 KR 920006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resin
fibers
polyester resin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621A (ko
Inventor
노리유끼 하야시
겐지 히지가따
Original Assignee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니시 히꼬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고니시 히꼬이찌 filed Critical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40Polyesters derived from ester-forming derivatives of polycarboxylic acids or of polyhydroxy compounds, other than from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09K19/3804Polymers with mesogenic groups in the main chain
    • C09K19/3809Polyesters; Polyester derivatives, e.g. 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65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the hydroxy and carboxylic ester groups being boun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융상태에서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그 조성물.
본 발명은 용융상태에서 이방성을 나타내고, 우수한 내열성,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그것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내열성과 함께 가공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용융 상태에서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머(액정폴리머)에 대한 다양한 제안들의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를들면 (1)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72393/1974호, (2)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43223/1975 호, 그리고 (3)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77691/1979 호등에 기술되어 있다. 각각의 이런 액정 폴리머는 액정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그것의 골격에 도입된 강성 모노머를 함유하여, 고강도와 우수한 가공성이 실현된다.
그렇지만, 내열성과 가공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인자들을 고려해야만 한다. 특히, 보통 열가소성 수지는 최고로 350℃에서 성형되고, 350℃이상의 온도에서 성형을 행할 때에는 특수한 성형기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형상의 변형과 열원의 경제성 관점에서 성형 온도는 350℃ 또는 그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엄격한 조건하에서 열기소성 수지의 사용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고온에서 수지의 기계적 특성의 신뢰도가 특히 중요하다. 그러므로, 내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소용되는 적어도 150℃, 바람직하기에는 200℃의 열변형 온도를 갖는 수지가 요구되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상술한 두가지 특성은 서로 모순되므로, 용융점 또는 유동점의 저하와 열변형 온도의 증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상술한 종래의 액정 폴리머(1)이 열변형 온도에 대한 요구 즉, 200℃상을 만족시킨다 할지라도, 성형온도에 대한 요구 즉, 350℃이하를 만족시키지 못한다. 상술한 종래의 액정 폴리머(2)와 (3)이 성형온도에 대한 요구 즉, 350℃이하를 만족시킨다 할지라도, 액정 폴리머(2)와 (3)의 열변형 온도는 각각 100℃이하와 180℃이므로, 상술된 바람직한 열변형 온도 범위 이하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서로 상반되는 성질들 즉, 내열성과 고가공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고, 가혹한 환경에서조차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나타날 수 있는 열가소셩 수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행한 결과, 특정 구성 단위들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는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고, 균형을 이루는 우수한 특성들을 제공할수 있다는 것을 발전하였으며, 이것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필요부가결한 성분으로 다음의 식(I) 내지 (II)으로 나타낸 구성 단위의 양이 각각 35내지 90몰%, 0.5 내지 30몰%, 그리고 0.5 내지 30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고, 용융 상태에서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술한 구성단위들의 특정 비율로 이루어진 액정 폴리머는 고가공성과 내열성 사이에 좋은 균형을 이루는 폴리머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폴리머 구성 단위(I)을 제공하기 위한 화합물의 특별한 예를들면 p-히드록시벤조산과 그것의 유도체들이 있다, 그 유도체들의 예를들면 아세톡시벤조산등의 아실화벤조산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에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부틸 히드록시벤조애이트 및 페닐 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산염들, 그리고 히드록시벤조일 클로라이드등의 아실 염화물들이 있다.
구성 단위(I)은 구성단위들 총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90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몰%의 양을 사용한다.
구성 단위(II)를 제공하기 위한 화합물의 특별한 예를들면 2-히드록시-6-나프토산과 그것의 유도체들이 있다. 그 유도체들의 예를들면 2-아세톡시-6-나프토산등의 아실화 나프토산들, 메틸 2-히드록시-6-나프토에이트, 에틸 2-히드록시 -6-나프토에이트, 부틸 2-히드록시 -6-나프토에이트 및 페닐 2-히드록시 -6-나프토이에트 등의 나프토산염들, 그리고 2-히드록시-6-나프토일 클로라이드등의 아실 염화물들이 있다.
구성 단위(II)는 구성 단위들 총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몰%의 양을 사용한다.
구성 단위(III)을 제공하기 위한 화합물의 특별한 예를들면 m-히드록시벤조산과 그것의 유도체들이 있다. 그 유도체들의 예를들면 아세톡시벤조산등의 아실화 벤조산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에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부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페닐 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산염들, 그리고 히드록시벤조일 클로라이드 등의 아실 염화물들이 있다.
구성 단위(III)은 구성단위들의 총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l5몰%의 양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폴리머는 이런 화합물들로 부터 직접 중합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등으로 중합하여 제조한다.
상술한 중합은 다양한 촉매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킨다. 그 촉메의 대표적인 예를들면 디알칼린 옥사이드, 디아릴린 옥사이드, 산화티타늄, 알록시티타늄 실리케이트 및 알칼리 토금속 카르복실레이트, 그리고 BF3등의 르위스(Lewis)산이 있다.
촉매는 모노머들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보통 약 0.001 내지 1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중량%의 양을 사용한다.
상술한 중합법으로 제조한 폴리며는 분자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고상 증합이 성취되도록 불활성 가스에서 더욱 가열할 수 있다.
그 폴리머가 용융상태에서 이방성을 나타내는 액정 폴리머인 것을 내열성과 함께 고가공성을 갖는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하여 필수적이다.
이방성 용응상의 특성은 교착된 니클(Nicol)프리즘을 사용하는 통상의 편광기법으로 시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방상 용융상의 존재는 레이쯔(Leitz) 편광 현미경의 40배율로 질소 분위기에서 레이쯔 핫스테이지(hot stage)에 위치한 샘플을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폴리머는 광학 이방성이다. 즉, 그것이 교차된 니클 프리즘 사이에 위치할 때에 빛이 통과한다. 샘플이 광학 이방성이면, 그것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조차 편광이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액정상과 용융점(액정 성장 온도)은 가공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융 상태에서 폴리머의 유동성은 그 폴리머가 액정성을 나타내는지 아닌지와 깊이 관련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용융 상태에서 액정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네마틱 액정성 폴리머는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점도가 현저히 저하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가공성을 표시하는 것은 그것의 용융점 또는 그 이상에서의 액정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용융점(액정 성장 온도)은 일반 성형기의 기업 역량의 견지에서 바람직하게 350℃이하 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열변형 온도, 고온에서의 강도 등은 내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된다. 그 수지를 적용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사항은 다음의 열저항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1 ) 그 물질은 전기등의 영역에서 납땜 단계를 견디기에 충분한 납땜 열저항성을 갖고, (2) 그 물질은 고온에서의 용력하에서 계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목 (2)는 열변형 온도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고, 그 수지 자체의 성능이 상술한 항목 (1)과 서로 관련이 있을지라도, 그 수지의 열변형 옴도가 200℃이상일 경우에, 열측적기 및 열원과 관련된 부품용 물질로 사용될 때에 그 수지는 아주 우수한 내열성을 갗는다.
섬유상, 미립자상 또는 판상의 다양한 무기 및 유기 충전제를 사용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할 수 있다.
섬유상 충전제의 예를들면 유리 섬유, 아스베스로스 섬유, 실리카 섬유, 실리카/알루미나 섬유, 알루미나섬유, 지르코니아 섬유, 질화붕소 섬유, 질화규소 섬유, 봉소 섬유 및 티탄산칼륨 섬유등의 무기 섬유상 물질들, 그리고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티타늄, 구리 및 황동등의 금속 성유상 물질이 있다. 대표적인 섬유상 충전제는 유리 섬유이다. 또한, 폴리아미드, 불소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등의 고용융점 유기 섬유상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미립자상 충전제의 예를를면 카본블랙, 그래파이트, 실리카, 석영분말, 유리 비드, 분쇄한 유리 섬유, 유리 벌룬, 유리 분말, 그리고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카올린, 활석, 점토, 규조토 및 규회석등의 규산염들, 산화철,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삼산화안틴몬 및 알루미나등의 금속 산화물들, 탄산 칼슘과 탄산마그네습등의 금속 탄화물들, 황산칼슘과 황산바륨둥의 금속황화물들, 그러나 이것들 외에 페라이트, 탄화규소, 질화규소 및 질화붕소등의 다양한 분말상 물질이 있다.
판상 무기 물질의 예를들면 운모, 유리플레이크 및 다양한 금속 호일들 있다.
유기 충전제의 예를들면 유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액정 고분자 섬유, 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폴리이미드섬유등과 같은 내열성 고강도 합성 섬유가 있다.
이런 무기 및 유기 충전제들은 그것들 중에서 단독으로 또는 2종류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섬유상 충전제와 미립자상 또는 판상 충전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기계적 강도와 함께 치수 정밀도, 전기적 특성등등에 있어 바람직히다. 무기 충전제는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9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배합한다.
필요하다면, 이런 충전제들과 결합제(binder) 또는 표면 처리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보조 첨가제로 다른 열가소성 수지들을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하되지 않을정도로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등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로 이루어지거나,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호모폴리머와 코폴리머), 폴리스타이렌, 폴리비닐 콜로라이드, 폴리아미드, 폴리 카보네이트, ABS, 폴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불소수지를 들수 있다. 이런 열가소성 수지를 그것을 중에서 2종류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성 단위들로 이루어지고, 용융 상태에서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폴리에스테르와 그것의 조성물은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수 있고, 350℃이하의 가공 온도에서 유동할 수 있으며, 통상의 사출성형, 압출성형 및 압축성형을 시킬수 있고, 다양한 3차원 성형품, 섬유, 필름 등등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특히 사출성형하기 적당한 유동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폴리에스테르와 그것의 조성물은 열변형 온도가 200℃이상이기 때문에 고온에서 조차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납땜 열저항성도 가져, 내열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사용처에 사용하기 적당한 유기 폴리에스테르와 그것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시예]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다음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한 측정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1) 액정성의 측정:
제조된 수지의 액정성을 레이쯔 편광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레이쓰 핫스테이지 위에 놓인 샘플을 질소 분위기에서 40배율로 관찰하였다. 샘플을 교차된 니클 사이에 두었을 때에, 빛이 통과하면 그 샘플이 액정성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2) 용융점의 측정:
용융점은 시차 스캐닝 열량계로 측정하였다.
3) 납땜 열저항의 측정:
납땜 열저항은 압착 시트를 1mm로 자른 견본을 260℃의 땜납조에 30분 동안 침지하여 측정하면, 표면형상을 관찰하였다. 샘플의 표면에 기포, 주름, 균열 또는 변형들의 이상이 관찰되면, 납땜 열저항이 빈약한 것으로 평가(X)하고, 반대로 이상이 없으면, 납땜 열저항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0)하였다.
4) 비틀림 강성의 측정:
1mm 두께의 압착시트를 자른 인장 견본에 대하여 레오메트릭스사(Rheomeetrics, Inc.)제 레오메터로 25℃에서 강성을 측정하였다. 납땜 따위의 단계에서 열변형을 고온 분위기에서의 강성으로 평가할 수 있있다. 샘플이 250 내지 260℃에서 적어도 104dyn/cm2의 강도를 갖는 경우에, 우수한 열변형 저항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5) 열변형 온도의 측정:
열변형 온도는 ASTM-D 648(하중:18.6kg/cm)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교반기, 질소 도입관 및 배출관이 갓추어져 있는 반응기에 p-아세톡시벤조산 85몰%, 2,6-아세톡시나프토산과-m-아세톡시벤조산의 각각 7.5몰%, 그리고 투입량의 총량을 기준으로 초산칼륨 0.05중량%를 채워넣었다. 그 혼합물을 질소가스의 흐름중에 온도가 260℃이상으로 을라가도록 1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가열하였다. 다음에, 반응기로 부터 형성된 초산을 증류 하면서 그 혼합물을 260 내지 300℃로 가열하고, 300내지 320℃에서 1시간과 320℃ 내지 350℃에서 1시간을 가열하였다. 생성된 초산을 진공에서 증류하였다.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기 위하여 실온의 질소 가스를 도입하였다. 생성 폴리머는 편광 핫스테이지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에 약 320℃이상에서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었다. 용융 온도, 열변형 온도 및 강성은 각각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4]
표 1에 나타낸 비율의 모노머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l과 대체로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행하였다. 생성폴리머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내지 5]
표 1에 나타낸 비율의 모노머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l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을 행하였으며, 생성 폴리머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사용한 폴리어의 100 중량부를 유리 섬유 15 중량부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조성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을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2

Claims (2)

  1. 필요불가결한 성분으로 다음의 식(I) 내지 (III)으로 나타낸 구성단위의 양이 각각 35 내지 90몰% 0.5 내지 0.3몰%, 그리고 0.5 내지 30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용융상태에서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Figure kpo00003
  2. 용융상태에서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는 제 1 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무기 충전제를 95중량% 또는 그 이하로 배합하여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9890003742A 1988-03-24 1989-03-24 용융상태에서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그 조성물. KR920006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70377 1988-03-24
JP63070377A JP2664400B2 (ja) 1988-03-24 1988-03-24 溶融時に異方性を示す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樹脂組成物
JP70377 1988-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621A KR890014621A (ko) 1989-10-25
KR920006364B1 true KR920006364B1 (ko) 1992-08-03

Family

ID=1342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742A KR920006364B1 (ko) 1988-03-24 1989-03-24 용융상태에서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10284A (ko)
EP (1) EP0334619A3 (ko)
JP (1) JP2664400B2 (ko)
KR (1) KR920006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77B (zh) * 1988-11-05 1992-04-08 化学工业部晨光化工研究院一分院 耐高温高聚合度羟基苯甲酸系聚酯的制造方法
TW401454B (en) * 1992-06-02 2000-08-11 Sumitomo Chemical Co Liquid crystal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6666990B2 (en) 2001-02-14 2003-12-23 Ticona Llc Stretchable liquid crystal polymer composition
JP7111502B2 (ja) * 2018-04-24 2022-08-02 上野製薬株式会社 機械強度および誘電特性に優れた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410A (en) * 1972-09-28 1973-12-11 Eastman Kodak Co Process for preparing a final copolyester by reacting a starting polyester with an acyloxy aromatic carboxylic acid
US3975487A (en) * 1973-08-20 1976-08-17 The Carborundum Company Process for spinning high modulus oxybenzoyl copolyester fibers
US4161470A (en) * 1977-10-20 1979-07-17 Celanese Corporation Polyester of 6-hydroxy-2-naphthoic acid and para-hydroxy benzoic acid capable of readily undergoing melt processing
US4337190A (en) * 1980-07-15 1982-06-29 Celanese Corporation Polyester of 6-hydroxy-2-naphthoic acid and meta-hydroxy benzoic acid capable of readily undergoing melt processing
CA1194649A (en) * 1981-07-13 1985-10-01 Celanese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foams of thermotropic liquid crystal polymers
US4393191A (en) * 1982-03-08 1983-07-12 Celanese Corporation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s by direct self-condensation of aromatic hydroxy acids
US4473682A (en) * 1982-07-26 1984-09-25 Celanese Corporation Melt processable polyester capable of forming an anisotropic melt comprising a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6-oxy-2-naphthoyl moiety, 4-oxybenzoyl moiety, 4,4'-dioxybiphenyl moiety, and terephthaloyl moiety
US4429105A (en) * 1983-02-22 1984-01-31 Celanese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polyester of hydroxy naphthoic acid and hydroxy benzoic acid
JPH0653820B2 (ja) * 1986-03-26 1994-07-20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分極配向を固定化させてなる樹脂成形体
JPH0772367B2 (ja) * 1987-02-10 1995-08-02 株式会社クラレ 高弾性繊維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64400B2 (ja) 1997-10-15
US4910284A (en) 1990-03-20
JPH01242619A (ja) 1989-09-27
EP0334619A3 (en) 1990-08-22
KR890014621A (ko) 1989-10-25
EP0334619A2 (en) 198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3713A (en) Polyester resin exhibiting optical anisotropy in molten state containing minor amounts of 6-oxy-2-naphthoyl units
JP3086231B2 (ja) 溶融時に異方性を示す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樹脂組成物
KR102556126B1 (ko)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KR930004608B1 (ko) 용융상태에서 광학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그 조성물
JP2664405B2 (ja) 溶融時に光学的異方性を示す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樹脂組成物
JP2664404B2 (ja) 溶融時に光学的異方性を示す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樹脂組成物
KR920006364B1 (ko) 용융상태에서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그 조성물.
JPH0649189A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及び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960002953B1 (ko) 용융비등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JP3913527B2 (ja) 全芳香族ポリエステルアミド及びポリエステルアミド樹脂組成物
JP3499023B2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及び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960002954B1 (ko) 용융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KR930006253B1 (ko)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지 조성물
JP3024839B2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及び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3088206B2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及び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930006252B1 (ko) 용융상태에서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지조성물
JPH06116373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及び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21024985A (ja) 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
JPH05295093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法
JPH06239982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及び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