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253B1 -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253B1
KR930006253B1 KR1019890015155A KR890015155A KR930006253B1 KR 930006253 B1 KR930006253 B1 KR 930006253B1 KR 1019890015155 A KR1019890015155 A KR 1019890015155A KR 890015155 A KR890015155 A KR 890015155A KR 930006253 B1 KR930006253 B1 KR 930006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polyester resin
polymer
resin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394A (ko
Inventor
노리유끼 하야시
유끼히꼬 가게야마
겐지 히지까따
Original Assignee
폴리 플라스틱스 가부시끼 가이샤
고니시 히꼬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 플라스틱스 가부시끼 가이샤, 고니시 히꼬이찌 filed Critical 폴리 플라스틱스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09K19/3804Polymers with mesogenic groups in the main chain
    • C09K19/3809Polyesters; Polyester derivatives, e.g. 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0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mixture of hydroxy carboxylic acids,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0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mixture of hydroxy carboxylic acids,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05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the reaction of a mixture of hydroxy carboxylic acids,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the hydroxy and carboxylic groups being boun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내열성, 가공성 및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폴리머들(액정성 폴리머들)이 내열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들로써 제안되었다. 그의 대표적인 예들이 일본 특개소 72393/1974(1), 43223/1975(2) 및 77691/1979(3)에 나타낸 폴리머들이다. 이들 액정성 폴리버들은 각각 그의 골격에 도입된 강직성 세그먼트(segment)에 의하여 액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그들의 우수한 용융 유동성에 의해 가공이 용이해진다.
그러나, 산업상의 분야에 액정성 폴리머를 실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내열성과 가공성을 개선하는 것이 지금부터 서술되는 점에서 더 개선되어야만 할 필요가 있다.
즉, 가공성에 관해서, 열가소성 수지는 적당한 유동 개시 온도와 용융시에 유동성을 가져야만 하며, 가공시에 가스의 발생이나 변색을 생기지 않기에 충분한 열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그들중에, 유동개시 온도와 유동성은 액정성의 성질을 이용하므로써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이 3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행해지면, 통상의 열가소성 폴리머에 이용하는 안정제의 부여에 의하여 가공시에 분리가스의 발생과 변색등의 문제를 제지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온도가 지나치게 상승될 수 없다.
열가소성, 수지, 특별히는 폴리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성형 온도는 약 370℃이하이다. 37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열가소성 수지 자신의 열노화가 급속히 진행되기 때문에, 열가소성수지의 안정한 강도가 열이력후에 보증될 수 없다. 더욱이, 이러한 온도는 통상적인 성형기의 사용온도 범위를 초과한다.
내열성에 관해서, 열가소성 수지는 고온상태에서 형상과 기계적 강도 유지의 안정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특히, 전기분야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필연적으로 솔더링(Soldering) 처리되기 때문에, 260℃이상에서 그의 형상유지 안정성은 더욱 중요하다.
이상의 관점으로부터, 액정성 포리머는 또한 가공성과 내열성이 모두 만족하게 개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두가지 성질은 통상적인 열가소성 수지에서 상반되기 때문에, 그의 가공성이 지표인 액정성 폴리머의 용융점 또는 유동점을 저하시키고, 또한 고온에서 그의 형상 안정성과 기계적 성질의 신뢰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전에 제안된 액정성 폴리머들 중에, 참조(1)에 나타낸 것은 그의 성형온도가 400℃를 초과하여 성형시에 분해가스가 다량으로 발생하고 열안정성이 부족한 문제성이 있다. 참조(2)와 (3)에 나타낸 것은 고온에서의 신뢰성에 문제성이 있다. 왜냐하면, 비록 두 참조에 나타낸 그들 모두가 수지의 성형온도 370℃를 초과하는 조건을 만족해도 참조(2)에 나타낸 폴리머들은 솔더링 처리시에 필요한 온도인 260℃이상에서 그들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고, 참조(3)에 나타낸 것은 고온에서 강도 안정성의 신뢰성이 불만족스럽기 때문이다.
이상의 문제점들에 감안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서로 상반되는 내열성과 가공성이 모두 우수하고, 또한 가혹한 환경에서도 기계적 성질의 신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를 얻기 위해 부단히 연구한 결과, 특정의 구성단위들은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가 좋은 밸런스를 갖는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졌다.
즉, 본 발명은 필수의 구성성분으로서 다음 공식(Ⅰ)-(Ⅲ)에 의하여 표현된 구성단위들을 포함하는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관한 것이며, 단위(Ⅰ), (Ⅱ) 및 (Ⅲ)의 함량은 각각 구성단위의 총량에 대해 70몰%, 이상, 5-20몰% 및 5-20몰%이다.
Figure kpo0000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정 구성 단위를 특정 비율로 포함하므로서 가공성과 솔더링 등의 고온분위기에서 형상안정성이 우수하고 그들 상호간의 밸런스가 양호한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한다.
단위(Ⅰ)의 호모폴리머 및 단위(Ⅱ)와 (Ⅲ)(1,4-치환 화합물)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가 400℃이하의 온도에서 용융될 수 없어 그들이 각각 단독으로는 가공성이 없다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한편, 단위(Ⅰ), (Ⅱ) 및 (Ⅲ)의 조합에 의하여 얻어진 3원계의 폴리머는 상기 호모폴리머와 공중합체에 비해 저하된 용융점을 나타내며, 따라서 가공성이 생긴다.
구성단위(Ⅰ)에 대한 초기 화합물은 P-히드록시 안식향산 또는 그의 유도체이다. 유도체의 예로서는 아세톡시 안식향산등의 산 에스테르 ; 히드록시 안식향상의 메틸, 에틸, 부틸 및 페닐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 ; 히드록시 안식향산 클로라이드 등의 아실 클로라이드가 있다.
구성단위(Ⅰ)은 구성단위들의 총량에 대하여 7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1-85몰%의 양이 사용된다. 만일 그양이 70몰% 이하이면, 결과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내열성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나빠질 것이다.
구성단위(Ⅱ)에 대한 초리 화합물은 2,6-디히드록시 나프탈렌 또는 그의 유도체이다. 그 유도체의 예로서는 디아세톡시 나프탈렌과 디프로피오닐록시 나프탈렌 등의 유지 카르복실산 갖는 에스테르들이 있다.
구성단위(Ⅱ)는 구성단위들의 총량에 대하여 5-20몰% 바람직하게는 7.5-15몰%의 양이 사용된다.
구성단위(Ⅲ)에 대한 초기화합물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의 유도체이다. 그 유도체의 예로서는 테페프탈산의 메틸, 에틸 및 페닐 에스테르들 등의 에스테르와 테르프탈산 클로라이드 등의 아실 클로라이드가 있다.
구성단위(Ⅲ)은 구성단위들의 총량에 대하여 5-20몰% 바람직하게는 7.5-15몰%의 양의 사용된다.
더욱이, 다음의 일반식(Ⅳ)로 표현되는 구성단위는 폴리머의 용융점을 조정하고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Figure kpo00002
구성단위 (Ⅳ)에 대한 초기화합물은 이소프탈산 및 그의 유도체이며, 그 유도체의 예로서는 메틸, 에틸 및 페닐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들과 이소프탈산 클로라이드 등의 아실 클로라이드가 있다.
비록 구성단위(Ⅳ)가 필수적인 성분으로는 필요없지만, 구성단위들의 총량에 대하여 0.1-7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몰%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폴리머는 직접 중합법 또는 에스테를 교환법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합물의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다. 중합은 일반적으로 용융 중합법 또는 슬러리(Slurry) 중합법에 의하여 실행된다.
중합시에는 여러가지 촉매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디알킬린, 옥사이드, 디아릴틴 옥사이드, 티타늄 디옥사이드, 알콕 시티타늄 실리케이트, 티타늄 알콜레이트, 카르복실산의 알카리와 알카리토(土)류 금속염류, 및 BF3와 같은 루이스(Lewis) 산등이 있다.
사용되는 촉매의 양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모노머들의 총량에 대하여 약 0.001-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0.2중량%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머는 분자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불활성 가스중에서 가열하므로써 교체상으로 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머인 것은 내열성과 가공성이 모두 우수한 폴리머에 대해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용융 이방성의 성질은 직교편광차를 이용한 통상의 편광방법에 의해 확인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츠(Leits) 핫 스테이지 위에 놓인 용융서로는 라이츠 편광 현미경(100배의 배율)의 사용에 의하여 질소분위기하에서 관찰된다. 시료가 용융정지 상태에 있을지라도, 편광이 직교 편광자를 통하여 투과될 수 있으면, 폴리머는 광학적 이방성, 또는 액정성 폴리머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가공성의 지표로서 역할을 하는 성질 등을 액정성과 용융점(액정성 현상온도)이다. 폴리머가 액정성을 나타내는지, 나타내지 않는지는 폴리머의 용융 유동성에 크게 좌우된다. 그러므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용융상태에서 액정성을 나타내는 것은 본 발명에서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네마틱 액정성 폴리머는 그것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두드러진 점도저하를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액정성을 나타내는 사실은 수지가 가공성이 우수하는 것을 암시한다. 더욱이, 비록 그이 용융점이 가능한한 높게되는 것은 열변형 저항의 관점으로부터 단지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약 370℃까지의 용융점(액정성 현상온도)을 갖는 것을 용융 가공시에 폴리머의 열노화 도는 성형기의 가열 능력 등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그의 용융점보다 적어도 10℃만큼 높은 온도와 100sec-1전단 응력하에서 1×106P이하, 바람직하게는 104P의 용융점도를 나타내는 것이 좋다. 폴리머는 액정성을 나타내는 한, 많은 경우에 이러한 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의 지표의 역할을 하는 성질들은 고온하에서 형상 안정성, 강성, 강성의 안정성 및 성형시에 열이력 후의 기계적 성질의 안정성 등이 있다. 더욱이, 폴리 에스테르 수지가 특히 전기 분야등에 사용될때 거기에 가해지즌 솔더링 열에 견디기에 충분한 높은 내열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고온에서의 강성에 대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260℃에서 리오미터로 결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1×103의 뒤틀림 강성을 나타낸다. 재료로써 신뢰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260-280℃의 온도에서 강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야 된다. 즉 강성의 안정성이 적어도 50%가 되어야 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용융상태일지라도 그의 열노화에 따라 그의 강성이 크게 저하 되지 않아야 된다. 즉, 만일 초기상태에 대하여 강성의 안정성이 80%이하이면 재료로써 수지의 신뢰성이 손상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여러가지 섬유상, 분말상, 과립상 또는 판상의 유기 또는 무기충전체 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상 충전제는 무기질 섬유상 물질, 예를 들면 유리섬유, 아스베스로스 섬유, 실리카 섬유, 실리카/알루미나 섬유, 지르코니아 섬유, 보론 니트라이드 섬유, 실리콘 니트라이드 섬유, 보른 섬유, 포타슘 티탄네이트 섬유 및, 스테인레스 강알루미늄, 티탄늄 등 또는 황동등의 금속섬유를 포함한다. 그들중에 유리섬유가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분말상 또는 과립상 충전체로서는 카본 블랙, 흑연, 실리카, 석영분말, 유리비드(bead), 제분된 유리섬유, 유리벨륜, 유리분말 ;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카올린, 탈크, 글레이, 규조토, 월라스토나이트 등의 규산염 ; 산화철, 산화 티타튬, 산화 아연, 삼산화 안티몬 및 알루미나 등의 금속 산화물 ; 탄산칼슘과 탄산마스네슘 등의 금속탄산염 ; 칼슘 설파이드와 바륨 설파이드 등의 금속 설파이드 ; 페라이트, 실리콘 카바이드, 실리콘 니트라이드, 보론 니트라이드 및 각종의 금속 분말들이 있다.
판상 충전체로서는 마이카(mica). 유리 플레이크(flake) 및 각종의 금속박이 있다.
유기 충전제로서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섬유, 액정성 폴리머 섬유, 방향족 폴리아미드, 및 롤티아미드 섬유등의 내열성. 고강도 합성섬유 등이 있다.
이들 유기 또는 무기 충전제들은 단독으로, 또는 그들을 2개의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섬유상 충전제와 과립상 또는 판상 충전제의 병용은 특히 기계적 강도 뿐만 아니라 치수 정밀도와 전기적 성질이 우수한 입자의 제조에 효과적이다. 첨가되는 무기 충전제의 양은 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95중량%이하, 바람직하게는 1~80중량%이다.
만일 필용하다면, 수속제(sizing agent) 또는 표면처리제가 상술된 바와 같은 충전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한,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예들로서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 또는 히드록시 카르복실 산 등으로 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 폴리아세틸(호모-또는- 코-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ABS,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플루오로레신 등이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또한 그들은 2개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정의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와 본 발명에 따라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우수한 성능을 갖고, 약 370이하의 처리온도에서 우수한 유동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들은 사출성형, 압축 성형 또는 압출 성형에 의하여 각종의 입체 성형품, 섬유 또는 필름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특히, 그들은 그의 사출 성형에서 우수한 유동성을 나타낸다. 또한, 그들은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그들은 고온 상태에서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솔더링 열에 대해서 그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들은 내열성이 필요한 각종 분야에 용융할 수 있고, 특히 솔더링 공정을 수반되는 부분분야에서 유용하다.
[실시예]
본 발명은 지금부터 다음 실시예들에 의거하여 지금부터 서술된다. 그러나, 이들은 이들 실시예들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그 안에 사용된 측정방법을 먼저 서술하기로 한다.
1) 액정성의 측정
수지가 액정인지 아닌지를 라이츠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특히, 라이츠 핫 스테이지 위에 놓인 용융된 수지 시료를 100배의 배율로 질소 분위기에서 질소 분위기에서 직교 편광자로써 관찰한다. 편광된 광이 거기를 통하여 전달되면 특유의 패턴이 주어지고, 수지 시료를 액정성 폴리머로서 판단한다.
2) 용융점(유동개시온도)
퍼킨 엘머사제 시차열해석 장치로 시료의 용융점을 측정하고, 그 결정된 용융점을 그의 유동개시 온도로서 간주한다.
3) 가공성
시료의 용융점보다 10℃만큼 높은 온도와 100sec-1의 전단응력하에서 도이오 세이끼사제 캐필로 그래프로 측정된 바와 같이 104P 이하의 점도와 액정성을 나타내는 시료를 "0"으로 나타내고, 104P 이하의 점도와 액정성 나타내지 않는 시료를 "X"로 나타낸다.
4) 솔더링 내열성의 측정
1㎜ 두께의 압축지를 절단하여 제조한 시험편을 2의 표면을 관찰하기 위해 30초동안 260℃에서 솔더 배쓰(bath)에 침지한다. 블리스터, 텀플. 크랙 또는 변형등의 이상변화가 관찰되는 경우들 "X"로 나타내고, 정상변화가 관찰되는 경우를 "0"으로 나타낸다.
5) 감성률의 측정
미국 레오메터릭스 사제 레오메터(상호)를 이용하여, 일본 쓰바꼬 사제 미니쇼트 2(상호)으로 사출성형한 인장시험편을 제조하고, 260℃와 280℃에서 인장강성을 측정한다. 유리 섬유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해서, 이러한 조성물을 도이오 세이끼 사제 실험 플라스토밀을 사용하여 영구적으로 제조하고, 위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동일 미니쇼트형 2로써 시험편으로 성형한다.
솔더링 공정에서 시료의 내변형성을 고온 분위기에서 2의 가성에 의하여 평가한다. 그러므로, 강성의 유지율을 280℃에서의 강성을 260℃의 강성으로 나눔으로써 평가하고, 고온 분위기에서 강도의 신뢰성 지표로서 간주한다. 신뢰성을 성취하기 위해서, 강성의 유지율은 적어도 0.5로 되어야 한다.
6) 용융 안정성
2의 표면을 관찰하기 위해서 30분 동안 수지의 용융점(유동 개시 온도) 보다 10℃높은 온도에서 수지를 체류시킨다. 블리스터, 텀플, 크랙, 변색 또는 가스발생등의 이상변화가 관찰되는 경우를 "X"로 나타내고, 정상변화가 관찰되는 경우를 "O"으로 나타낸다. 더욱이, 용융상태에 놓인 수지에 대해 4항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280℃에서 비트림 강성을 축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비틸름 강성을 용융전의 비틀림 강성으로 나눔으로서 안정성을 평가한다.
[실시예 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아세톡시 안식향산 74몰%, 2.6-디아세톡시 나프탈렌 13몰%, 테레프탈렌 13몰%, 및 포타슘 아세테이트 0.05중량%(전체량에 대하여)를 교반기, 질소 유입관 및 유출관을 갖는 반응기 중에 넣어 질소 기류하에서 1시간 동안 260℃로 가열한다. 발생된 아세틱산을 유출하는 동안, 그 내용물을 2시간 동안 260~300℃로 가열한 다음, 300~320℃에서 1시단 동안, 마지막으로 320~360℃에서 1시간동안 가열하고, 아세틱산을 유출하기 위해 질소가스를 반응기에 도입시킨다. 얻어진 폴리머를 편광 현미경으로 편광 핫 스테이지 상에서 360℃에서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지 관찰한다. 상술된 방법으로 용융점, 솔도링 내열성, 강성률 용융시의 안정성, 및 강성의 유지율을 각각 측정한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2와 3]
각종의 모노머 혼합물을 결과의 폴리머가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유동할 수 있는 온도 범위보다 낮지 않게 하기 위하여 설정된 최종의 가열온도로 중합한다. 사용된 모너머들의 종류와 양이 표 1에 나타나 있다. 얻어진 폴리머도 실시예 1에서 서술된 방법으로 측정한다. 그 결과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비교 실시예 1과 2]
각종의 모노머 혼합물들을 결과의 폴리머가 실시예 1에 서술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유동할 수 있는 온도 범위보다 낮지 않게 하기 위하여 설정된 최종의 가열온도로 각각 중합한다. 사용된 모노머들의 종류들과 양은 표 1에 나타나 있다. 얻어진 폴리머들을 실시예 1에서 서술된 방법으로 측정한다. 그 결과들이 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00중량부의 폴리머와 20중량부의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실시예 1에서 서술된 방법으로 측정한다. 그 결과들이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Figure kpo00003
HBA : p-아세톡시 안식향산
DHN : 2,6-디아세톡시 나프탈렌
TPA : 테레프탈산
IPA : 이소프탈산
* 폴리머-100중량부와 유리섬유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Claims (3)

  1. 필수의 구성 성분으로서 다음의 일반식 :
    Figure kpo00004
    으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들을 포함하고, 전 구성 단위에 대하여 (Ⅰ)이 70몰 %이상, (Ⅱ)가 5~20몰%(Ⅲ)이 5~2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단위(Ⅰ)가 71~85몰 %인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3. 청구범위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음의 일반식(Ⅳ) :
    Figure kpo00005
    으로 표시되는 구성단위(Ⅳ)를 더 포함하고, 단위(Ⅳ)가 전 구성 단위에 대하여 0.1~7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시에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KR1019890015155A 1988-10-24 1989-10-21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지 조성물 KR930006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7618 1988-10-24
JP63267618A JPH0830112B2 (ja) 1988-10-24 1988-10-24 溶融時に光学的異方性を示す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樹脂組成物
JP63-267618 1988-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394A KR900006394A (ko) 1990-05-08
KR930006253B1 true KR930006253B1 (ko) 1993-07-09

Family

ID=1744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155A KR930006253B1 (ko) 1988-10-24 1989-10-21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66391A3 (ko)
JP (1) JPH0830112B2 (ko)
KR (1) KR930006253B1 (ko)
CA (1) CA2000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7000B2 (ja) * 1993-06-08 1999-09-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防水方法および防水構造
US5526549A (en) * 1993-07-01 1996-06-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4996A (en) * 1977-09-12 1980-01-22 Celanese Corporation Melt processable thermotropic wholly aromatic polyester
US4188476A (en) * 1979-04-06 1980-02-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romatic polyester consisting essentially of p-oxybenzoyl units, terephthaloyl units, 2,6-dioxynaphthalene or 2,6-dioxyanthraquinone units and m-oxybenzoyl or 1,3-dioxyphenylene units
JPH0665705B2 (ja) * 1981-12-15 1994-08-24 ヘキスト・セラニ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ポリアルキレンテレフタレ−トと高分子量完全芳香族ポリエステルとのブレンドおよびその製法
DE3325705A1 (de) * 1983-07-16 1985-01-24 Bayer Ag, 5090 Leverkusen Mesomorphe aromatische polyester mit hoher zaehigkeitund verbesserter schmelzviskositae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filamenten, fasern und folien
DE3338805A1 (de) * 1983-10-26 1985-05-15 Basf Ag, 6700 Ludwigshafen Vollaromatische polyester
JPH0739478B2 (ja) * 1985-10-31 1995-05-01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DE3629210A1 (de) * 1986-08-28 1988-03-03 Basf Ag Vollaromatische thermotrope polyester
US4746694A (en) * 1987-07-06 1988-05-24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Melt processable polyester capable of forming an anisotropic melt comprising a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6-oxy-2-naphthoyl moiety, 4-oxybenzoyl moiety, 2,6-dioxynaphthalene moiety, and terephthaloyl moie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394A (ko) 1990-05-08
EP0366391A3 (en) 1990-08-08
CA2000460A1 (en) 1990-04-24
JPH02115221A (ja) 1990-04-27
JPH0830112B2 (ja) 1996-03-27
EP0366391A2 (en) 1990-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920B1 (ko) 용융시에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수지조성물
US4983713A (en) Polyester resin exhibiting optical anisotropy in molten state containing minor amounts of 6-oxy-2-naphthoyl units
JP2664406B2 (ja) 溶融時に光学的異方性を示す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樹脂組成物
EP1319678B1 (en) Wholly aromatic polyester an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A1308849C (en) Resin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exhibiting anisotropy in molten state
JP2664405B2 (ja) 溶融時に光学的異方性を示す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樹脂組成物
US5391689A (en) Aromatic polyester an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2664404B2 (ja) 溶融時に光学的異方性を示す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樹脂組成物
KR930006253B1 (ko) 용융시에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지 조성물
KR960002953B1 (ko) 용융비등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US4910284A (en) Polyester resin exhibiting anisotropy in molten state and composition thereof
JP2003128782A (ja) 全芳香族ポリエステルアミド及びポリエステルアミド樹脂組成物
KR930006252B1 (ko) 용융상태에서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지조성물
KR960002954B1 (ko) 용융 이방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JP3024839B2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及び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3088206B2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及び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6116373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及び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