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229B1 - 피니언시프트장치 - Google Patents

피니언시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229B1
KR920006229B1 KR1019890015841A KR890015841A KR920006229B1 KR 920006229 B1 KR920006229 B1 KR 920006229B1 KR 1019890015841 A KR1019890015841 A KR 1019890015841A KR 890015841 A KR890015841 A KR 890015841A KR 920006229 B1 KR920006229 B1 KR 92000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plunger
stopper
shift lev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217A (ko
Inventor
아끼라 모리시다
게이이찌 고니시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2Separate power mes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니언시프트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피니언시프트장치를 사용한 스타터장치의 단면도.
제2도(a) 내지 제2도(d)는 상기 피니언시프트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그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설명도.
제3도는 본원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피니언시프트장치를 사용한 스타터장치의 단면도.
제4도(a) 및 제4도(b)는 상기 제2의 실시예의 피니언시프트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그 동작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동작설명도.
제5도는 종래의 스타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 출력회전축 3 : 피니언이동체
5 : 시프트레버 5a : 시프트레버상단부
5b : 시프트레버하단부 10 : 플린저
11 : 고정철심 14 : 가동접점
17 : 압압스프링 19a : 고정접점
20 : 오버런닝 클러치 21 : 피니언
26 : 코니컬 스프링 와셔 27 : 스토퍼
30,40 : 피니언시프트장치 31,41 : 스타터장치
32 : 전자스위치장치 33 : 훅
33a : 훅후단부 34 : 공극
43 : 플런저 44 : 요부
45 : 확경부 46 : 링판
47 : 압압스프링
본원 발명은 피니언시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하는 시동장치에 있어서 기관의 링기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을 슬라이드시키는 시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내연기관을 시동시키는 시동전동기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 있으며, 이와 같은 시동전동기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제5도에 도시된 종래의 시동전동기(1)는 직류전동기(2)와, 이 직류전동기(2)의 아마튜어로부터 축방향전방(제5도에서 보아 우측)으로 신장하는 전기자회전축의 신장부(이하 출력회전축이라 함)(2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장착된 피니언이동체(3)와, 직류전동기(2)의 측부에 배치된 전자(電磁)스위치장치(4)와, 피니언이동체(3)를 슬라이드시키는 시프트레버(5)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스위치장치(4)는 일단에 벽(6a)을 가진 통형(筒形)의 케이스(6)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6)내에는 외주요부(外周凹部)에 여자코일(7)을 감은 통형의 보빈(8)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보빈(8)의 내부에는 슬리브(9)가 끼워지고, 이 슬리브(9)의 전단(前端)은 케이스(6)에 있어서의 벽(6a)의 중심개구에 끼워져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슬리브(9)내에는 전단측에 가동의 플런저(10)가 배치되고, 또한 후단측에 고정철심(11)이 플런저(10)에 대치해서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10)와 고정철심(11)과의 사이에는 복귀용 스프링(12)이 배치되어 여자코일(7)에의 비통전시에는 플런저(1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고정철심(11)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는 로드(13)가 일단을 플런저(10)측에 소정길이 돌출시키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또한 타단에는 가동접점(14)이 지지되어 있다. 또, 슬리브(9)내를 고정철심(11)을 향해 흡인이동하는 플런저(10)에는 축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개구한 요부(凹部)(10a)가 형성되고, 이 요부(10a)에는 후단에 플랜지부(15a)를 형성한 피스톤형의 훅(15)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훅(15)은 요부(10a)의 개구단(開口端)을 폐색하는 홀더(16)의 중심공을 지나 외부에 돌출하고, 그 돌출단(突出端)에는 시프트레버(5)의 상단(上端)(5a)이 계합되어 있다. 플런저(10)의 요부(10a)내에 있어서 홀더(16)와 훅(15)의 플랜지부(15a)와의 사이에는 원통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압압스프링(17)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부호(18)은 수지제의 캡, (19)는 이 캡(18)에 배설된 단자볼트이고, 내측의 단부(端部)가 가동접점(14)에 접촉하는 고정접점(19a)으로 되어 있다. 한편, 피니언이동제(3)는 오버런닝클러치장치(20)와, 이 클러치장치(20)의 클러치인너에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아우터에는 후부에 동형부(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통형부(20)의 내주면에는 출력회전축(2a) 외주부에 형성된 헬리컬스플라인에 맞물리는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형부(20)의 외주에는 레버계지장치(23)가 배설되고, 시프트레버(5)의 포크형하단부(5b)가 계지되어 있다. 이 레버계지장치(23)는 통형의 고정계지환(係止環)(24)과 가동계지환(25)으로 이루어지며, 고정계지환(24)은 지름방향 안쪽으로 뻗은 전단플랜지부(24a)와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뻗은 후단플랜지부 즉 콜러부(24b)를 가지고 있다. 고정계지환(24)의 전단플랜지부(24a)는 통형부(20)에 끼워지고, 리테이닝 링에 의해 클러치아우터의 후벽에 밀착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가동계지환(25)은 고정계지환(24)의 외주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고, 전단만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일어서서 플랜지부 즉 클러부(25a)로 되어 있다. 이 클러부(25a)와 클러치아우터의 후벽과의 사이에는 원판형의 코니컬스프링와셔(26)가 배치되어 있다. 시프트레버(5)의 포크형하단부(5b)는 레버계지장치(23)의 각 계지환에 있어서의 콜리부(24b)와 콜리부(25a)에 의해서 형성되는 둘레방향 홈부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그 전후방향에 있어서 양 클러부(24b),(25b)에 계지된다.
다음에, 상술한 종래의 스타터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차량의 키스위치가 온되면 전자스위치장치(4)의 여자코일(7)에 통전되어 자력이 발생하고, 플런저(10)가 철심(11)을 향해서 흡인된다. 이 플린저(10)의 이동에 따라 시프트레버(5)가 회전되고, 피니언이동체(3)가 출력회전축(2a)위를 슬라이드하게 된다. 이때, 피니언(21)이 기관의 링기어의 측면에 접촉하면, 시프트레버(5)의 회전은 정지하고, 한편 플런저(10)는 계속 흡인되어서 이동하기 때문에 압압스프링(17)이 압축된다. 이 압압스프링(17)의 압축에 의한 에너지는 시프트레버(5)를 통해서 피니언(21)을 기관의 링기어에 압압하는 힘이 된다.
그리고, 플런저(10)가 고정철심(11)에 접촉함으로써 밀어넣어지는 로드(13)의 이동에 의해서 가동접점(14)이 고정접점(19a)에 접촉하며, 이것에 의해 직류전동기(2)의 전원이 들어온다. 그 결과, 출력회전축(2a)이 회전하며, 그 회전력은 오버런닝클러치장치(20)를 통해서 피니언(21)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피니언(21)이 회전하기 사작한 순간에 기관의 링기어에 맞물려 압압스프링(17)의 압압력에 의해 피니언(21)은 전이동(全移動)(피니언(21)의 전단이 스토퍼(27)에 닿아서 정지하는 맞물림 위치까지의 슬라이드)하는 동시에, 압압스프링(17)은 훅(15)이 플런저(10)의 요부(10a)안벽에 닿은 시점에서 가동계지환(25)을 이동시켜서 코니컬스프링와셔(26)를 요곡(凹曲)시키는 압압력을 시프트레버(5)를 통해서 부여한다. 이와 같이 해서 요곡된 코니컬스프링와셔(26)는 스타터장치(1)의 동작중 피니언이동제(3)를 스토퍼(27)에 꽉 눌러두는 작용을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타터장치에서는 시프트레버(5)의 하단부(5b)의 마모, 스토퍼(27) 또는 스토퍼링(28)의 마모, 또는 이 스토퍼링(28)이 장착되는 홈의 마모 등에 의해 코니컬스프링와셔(26)가 작용하지 않게 되어(요곡되지 않게 되어), 피니언이동체(3)를 스토퍼(27)에 꽉 눌러둘 수 없게 된다.
피니언이동체(3)를 스토퍼(27)에 꽉 눌러둘 수 없게 된다는 것은 동작중에 시프트레버(5)의 하단부(5b)와 스토퍼(27)와의 사이에서 피니언이동체(3)가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그 결과, 피니언이동체(3)는 피니언(21)으로부터 링기어에 회전력을 부여할 때에는 헬리컬스플라인의 작용으로 스토퍼(27)측으로 움직이고, 또 기관의 회전변동에 의해 반대로 기관측으로부터 피니언(21)에 회전력이 부여될때에는 시프트레버하단부(5b)측으로 움직인다. 그 때문에, 스타터장치(1)의 동작중 피니언이동체(3)가 전후로 심하게 움직이고, 이상음의 발생과 함께 각 부에 큰 충격을 주며, 더욱이 링기어와 피니언과의 치형(齒形)의 접촉이 연속적으로 되지 않고 단속적으로 되어, 조기(早期)에 피니언 또는 링기어의 이가 손상되거나 또는 각 부에 손상을 준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피니언이동체의 스토퍼에의 압압수명을 연장시켜 이 피니언이동체의 조기의 요동(搖動)을 방지한 피니언시프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피니언시프트장치는 첫째로, 전자력(電磁力)에 의해 흡인되는 플런저에 의해 압압스프링을 통해서 축선방향으로 안장되는 홈을 가진 전자스위치장치와, 일단이 상기 훅에 계합되고 또한 타단이 지지축상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장착되며, 피동기어에 계탈(係脫)하는 피니언을 구비한 피니언이동체에 슬라이딩력을 부여하는 시프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고정철심에의 흡인에 의해서 이동한 상기 피니언이 상기 피동기어의 맞물림위치인 스토퍼접촉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홈의 정지위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의한 상기 훅의 인장가능공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원 발명의 피니언시프트장치는 둘째로, 상술한 제1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피니언이동체가 상기 피니언의 상기 피동기어와의 맞물림위치인 스토퍼접속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압압스프링의 요곡상태하에서 그 압압력에 의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통해서 요곡되는 탄성부재를 상기 시프트레버와 상기 피니언이동체와의 계지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피니언시프트장치는 셋째로, 상술한 제1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압압스프링이 병렬로 2개 배설되고, 상기 피니언과 상기 피동기어와의 접촉시에는 상기 2개의 압압스프링이 작용하여 상기 피니언을 상기 피동기어에 압압하고, 상기 피니언의 상기 피동기어에의 맞물림위치인 스토퍼접촉위치에 있을 때는 하나의 상기 압압스프링만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피니언시프트장치에 의하면, 플런저의 흡인이동에 의해 시프트레버가 회전하면 피니언이동체는 최종적으로 스토퍼에 접촉되어 정지한다. 그러나, 플런저요부(凹部)내에 있어서 홈의 후방향에는 아직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압압스프링이 요곡된 채 그대로의 상태가 된다. 환언하면, 이 압압스프링은 시프트레버를 통해서 피니언이동체를 여전히 전방(스토퍼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압압력을 계속해서 부여하게 된다.
또, 탄성부재를 시프트레버와 피니언이동체와의 계지부에 배치한 피니언시프트장치의 경우에는 플런저요부내에 있어서 홈의 후방향으로 아직 이동할 수 있는 상태(즉 압압스프링이 요곡된 그대로의 상태)로 이 탄성부재도 요곡되기 때문에, 피니언이동체를 스토퍼에 꽉 눌러둘 수 있는 수명이 훅의 플런저요부내에서의 후방공극거리만큼이 아니라 탄성부재의 요곡이 소멸할 때까지로 되어, 그 시간이 매우 연장되게 된다. 또한, 플런저요부내에서 홈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압압스프링을 병렬로 2개 배치한 피니언시프트장치의 경우에는, 피니언이 기관의 링기어에 접촉했을 때에 이들 2개의 압압스프링으로 압압력을 피니언이동체에 작용시켜, 전동기의 회전에 의해서 피니언이 링기어에 맞물리면(상기 압압력에 의해서 피니언이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되면), 그 후는 하나의 압압스프링만으로 피니언이동체를 스토퍼에 꽉 누른다.
이하, 본원 발명의 피니언시프트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원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피니언시프트장치(30)를 사용한 스타터장치(31)가 도시되어 있다. 이 스타터장치(31)를 나타내는 제1도에 있어서, 제5도에 도시된 종래의 스타터장치(1)의 구성부분과 같은 부분은 같은 참조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에 도시된 스타터장치(31)에서는 피니언이동체(3)를 슬라이드 시키는 피니언시프트장치(30)를 구비하며, 이 시프트장치(30)는 전자스위치장치(32)를 가지고 있다. 이 전자스위치장치(32)는 플런저(10)의 요부(10a)내에 배치된 훅(33)이 제5도에 도시된 종래의 훅(15)보다 그 전체길이를 짧게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플런저(10)가 흡인되어서 고정철심(11)에 접촉하고, 이에 따라 피니언이동체(3)가 스토퍼(27)에 접촉하는 최종 돌출위치에 슬라이드되었을 때, 가동계지환(25)을 l1만큼 밀어넣어 코니컬스프링와셔(26)를 요곡시킨 상태에서 역시 플런저(10)의 요부(10a)내에 있어서 훅(33)의 후방(요부(10a)의 안벽쪽)에는 홈(33)이 이동할 수 있는 길이 l2의 공극(34)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피니언시프트장치(30)와 함께 이것을 적용한 스타터장치(31)의 동작을 제2도(a)-제2도(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의 키스위치가 온되면 전자스위치장치(32)의 여자코일(7)에 통전되어서 자력이 발생하여 플런저(10)가 고정철심(11)을 향해서 흡인된다. 이 플런저(10)의 이동에 따라 시프트레버(5)의 상단부(5a)가 인장되고, 이것에 의해 시프트레버(5)는 요동지점부(5c)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단부(5b)에 계지된 피니언이동체(3)가 출력회전축(2a)상을 슬라이드하게 되고, 그 피니언(21)의 끝면이 기관의 링기어(35)의 끝면에 접촉한다. 여기까지의 동작에 있어서의 피니언시프트장치(30)의 상태는 제2도(a) 및 제2도(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언(21)이 링기어(35)에 접촉된 후에도 플런저(10)는 계속 흡인되지민, 그러나 시프트레버(5)의 요동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플런저(10)는 시프트레버(5)의 상단부(5a)와 계합하고 있는 훅(33)을 남긴채 압압스프링(17)을 압축하면서 고정철심(11)을 향해서 이동하고, 로드(13)를 밀어넣어 이것에 지지된 가동접점(14)이 고정접점(19a)에 접촉한다(제2도(c)). 이 압압스프링(17)의 압축에 의한 에너지는 시프트레버(5)을 통해서 피니언(21)을 링기어(35)에 꽉 누르는 힘이 되는 것인데, 그때 가동계지환(25)을 밀어넣어(밀어넣음 거리 l1) 코니컬스프링와셔(26)를 요곡시킨다. 따라서, 근소하지만 그만큼 시프트레버(5)는 요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동접점(14)과 고정접점(19a)이 접촉하면, 직류전동기(2)가 기동되고, 오버런닝클러치장치(20)를 통해서 피니언(21)에 그 회전이 전달된다. 피니언(21)은 압압스프링(17)에 의해서 링기어(35)에 압압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언(21)이 회전하기 시작한 순간에 기관의 링기어(35)에 맞물리기 위해 그 압압력에 의해서 제2도(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이동(全移動)(스토퍼(27)에 닿는 소정의 맞물림위치까지 슬라이드)한다. 즉, 플런저(10)의 요부(10a)내에 있어서의 훅(33)이 후반으로 압압스프링(17)의 힘으로 이동하여 피니언이동체(3)가 스토퍼(27)에 닿은 상기 소정의 맞물림위치, 환언하면 최종돌출위치로 된 곳에서 정지한다(제2도(d)). 이 상태일 때에, 플런저(10)의 요부(10a)내에 있어서 훅(33)의 후반에는 아직 이동할수 있는 길이 l2의 공극(3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스프링(17)의 압압력은 훅(33)에 작용하여 시프트레버(5)를 통해서 코니컬스프링와셔(26)를 요곡시키면서 여전히 피니언이동체(3)를 스토퍼(27)에 계속 압압한다.
이로 인해, 스타터장치(1)의 장기에 걸친 사용에 의해서 시프트레버(5)의 하단부(5b)의 마모, 스토퍼(27) 또는 스토퍼링(28)의 마모, 또는 스토퍼링(28)이 장착되는 홈의 마모 등이 발생해도, 이들의 마모에 의한 피니언이동체(3)의 전방향이동량이 l2×r2/r1(단, r1은 시프트레버(5)의 요동지점부(5c)와 상단부(5a)의 길이, r2는 요동지점부(5c)와 하단부(5b)의 길이를 표시함)이 될때까지는 공극(34)의 존재에 의해서 압압스프링(17)의 압압력이 피니언이동체(3)에 계속 작용하고, 더욱이 그 후는 코니컬스프링와셔(26)의 요곡으로 피니언이동체(3)를 계속해서 압압하는 결과, 장기간 상술한 마모 등에 의한 피니언이동체(3)의 요동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이상음의 발생도 없고, 피니언(21)을 포함하는 각 부의 손상이 없으므로 현저한 내구성의 연장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의 실시예에서는 시프트레버(5)의 하단부(5b)와 피니언이동체(3)와의 계지부에 탄성부재인 코니컬스프링와셔(26)를 배설하여 압압스프링(17)의 압압력이 발휘되지 않게 된 후에도 이 코니컬스프링와셔(26)에 의해 계속해서 압압력을 부여하는 것이었으나, 이 코니컬스프링와셔(26)가 없는 것이라도 압압스프링(17)만으로 계속적인 압압을 작용시킬 수 있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 제3도에는 본원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한 피니언시프트장치(40)를 구비하고 또한 상술한 코니컬스프링와셔가 없는 스타터장치(41)가 도시되어 있다. 이 스타터장치(41)에 있어서의 피니언시프트장치(40)는 시프트레버(5)와 함께 전자스위치장치(42)를 포함한다. 이 전자스위치장치(42)는 플런저(43)가 그 내부에 훅(3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는 축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개구한 요부(4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있다. 이 요부(44)에는 개구측으로부터 소정길이에 걸쳐 확경부(擴徑部)(45)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凹部)(44)의 내주부에 형성된 확경부(45)에 있어서의 후방측(제3도에서 보아 좌측)의 단부 즉 요부(44)와의 스텝부에는 링판(46)이 확경부(45)내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링판(46)의 내경은 요부(44)의 내경보다 작고, 따라서 요부(44)의 내주면보다도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훅(33)이 플런저(43)에 상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할때, 훅(33)의 후단 플랜지부(33a)가 링판(46)의 내주에지에 계합하여 이것을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 링판(46)과 홀더(16)와의 사이에는 압압스프링(17)을 제1의 스프링이라 하면, 제2의 압압스프링(47)이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훅(33)의 상대적인 전방이동에 의한 링판(46)의 슬라이드로 제2의 압압스프링(47)이 압축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타터장치(41)의 동작을 제4도(a) 및 제4도(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의 키스위치가 온되고나서 피니언이동체(3)가 슬라이드하여 피니언(21)이 기관의 링기어(35)에 접속하기까지는 제2도(a) 및 제2도(b)에 도시된 상태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그런데, 피니언(21)이 링기어(35)에 접촉된 후에도 플런저(43)는 계속 흡인되는데, 시프트레버(5)에 연결된 훅(33)은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제4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33)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의 압압스프링(17)과 함께 제2의 압압스프링(47)도 링판(46)의 이동에 의해서 압축된다. 그결과, 제1 및 제2의 압압스프링(17),(47)의 양쪽에 의한 강한 압압력이 시프트레버(5)를 통해서 피니언이동체(3)에 작용하여 피니언(21)을 링기어(35)에 압접한다.
그리고, 가동접점(14)의 고정접점(19a)에의 접촉에 의해서 직류전동기(2)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제1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니언이동체(3)가 상술한 2개의 압압스프링(17),(47)의 압압력에 의해서 전이동(全移動)하여 스토퍼(27)에 접촉한다. 피니언이동체(3)가 전이동한 위치에 왔을때, 훅(33)은 그 후단플랜지부(33a)가 확경부(45)의 후방측에 있어서의 단부 즉 요부(44)와의 스텝부를 통과하여 당해 요부 (44)내에 위치하며(환언하면 확경부(45)의 축방향 소정길이는 이 상태가 현출되도록 설계됨), 그 때문에 제2의 압압스프링(47)의 작용력은 링판(46)의 스텝부에의 접촉과 동시에 소멸된다. 이로 인해, 피니언(21)이 스토퍼(27)에 접촉한 후에는 훅(33)이 요부(44)내의 공극(34)을 이동할 수 있는 동안만 제1의 압압스프링(17)의 작용력만이 훅(33) 및 시프트레버(5)를 통해서 피니언이동체(3)에 계속적으로 부여되어 스토퍼(27)에 대하여 계속 압압한다. 이로 인해, 피니언(21)이 링기어(35)에 접촉된 맞물림 대기상태일때는 강한 힘으로 압압하고, 링기어(35)에 맞물려서 스토퍼(27)에 접촉했을때는 그 보다도 약한 힘으로 압압해 둘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니언시프트장치(30),(40)에서는 피니언이동체(3)의 피니언(21)이 스토퍼(27)에 접촉하는 전이동위치에 있을때, 플런저의 요부내에서 훅후단측에 공극(34)을 형성하기 위해 홈(33)의 길이를 짧게 하였으나, 고정철심(11)의 위치를 후방으로 비켜 놓아 플런저의 이동거리를 길게 해도 되고, 또 요부의 길이를 길게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피니언시프트장치에 의하면, 피니언이동체의 피니언이 예를 들면 기관의 링기어와 같은 피동기어에 맞물린 위치에서 정지했을때의 플런저요부내의 훅의 정지위치에 있어서, 이 위치로부터 더욱 이동가능한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피니언이동체의 피니언이 피동기어에 닿았을때에 이 기어에 압압하는 압압스프링을 이용하여 전이동위치에서의 피니언이동제를 스토퍼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압압할 수 있기 때문에, 시프트레버의 마모나 스토퍼, 스토퍼링 또는 이 링장착홈 등의 마모가 발생해도 피니언이동체에 요동이 일어나지 않고, 그 결과, 이상음의 발생이나 피니언 또는 릴기어의 손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친 안정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피니언시프트장치에 의하면, 시프트레버와 피니언이동체와의 계지부에 탄성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압압스프링의 작용력이 소멸한 후에도 이 탄성부재의 요곡에 의해서도 피니언이동체를 계속적으로 스토퍼에 압압해 돌 수 있고, 따라서 상술한 부분이 상당히 마모되어도 피니언이동체의 요동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피니언시프트장치에 의하면, 압압스프링을 2게 배설하고 피니언이 피동기어에 접촉했을 때에는 이들 2개의 압압스프링으로 압압하고, 피니언이 스토퍼에 접촉하는 전이동위치에서는 하나의 압압스프링만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피니언의 맞물림대기시에는 강한 힘으로, 또 그 후에는 비교적 약한 힘으로 계속해서 스토퍼에 압압해 둘 수 있다. 그 결과, 피니언의 맞물림위치인 전이동위치에의 슬라이드 즉 이행이 매우 신속하고 원할하며, 더욱이 전이동위치에서의 상술한 요동방지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전자력(電磁力)에 의해 흡인되는 플런저에 의해 압압스프링을 통해서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가진 전자스위치장치와, 일단이 상기 홈에 계합되고 또한 타단이 지지축상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장착되며, 피동기어에 계탈(係脫)하는 피니언을 구비한 피니언이동체에 슬라이드력을 부여하는 시프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고정철심에의 흡인에 의해서 이동한 상기 피니언이 상기 피동기어에의 맞물림위치인 스토퍼접속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훅의 정지위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의한 상기 훅의 인장가능 공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언시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이동체가 상기 피니언의 상기 피동기어와의 맞물림위치인 스토퍼접속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압압스프링의 요곡상태하에서 그 압압력에 의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통해서 요곡되는 탄성부재를 상기 시프트레버와 상기 피니언이동체와의 계지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언시프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스프링이 병렬로 2개 배설되고, 상기 피니언과 상기 피동기어와의 접촉시에는 상기 2개의 압압스프링이 작용하여 상기 피니언을 상기 피동기어에 압압하고, 상기 피니언의 상기 피동기어에의 맞물림위치인 스토퍼접촉위치에 있을때는 하나의 상기 압압스프링만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언시프트장치.
KR1019890015841A 1988-12-19 1989-11-02 피니언시프트장치 KR920006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21565A JPH06100169B2 (ja) 1988-12-19 1988-12-19 ピニオンシフト装置
JP321565 1988-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217A KR900010217A (ko) 1990-07-06
KR920006229B1 true KR920006229B1 (ko) 1992-08-01

Family

ID=1813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841A KR920006229B1 (ko) 1988-12-19 1989-11-02 피니언시프트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38626A (ko)
EP (1) EP0375378B1 (ko)
JP (1) JPH06100169B2 (ko)
KR (1) KR920006229B1 (ko)
DE (1) DE6890186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9933B (it) * 1991-06-25 1995-03-30 Magneti Marelli Spa Dispostitivo di avviamento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per autoveicolo.
IT1261588B (it) * 1993-09-14 1996-05-23 Magneti Marelli Spa Dispositivo elettromagnetico di comando per un motore elettrico d'avviamento per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JP3750896B2 (ja) * 1999-04-12 2006-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始動電動機
JP3933440B2 (ja) * 2001-10-31 2007-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KR20050087237A (ko) * 2004-02-26 2005-08-31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타트모터
DE102009055414A1 (de) * 2009-12-30 2011-07-07 Robert Bosch GmbH, 70469 Startvorrichtung
JP5354081B1 (ja) * 2012-10-22 2013-11-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
CN103441038A (zh) * 2013-08-16 2013-12-11 上海万佳联众电子有限公司 一种双相继电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9461A (ko) *
US2010265A (en) * 1931-12-21 1935-08-06 Jesse S Kauffman Engine starting mechanism
DE951323C (de) * 1955-02-06 1956-10-25 Bosch Gmbh Robert Schubschraubtriebanlasser fuer Brennkraftmaschinen
GB992727A (en) * 1962-06-25 1965-05-19 Lucas Industries Ltd Electric starting mechanis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1218799B (de) * 1964-05-21 1966-06-08 Bosch Gmbh Robert Einrueckvorrichtung von Andrehmotoren fuer Brennkraftmaschinen
GB1368248A (en) * 1970-12-08 1974-09-25 Lucas Industries Ltd Solenoid for use in an engine starter mechanism
FR2398893A1 (fr) * 1977-07-29 1979-02-23 Paris & Du Rhone Perfectionnements aux leviers de commande du lanceur d'un demarreur electrique
FR2403463A1 (fr) * 1977-09-15 1979-04-13 Paris & Du Rhone Demarreur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3008623A1 (de) * 1980-03-06 1981-09-1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Andrehvorrichtung fuer brennkraftmaschinen
US4573364A (en) * 1984-08-15 1986-03-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Gear reduction starter drive
JPH0643979Y2 (ja) * 1985-07-19 1994-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38626A (en) 1991-08-13
JPH02169870A (ja) 1990-06-29
JPH06100169B2 (ja) 1994-12-12
EP0375378A1 (en) 1990-06-27
DE68901861T2 (de) 1993-02-04
EP0375378B1 (en) 1992-06-17
DE68901861D1 (de) 1992-07-23
KR900010217A (ko) 199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9150B2 (en) Compact structure of starter
US6378479B1 (en) Star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305168B2 (en) Forced return solenoid
KR920000337B1 (ko) 동축형 스타터 장치
KR920006229B1 (ko) 피니언시프트장치
KR20040081317A (ko) 일방향 클러치의 클러치내부에 스토퍼를 갖는 스타터
JP2004278352A (ja) スタータ
US6791201B2 (en) Starter having pinion movement restricting member
US6880415B2 (en) Starter having intermediate gear for crank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555492B2 (ja) 中間歯車付始動電動機
JP4089638B2 (ja) スタータ
JP3763448B2 (ja) 始動電動機
US5765439A (en) Starter with improved pinion restriction structure
US7159480B2 (en) Pinion slip-off preventive structure of starting apparatus
KR920000882Y1 (ko) 스타터 장치
JP5472367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S6111457A (ja) スタ−タ
KR920006248B1 (ko) 피니언 시프트 장치
JP3813398B2 (ja) 同軸形スタータ
KR930003262Y1 (ko) 피니언 시프트 장치
KR100433158B1 (ko) 시동전동기의 시프트 레버
JPH0494459A (ja) マグネチックシフト式スタータ
JP2004183586A (ja) スタータ
JPS6332366Y2 (ko)
CN113482826A (zh) 防止齿轮损伤的起动机装置及防止齿轮损伤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