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761Y1 - 스텝모터에 의한 소음 감쇄회로 - Google Patents

스텝모터에 의한 소음 감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761Y1
KR920005761Y1 KR2019900008753U KR900008753U KR920005761Y1 KR 920005761 Y1 KR920005761 Y1 KR 920005761Y1 KR 2019900008753 U KR2019900008753 U KR 2019900008753U KR 900008753 U KR900008753 U KR 900008753U KR 920005761 Y1 KR920005761 Y1 KR 920005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pulse
output
gate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338U (ko
Inventor
이헌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8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761Y1/ko
Publication of KR920001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7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8/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ynamo-electric motors of the kind having motors rotating step by step
    • H02P8/12Control or stabilisa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8/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ynamo-electric motors of the kind having motors rotating step by step
    • H02P8/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peed or speed and torqu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텝모터에 의한 소음 감쇄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C1 : 제1카운터 IC2 : 디플립플롭
IC3-IC5 : 제1-3게이트 IC7 : 스텝제어 및 드라이버
IC6, IC8 : 제4, 5게이트
본 고안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 프린터등에서 사용되고 스텝모터 구동에 의한 진동 및 공진현상으로 발생되는 소음 감쇄호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텝모터는 구동 동안 "하이"전압을 구동하고, 스텝 완료후에는 "로우"전압을 유지하는 단일 전원으로 제어를 하거나 1스텝 2펄스동작에서 사용되는 위상에서 1펄스와 2펄스 모두 "하이", "로우"전압제어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일정한 전압으로 구동하는 스텝모터는 상기 일정한 전압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구동되는 속도가 느리면 토오크(torgue)가 크게되어 소음이 발생되며, 또한 상기 소음이 공진현상이 일어나 소음이 증대되는 결점이 있으며, 그리고 1스텝 2펄스 회로에서는 전압제어를 해주지만 첫번째 펄스에서도 전압제어를 해주게되므로 상대적인 가속도를 주가도 전에 로우 전압이 입력되므로 소음은 적지만 토오크가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제 위치에 스텝이 이동하지 뭇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텝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음향 소음을 감쇄시키므로서 제품의 신뢰도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클럭단(CLK)의 펄스를 스텝펄스 기간을 카운트하여 스텝레이트 판단타임 체크값을 출력하는 카운터(IC1)와 상기 카운터(IC1)의 출력단(QD)이 스텝 레이트 판단 기준시간 설정펄스에 따라 스텝 이동후 토오크를 감쇄시키기 위한 시간을 출력하는 디플립플롭(IC2)와, 상기 카운터(IC1)의 출력단(QA, QB)이 출력을 받되 스텝구동시 제1상태(로우)전압을 유지하는 제1케이트(IC3)와, 상기 제1게이트(IC3)의 스텝구동시 제1상태(로우) 출력과 상기 디플립플롭(IC2)의 스텝이동후 토오크 감쇄시간에 따라 논리화하고 스텝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논리화된 신호를 제2상태(하이), 제1상태(로우)전압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 3게이트(IC4, IC5)와, 상기 제3게이트(IC5)의 출력과 1스텝 펄스단(SP)이 스텝펄스에 따라 스텝모터 구동용 제2상태(하이), 제1상태(로우)전원을 발생하는 스텝제어 및 드라이버(IC7)와, 상기 스텝펄스단(SP)의 입력과 스텝인에이블단(SE)의 입력을 각각 반전하여 상기 카운터(IC1)의 클리어단(CLR)과 클리어단(RB)에 입력되는 제5, 6게이트(IC6, IC8)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도가 동작 할려면 먼저 스텝인에이블단(SE)이 제1상태인 "로우"상태로 되고, 스텝펄스단(SP)으로 스텝펄스가 입력되어야 한다.
상기 회로는 스텝펄스 시스템 콘트롤러에서 발생되지만 스텝인에이블단(SE)의 인에이블 신호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이하 "FDD"라 칭함) 내부회로에서 발생되는 신호로서 스텝펄스단(SP)의 스텝펄스가 같이 발생될 수 있다.
스텝펄스단(SP)의 스텝신호가 입력되면 인버터(IC6)를 통해 카운터(IC1)를 클리어하므로서 클럭단(CLK)의 크럭신호를 카운트하여 스텝레이트를 체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운터(IC1)에서 카운트한 값이 기준치 이하의 스텝레이트로 판단이 되면 카운터(IC1)의 출력단(QD)의 출력 상태가 디플립플롭(IC2)의 클럭단(CK)으로 인가되어 데이타단(D)의 상태를 래치시키고, 디플립플롭(IC2)의 출력단(Q)은 "하이"상태로 되어 제1게이트(IC3)의 출력에 의해 설정된 제2상태(하이), 제1상태(로우) 전압신호를 인에이블하게 되어 스텝인에이블단(SE)의 상태에 따라 제3게이트(IC5)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기 디플립플롭(IC2)의 출력단(Q)의 동작조건은 스텝 인에이블단(SE)의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최소한 기준치 이하 스텝후 시간동안은 제1상태(로우) 전압이 되지 않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함은 스텝펄스단(SP)의 스텝펄스가 발생되어 스텝모터가 구동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제2상태(하이), 제1상태(로우)로 제어될 경우에는 제1상태(로우) 전압에서 토오크(torque)가 약화되어 제위치로 구동하지 못하게 되거나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게 된다.
제3게이트(IC5)의 구동하는 순간에는 하이전압을 가해지고 안정된 시간은 구동중에 발생된 토오크를 감쇄하므로서 이때 발생되는 음향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음향 소음 감쇄는 하이 전압에서 발생되는 큰 토오크 구동이 완료되고 스텝 안정되는 순간에 소음이 진동으로 발생되는데, 이때 로우전압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므로서 큰 토오크를 흡수하는데 이 소음은 스텝모터 자체에 대한 소음이 아닌 스텝모터와 주위 기구물과의 진동으로 스텝구동후 토오크와 관성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토오크의 크기에 따라서 비례하므로 스텝완료후에 하이 전압과 로우 전압을 인가하므로서 토오크가 변화함으로서 관성에 의한 힘을 저하시켜 서로의 힘을 상쇄시키는 결과를 가져옴으로서 주위에 진동을 최소화하여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낸드게이트(IC5)의 출력 제어신호는 스텝펄스가 발생되고 나면 카운터(IC1)는 초기화되어 클럭에 의한 타임을 시작하여 카운터(IC1) 출력단(QD)의 값이 설정된 시간후에는 스텝 이동이 완료되고 스텝모터가 안정된 시간이 되므로 토오크(Torque)를 제어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데 제어하는 시간은 카운터(IC1)의 출력단(QD)의 소정 시간 설정이후에 제1게이트(IC3)의 출력단에 설정된 주기로 제3게이트(IC5)에 "하이", "로우"상태로 전달되는데 "하이"일경우에는 로우전압인 VL를 스텝모터에 공급하고 "로우"일 경우에는 하이전압인 VH를 스텝모터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스텝이 이동하지 않을때에는 홀딩상태로 유지하게 되는데 전원소비를 최소로 하고, 스텝모터에 로우전원을 인가하므로서 수명이 연장되게 하기 위하여 제3게이트(IC5)은 하이 상태로 유지되어 VL를 인가하게된다.
여기서 로우 전압으로 인가되는 주기와 시간은 스텝모터의 특성과 주변 기구물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해야 하고 기준이 되는 스텝속도인 레이트를 조정해야 한다. 이러한 시간은 클럭주파수와 카운터(IC1)에 의해서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소음은 스텝속도에 따라서 음향 노이즈 크기가 서로 다른데 늦은 속도에서 심하게 발생된다. 이는 지연되는 시간만큼 진동이 발생되는 시간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노이즈 대책은 빠른속도에서는 하이 전압을 계속 인가하게 되고, 늦은 속도에서는 소음발생의 근원인 토오크를 감쇄하기 위하여 제어하므로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스텝모터(SM)은 소음 방지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텝 모터(SM) 구동용 클럭단(CLK)의 펄스를 스텝펄스기간을 카운트하여 스텝레이트 판단 타임 체크값을 출력하는 카운터(IC)와, 상기 카운터(IC1)의 출력단(QD)의 출력을 스텝 레이트 판단 기준시간 설정 펄스에 따라 스텝 이동후 토오크를 감쇄시키기 위한 시간을 출력하는 디플립플롭(IC2)와, 상기 카운터(IC1)의 출력단(QA, AB)이 출력을 받되 스텝구동시 제1상태 전압을 유지하는 제1게이트(IC3)와, 상기 제1제이트(IC3)의 스텝구동시 제1상태 출력과 상기 디플립플롭(IC2)의 스텝이동후 토오크 감쇄시간에 따라 논리화하고 스텝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논리화된 신호를 제1, 2상태 전압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 3게이트(IC4, IC5)와, 상기 제3게이트(IC5)의 출력과 스텝 펄스단(SP)이 입력되는 스텝펄스에 따라 스텝모터 구동용 제1, 2상태 전원을 발생하는 스텝제어 및 드라이버(IC7)와, 상기 스텝펄스단(SP)의 입력과 스텝인에이블단(SE)의 입력을 각각 반전하여 상기 카운터(IC1)의 클리어단(CLR)과 클리어단(RB)에 입력시키는 제5, 6게이트(IC6, IC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모터에 의한 소음 감쇄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제2, 3게이트(IC4, IC5)가 낸드게이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모터에 의한 소음감쇄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제4, 5게이트(IC6, IC8)가 인버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모터에 의한 소음감쇄회로.
KR2019900008753U 1990-06-21 1990-06-21 스텝모터에 의한 소음 감쇄회로 KR920005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753U KR920005761Y1 (ko) 1990-06-21 1990-06-21 스텝모터에 의한 소음 감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753U KR920005761Y1 (ko) 1990-06-21 1990-06-21 스텝모터에 의한 소음 감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338U KR920001338U (ko) 1992-01-28
KR920005761Y1 true KR920005761Y1 (ko) 1992-08-21

Family

ID=1930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753U KR920005761Y1 (ko) 1990-06-21 1990-06-21 스텝모터에 의한 소음 감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7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338U (ko) 199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761Y1 (ko) 스텝모터에 의한 소음 감쇄회로
JPH0822328A (ja) 駆動モータ制御装置
JPS6115384B2 (ko)
JPH02105373A (ja) フロッピィ・ディスク装置
JP3302429B2 (ja) 記録装置駆動用パルスモータの駆動方法
JPS626880Y2 (ko)
JPS6146615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S6389096A (ja) ステツプモ−タの駆動制御方法
JPS60190197A (ja) パルスモ−タ制御回路
JPS6123516B2 (ko)
JPS59145300U (ja) ステツピングモ−タ運転制御回路
JP2586017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3251344B2 (ja) パルス出力回路
JPH0442090A (ja) 電子時計
JPH03215194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速度制御方法
SU1121764A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JPS60111180A (ja) タイマ回路
JPS5819196A (ja) パルスモ−タ制御方法
JPS63157695A (ja) ステツピングモ−タの駆動方式
JPH04150798A (ja) ステップ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S63209499A (ja) 電動機の制御装置
JPH05122834A (ja) モータ駆動装置
JPH0291865A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装置
JPS6315699A (ja) パルスモ−タ制御方式
JPS54101367A (en) Pulse motor driving circuit for wa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