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758B1 - 디스크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758B1
KR920005758B1 KR1019840006686A KR840006686A KR920005758B1 KR 920005758 B1 KR920005758 B1 KR 920005758B1 KR 1019840006686 A KR1019840006686 A KR 1019840006686A KR 840006686 A KR840006686 A KR 840006686A KR 920005758 B1 KR920005758 B1 KR 92000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c player
disk
roll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040A (ko
Inventor
요시로 와따나베
쯔도무 도요구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2015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936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2173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090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25187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38766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플레이어
제1a도는 디스크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장진되어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의 일례의 투시도.
제1b도는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의 뚜껑이 밀폐된 상태에서 제1a도의 중심선을 따른 횡단면도.
제1c도는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의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
제1d도는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의 중심부를 확대한 횡단면도.
제1e도는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의 측부를 확대한 횡단면도.
제2도는 본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실시예의 외관 투시도.
제3도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제4도는 디스크가 삽입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횡단면도.
제5도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의 횡단면도.
제6도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의 단면도.
제7도 내지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에 사용된 로크(lock) 및 개폐제어구부의 작동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면도.
제10도는 상기 도면의 평면도.
제11도는 상기 도면의 측면도.
제12도는 상기 도면의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사용된 디스크 플레이어 기구의 일례의 사시도.
제14a 및 1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실시예에 사용된 로울러 메카니즘의 전면도 및 평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에 사용된 구동 메카니즘의 일례의 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선(Ⅰ-Ⅰ)을 절취한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고정된 로울러부의 부분 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척킹(chucking)부의 단면도.
제19a및 19b도는 로울러 메카니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사용된 전기회로의 접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삽입개구 프레임부재 5 : 개폐식 개구
6 : 개폐식 뚜껑 7 : 고정 메카니즘
8 : 개폐 제어 메카니즘 111 : 디스크 리셉터클 케이싱
112 : 뚜껑 121 : 외부 케이싱
본 발명은 디스크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등과 같은 디스크(원반형 기록매체)를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콤팩트(compact) 디스크 플레이어(이후부터는 CD 플레이어라 칭함)의 디스크 장전 시스템은 내장 이송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디스크는 에컨대 인출식의 디스크 테이블에 위치하여 장전된다. 이러한 형의 디스크 플레이어에는 디스크 테이블로부터 꺼내기에 적당한 플레이어의 전방에 공간이 필요한데, 이러한 공간에 단점이 있다. 특히, CD 플레이어가 차량등에 설치될 때 차량의 작은 구분 실내에서 돌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CD 플레이어는 디스크가 직접 장진되는 슬로트-인(slot-in)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크를 이동시키기 위한 운반기구 등과 같은 각종 기구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중 어떠한 것도 장치의 총규모가 너무커서 CD 플레이어를 구분 실내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디스크가 디스크 원반기구에 의해 더러워지거나 망가지기 쉬운 결정이 있으며, 더우기 이러한 종류의 종래기술에 따른 CD 플레이어에 있어서 통상 디스크는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로부터 꺼내 플레이어에 장전하는데, 디스크를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로부터 꺼낼 때 디스크의 기록표면에 종종 손이 닿는 경우가 발생하여 지문 등과 같은 기름때가 묻으며, 광학 픽업 장치로부터의 광빔이 기름때에 의해 방해 받아서 우수한 재생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는 마치 플로피(floppy) 디스크와 같은 자켓에 여전히 결합될 수 있으면서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디스크 플레이어에 장전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디스크는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로부터 꺼낼 수 있으면서 디스크 플레이어에 장전할 수 있고, 또 이러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구조를 채택하지 않아도 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개량된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디스크의 운반에 있어서 단지 디스크의 테두리 부분만이 선형대칭통로에서 한쌍의 경사진 로울러 사이에서 잡혀서 운반되며, 따라서 디스크의 기록표면이 더러워지거나 망가지지 않도록 한 콤펙트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디스크의 삽입통로부에 개폐식 뚜껑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크 삽입통로를 통하여 디스크 플레이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먼지를 방지하여 디스크가 디스크의 장전시 뚜껑에 의해 손상받는 것을 방지한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디스크를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내로 결합시켜 장전될 수 있도록하고 또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로부터 디스크를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했으며,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의 입구를 디스크 삽입통로 구조부재에 의해 폭을 크게 하여 디스크가 디스크 리셉터를 컨테이너로부터 용이하고 부드럽게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한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적인 면의 한 가지를 들면,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에 형성된 삽입통로내로 삽입된 디스크가 상하 방향에 배치된 한쌍의 로울러에 의해 파지되고, 상기 한쌍의 로울러는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디스크가 디스크 테이블 위에 위치되도록 디스크 플레이어가 구성되어 있는데, 특징되는 면을 살펴보면 상기 한쌍의 로울러는 그 직경이 중심부에서는 작게 되어있고 양측면을 향하면서 점차 커게 되어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장전되어 결합된 디스크를 갖는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를 제1a 내지 1d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디스크 리셉터클 케이싱(이후 케이싱으로 간략한다) (111) 및 뚜껑(112)이 서로 분리된 상태하에서의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케이싱(111)은 반원보다 약간 큰 부분에 이르어서 디스크 D를 결합하며, 뚜껑(112)은 케이싱(111)으로부터 돌출된 디스크 D의 부분을 덮을 수 있으며 케이싱(111)의 전단부에 연결 되어있다.
즉 케이싱(111)은 하측판(121a), 두개의 측벽판(121b), 후벽판(121c) 및 상측판(121d)으로 형성된 외부 케이싱(121)과 하측판(122a), 두개의 측판(122b), (122b') 및 상측판(122c)으로 형성된 내부 케이싱(1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 케이싱(122)은 디스크 D의 직경보다 그 폭이 약간 큰 탄성재료로 구성되며 후의의 절반이 외부 케이싱(121)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외부 케이싱(121)으로부터 돌출된 내부 케이싱(122)의 전방부의 절반에 연결된 것은 뚜껑(112)인데, 이것은 하부판(112a), 두개의 측벽판(112b), (112b'), 전벽판(112c) 및 상측판(112d)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싱(111)의 외부 케이싱(121)의 전단부에서 하측판(121a)의 전단부는 상측판(112d)의 전단부로부터 후퇴되어 계단형태를 이루고, 양측벽판(121b), (121b')의 전단부는 경사져 계단부와 연합하여 계단부(123)가 실수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계단부(123)는 뚜껑(112)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내부 케이싱(122)의 하측판(122a)의 전면절반은 요면부(124)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요면부(124)는 디스크 D의 중심개구를 노출시키도록 그의 전면 연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상측판(122c)의 전면절반의 중심부분은 잘려져서 디스크 D가 이탈되는 방향으로 디스크 D의 중심개구 d와 정합되는 정합 부품부재(125)를 형성한다. 상측판(122c)의 양측에는 탄성을 가지고 내측으로 기울어진 디스크 D용 지지부재(126a)(126a')와 뚜껑(112)의 상측판(112d)의 내부 면상에 형성된 정합 요면부(114a)(114a')와 정합되는 정합 요철부(127a)(127a16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합 요철부(127a)(127a')는 후에 설명될 플레이어의 삽입개구 부분과 정합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하측판(122a)의 내부 면상에는 상측판(122c)상에 형성된 지지부재(126a)(126a')에 대응하는 디스크 D의 위치설정 요철부(128a)(128a')가 형성된다. 부가로, 정합요면부(115)는 뚜껑(112)의 양측벽판(112b)(112b')상에 형성되어 케이싱(111)으로부터 뚜껑(112)을 제거시킨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실시예에 대한 개요적인 사시도로서, 디스크 플레이어는 자동차나 그와 유사한 곳에 장치되어 디지탈 오디오디스크를 동작시킨다. 기준번호 1A는 이 디스크 플레이어를 지시한다. 디스크 플레이어 (1A)는 삽입식으로 되어 디스크 D상으로 부하되며, 디스크 D의 삽입개구부와 정합되는 삽입 개구 프레임부재(2)를 갖는다.
상기 삽입개구 프레임부재(2)는 내부개구(3)를 갖는데, 이는 상술된 디스크 저장용 콘테이너의 높이보다 더 크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즉 타원형태 또는 다각형태를 하고 있다.
상기 삽입개구 프레임부재의 내부의 주표면을 내측으로 가늘어지며, 내측 양표면(3a)(3a')은 뒷부분에서 디스크 저장용 콘테이너의 개구의 폭보다 더 작은 개구의 폭을 만들도록 상하 내부 표면(3b)(3c)의 경사각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다. 삽입개구 프레임부재(2)의 전면측에 있어서, 하측 연부 단부 표면은 상측연부 단부면에 대하여 돌출되며, 양측 연부 단부표면은 경사를 이루어 잘못된 삽입방지 계단형부(4)를 형성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삽입개구 프레임부재(2)의 뒷측에는 뚜껑 개폐가능장치(5)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5)는 개폐식 뚜껑(6)과 상기 개폐식 뚜껑(6)의 개폐를 고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고정 메카니즘(7)과, 개폐제어 메카니즘(8)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폐식 뚜껑(6)은 2의 상측 연부에서 삽입개구 프레임부재(3)의 뒷부분을 따라 연장된 샤프트(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개폐식 뚜껑의 하측연부상에는 고정 메카니즘(7)과 연관부재로 이루어진 개폐제어 메카니즘(8)이 배치된다. 고정 메카니즘(7)과 개폐제어 메카니즘(8)의 구성은 제7도 내지 제12도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샤시(10)(제4도 참조)에 고정된 기판(11)의 전면측에는 로크판(12)이 제공되는데, 상기 로크판의 상측 연부 단부면은 요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측 연부 전단면상에는 개폐식 뚜껑(6)의 하측 연부가 뒷방향으로 정합되는 정합 계단형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판(12)은 하측 연부의 양측에 정합 부품부재(13), (13')가 제공되는데, 이들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이들 정합부품 부재(13), (13')의 휘어진 부분을 통해 기판(11)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돌출부품부재(14)(14')와 정합되는 정사각형 구멍(13a)(13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12)의 상측 중심부에는 뒷방향으로 연장되어 휘어진 정합 부품부재(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합 부품부재(15)를 가로질러, 고정판(12)을 통해, 개구(16)(1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각각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정합부품부재(15)는 기판(11)의 상측 중심부에 형성된 윈도우 구멍(17)내로 삽입되며, 개구(16)(16')는 각각 기판(11)의 전면에서, 돌출된 수납돌출부(18)(18')와 정합된다. 정합 부품부재(13)(138)를 통한 구멍(13b)(13b')과 기판(11)의 상측 연부휨부(11a)를 통한 구멍(11b)(11b')사이에는 장력코일 스프링(19)(19')이 있으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고정판(12)은 기판(11)에 대해 상향으로 바이어스되며, 받침점으로오 하녹연부 정합부와 경사적으로 바이어스 되어 윈도우개구(17)를 갖는 정합 부품부재(15)와 수납돌출부(18)(18')를 갖는 구멍(16)(16')의 정합된 상태를 유지 시킨다.
고정판(12)의 정합 부품부재(13)(138)의 상측면측은 축핀(20)(20')에 의해 대칭적으로 선회되는 레버(21)(21')의 자유 단부(21a)(21a')와 접촉하여 상하 방향으로 기판(11)의 뒷면에서 스윙된다. 정합핀(22)(22')은 각각 그들의 중간지점에서 레버(21)(21')에 의해 선회된다. 정합 돌출부(22)(22')는 기판(11)의 뒷면측에 배치된 작동판(23)의 좌우측부를 통해 정사각형 개구(23a)(23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녹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들 정사각형 개구(23a)(23a')는 각각 기판(11)의 뒷면상에 선회된 로울러(24)(24')와 정합하여 측방향으로 미끄러진다. 돌출부(23c)(23c')는 각각 스윙레버(21)(21')의 정합핀(22)(2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작동판(23)의 하녹연부(23b)(23b')상에 형성된다. 작동판(23)은 플레이어(25)에 결합되며 플레이어(25)의 이동에 의해 미끄러져 돌출부(23c)(23c')는 스윙레버(21)(21')의 정합핀(22)(22')을 밀며, 따라서 하녹방향으로 스윙레버(21)(21')는 스윙된다. 기판(11)의 상측연부 휨부(11a)의 한측 아래로 축핀(11c)이 설치된 중간휨부(11a')가 형성된다. 축핀(11c)상에는 L-형의 뚜껑 개구레버(27)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데, 상기 레버상에는 뚜껑 개구축(26)이 설치되어 있어 리드 개구레버(27)는 개폐식 뚜껑(6)의 전면에 위치된 뚜껑 개구축(26)과 함께 회전가능하다. 하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레버(27)의 뒷면단부상에 형성된 접촉 부품부재(27)가 작동판(23)상에 형성된 누름 부품부재(23d)와 접촉하여, 레버(27)가 작동판(23)의 미끄럼 이동에 대해 뒷방향으로 회전될때, 뚜껑 개구축(26)은 개폐식 뚜껑(6)을 개방되도록 누르게 되고, 개폐제어 메카니즘(8)이 형성된다. 부가로, 작동부피 V1, V2, V3은 각각 이 기판(11)상에 장착된다. 제 13도에 도시된 장전장치는 제14b도 및 14a도, 내지 제18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기준번호(31)는 케이싱(1)내의 설치된 프레임을 나타내며(제3도 참조), 샤시(32)는 프레임(31)에 수평적으로 고정된다. 스핀들모터(33)는 그의 중심부에서 샤시(32)상에 장착되며 홈(34)은 샤시(32)의 뒷측에의 한코너부에서 중심방향으로, 즉, 스핀들모터(33)의 방향으로 샤시(32)를 통해 형성된다. 그때, 광학픽업장치(35)가 홈(3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척암(36)은 후면의 구석부분에서 샤시(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척암(36)은 코일스프링(37)에 의해 구동모터(33)의 방향으로 편향된다. 이 척암(36)의 첨단부에 부착된 것은 구동모터(33)에 대응하여 자유회전할 수 있는 척 디스크판(38)이다. 샤시(32)의 전면에는, 안내 로울러장치(39)와 구동 로울러장치(40)가 부하디스크 D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의 예정된 거리를 가지고 각각 장착되어 있다.
안내 로울러장치(39)는 고정 가이드로울러(39a)와 이동 가이드로울러(39b)로 되어 있는 전면에 위치한다. 고정안내로울러(39a)는 축(42a)을 통하여 프레임(31)의 첨단부에 각각 고정된 베어링(41)(41')에 대하여 피보트되어 있다. 반면에, 이동 안내로울러(39)는 암(43)(43')의 첨단부에 대하여 축(42b)를 통하여 피보트되어 있으며 상기 암은 스프링과 같은 것으로 편향 회전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프레임(31)에 피보트되어 있다. 안내 로울러(39a)(39b)는 분리되는 동안 서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대향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안내 로울러장치(39)뒤의 예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구동 로울러장치(40)는 고정로울러(40a)와 구동로울러(40b)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로울러(40a)가 프레임(31)에 고정된 베어링(44)(44')에 축(45a)을 통하여 피보트되며, 구동로울러(40b)는 고정로울러(40a)로부터 분리되고 프레임(31)에 관계되는 방향으로 상하 운동하는 로울러 구동장치(46)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된다. 각 로울러(39a), (39b) 및 (40a)(40b)는 안내 로울러장치(39)에 사용되며 구동로울러장치(40)는 그의 중심에서는 직경이 작고, 양단부로 갈수록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부는 서로 같게 만들어져 있다.
좀 더 자세히 하면, 제14a 및 제1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울러(39a), (39b) 및 (40a)(40b)는 다음의 조건으로 제조되야 한다. 이들의 중앙부분(39a), (39b) 및 (40a)(40b)의 각 직경을 직경 d1이어야 하며, 이들의 양단부 부분(39a2), (39b2) 및 (40a2)(40b2)의 직경은 d2이어야 하고, 이때 d1<d2이다. 각 로울러의 전장이 l이면 이들의 중앙부분의 길이는 l1이며 단부와 내벽사이는 l2이고 이때 l
Figure kpo00002
l2
Figure kpo00003
l1
Figure kpo00004
0이다.
양쪽벽은 이송중심 a에 대하여 대칭이며, 디스크 D의 두께는 t이며,
Figure kpo00005
이다.
로울러(39a), (39b) 및 (40a)(40b)가 서로 접촉하도록 제조될 때, 이들의 중앙부분에서 거리 h가 유지되고 거리부분에서 양쪽측벽까지가 더 좁아지고 그 사이는 테이퍼형태로 제조된다. 각 로울러(39a), (39b) 및 (40a)(40b)의 표면은 고무나 연질 플라스틱물질같은 적절한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축(42a), (42b) 및 (45a)은 로울러(39a), (39b) 및 (40a)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러나, 축(45b)은 로울러(40b)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로울러(40b)와 적당한 마찰관계를 이루도록 접촉되어 과부하가 인가될 경우, 축(45b)은 회전하고 로울러(40b)는 회전하지 않게 형성한다.
로울러 구동장치(46)는 제15도를 참조하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5도에서, 참조번호(47), (47')는 축핀(48), (48')에 의하여 전면부의 양표면에서 프레임(31)에 대하여 피보트되어 있어서 상하로 회전가능하다. 지지판(47), (47')은 접속판(47'')과 베어링(39), (39')에 의해 접속되고 있고 두 지지판(47), (47')의 중앙부분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구동로울러(40b)의 양단부는 베이링(39), (39')을 통하여 피브트되어 있고, 즉 한 지지판(47)에 대하여 벽의 돌출부가 피보트되어 있다. 기어(50)는 지지판(47)에 장착된 모터(51)의 축(51a)에 고정된 기어(52)와 조합되며, 중간기어(53), (54)는 지지판(47)에 피보트되어 있어서, 모터(51)의 구동력이 구동로울러(40b)에 전송되게 한다. 즉, 기어(50)는 구동로울러(40b)(이후로는 구동기어(50)로 참조됨)와 중간기어(53), (54)는 대직경 톱니(50b), (50a) 및 (54a)와 소직경 톱니(50b), (53a) 및 (54b)를 포함하며, 모터(51)의 축(51a)에 부착된 기어(52)는 제 1 중간기어(53)의 대직경 톱니(53a)와 맞물린다. 그러면, 소직경 톱니(53b)는 제 2 중간기어(54)의 대직경 톱니(54a)와 맞물리고 제 2 중간기어 (54)의 소직경 톱니(54b)는 구동기어(50)의 대직경 톱니(50a)와 맞물려서 상술한 바와같이 구동로울러(40b)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지지판(47), (47')은 고정로울러(40a)에 접촉되도록 구동로울러(40b)를 가압하기 위해 스프링(55), (55')에 의해 비스듬히 위쪽으로 힘을 받아 회저할 수 있게 되어있다. 지지판(47)의 첨단부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은 지지판 회전기어(56)(이후 회전기어로 참조됨)이다.
이 회전기어(56)는 대직경 톱니(56a)와 소직경 톱니(56b)를 포함한다. 대직경 톱니(56a)가 구동기어(50)의 소직경 톱니(50b)와 맞물리는 반면, 소직경 톱니(56b)는 축핀(57)에 의해 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세그멘트 기어암(58)의 랙(rack)부재와 맞물린다.
이 세그멘트 기어망(58)은 회전기어(56)의 소직경 톱니(56b)의 방향으로 스프링(59)에 의해 비스듬히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 세그멘트 기어암(58)과 맞물리는 것은 플랜저(planger)암(60)의 단부에서 돌출된 핀(60a)이며 상기 암은 그의 중앙지지점(63)에서 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피보트되어 있다. 플랜저 암(60)의 다른 단부는 플랜저(61)에 접속되어 있다. 세그멘트 기어암(58)의 내부표면에 형성된 것은 랙부재(58a)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58b)이다.
이 홈(58b)의 상부에 형성된 것은 랙부재(58a)의 방향으로 개방된 안내홈(58c)이며, 반면에, 지지판(47)의 첨단부 표면에 돌출된 것 안내홈(58c)으로부터 홈(58b)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결합된 인게이징핀(62)이다. 지지판(47), (47')에 형성된 것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안내로울러(39b)에 대하여 암(43), (43')의 상측단부에 접속된 맞물림 부재(47a), (47a')이다. 암(43), (43')은 항상 편향회전가능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판(47), (47')의 하향회전에 관련해서 맞물림부재(47a), (47a')와 상기 암의 상측단부가 결속되어 있다. 이 경우에, 암(43), (43')은 지지판(47), (47')에 대해 독립적으로 하향 이동 가능하다. 지지판(47), (47')이 상향 회전 가능한 조건에서, 암(43), (43')은 각각 상측에 위치되어 이동안내로울러(39b)를 가압하여 고정안내로울러(39a)에 접촉되게 한다.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판(47)의 첨단부의 내부표면에 있는 돌출부는 맞물림부재(47b)이며 이 맞물림부재(47b)는 접속암(64)의 다른 단부(64c)에 결합되어 있고, 접속암(64)은 프레임(31)에 피보트되어 있는 중간부분(64a)과 척암(36)의 하부표면에 결합된 단부(64b)로 이루어져 있다. 참조번호(65)는 스프링을 표시하며 척암(36)이 편향회전 하도록 된 스프링(37)에 의해 구동모터(33)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속암(64)에 회전가능하게 편향 지지된 스프링이다.
로크장치(7)와 개폐제어장치(8), 장전장치와 디스크 클램프암과 서로 연관된 다른 것을 작동하기 위한 전기회로의 예가 제20도에 도시된 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0도에서 고정장치(7)와 개폐제어장치(8)를 작동시키는 플랜저(25)의 박편스위치(SI)는 디스크(D)가 삽입되었을때 기판(ii)의 전면에 제공되어 있다. 릴레이 스위치(Sr)는 상기 박편 스위치 (SI)의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박편 스위치(SI)의 작동부재는 고정판(12)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박편 스위치(SI)와 플랜저(25)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하기에 기술될 디스크 장전장치의 작동을 검출하는 광학스위치(9)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S2)이며, 스위치(S3)도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아래서 기술된 디스크 테이블상에서 디스크(D)의 클램핑 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10)을 구성한다. 클램핑 상태 검출 스위치(S3)의 연결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은 예를들어 경보램프회로나 경보부저회로와 같은 경보 회로(29)이다. 플랜저(25)회로는 광학스위치(8a)(8b)와 연동되어 논리적으로 제어되는 스위치(S5)를 통해 방출스위치(S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광학스위치는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같이 디스크(D)의 수평방출이 끝납을 때 각각 오프상태로 된다.
제2도와 제3도에 있어서, 참고번호 30은 디스크 플레이어(1A)의 작동부재를 표시한다.
디스크 플레이어상에서,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에 포함되어 있는 디스크(D)를 로팅시키기 위한 작동은 다음에서 기술된다.
디스크(D)가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내에 수용된 상태하에서, 디스크(D)는 케이싱(111)의 내부 케이싱(122)내로 삽입되며 디스크의 중앙개구(d)는 요면부(124)을 통해 노출되어 있으며, 방출 방향으로 고정부재(125)와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는 양면은 지지부재(126a), (126a')와 요철부(128a), (128a')에 의해 물려 있으며, 그래서 디스크(D)는 디스크의 주변연부가 내부 케이싱(122)의 양 벽면(122b), (122b')의 내부표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다. 그래서 디스크(D)는 케이싱(111)으로부터 빠져 나오거나 케이싱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있는 상태로 케이싱(111)내에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뚜껑(112)은 케이싱과 고정되어 뚜껑(112)의 고정요면부(114a), (114a')는 각각 내부 케이싱(112)의 고정 컨벡스부분(127a), (127a')와 고정되어 있고 뚜껑(112)의 후면연부의 계단형 부분(113)은 잘못된 삽입을 방지하도록 외부 케이싱(121)의 계단형 부분과 접촉되어 고정된다.
디스크 플레이어 상에서, 상기 기술된 것과 같이 디스크(D)가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내에 포함되어 있을때, 뚜껑(112)은 케이싱(111)으로부터 제거되며, 디스크의 부분은 케이싱(111)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즉, 내부케이싱(121)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그리고 플레이어(1A)의 삽입개구(2)내로 삽입된다. 디스크(D)가 전단부는 개폐식 뚜껑(6)과 접촉하여 내부로 밀어 넣는다.
그 결과 개폐식 뚜껑(6)은 상단부축에 의해서 축지지부분에 대해 약간 회전하며, 상기 뚜껑(6)의 회전과 연관하여 개폐식 뚜껑(6)과 결합된 고정장치(8)의 고정판(16)은 기판(11)의 측면으로 회전한다. 고정판(12)이 상기와 같이 회전하였을때, 박편스위치(SI)는 플랜저(25)를 작동하도록 만들어져 있어서, 작동판(23)은 레버(21), (21')의 고정돌출부(22), (22')상에서 하단 돌출부(23b), (23b')의 돌출부(23c), (23c')에 포개어지도록 미끄러져 움직이며, 따라서 양 레버(21), (21')는 하향으로 회전한다. 양 레버(21), (21')가 하향으로 회전할때, 고정판(12)은 하단부 고정부재(13), (13')를 통해 코일스프링(19), (19')의 부하력에 대해 낮추어져서 고정판(12)은 뚜껑(6)이 개폐되도록 자유롭게 회전하게 하기 위해 개폐식 뚜껑(27)의 첨단부에 연결된 뚜껑 개방축(260은 상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전면에서 개폐가능한 뚜껑(6)으로부터 고정상태가 풀린다. 따라서 작동판(23)이 플랜저(25)의 충격에 의해 미끄러져 움직일때, 푸싱부재(23d)는 뚜껑 개방레버(27)를 회전시키기 위해 뚜껑 개방 레버(27)의 접촉부재(27a)를 밀어낸다. 따라서 뚜껑 개방 레버(6)을 밀어낸다(제7도 참조).
따라서, 삽입 개구부분인 삽입 개구 프레임 부재(2)의 내부 개구(3)는 제4도, 5도,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방되어 있으며, 이것은 케이싱(III)으로부터의 디스크(D)의 돌출부가 상기 삽입 개구 프레임부재(2)의 개구부분내로 삽입되게 할뿐 아니라 내부 케이싱(122)이 개구 부분내로 삽입되게 한다. 그러나, 삽입 개구 프레임부재(2)의 내부 개구(30의 중앙부가 내부 케이싱(122)의 높이보다 크게 확장되며, 후면 개구부는 폭이 좁게 만들어지므로, 내부 케이싱(122)이 삽입 개구 프레임부재(2)내로 삽입될때, 내부 케이싱(122)은 내부 개구(3)의 모든 측면 표면(3a), (3a')에 의해 모든 측면에서 밀려지며, 따라서 상측판(122c) 및 하측판(122a)은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어 변형된다.
이것에 관련되어, 내부 케이싱(122)의 상측판(122c)상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 부재(125)는 상부로 움직이며 디스크(D)의 중앙개구(d)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지지부재(126a), (126a')는 상부로 조금 움직여, 디스크(D)에 대한 추진력은 약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작동판(23)의 돌출부(23c), (23c')의 레버(21), (21')의 맞물림 돌출부(22), (22')로부터 풀어지며, 레버(21), (21')의 흔들림이 방지되며, 로크판(12)은 하부로 밀려져 풀어지며, 스프링(19), (19')의 바이어싱된 힘에 의해 올려져서 전방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비록 판스위치(S1)가 턴 오프되더라도, 판 스위치(S1)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릴레이 스위치(Sr)는 온상태로 남게 되며 플랜저(25)는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 및 폐쇄 가능한 뚜껑(6)을 지지하기 위해 작동한다.
판스프링(SL)이 온이되어 플랜저(61)가 구동될때, 플랜저 암(60)은 회전하며 세그먼트 기어암(58)은 스프링(59)의 바이어싱 힘에 대해 지지부재(4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따라서, 지지판(47) 회전기어(56)의 소직경 치차부(56b)와 랙 부재(58a) 사이의 맞물림을 떨어져서 상기 상태를 유지한다.
디스크(D)가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D)가 안내로울러 메카니즘(39)의 로울러(39a), (39b)와 접촉할때, 가동 안내 로울러(39b)는 암(43)을 통해 하부로 움직여서 로울러(39a), (39b)사이의 공간을 넓게 한다. 따라서 디스크(D)는 로울러(39a), (39b)에 의해 죄어진다. 따라서, 디스크(D)가 안내 로울러 메카니즘(39)을 통해 통과하여 구동로울러 메카니즘(40)(제19a도)의 로울러(40a), (40b)에 도달할 때, 구동 로울러(40a)의 앞에 위치하는 광 반사기(8a)인 광학 스위치는 모터(51)가 포지티브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턴온된다. 모터(51) 구동력은 모터축(51a)에 고정된 기어(52)를 통해 전달되며, 구동 로울러(40b) 축(45b)에 고정되어 있는 기어(50)에 대해 중간에 개재하는 기어(53), (54)를 통해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로울러(40b)는 디스크(D)가 전방으로 보내지는 방향(제19a도에서의 화살표 b방향)에서 회전하여 상기 상태에서 구동로울러(40b)는 지지부재(47) 스프링(55)의 바이어싱 힘에 대항하여 약간 아래로 움직이며, 디스크(D)는 구동로울러(40b) 및 고정 로울러(40a)에 의해 죄어져서 디스크(D)가 디스크 스토포(DS)(제19b)와 접촉되는 위치로 움직인다.
상기 상태에서, 디스크(D)의 팁 종단부는 새시(32)의 깊숙한 종단부에 위치하는 광반사기인 광학 스위치에 의해 검출되어서 플랜저(61)회로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플랜저 암(60)은 회전될 수 있게 돌며 세그먼트 기어암(58)은 스프링(59)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돌므로 랙부재(58a)는 회전기어(56)의 소직경 치자부(56b)와 맞물린다. 구동로울러기어(50) 및 회전기어(56)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지지판(47)은 스프링(55)의 상부 바이어싱 힘에 대향하여 축방향 핀(48)에 대해 하부로 향해 회전하며 움직이기 시작한다. 지지부재(47)가 하부로 향해 회전하여 움직이는 기간동안에, 맞물림 돌출부(62)는 안내홈(58b)과 맞물리므로, 세그먼트 기어암(58)이 소직경 치자부(56b)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지지판(47)의 맞물림 부재(47b)는 스프링(65)에 의해 카플링 암(64)의 다른 종단부(64c)와 접촉하므로, 지지판(47)가 하부로 향해 회전하며 움직이는 것과 같이, 결합암(64)은 하부로 향해 회전하며 움직인다.
결국, 척킹암(36)은 디스크 D의 중앙부위와 일치하기 위해 첨단부에 장착된 척킹 디스크판(38)을 재촉하기 위한 스프링(37)의 바이어스 시키는 힘에 의해 이동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구동로울러(40b)는 회전 계속하는 동안 지지판(47)이 회전할 수 있게 하향 이동될때 하향 이동된다. 그리고 안내로울러(39b)는 암(43)이 결속형 피스부재(47a)을 통해 지지판(47)와 함께 하향 이동될때 또한 하향 이동된다. 이래서 디스크 D는 하향 이동되고 스핀들 모터(33)위에 배치된 디스크 테이블 위에 배정된다. 더우기, 절두형콘으로써 형성된 스핀들축의 상부 말미는 디스크 D의 중앙개구 d내로 결속되고 디스크 D의 중앙부위는 척킹 디스크판(18)에 의해 밀쳐져서 보유되도록 디스크 D를 보장케 된다.
지지판(47)은 척킹 동작 완결위치로 하향 회전할때, 고유 스페이싱은 척킹암(36)과 결합암(64)의 다른 말미부위(64c) 사이에 결속 부위안에 발생되고 구동로울러(40b)와 이동 가능한 안내로울러(20b)는 디스크 D의 하부 표면에서 분리도기 위해서 회전가능하게 낮아지고, 장전 완결 스위치(10)는 모터(51)을 회전 못하게 동작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장전 완결 상태하에서 디스크 D는 척킹암(36)의 척킹 디스크 판(38)에 의해서 스핀들 모터(33)에 부착된 디스크 테이블 위에 척크된다. 그리고 구동로울러(40b)와 이동 가능한 안내로울러(39b)는 디스크 D의 하부표면으로부터 분리되게끔 낮아지는 반면에 디스크 D는 광학 픽업장치(35)에 의해 재생된다. 이 상태하에서 케이싱(111)은 삽입 틈 프레임 부재(2)내로 삽입되는 것 혹은 디스크 D가 장하단부로 이동된 후에 케이싱(111)이 인계되는 것은 가능하다.
디스크 D는 척킹 상태로부터 방출될때, 방출 동작 버튼은 모터(5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기 위해 내리눌러져서, 디스크 D를 발송하기 위한 척킹 동작의 맞은 동작이 수행된다.
모터(51)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때, 구동 로울러(40b)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판(47)에 부착된 회전기어(56)는 또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래서, 기어(56)의 작은 직경 치형부위(56b)는 세그먼트 기어암(58)의 랙부재(58a)에 관련되어서 지지판(47)은 축지지 부위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게 상향 이동된다. 따라서, 이동작과 관련되어, 결합암(64)는 지지판(47)의 결속 피스부재(47b)에 의해 발휘된 푸싱-다운력으로부터 풀려나며 스프링(65)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된다. 결국, 척킹암(36)은 축 지주부위에서 스프링(37)의 바이어스력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척킹 디스크 플레이트(38)는 디스크 D의 상부표면에서 떨어져 만들어진다. 반면에, 구동 로울러(40b)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지지판(47)을 통해 상향으로 이동되고 있어서, 디스크 D는 다시 구동로울러(40b)에 의해 죄어지며 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되며 고정된 안내로울러(39a)와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지지판(47)이 예정된 위치로 상향 이동될때, 디스크 D는 구동 로울러(40b)에 의해 이동되며 샤시(32)의 말미부위에 배치되는 스위치(9)에서부터 떨어져 만들어지고, 상기 스위치(9)는 플랜저(61)를 동작시키기 위해 턴온되고 플랜저(60)는 지지판(59)의 바이어스력에 대비 세그먼트 기어암(58)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되고 랙부재(58a)는 회전기어(56)의 소직경 치형부위(56b)에서부터 떨어져 만들어진다. 지지판(47)은 회전에 있어서 자유가 되고 양 지지판(47), (47')은 스프링(55), (55')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결합플레이트(47')을 통해 상향으로 이동되어서, 디스크 D는 구동로울러(40b)와 고정로울러(40a)에 의해 완전하게 죄어진다. 그래서, 구동로울러(40b)가 반대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디스크 D는 안내로울러(39a), (39b)를 통해 삽입개구(2)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디스크 D가 예정 방향으로 이동될때, 모터(51)는 광학스위치 측 광반사기(8b)에 의해 특히 논리출력에 의해 턴업되고 디스크 D의 이동이 정지되다. 동시에, 플랜저 암(60)은 복원되는 반면에 세그먼트 기어암(58)는 지지판(47)의 방향으로 스프링(59)의 바이어스힘에 의해 회전되고 랙부재(58a)는 회전기어(56)의 소직경 치형부분(56b)과 결속되며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동작에 있어서, 지지판(47)이 회전기어(56)의 소직경 치형부분(58b)와 세그먼트 기어암(58)의 랙부재(58a) 사이 결속에 의해 상향으로 회전될때, 지지판(47)의 핀(62)은 세그먼트 기어암(58)의 홈(58b)이내에 미끄러지게 이동되고, 지지판(47)이 상부 부위에 상향으로 이동되는 상태하에서, 핀(62)은 안내홈(58c)과 반대이다. 이런 상태하에서, 플랜저(61)가 동작할때, 세그먼트 기어암(58)은 지지판(47)에서 떨어진 방향내 플랜저 암(60)을 통해 회전되고, 회전기어(56)의 소직경 치형부위(56b)와 더불어 랙부위(58a)의 결속은 풀려난다.
구체적을 묘사해보면, 안내로울러 기계구조(39)가 디스크 D의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이 안내로울러 메카니즘(39)은 판형태와 같은 다른 시스템의 안내 메카니즘과 교체될 수가 있으며 동일한 작동과 효과와 더불어 달성될 수가 있다.
다음에는 고정 메카니즘(7)과 개폐식 제어 메카니즘(8)에 대하여 제20도의 연결선도를 참조하여 기술할 것이다.
디스크 D가 장전작동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이동이 완료될때는 디스크 D의 이동완료는 광학스위치(9)로 제어되는 스위치 S2에 의해 검출된다. 이 스위치 S2에 의해, 플랜저(25)의 회로는 턴오프되어 플랜저(25)를 비작동모드로 한다. 그러므로, 디스크 D는 하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크 테이블상에 놓여진다. 이 경우에, 플랜저(25)가 비작동모드 변화할때는, 작동판(23)은 원위치로 복귀되고 뚜껑 개방용 레버(27)의 회전이동은 정지되어 개폐식 뚜껑(6)은 뚜껑(6)이 닫혀지는 방향이나 또는 작동판(23)의 복귀이동에 관련된 하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동되어 디스크 D의 케이싱(111)의 상측판(121d)과 접합케 된다. 반면에, 케이싱(111)를 플레이어(1A)에서 빼낼때, 뚜껑(6)의 하측단부는 이미 상향으로 복귀되어 있는 고정판(12)의 상측단중 배면측과 접하게 된다. 그러나, 작동판(23)이 복귀되면, 레버(21), (21')는 각각 맞물림핀(22), (22')을 통해 하측단에서 돌출된부(23c), (23c')에 의해 다시 눌려지고 하햐으로 회전하여 고정판(12)를 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개폐식 뚜껑(6)은 고정판(12)을 통해 오버슈트되어 정면측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판(12)이 레버(21), (21')의 맞물림 돌출부(22), (22')를 통하여 작동판(23)의 돌출부(23b), (23b')를 오버슈트함으로써 눌려진 것에서 풀려져 다시 윗쪽으로 이동되면, 고정판(12)의 상측 단상에서 형성된 맞물림 단부(12a)는 개폐식 뚜껑(6)의 하측단과 맞물리게 되어, 뚜껑(6)은 폐쇄된다.
반면에, 디스크 테이블상에 놓여진 디스크 D는 디스크 클램프 암(도시되지 않음)상에 놓여진 디스크 클램프(도시되지 않음)로 압력이 가해져 보존된다. 디스크 D가 디스크 클램프에 의해 압력이 가해져 보존되면, 작동스위치(10)를 구성하는 스위치 S3의 가동접점은 경보회로(29)의 측으로 위치가 변화되므로, 경보램프 또는 부져(도시되지 않음)는 디스크 D의 이중장점을 방지하도록 동작된다. 또한, 이 경우에 스위치 S2및 S3은 각각 턴오프되므로, 개폐식 뚜껑(6)이 압력을 받고 고정판(12)이 회전가능해져 스위치 SL를 턴온시키더라도, 플랜저(25)는 작동되지 않으므로 고정판(12)은 개폐식 뚜껑(6)을 폐쇄상태로 보전할 수가 있다.
디스크 D가 상기 작동에 따라 플레이되고 디스크 D가 프레잉이 종료된 후에 디스크 플레이어(1A)에서 꺼내질때는, 이젝트 단추를 눌러 이젝트 스위치 S4를 온시켜서 플랜저(25)를 작동시킴으로써 개폐식 뚜껑(6)은 상기에서와 같이 유사하게 열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 D는 디스크 테이블에서 들어올려져 디스크 장전 메카니즘에 의해 디스크 플레이어(1A)의 개방부위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비장전되어 삽입 개방 프레임부재(2)의 내부측에서 내부 개방(3)까지 끼워진다. 이러한 경우에, 만일 케이싱(111)이 삽입 개방 프레임부재(2)내로 끼워지게 된다면, 디스크 D는 이 케이싱(111)내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같이, 탈장전 작동이 완료될때는, 광학 스위치(8a), (8b)와 함께 작동하여 논리적으로 제어되는 탈장전 완료 검출 스위치 S5는 비작동 모드로 플랜저(25)를 하기 위해서 턴오프되어, 개폐식 뚜껑(6)은 폐쇄된다.
더우기, 디스크 D의 배면단부가 개폐식 뚜껑(6)과 고정판(12)사이에서 뚜껑 폐쇄작동의 시간 이탈로 인하여 보유되더라도, 뚜껑(6)은 단지 그 자체의 무게로 인해서 디스크 D와 접하게 된다. 또한, 고정판(12)의 상측연단표면은 요철 모양으로 형성되고, 고정판(2)의 상측 연단표면은 단지 디스크 D의 주변연과만 접하게 되어 디스크 D의 기록표면에는 어떠한 손상도 끼치지 않게 된다.
상기 동작으로, 케이싱(111)이 디스크 플레이어(1A)의 삽입 개방 프레임부재(2)내로 거꾸로 끼워지거나, 또는 잘못 끼워지게 될때는, 외부 케이싱(121)의 상측판(121c)중 정면 연단은 삽입 개방 프레임부재(2)의 하측면 정표면과 접하게 되는데, 즉, 케이싱(111)의 잘못 삽입 방지용 계단부(123)와 삽입 개방 프레임부재(2)의 잘못 삽입 방지용 계단부(4)는 서로 접하게 되어 내부케이싱(122)의 정단부는 결코 소정의 위치로 도달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삽입 검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는 이러한 소정의 위치에 놓여져, 케이싱(111)이 디스크 플레이어(1A)의 삽입 개방 프레임 부재(2)내로 거꾸로 끼워질때는, 디스크 D의 첨단이 결코 광학스위치(8a)와 이 삽입 검출용 스위치에 도달하지 않는다는 논리적인 출력에 의하여, 모터(51) 및 플랜저(61)에 의한 디스크 D의 장전은 금지된다.
더우기, 케이싱(111)이 디스크 D의 플레이백이 종료되기전에 삽입 개방 프레임 부재(2)에서 일단 꺼내지거나 또는 로딩에 의해 디스크 D가 케이싱(111)에서 꺼내져 로딩하기 위해 손으로 직접 삽입 개방 프레임 부재(2)내로 끼워지고 이후에 거꾸로 되어 있는 케이싱(111)이 상기 부재(2)내로 끼워질때는, 디스크 D가 디스크 테이블상에 놓여지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용 스위치(10) 및 삽입 검출용 스위치에서 유출된 논리출력에 의거하여, 모터(51) 및 플랜저(61)에 의한 디스크 D의 탈장전은 금지된다.
상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적합한 단일 실시예로 주어졌지만, 본 발명의 새로운 개념에 대해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한은 본 기술에 능숙한 사람에게는 다양한 수정 및 변화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지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Claims (15)

  1. 디스크 플레이어의 정면에 형성된 삽입 개구에 삽입된 디스크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로울러로 물려있고 상기 디스크를 디스크 테이블위에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한쌍의 로울러중 하나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디스크 플레이어로서, 상기 로울러쌍은 각각 로울러의 직경이 중심부분에서 작게 만들어지고 점차로 커져서 로울러의 양측면에 접근하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쌍은 끝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고, 로울러의 직경은 로울러의 중심 부분에서 로울러의 양측면의 방향으로 점차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3. 제1항이나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쌍중 하측 로울러는 샤시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지지판에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고, 상기 하측 로울러를 회전할 수 있게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는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며, 상기 지지판에 대해 선회하도록 연결된 회전 부재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전자기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분리식 부재는 상기 샤시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재는 기어이고, 상기 분리식 부재는 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중 최소한 어느 하나는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부착된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마찰식으로 맞물리며, 과부하가 걸릴 경우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식 부재는 디스크 플레이어상에 형성되고, 맞물림 혹은 상기 분리식 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와 접촉할때 상기 지지판상에 형성된 맞물림부분과 맞물리며, 상기 분리식부재는 스프링수단에 의하여 상기 분리식 부재가 상기 회전부재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의 상기 정면 표면상에 형성된 상기 삽입 개수를 개폐하기 위하여 개폐식 뚜껑이 제공되고, 상기 개폐식 뚜껑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고 상기 개폐식 뚜껑을 폐쇄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디스크를 삽입함으로써 밀쳐지는 상기 개폐식 덮개에 응답하는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플랜저의 작동을 근거로 하여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뚜껑은 상기 플랜저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개폐식 뚜껑이 상기 디스크에 의해 약간 회전될때 미세한 정도로 회전되는 상기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개구 부분을 갖춘 정면에 제공되어 있고 최소한 정면의
    Figure kpo00006
    이 탄성물질로 만들어진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에 수용되며, 상기 디스크는 상기 리셉터클 컨테이너에 수용되어 있는 동안 디스크 플레이어의 상기 디스크 삽입 개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의 내측과 외측을 검출하기 위하여 검출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에 삽입된 상기 디스크의 적재 작동은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비적재 작동은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의 폭은 상기 디스크 삽입 개구의 폭보다 크게 선택되고, 상기 디스크 삽입 개구의 높이는 상기 디스크 리셉터클 컨터이너의 두께보다 크게 선택되며, 상기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는 상기 디스크 삽입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 리셉터클 컨테이너의 상기 개구부분을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KR1019840006686A 1983-10-27 1984-10-26 디스크 플레이어 KR920005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86 1983-10-27
JP58201586A JPS6093669A (ja) 1983-10-27 1983-10-27 デイスク再生装置
JP58217384A JPS60109089A (ja) 1983-11-18 1983-11-18 デイスクプレ−ヤ
JP217384 1983-11-18
JP251875 1983-12-26
JP58251875A JPS60138766A (ja) 1983-12-26 1983-12-26 円盤状記録媒体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040A KR850003040A (ko) 1985-05-28
KR920005758B1 true KR920005758B1 (ko) 1992-07-18

Family

ID=2732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686A KR920005758B1 (ko) 1983-10-27 1984-10-26 디스크 플레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592039A (ko)
EP (1) EP0143554B1 (ko)
KR (1) KR920005758B1 (ko)
AU (1) AU564899B2 (ko)
CA (1) CA1227281A (ko)
DE (1) DE347693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802A (en) * 1982-10-18 1987-06-02 Canon Denki Kabushiki Kaisha System for controlling loading and ejection of recording medium on a disc unit
JPS60231966A (ja) * 1984-04-30 1985-11-18 Sony Corp ディスクロ−ディング装置
KR900006313B1 (ko) * 1984-07-23 1990-08-28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디스크의 수납트레이 및 그것을 사용한 플레이어
KR900001537Y1 (ko) * 1984-09-14 1990-02-28 파이오니아 가부시끼가이샤 테이프 플레이어
US4680748A (en) * 1984-12-19 1987-07-14 Kabushiki Kaisha Toshiba Recorded disk playback apparatus
EP0212500B1 (en) * 1985-08-10 1990-06-13 Sanyo Electric Co., Ltd. Front loading apparatus for disc drive unit
JPH0233321Y2 (ko) * 1985-10-02 1990-09-07
JPS62164262A (ja) * 1986-01-14 1987-07-20 Shintomu Kk デイスクプレ−ヤ−における插入口部の開閉機構
DE3626939A1 (de) * 1986-08-08 1988-02-11 Bosch Gmbh Robert Ladevorrichtung fuer magnetbandkassetten unterschiedlicher abmessungen
US5022023A (en) * 1987-06-23 1991-06-04 Sony Corporation Disc drive arrangement for CD player and the like capable of loading different size discs
DE3831022A1 (de) * 1987-09-12 1989-03-23 Pioneer Electronic Corp Einrichtung zum verhindern des irrtuemlichen einfuehrens einer platte in einen cd-plattenspieler bei fahrzeugen
GB2218254B (en) * 1988-04-30 1992-11-11 Alpine Electronics Inc Disc player
JPH0831235B2 (ja) * 1988-07-28 1996-03-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GB2224877B (en) * 1988-09-22 1993-05-19 Alpine Electronics Inc Disk playing apparatus
GB2230893B (en) * 1989-03-13 1993-09-01 Pioneer Electronic Corp Guide mechanism for disc reproducing apparatus
US5119354A (en) * 1989-04-06 1992-06-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reproducing apparatus
JPH0814915B2 (ja) * 1989-09-29 1996-02-1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におけるディスク装填装置
JPH03120665A (ja) * 1989-10-04 1991-05-22 Alpine Electron Inc ディスクプレーヤにおけるカートリッジ案内装置
GB2238158B (en) * 1989-10-16 1994-02-09 Alpine Electronics Inc Disk loading device
NL9000234A (nl) * 1990-01-31 1991-08-16 Philips Nv Platenspeler.
US5276668A (en) * 1990-02-02 1994-01-04 Clarion Co., Ltd. Compact disk selecting mechanism including mechanical and optical detection
EP0457388A1 (en) * 1990-05-14 1991-11-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c player, and actuating unit for use in the disc player
JP2925771B2 (ja) * 1991-03-08 1999-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録担体及びこれを使用する情報処理装置
DE4217397A1 (de) * 1992-05-26 1993-12-02 Philips Patentverwaltung Elektrisches Informationsgerät mit einem Laufwerk
JP3248629B2 (ja) * 1992-08-03 2002-01-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668310A (ja) * 1992-08-19 1994-03-11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JP2902886B2 (ja) * 1992-12-28 1999-06-07 三洋電機株式会社 記録ディスク演奏装置
JP2882989B2 (ja) * 1993-12-29 1999-04-1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692545B2 (ja) * 1994-01-27 2005-09-07 ソニー株式会社 移動操作装置
JP3402408B2 (ja) * 1994-11-02 2003-05-0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搬送装置
JPH09204765A (ja) * 1996-01-30 1997-08-05 Nec Yamagata Ltd Cd−romプレーヤ装置
TW403894B (en) * 1997-08-12 2000-09-01 Kenwood Corp Disc loading mechanism of disc apparatus
JP3725351B2 (ja) * 1998-10-20 2005-12-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
EP1659582B1 (en) * 2001-04-05 2010-02-17 Sony Corporation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TWM255986U (en) * 2004-02-20 2005-01-21 Lite On It Corp A roller used in a slot-in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20050289570A1 (en) * 2004-06-23 2005-12-29 Opdicom Pty. Ltd., An Australian Corporation Load/eject mechanism
WO2006028056A1 (ja) * 2004-09-07 2006-03-16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43382C3 (de) * 1971-08-26 1974-08-08 Ted Bildplatten Ag Aeg-Telefunkenteldec, Zug (Schweiz) Verfahren zum Zuführen eines Aufzeichnungsträgers in eine Wiedergabeeinrichtung, sowie Wiedergabeeinrichtung und Schutzhüll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4098510A (en) * 1976-03-02 1978-07-04 Sony Corporation Record player
GB2069745B (en) * 1980-02-15 1985-02-06 Pioneer Electronic Corp Automatic disc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of recording-disc playback apparatus
JPS5778673A (en) * 1980-10-02 1982-05-17 Toshiba Corp Automatic loading device
US4454599A (en) * 1980-10-03 1984-06-12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reproducing signals from a disc
JPS57130262A (en) * 1981-02-05 1982-08-12 Pioneer Electronic Corp Auto loading record player
JPS5850661A (ja) * 1981-09-18 1983-03-25 Toshiba Corp ディスクロ−ディング機構
BE891428A (fr) * 1981-12-10 1982-03-31 Staar Sa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automatique du disque a jouer dans un appareil de reproduction.
US4439852A (en) * 1982-05-03 1984-03-27 Rca Corporation Disc player having record hand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040A (ko) 1985-05-28
AU564899B2 (en) 1987-08-27
CA1227281A (en) 1987-09-22
EP0143554A1 (en) 1985-06-05
AU3455484A (en) 1985-05-02
US4592039A (en) 1986-05-27
EP0143554B1 (en) 1989-03-01
DE3476936D1 (en) 198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758B1 (ko) 디스크 플레이어
WO1998002883A1 (fr) Plateau a disque, appareil de stockage de disque et unite a disque
JP4071410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100470376B1 (ko) 디스크기록재생장치및광픽업장치
JP3728816B2 (ja) ディスク装置
WO1996016403A1 (fr) Dispositif de chargement d'un support de memoire et equipement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JPH11162068A (ja) ディスク装置
JP4197146B2 (ja) ディスク装置
EP1100083B1 (en) Disk player
JP3674070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WO2000070609A1 (fr) Appareil a disque
JP3949855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
JP3989185B2 (ja) 駆動装置
JP2001014765A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及びディスクイジェクト機構
JP4299889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3812317B2 (ja) 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JPH11162066A (ja) デイスクドライブ装置の扉機構
JP2846801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572695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JPS6396766A (ja) 光学式デイスク再生装置
JP4339416B2 (ja) ディスク装置
JP4277839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3746118B2 (ja) カートリッジ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H1021618A (ja) 円盤状記録媒体搬送装置
JPH09231656A (ja) 情報記録カートリッジ着脱装置のトレ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