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542B1 - 신용카드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신용카드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542B1
KR920005542B1 KR1019900005516A KR900005516A KR920005542B1 KR 920005542 B1 KR920005542 B1 KR 920005542B1 KR 1019900005516 A KR1019900005516 A KR 1019900005516A KR 900005516 A KR900005516 A KR 900005516A KR 920005542 B1 KR920005542 B1 KR 920005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dit card
pneumatic cylinder
conveyor belt
plat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149A (ko
Inventor
최우규
Original Assignee
최우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규 filed Critical 최우규
Priority to KR1019900005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542B1/ko
Publication of KR91001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용카드의 성형장치
재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인 작용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펀칭공정을 보인 작용도.
제4도 (a) (b)는 본 발명 흡착구의 작용을 보인 요부 작용도.
제5도 (a) (b)는 본 발명의 받침판과 밑판의 작용을 보인 요부 작용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원판에서 신용카드를 성형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모우터
5 : 전동풀리 8 : 종동풀리
10 : 회전축 11 : 편심축
12 : 클러치 13 : 이동대
14 :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 15 : 연결축
16 : 이동판 16' : 펀치
18 : 펀치다이 18' : 성형공
20 : 제1모우터 23 : 상측 콘베어밸트
24 : 제2모우터 27 : 하측 콘베어밸트
30 : 제3모우터 35 : 제4모우터
48 : 안내판 49 : 수납실
50 : 받침판 51 : 신용카드 받침용 공압 실린더
52 : 밑판 53 : 신용카드 이송용 공압 실린더
본 발명은 안착대의 내부로 사전에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있는 원판(공작물)을 공급하여 주면 흡착구에 의해 안착대에서 상측 콘베어밸트로 이송을 시켜주게 되고 상측 콘베어밸트의 이송작업에 의해 펀치다이로 이송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기체내부의 지지대에 결합된 편심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대를 상, 하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켜 이동판을 승강하도록 함으로서 펀치다이에 대기중인 원판을 펀칭하여 신용카드를 성형하고 성형된 신용카드는 하측 콘베어밸트에 의해 질서정연하게 안내판으로 차곡차곡 모이도록 되어 있으며 원판의 나머지 부분(스크랩)은 제4모우터에 의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것으로 콘트롤 박스의 보터만 눌러주면 모든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서 신용카드를 성형할 수 있어 신용카드를 양산할 수 있고 매우 능률적이며 효율적인 작업에 의해 신용카드를 성형할 수 있도록 안출된 신용카드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용카드를 성형하기 위한 수단은 프레스를 이용한 수단이 있다. 즉, 작업자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있는 원판(공작물)을 손으로 들고 프레스에 넣어 신용카드를 성형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작업자가 돌고 있는 원판을 움직이거나 약간의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면 신용카드를 정확한 형상과 정확한 크기로 성형치 못하게 되는 것이므로 불량품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고 작업자의 숙련정도에 따라 스크랩의 유효면적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것이 보통이어서 초보자 내지는 비숙련공이 작업시에는 항상 넓은 면적의 스크랩을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어서 재료의 손실도 그만큼 많은 결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결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미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있는 원판을 기체의 안착대로 공급하여 주면 콘베어밸트에 의한 이송공정과 펀치에 의한 성형작업등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성형된 신용카드와 스크랩을 각각 자동으로 분리 수거함으로서 신속하게 신용카드를 성형할 수 있고 정확한 크기의 신용카드를 얻을 수 있는 것이어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지며 아울러 능률적이고 효율적인 신용카드 성형작업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1) 내부의 일측에 주동풀리(3)를 연결하고 있는 모우터(2)를 장착하고 주동풀리(3)와 기체(1) 내부의 중앙에 형성된 지지판(6)에 결합되어 있는 전동풀리(5)를 주동밸트(4)로 연결시키며 전동풀리(5)는 기체(1) 내부의 타측에 형성된 지지대(9)에 회전용이토록 결합되어 있는 종동풀리(8)와 전동밸트(7)로 연결시키고 종동풀리(8)의 중앙에 형성된 회전축(10) 양단에는 편심축(11)을 일체로 형성한 후 편심축(11)의 하측 부위에는 클러치(12)를 결합하고 있는 이동대(13)를 설치하되 이동대(13)의 좌, 우측으로 클러치(12)의 좌, 우 이동을 제어하는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14)를 설치하여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14) 내부의 피스톤(14')을 클러치(12)의 양단에 고정하고 이동대(13)의 상면 좌, 우측으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축(15)의 상단은 기체(1)의 상면을 관통하여 기체(1)의 상측에 형성된 이동판(16)에 고정시키되 기체(1)의 상면과 이동판(16) 사이의 연결축(15)에 스프링(17)을 탄설하고 이동판(16) 저면 중앙에는 펀치(16')를 돌설한 다음 이동판(16)의 하측 부위인 기체(1)의 상면에는 중앙에 성형공(18')을 천공하고 있고 하측에는 성형공(18')과 직각방향으로 요공(18")을 천공하고 있는 펀치다이(18)를 고정하며 이동판(16)의 전방에 입설되어 있는 브라켓트(19)의 상측에는 제1모우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주동 로울러(21)와 종동 로울러(22)를 상측 콘베어밸트(23)로 연결하고 상측 콘베어밸트(23)의 하측에는 이동판(16) 후측의 보조 브라켓트(29)에 결합되어 있는 제2모우터(24)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구동 로울러(25)와 브라켓트(19) 선단의 회전 로울러(26)를 하측 콘베어밸트(27)로 연결시키되 하측 콘베어밸트(27)가 펀치다이(18)의 요공(18")을 통과하여 연결되도록 연결한 뒤 브라켓트(19)의 후측에는 제3모우터(30)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로울러(31)를 축설하고 작동 로울러(31)의 상측에는 압지 로울러(32)를 결합하며 압지 로울러(32)의 상측에는 간격 조절용 공압 실린더(33)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33')을 압지판(34)에 연결하여서 압지 로울러(32)와 작동 로울러(3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보조 브라켓트(29)에도 제4모우터(35)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로울러(36)를 축설하고 작동 로울러(36)의 상측에는 압지 로울러(37)를 결합하며 압지 로울러(37)의 상측에는 간격 조절용 공압 실린더(38)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18')을 압지판(39)에 연결하여서 압지 로울러(37)와 작동 로울러(36)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다음 브라켓트(19)의 일측방에는 원판(54)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대(40)를 설치하며 이 안착대(40)의 측면과 브라켓트(19)의 측면에 입설되어 있는 고정측판(41)을 안내레일(42)로 연결하고 안내레일(42)에 결합되어 있는 이송대(43)에는 흡착구(45)를 양단 저부에 고정하고 있는 고정판(44)을 흡착구 승강용 공압 실린더(46)의 피스톤(46') 끝단에 연결하여서 흡착구(45)의 상, 하 승강이 용이토록 하며 일측 고정판(41)에 고정되어 있는 흡착구 이동용 공압 실린더(47)의 피스톤(47') 끝단을 이송대(43) 중앙에 고정하여서 이송대(43)의 좌, 우이송이 용이토록 하고 기체(1)의 전면인 안내판(48) 일측에는 하측 콘베어밸트(27)를 연결하고 있는 회전 로울러(26)의 전방으로 수납실(49)을 형성하여 하측 콘베어밸트(27)에서 이송되어 나온 신용카드(55)를 받기 위한 받침판(50)을 수납 형성한 뒤 받침판(50)의 저부 중앙에 피스톤(51') 끝단을 결합하고 있는 신용카드 받침용 공압 실린더(51)를 외부측에 수직으로 형성시킨 후 신용카드 받침용 공압 실린더(51)와 직각방향으로는 밑판(52)을 피스톤(53') 끝단에 결합하고 있는 신용카드 이송용 공압 실린더(53)를 외부로 장착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로 사전에 절단되어 있는 원판(공작물) (54)을 기체(1)의 안착대(40) 내부에 적재를 한 다음 콘트롤 박스(도시안됨)의 버톤을 누르면 모든 동작이 자동에 입각하여 행해지는 바 먼저, 기체(1)의 내부 일측에 안착되어 있는 모우터(2)가 회전을 하면서 주동폴리(3)를 회전시켜 기체(1)의 중앙 지지판(6)에 결합되어 있는 전동폴리(5)를 주동밸트(4)에 의해 구동을 시키게 되고 이 전동폴리(5)의 구동력은 전동밸트(7)에 의해 지지대(9)에 축설되어 있는 종동폴리(8)에 까지 미치게 되는 것이므로 종동폴리(8)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을 하면서 종동폴리(8)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축(10)의 편심축(11)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편심축(11)의 하측 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클러치(12)가 제2도와 같이 이동대(13)의 내부에서 초기상태를 이루고 있을 때에는 편심축(11)은 공회전을 하게될 뿐 이동대(13)를 승강운동시키지 못하게 된다. 편심축(11)이 공회전을 하고 있을 때 안착대(40)에서는 이송대(43)에 결합되어 있는 흡착구 승강용 공압 실린더(46)에 공기가 흡입되면서 피스톤(46') 끝단에 고정된 고정판(44)을 제4도(a)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하강시키게 되므로 고정판(44)의 저부 양단에 결합되어 있는 흡착구(45)가 하강하면서 안착대(40)에 안착되어 있는 맨위의 원판(54)의 표면과 접촉을 하게 되고 접촉을 하는 순간에는 흡착구 승강용 공압 실린더(46)로 유입되는 공기가 중단되는 동시에 흡착구(45)에서 공기를 강한 압력으로 흡착하는 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흡착구(45)와 원판(54)의 접촉부위가 진공이 형성되면서 원판(54)이 흡착구(45)에 밀착이 되면 흡착구 승강용 공압 실린더(46)가 피스톤(46')을 상측으로 제4도(a)의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끌어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흡착구 승강용 공압 실린더(46)와 흡착구(45)의 작용에 의해 한장의 원판(54)을 흡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안착대(40)와 브라켓트(19)의 측면에 입설되어 있는 고정측판(41)으로 결합된 흡착구 이송용 공압 실린더(47)에 공기가 흡입되어 피스톤(47')을 후진하게 되므로 피스톤(47')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는 이송대(43)가 안내레일(42)의 안내를 받으면서 안착대(40)의 상공에서부터 상측 콘베어밸트(23)의 상공까지 제4도(b)와 같은 상태로 이송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송대(43)에 결합되어 있는 흡착구 승강용 공압 실린더(47)와 흡착구(45)도 이송대(43)와 동일하게 이송되어지는 것이며 상측 콘베어밸트(23)의 상측에 위치되면 다시 흡착구 승강용 공압 실린더(46)에 공기가 흡입되면서 피스톤(46')을 전진시키게 되므로 고정판(44)과 흡착구(45)에 흡착되어 있는 원판(54)도 제4도(b)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하강을 하여 상측 콘베어밸트(23)의 표면에 안착되는 순간 흡착구(45)에 진공이 해소되면서 원판(54)을 분리하므로 원판(54)이 상측 콘베어밸트(23)에 안착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임무를 마친 흡착구(45)는 흡착구 이송용 공압 실린더(47)의 작용에 의해 안착대(40)의 상공으로 원위치가 되고 상측 콘베어밸트(23)에 원판(54)이 안착되는 순간 감지센서(도시안됨)의 감지신호가 브라켓트(19)의 후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1모우터(20)로 전달이 되면서 제1모우터(20)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을 하는 상태가 되고 아울러 주동 로울러(21)가 회전을 하게 되므로 상측 콘베어밸트(23)가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종동 로울러(22)도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측 콘베어밸트(2)에 안착되어 있는 원판(54)이 이송을 하는 상태가 되고 이 원판(54)이 계속 이송하여 주동 로울러(21)와 제3모우터(30)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 로울러(31)의 중간에 위치할 순간 감지센서(도시안됨)의 감지신호가 제3모우터(30)로 전달되어 제3모우터(30)가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원판(54)와 끝단을 작동 로울러(31)와 압지 로울러(32) 사이로 통과를 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압지 로울러(32)와 작동 로울러(31) 사이를 통과한 원판(54)이 펀칭다이(18)에 위치되면 이때에도 감지센서(도시안됨)가 감지신호를 제1모우터(20)와 제2모우터(24) 그리고 기체(1) 내부 타측의 이동대(13) 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14)로 전달이 되는바, 제1모우터(20)과 제3모우터(30)로 전달되는 감지신호는 제1모우터(20)와 제3모우터(30)를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이며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14)로 전달되는 감지신호는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14)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모우터(20)와 제3모우터(30)가 정지되므로 상측 콘베어밸트(23)도 정지상태를 이루게 되고 아울러 제3모우터(30)가 정지되었으므로 작동 로울러(31)와 압지 로울러(32)도 일단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동대(13)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14)에는 피스톤(14')의 전진신호가 부여되는 것이므로 피스톤(14')이 전진되면서 이동대(13) 내부의 클러치(12)를 밀게된다. 이에따라 클러치(12)의 상면이 회전축(10)의 편심축(11)과 제3도와 같이 접촉을 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계속적으로 회전되고 있는 회전축(10)의 편심축(11)이 회전운동을 할 때 클러치(12)의 상면을 밀면서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클러치(12)와 이동대(13) 그리고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14) 모두가 승강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대(13)가 하강시에는 이동대(13)의 상면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축(15)과 함께 하측으로 하강하는 것이므로 연결축(15)의 상단에 고정된 이동판(16)도 스프링(17)을 압축하면서 하강하는 상태가 되어 급기야는 이동판(16)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펀치(16')가 하강되면서 펀치다이(18)의 상면에 미리 안착 대기중인 원판(54)을 펀치(16')의 형상과 동일하게 성형공(18')의 상호작용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고 펀치(16')와 성형공(18')에 의해 절단된 신용카드(55)는 성형공(18')을 통과하여 펀칭다이(18)의 요공(18")으로 하강하면서 하측 콘베어밸트(27)의 상면으로 제3도와 같이 떨어져 안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판(54)에서 신용카드(55)를 성형한 후의 펀치(16')는 계속적으로 회전되는 회전축(10)의 편심축(11)이 상측으로 제2도와 같이 원 위치를 하면 기체(1)의 상면과 이동판(16)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연결축(15)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17)의 탄력으로 이동판(16)과 연결축(15) 그리고 이동대(13)와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14) 모두가 원 위치를 하며 다음 동작을 위해 대기하게 되고 이들이 원 위치되는 순간에는 다시 감지센서(도시안됨)의 감지신호가 제1모우터(20)와 제3모우터(30) 그리고 제2모우터(24)와 제4모우터(35) 또한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41)로 전달이 되는데 제1모우터(20)와 제3모우터(30) 그리고 제4모우터(35)에는 정회전 신호가 부여되고 제2모우터(24)에는 역회전 신호가 그리고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14)에는 피스톤(14')의 후진신호가 각각 전달되어진다. 따라서 제1모우터(20)와 제3모우터(30)의 회전에 의해 지속적으로 원판(54)을 공급하는 상태가 되고 보조 브라켓트(29)에 결합되어 있는 제4모우터(35)의 회전에 의해 펀칭다이(18)에서 펀칭이 완료되고 남은 잉여부분(스크랩)을 작동 로울러(36)와 압지 로울러(37)의 사이로 통과시켜 외부로 인출되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제2모우터(24)의 구동에 의해 구동 로울러(25)가 역회전되면서 하측 콘베어밸트(27)가 상측 콘베어밸트(23)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되는 것이므로 성형되어 나온 신용카드(55)를 안착하고 있는 하측 콘베어밸트(27)는 신용카드(55)를 기체(1)의 전단부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14)에는 후진신호가 인가되어 클러치(12)를 원상태로 복귀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므로 초기 상태와 같이 회전축(10)의 편심축(11)이 공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하측 콘베어밸트(27)에 의해 기체(1)의 전단부로 이송되는 신용카드(55)는 수납실(49)에 대기중인 신용카드 받침용 공압 실린더(51)의 피스톤(51')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받침판(50)으로 제5도(a)와 같이 떨어지게 되고 연속적인 상기한 작용에 의해 얻어지는 신용카드(55)는 계속적으로 하측 콘베어밸트(27)에 이송되면서 신용카드 받침용 공압 실린더(51)의 받침판(50)에 쌓이게 되는데 이때 받침판(50)과 피스톤(51')은 신용카드(55)가 받침판(50)에 여러장 쌓일수록 점점 하강을 하여 일정한 장수가 받침판(50)에 쌓이게 되면 제5도(b)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50)이 완전히 하강을 하여 수납실(49) 바닥면에 위치한 상태가 되고 이상과 같이 받침판(50)이 완전히 하강되었을 때에는 감지센서(도시안됨)가 이를 감지하여 신용카드 이송용 공압 실린더(53)에 전하게 되고 이에따라 신용카드 이송용 공압 실린더(53)에 공기가 흡입되면서 피스톤(53')을 전진시키게 되어 피스톤(53')의 끝단에 고정된 밑판(52)이 신용카드 받침용 공압 실린더(51)의 받침판(50)위에 있는 수장의 신용카드(55)를 제5도(b)의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안내판(48)으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완성된 신용카드(55)를 묶음(약 16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3모우터(30)의 작동 로울러(31)와 압지 로울러(32)의 작용은 원판(54)을 정확하게 펀치다이(18)로 이송시켜 주는 작용 이외에도 펀칭시 원판(54)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므로 원판(54)에 흔들림이나 유동이 발생치 않아 정확한 펀칭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압지 로울러(32)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간격 조절용 공압 실린더(33)의 작용은 작동 로울러(31)와 압지 로울러(3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이 또한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공기가 흡입 내지는 중단을 하게 되어 피스톤(33') 끝단의 압지판(34)이 압지 로울러(32)를 은은히 밀어 줄 수 있어 원판(54) 두께의 차이가 발생하여도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배려된 것이다. 그리고 보조 브라켓트(29)에 결합되어 있는 간격 조절용 공압 실린더(38)와 압지판(39)의 작용도 동일한 기능을 가졌지만 다만, 제4모우터(35)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 로울러(36)와 압지 로울러(37) 사이에는 신용카드(55)를 성형한 후의 원판(스크랩)(54)을 잡아주는 기능을 가지며 이 또한 안정된 펀칭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몫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을 연속적으로 행하게 함으로서 사용자는 안착대(40)에 원판(공작물)만을 공급하여 주면 모든 것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신용카드를 제6도와 같이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원판을 공급하여 주면 안착대에서 상측 콘베어밸트로 이송공정과 상측 콘베어밸트의 이송에 의해서 펀치다이로 원판을 이송위치시켜 주는 공정 그리고 모우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의 편심축이 편심운동을 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이동대를 승강시켜 주는 작용에 의해 이동판의 펀치를 작동하게 함으로서 일정한 크기와 일정한 형상의 신용카드를 성형할 수 있고 성형되어 나온 신용카드가 모두 동일하게 되므로 대량생산에 적합한 동시에 정밀한 작업을 할 수 있고 아울러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일의 능률과 효율을 증대하는 한편 스크랩의 면적을 최대로 줄일 수 있어 재료 절약적인 측면에서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기체(1)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모우터(2)의 구동력을 전동풀리(5)와 종동풀리(8)로 전동시켜 종동풀리(8)의 회전축(10)에 형성된 편심축(11)을 회전시키는 구성과 클러치 제어용 공압 실린더(14)의 작용에 의해 클러치(12)를 단속하여 이동대(13)의 승강작용을 유발토록 된 구성에 의하여 이동대(13)와 연결축(15)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동판(16)의 펀치(16')가 펀치다이(18)의 성형공(18')과 상호작용에 의해 신용카드(55)를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기체(1)의 안착대(40)에 안착되어 있는 원판(54)을 흡착구 승강용 공압 실린더(46)의 승강작용과 흡착구(45)의 흡입작용에 의해 원판(54)을 흡입하여 들어올린 후 흡착구 이송용 공압 실린더(47)의 작용에 의해 상측 콘베어밸트(23)로 이송 안착시킨 뒤 상측 콘베어밸트(23)의 이송에 의해 원판(54)을 펀치다이(18)로 이송시켜 성형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다음 성형되어 나온 신용카드(55)를 하측 콘베어밸트(27)로 이송하여 수납실(49)의 신용카드 받침용 공압 실린더(51)에 결합된 받침판(50)에 쌓이도록 한 후 신용카드 이송용 공압 실린더(53)에 결합된 밑판(52)의 작용에 의해 신용카드 묶음을 안내판(48)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신용카드의 성형장치.
KR1019900005516A 1990-04-20 1990-04-20 신용카드의 성형장치 KR920005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516A KR920005542B1 (ko) 1990-04-20 1990-04-20 신용카드의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516A KR920005542B1 (ko) 1990-04-20 1990-04-20 신용카드의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149A KR910018149A (ko) 1991-11-30
KR920005542B1 true KR920005542B1 (ko) 1992-07-06

Family

ID=1929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516A KR920005542B1 (ko) 1990-04-20 1990-04-20 신용카드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543B1 (ko) * 2013-08-09 2014-07-02 한석빈 접이식 수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543B1 (ko) * 2013-08-09 2014-07-02 한석빈 접이식 수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149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46601A (ja) シート用ローラー集積器
CN108145987A (zh) 一种自动盖帽热合机
KR920005542B1 (ko) 신용카드의 성형장치
US3385593A (en) Apparatus for feeding individual sheets of paper or the like from the bottom of a stack
CN214323594U (zh) 一种高效的电路板用冲孔机
CN210150166U (zh) 自动进料装置及自动化磨床
CN212101102U (zh) 一种智能卡自动放料装置
CN113635514A (zh) 一种智能高效双工位膜内插件机
KR101662666B1 (ko) 라벨 부착장치
KR101969826B1 (ko) 노칭 가공기
CN221024673U (zh) 垫纸叠放机构
CN220561718U (zh) 一种用于模切卷料自动收料装置
CN220537020U (zh) 一种自动分页机
CN213732066U (zh) 一种裁剪机用布料分离回收装置
CN221024385U (zh) 一种产品自动包装设备
CN214526739U (zh) 贴胶机
CN217432303U (zh) 一种自动连续分条切纸机
CN212463034U (zh) 一种电机定子理片结构
CN217172674U (zh) 一种全自动裱纸机
CN220975921U (zh) 一种印刷机用上料机构
CN219487943U (zh) 贴条码设备
CN220498616U (zh) 一种餐具自动磨边设备
CN219135639U (zh) 一种全自动平压平模切机
CN215970091U (zh) 一种精密膜片贴合机台
CN212290550U (zh) 一种全自动吸塑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