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373B1 -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 Google Patents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373B1
KR920005373B1 KR1019890004269A KR890004269A KR920005373B1 KR 920005373 B1 KR920005373 B1 KR 920005373B1 KR 1019890004269 A KR1019890004269 A KR 1019890004269A KR 890004269 A KR890004269 A KR 890004269A KR 920005373 B1 KR920005373 B1 KR 92000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wall portions
side wall
upper clamp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305A (ko
Inventor
나오끼 유즈리하
요시미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구메 유다까
후지기고 가부시기가이샤
다까다 이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793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63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7930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84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7930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0784B2/ja
Application filed by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구메 유다까, 후지기고 가부시기가이샤, 다까다 이사무 filed Critical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4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격에너지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3도(a)는 제1도의 스티어링컬럼에 사용하는 상부클램프의 측면도,
제3도(b)는 제3도(a)의 상부클램프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c)는 제3도(a)의 상부클램프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4도(a)는 제1도의 스티어링컬럼에 사용하는 틸트브래킷의 측면도,
제4도(b)는 제4도(a)의 틸트브래킷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4도(c)는 제4도(a)의 틸트브래킷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5도는 제4도(a) 내지 제4도(c)를 한꺼번에 도시하는 틸트브래킷의 사시도,
제6도(a) 및 제6도(b)는 제5도의 틸트브래킷에 형성되는 절개부의 종류를 도시하는 도면,
제7도 및 제8도(a) 내지 제8도(d)는 제1도의 스티어링컬럼의 여러작용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9도(a) 내지 제9도(c)는 제4도(a) 내지 제4도(c)와 유사하나 본 발명의 변형에 의한 틸트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제10도(a) 내지 제10도(c)는 제4도(a) 내지 제4도(c)와 유사하나 본 발명의 다른 변형에 의한 틸트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제11도(a) 내지 제11도(c)는 제4도(a) 내지 제4도(c)와 유사하나 본 발명의 도다른 변형에 의한 틸트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제12도(a) 내지 제12도(c)는 제4도(a) 내지 제4도(c)와 유사하나 본 발명의 제4의 변형에 의한 틸트브래킷을 도시하는 도면,
제13도는 로울러를 구비한 제12도(a) 내지 제12도(c)의 틸트브래킷을 도시하는 분해도,
제14도(a) 내지 제14도(b)는 제13도의 로울러의 부분단면을 도시하는 확대정면도,
제15도(a) 내지 제15도(d)는 제8도(a) 내지 제8도(d)와 유사하나 제13도의 틸트브래킷과 로울러를 구비한 틸트식 스티어링컬럼의 여러작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컬럼재킷 2 : 스티어링 샤아프트
3 : 틸트브래킷 4 : 상부클램프
5 : 볼트 8 : 너트
30 : 직립벽부 31a : 원호부
33, 41 : 측벽부 34,34a,34b : 절개부(슬릿)
35 : 디스턴스피이스 36,40 : 구멍
37 : 측단면 42 : 직사각형 긴구멍
43 : 스토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더 상세하게는 특히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구성된 충격에너지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동일양수인에게 양도된 일본국 특개소 50-60526호에는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스티어링컬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스티어릴컬럼에 있어서, 컬럼재킷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는 틸트브래킷은 상부클램프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또란 컬럼재킷을 연결하기 위한 장소 부근에 슬릿 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틸트브래킷 절단구조물에서, 충돌시 운전자가 스티어칭휘일로 던져짐에 따라 그것을 때리는 운전자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틸트브래킷은 절결부 부근에서 절개되도록 고안되었다.
이 틸트브래킷의 절단구조의 문제점은, 그것이 충격하중을 브래킷 절단구조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문제점은 이 절단구조가 흡수할 수 있는 충격에너지는 충돌의 초기와 말기에 걸쳐서 크게 변한다는 것, 즉 그것이 매끄럽고 안정적으로 충격에너지 흡수특성을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에 고정된 상부클램프와, 상부클램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클램프에 설치된 틸트브래킷과, 그리고 컬럼재킷으로 구성되는 개량 충격에너지흡수용 틸트식스티어링컬럼을 제공한다.
이 틸트브래킷은 컬럼재킷에 고정된 경사진 직립벽부와, 충돌시 측벽부가 절개되도록 조장하는 컬럼재킷부근의 절결부가 형성된 1쌍의 측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티어링컬럼은, 틸트브래킷을 상부클램프에 분리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죔수단과, 충돌시에 틸트브래킷이 상부클램프에 대하여 죔수단 주위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수단과, 그리고 충돌시 틸트브래킷의 측벽부가 휘어져서 직립벽부를 향해 흐르도록 조장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종래 기술의 스티어링컬럼에서의 상기 언급한 고유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는 상기 구조가 효과적이다.
따라서, 충돌시에 발생하는 운전자가 받는 충격을 효과적이고 확실하게 흡수하여, 스티어링휘일등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량된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매끄럽고 안정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상기 특징의 개량된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운전자의 안전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한 상기 특징의 개량된 충격에너지의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다른 하나의 목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는 컬럼재킷(1), 스티어링샤아프트(2), 컬럼재킷(1)에 고착된 틸트브래킷(3), 그리고 차체(60)에 컬럼재킷(1)을 지지하는 상부클램프(4)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스티어링컬럼을 도시한다. 틸트브래킷(3)은 상부클램프(4)상에 설치되어, 그것에 대하여 상,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제3도(a) 내지 제3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클램프(4)는 일반적으로 U자로 형성되고, 플랜지(48),(478)을 형성하기 위해 바깥으로 굽혀진 상단부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48),(48)에는 상부클램프(4)를 대시보드등의 하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끼우는 구멍(40),(4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클램프(4)는 위아래방향으로 연장된 긴직사각형구멍(42),(42)이 각각 뚫려 있는 측벽부(41),(41)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상부클램프(4)가 적소에 설치될때 이들 길다란 구멍(42),(42)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약간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양측벽부(41),(41)에는 길다란 직사각형 구멍(42),(42)의 장변(42a),(42a)과 평행한 접촉면(43a),(43a)을 가진 스토퍼(43),(43)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3),(43)은 양측벽부(41),(41)의 일부를 절개하고, 그 절개부를 안쪽으로 벤딩하여 얻는다. 또한 상부클램프(4)는 하향 돌출부(41a),(41a)를 양측벽부(41),(41)에 형성하기 위해 개구부(45)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벽부(44)를 가진다. 돌출부(41a),(41a)속에 길다란 직사각형구멍(42),(42)의 일부가 형성된다. 정지부 역할을 하도록 오목부(46)가 각측벽부(41)와 각 플랜지(48) 사이에 있는 모서리부에 형성되고, 굽혀진 끝단부형태로 이루어진 보강재(47)가 각 플랜지(48)와 각측벽부(41)에 형성된다.
제4도(a) 내지 제4도(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틸트브래킷(3)은 일반적으로 채널형 형상을 하고 있으며, 경사진 직립벽부(30)와 경사진 직립벽부(30)의 양쪽에 위치한 1쌍의 측벽부(33),(33)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진 직립벽부(30)은 일반적으로 납짝하고, 컬럼재킷(1)이 끼워져 통고하게 되는 달걀모양이나 타원형 절결부(3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달갈형 절결부(31)은 하나의 주변부(31a)가 완전한 반원이 아닐지라도 한쌍의 반원형 주변부(31a)와 그리고 거치른 반원주변부(31a),(31a)사이에 위치한 1쌍의 평행한 직선주변부(31b),(31b)를 구비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틸트브래킷(3)에는 경사진 직립벽부(30)와 각측벽부(33),(33)사이에 1쌍의 둥근모서리부(32),(32)가 형성되어 있다. 둥근 모서리부(32),(32)는 반경 또는 곡률반경이 소정치보다 더 큰 부분원형 단면이 되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측벽부(33),(33)은 L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경사진 직립벽부(30)을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모서리부(32),(32)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컬럼재킷(1)은 달갈형 절결부(31)에 관통하도록 그곳에 설치되고, 거친 반원형 주변부(31a),(31a)에 컬럼재킷을 용접하여 그것을 틸트브래킷(3)에 고정시킨다. 틸트브래킷(3)에는 그것이 컬럼재킷(1)에 연결되는 장소부근에 슬릿이나 절개부(34),(34)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34),(34)는 소정길이의 크기로 되어 있고, 직각으로 경사진 직립벽부(3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죽하게 절개되어 있다. 또한, 틸트브래킷(3)에는 그것을 교차하도록 측벽부(33),(33)의 하부사이에서 연장하는 디스턴스피이스(35)가 설치되어 보강부재역할을 한다. 그 하부에는 서로서로 축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볼트구멍(36),(36)이 형성되어 있다. 틸트브래킷(3)이 직소에 설치될때 운전자의 충격력이 스티어링컬럼(1)에 수평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절개부(34),(34)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부(34) 대신에 삼각형 절개부(34a)가 사용될 수 있으면, 또한 제6도(b)에서와 같이, 1쌍의 평행상하부면과 평행한 상하부면 사이에서 각이진 내면을 갖는 형상의 다른 종류의 절개부(34b)가 사용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틸트브래킷(3)이 상부클램프(4)에 대해 상하방향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부클램프(4)의 길다란 직사각형구멍(42),(42)과 틸트브래킷(3)의 구멍(36),(36)을 관통하도록 상부클램프(4)와 틸트브래킷(3) 사이에 적당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볼트(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볼트(5)의 양단부에는 스토퍼(6),(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6),(6)중에 오른쪽 것은, 볼트(5)에 고착되고 또한 틸트브래킷(3)과 상단클램프(4)에 대하여 볼트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긴직사각형구멍(42)에 결합되어 있다. 다른쪽 스토퍼(6)은 볼트(5)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또한 틸트브래킷(3)과 상단클램프(4)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긴직사각형 구멍(42)에 결합되어 있다. 너트(8)와 스토퍼(6)사이에 와셔(7)을 키운 후에 볼트(5)의 나선부(5a)에 너트(8)을 체결한다. 너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너트(8)에 틸트레버(9)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토퍼(6),(6)는 상부클램프(4)의 측벽부(41),(41)에 접하는 표면부를 가지고, 틸트레버(9)로 너트(8)가 타이트하게 체결될때 이 표면이 측벽부(41)에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상부클램프(4)의 상기 스토퍼(43),(43)가 틸트브래킷(3)의 측벽부(33),(33)의 직립단부(37),(37)와 접촉하지 않는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틸트브래킷(3)과 상단클램프(4)를 조립하여 설치한다. 단면형상에서 절결부(31)와 유사한 단면을 갖는 컬럼재킷(1)은 직렵벽부(30)을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경사진 직립벽부(3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달걀형상은, 컬럼재킷(1)가 틸트브래킷(3)의 측벽부(33),(33) 사이의 거리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달걀형상이 바람직하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럼재킷(1)과 스티어링샤아프트(2)는 그들의 축방향으로 둘다 서로 포개어 신축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컬럼재킷(1)을 구성하는 상부튜우브(10)와 하부튜우브(11)가 함께 끼워 맞추어지는 장소에서, 상부튜우브(10)의 오목부(12)가 하부튜우브(11)의 외주면에 소정의 압입 하중으로 압접되고, 또한 스티어링샤아프트(2)을 구성하는 상부샤아프트(13)과 하부 샤아프트(14)가 함께 끼워 맞추어지는 장소에서, 상부샤아프트(13)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15)속에 합성수지등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방사상의 전단핀(16)이 서로 맞물려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부샤아프트(14)의 하단부는 유니버어셜 조인트를 통해 기어박스에 연결되는 반면, 상부샤아프트(13)의 상단부는 스티어링휘일에 연결된다.
이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2차 충돌시에 스티어링컬러(1)이 충격하중(F)을 받을대, 전단핀(16)이 절단되어 상부샤아프트(13)과 하부샤아프트(14)가 서로 포개져서 수축됨과 동시에 상부튜우브(10)와 하부튜우브(11)도 서로 포개져서 수축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클램프(4)가 차체(60)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제1도에서 틸트브래킷(3)이 반시계방향으로 볼트(5)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틸트브래킷(3)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제7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33)의 직립단부(37)가 스토퍼(43),(43)위에 접촉하게 하므로서, 틸트브래킷(3)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틸트브래킷(3)과 상부클램프(4) 둘다가 충격하중을 받게 된다. 충격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경사진 직립벽부(30)는 스티어링의 축방향으로 밀려서 스티어링컬럼과 함께 제8도(a) 내지 제8도(d)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틸트브래킷(3)의 측벽부(33),(33)는 휘어져 안쪽으로 흐르고, 즉 경사진 직립벽부(30)를 향해 안쪽으로 흘러서, 결국에는 측벽부(33),(33)가 절개부(34),(34) 부근에서부터 절개되게 된다. 따라서, 스티어링컬럼에 가해진 하중(F)로 인하여 틸트브래킷(3)의 측벽부(33),(33)가 점점 더 절개될때, 제8도(c)와 제8도(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33),(33)는 경사진 직립벽부(30)를 향하게 더욱 흐르게 된다. 따라서, 충격에너지는 1차로 소성적으로 변형되고 그다음 상기한 방식으로 절개되는 틸트브래킷(3)에 의해 흡수됨에 따라, 2차충돌등에서 구동휘일에 의해 운전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틸트브래킷(3)이 상부클램프(4)에 설치된 스토퍼(43,43)에 접하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의 충격력을 2차충돌시에 틸트브래킷 절결구조에 효과적으로 전달 또는 부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정치보다 더 큰 곡률반경을 갖는 모서리부(32)(32)는 측벽부가 효과적으로 휘어지고 또한 경사진 직립벽부(30)를 향해 흐르도록 조장하는 수단을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도(a) 내지 제4도(c)의 실시예와 같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 제9도(a) 내지 제9도(c)에서, 본 발명의 변형에 의한 틸트브래킷(3')를 도시한다. 틸트브래킷(3')는 경사진 직립벽부(30)의 양측단부에서 소정치보다 더 큰 반경 또는 곡률반경을 갖는 1쌍의 둥근벽부(32')(32')를 가진다. 둥근벽부(32')(32')는 경사진 직립벽부(30)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반실린더형 돌출부형상 즉 소정반경의 반원형 단면을 갖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둥근벽부(32')(32')의 설치로, 측벽부(33),(33)는 제4도(a) 내지 제4도(c)에 도시한 실시예의 틸트브래킷(3)의 경우에서 보다더 매끄럽게 경사진 직립벽부(30)를 향해 흐르도록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틸트브래킷(3')은 더 매끄럽고 더 안정적인 충격흡수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내용이외의 틸트브래킷(3')은 사실상 이전 실시예의 틸트브래킷(3)과 유사하고, 또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0도(a) 내지 제10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둥근벽부(32),(32')는 측벽부(33),(33)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대해 측벽부(33),(33)의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의해, 둥근벽부(32'),(32')의 반경 또는 곡률반경이 틸트브래킷(3')의 전체 크기를 늘리지 않고 증가될 수 있다. 같은 목적으로, 제11도(A) 내지 제11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턴스티이스(35)에 인접한 곳에서는 측벽부(33'),(33')사이의 거리가 더작고 둥근벽부(32'),(32')에 인접한 곳에서는 더크게 되도록 측벽부(33'),(33')를 각각 굽힌다.
제12도(a) 내지 제12도(c) 및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변형에 의한 틸트브래킷(3")은 제9도(a) 내지 제9도(c)의 변형예에서의 둥근벽부(32')(32')와 사실상 유사한 둥근벽부(32"),(32")와 그 둥근벽부(32")(32")속에 끼워 맞추어지는 1쌍의 로울러(50),(50)를 가지고 있다. 제14도(a) 내지 제14도(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울러(50),(560)는 한쪽끝단에 플랜지(53)을 갖는 솔리드핀(51) 형태 또는 한쪽끝단에 플랜지(53)을 갖는 중공핀(52)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로울러(5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이 틸트브래킷(3")으로, 경사진 직립벽부(30)은 스티어링컬럼(1)의 축방향으로 밀려서 제15도(a) 내지 제15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스티어링컬럼(1)과 함께 이동한 다음, 제15도(c)와 제15도(d)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틸트브래킷(3)의 측벽부(33),(33)이 휘어져 안쪽으로 흐르는, 즉 경사진 직립벽부(30)를 향하여 흐르고 최종적으로 측벽부(33),(33)가 절개부(34),(34) 부근에서 절개된다. 틸트브래킷(3")의 측벽부(33),(33)의 절개가 절개부(34),(34) 근처에서 일어날때, 측벽부(33),(33)로 하여금 그것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사실상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경사진 직립벽부(30)를 향해 더많이 흐르도록 한다. 이 경우에, 둥근벽부(32"),(32")속에 핀(50)이 삽입되므로 둥근벽부(32"),(32")의 곡률 반경이 축소되지 않아 이 곡률반경의 실질적인 변동이 생기지 않는다. 둥근벽부(32"),(32")와 로울러(50),(50)을 가진 틸트브래킷(3")은 측벽부분(33),(33)이 경사진 직립벽부(30)를 향해 더 매끄럽게 휘어지고 또한 흐르게 하는 것을 조장하는데 효과적이므로, 더 매끄럽고 더욱 안정적인 충격에너지 흡수특성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달걀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게 컬럼재킷(1)을 기술 및 도시함과 동시에, 틸트브래킷을 가능한한 콤팩트화하기 위해 달걀모양의 절결부가 형성된 틸트브래킷을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그 대신에 원형절결부가 사용될 수도 있고, 더나아가 달걀형 절결부를 달걀형 구멍으로 대치할 수도 있다.

Claims (9)

  1. 차체(60)에 고정된 상부클램프(4)와; 상기 상부클램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클램프에 설치된 틸트브래킷(3),(3"),(3")과; 컬럼재킷(1)과; 상기 틸트브래킷을 상기 상부클램프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죔수단(5),(8)과; 충돌시 상기 틸트브래킷이 상기 상부클램프에 대해 상기 죔수단주위를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수단(43)과; 그리고 충돌시 측벽부(33),(33),(33'),(33")가 휘어지고 직립벽부(30)를 향해 흐르도록 조장하는 수단(32),(32'),(32")으로 구성되고; 상기 틸트브래킷(3),(3'),(3")은 상기 컬럼재킷(1)에 고정된 상기 직립벽부(30)와, 충돌시에 상기 측벽부(33)(33),(33')(33')가 절개되도록 조장하는 상기 컬럼재킷(1) 근처에 절개부(34)가 형성된 1쌍의 측벽부(33)(33),(33')(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클램프(4)는 1쌍의 양쪽측벽부(41),(41)를 가지고, 상기 스토퍼수단(43)은 상기 상부클램프(4)의 상기 측벽부(41),(41)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토퍼(4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용틸트식 스티어링컬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브래킷(3),(3'),(3")의 상기 측벽부(33)(33),(33')(33')는 상기 스토퍼(43)와 접촉하기 위한 에지부(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클램프(4)의 상기 측벽부(41),(41)는 긴직사각형구멍(42),(42)을 구비하고; 상기 틸트브래킷(3),(3'),(3")의 상기 측벽부(33),(33),(33'),(33')는 상기 상부클램프의 상기 긴직사각형구멍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볼트구멍(36)을 구비하며 ; 상기 죔수단(5),(8)은 상기클램프의 긴 직사각형구멍(42),(42)과 상기 틸트브래킷(3),(3'),(3")의 상기 볼트구멍(36)을 관통하는 볼트(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브래킷(3),(3'),(3')은 소정치보다 더 큰 곡률반경을 가진 둥근모서리(32),(32'),(32")를 구비하고, 상기 조장수단은 상기 틸트브래킷의 상기 둥근모서리부(32),(32'),(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브래킷(3'),(3')은 상기 직립벽부(30)의 양단에 부분적인 실린더형 돌출부 형태인 둥근벽부(32'),(32')를 구비하고, 상기 둥근벽부(32),(32')는 소정치보다 더큰 곡률반경으로 상기 직립벽부(30)의 바깥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조장수단은 상기 틸트브래킷의 상기 둥근벽부(32'),(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충격에너지의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브래킷(3'),(3')의 상기 둥근벽부(32'),(32')는 상기 측벽부(33),(33)가 마주보게 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틸트브래킷의 상기 양측벽부(33),(33)의 바깥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브래킷(3'),(3')은 상기 틸트브래킷의 상기 측벽부(33'),(33')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디스턴스피이스(35)를 포함하고, 상기 틸트브래킷의 상기 측벽부의 상기 하단부에 상기 볼트 구멍(36)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33),(33')사이의 거리가 상기 디스턴스피이스(35)에 인접해서는 작고 상기 둥근벽부(32'),(32')에 인접해서는 더크게 되도록 상기 틸트브래킷의 상기 측벽부가 굽혀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장수단은 상기 둥근벽부(32"),(32")내에 짜맞추어져 있는 1쌍의 로울러(50),(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KR1019890004269A 1988-03-31 1989-03-31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KR920005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79305A JPH0796385B2 (ja) 1988-03-31 1988-03-31 衝撃エネルギー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63-79306 1988-03-31
JP63079306A JPH0798488B2 (ja) 1988-03-31 1988-03-31 衝撃エネルギー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63-79305 1988-03-31
JP63-79304 1988-03-31
JP63079304A JPH0790784B2 (ja) 1988-03-31 1988-03-31 衝撃エネルギー吸収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05A KR890014305A (ko) 1989-10-23
KR920005373B1 true KR920005373B1 (ko) 1992-07-02

Family

ID=27302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269A KR920005373B1 (ko) 1988-03-31 1989-03-31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15412A (ko)
EP (1) EP0335397B1 (ko)
KR (1) KR920005373B1 (ko)
DE (1) DE6891035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803943D0 (sv) * 1988-10-31 1988-10-31 Ffv Autotech Ab Rattstaangsfaeste med glid- och tippfunktion
US5009121A (en) * 1989-07-07 1991-04-23 Nippon Seiko Kabushiki Kaisha Telescopic steering column device
DE3925706C1 (ko) * 1989-08-03 1991-01-31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De
US5117707A (en) * 1990-02-23 1992-06-02 Fuji Kiko Company, Limited Tilting steering column
US5052715A (en) * 1990-03-19 1991-10-01 Ford Motor Company Passive impact restraining vehicular steering column assembly
GB9019408D0 (en) * 1990-09-05 1990-10-17 Rolls Royce Motor Cars Energy absorption system
US5375881A (en) * 1990-09-05 1994-12-27 Rolls-Royce Motor Cars Limited Energy absorption system including a U-shaped deformable member and a deforming member
JP2513633Y2 (ja) * 1990-11-02 1996-10-09 日本精工株式会社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5222410A (en) * 1991-01-31 1993-06-29 Fuji Kiko Co., Ltd. Steering column assembly
JP2989680B2 (ja) * 1991-02-15 1999-12-13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チルト・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FR2688182B1 (fr) * 1992-03-04 1994-06-10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Ensemble de colonne de direction reglable en posi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US5439252A (en) * 1993-04-22 1995-08-08 Trw Inc. Dual pivot steering column
DE4322636C2 (de) * 1993-07-07 2002-08-22 Supervis Vaduz Ets Sicherheitslenkung für Kraftfahrzeuge
US5356179A (en) * 1993-09-13 1994-10-18 Chrysler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US5613404A (en) * 1994-03-07 1997-03-25 Case Corporation Tiltable steering mechanism for an off-highway implement
US5390956A (en) * 1994-05-17 1995-02-21 Chrysler Corporation Steering column assembly
JPH08150943A (ja) * 1994-11-30 1996-06-11 Fuji Kiko Co Ltd チルトステアリングコラム
AU6886396A (en) * 1995-09-11 1997-04-01 Nastech Europe Limited Adjustable vehicle steering column clamping mechanism
US5706704A (en) * 1996-03-25 1998-0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
US5692778A (en) * 1996-11-14 1997-12-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GB2374324B (en) * 1998-10-30 2003-04-23 Nsk Ltd Shock absorbing steering apparatus
JP2000127991A (ja) * 1998-10-30 2000-05-09 Nsk Ltd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自動車
WO2002053445A2 (en) * 2001-01-02 2002-07-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lastic metal hybrid steering column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P3940319B2 (ja) * 2002-06-05 2007-07-0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067034A (ja) * 2002-08-09 2004-03-04 Fuji Kiko Co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2005075250A (ja) * 2003-09-03 2005-03-24 Nsk Ltd テレスコピック機構付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7267370B2 (en) * 2004-03-11 2007-09-11 Delphi Technologies, Inc. Frequency and stiffness enhancement mechanization
AU2006200892A1 (en) * 2005-03-02 2006-09-21 Dana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xially collapsible driveshaft assembly
US7882761B2 (en) * 2008-01-05 2011-02-08 Nexteer (Beijing) Technology Co., Ltd.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compressive locking mechanism
KR20120006163A (ko) * 2010-07-12 2012-01-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컬럼의 틸트 힌지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US8973944B2 (en) * 2012-05-31 2015-03-1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 steering column to a vehicle structure
JP6192108B2 (ja) * 2013-12-26 2017-09-0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ピン組立体および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4111775B4 (de) 2014-08-18 2020-06-04 Thyssenkrupp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218271A1 (de) * 2016-09-22 2018-03-22 Thyssenkrupp Ag Manteleinheit für eine verstellbare Lenksäule eines Kraftfahrzeugs
US11007958B2 (en) 2019-04-17 2021-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vehicle pivoting steer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337A (en) * 1973-04-04 1974-05-21 Ford Motor Co Energy absorbing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s
US4273005A (en) * 1979-04-20 1981-06-16 Ford Motor Company Steering column assembly
JPH0517342Y2 (ko) * 1986-04-17 1993-05-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15412A (en) 1990-04-10
EP0335397B1 (en) 1993-11-03
KR890014305A (ko) 1989-10-23
DE68910358T2 (de) 1994-03-03
EP0335397A3 (en) 1990-09-12
DE68910358D1 (de) 1993-12-09
EP0335397A2 (en) 1989-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373B1 (ko) 충격에너지 흡수용 틸트식 스티어링컬럼
CN102985308B (zh) 转向装置
US20020089161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US5356179A (e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US5085467A (en) Energy absorbing support member for a steering column
US4998999A (en)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energy absorption mechanism
EP0779464A1 (de) Einteiliges Gehäuse einer Schneckengewindeschelle
US20050247532A1 (en) Deformation device for a steering rack
EP0928733B1 (en) Steering column for automotive vehicle
JP3471061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GB2341149A (en)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for a motor vehicle
JP3756022B2 (ja) コラプシブルシャフト
JPH01249573A (ja) 衝撃エネルギー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100333884B1 (ko)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조향 칼럼
JPH01249572A (ja) 衝撃エネルギー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H06219284A (ja) 衝撃エネルギー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H0442215Y2 (ko)
KR200154278Y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유니버셜 조인트 충격 하중 흡수 및 차단장치
JPH10205547A (ja) 自在継手用ヨーク
JPS621788Y2 (ko)
JPH09315319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シャフト収縮補助構造
KR101989913B1 (ko) 자동차용 조향축
KR100206223B1 (ko) 조향 컬럼 충격 완화구조
JPH1076958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付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0589181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로어브라켓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