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613B1 - 휴대용 총기의 산탄 - Google Patents

휴대용 총기의 산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613B1
KR920004613B1 KR1019860001563A KR860001563A KR920004613B1 KR 920004613 B1 KR920004613 B1 KR 920004613B1 KR 1019860001563 A KR1019860001563 A KR 1019860001563A KR 860001563 A KR860001563 A KR 860001563A KR 920004613 B1 KR920004613 B1 KR 920004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explosive
igniter
propella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166A (ko
Inventor
슐레겔 구르트
프리이트만 베츠 체.
Original Assignee
오비스코 드레이딩 앤드 컨설링 에스 에이
원본 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비스코 드레이딩 앤드 컨설링 에스 에이, 원본 미기재 filed Critical 오비스코 드레이딩 앤드 컨설링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87000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7/00Shoulder-fired smallarms, e.g. rifles, carbines, shot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3/00Proximity fuzes; Fuzes for remote deto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58Electric fir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2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 F42B12/2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with fragmentation-hull construction
    • F42B12/3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with fragmentation-hull construction the hull or case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crete bodies, e.g. steel balls, embedded therein or disposed around the explosiv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9/00Time fuzes; Combined time and percussion or pressure-actuated fuzes; Fuzes for timed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 F42C9/10Time fuzes; Combined time and percussion or pressure-actuated fuzes; Fuzes for timed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the timing being caused by combus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총기의 산탄
제 1 도는 본 발명이 사용되는 휴대용 총기의 측면 상세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산탄의 종단면 개략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도의 휴대용 총기에 사용되는 산탄의 종단면 상세도.
제 4 도는 폭약 점화시 총알이 총신을 나간후의 제 3 도의 산탄의 탄두.
제 5 도는 산탄이 사격된 후 점화되지 않는 상태에 있는 제 3 도 및 제 4 도의 산탄.
제 6 도는 뇌관 또는 폭약 점화물의 고속연속성 도화선이 불발인 상태에서 폭약 점화물의 점화 지연물이 발사화약에 의해 점화되게한 제 3 도 내지 제 5 도의 산탄의 탄두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총기의 산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산탄을 발사 화약부와 탄두내부에 충진된 폭약으로 분리하여 발사화약과는 시간적인 간격이 유지되어 폭약에 점화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점화하는 폭약으로 탄두를 파괴함과 동시에 산탄알이 분산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목표물에 근접한 지점에 분산 난산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서 발사화약과 폭약 각각에 대한 별도의 도화선과 점화물이 있으며 각각의 시간차에 따라 발사화약과 폭약이 작용하도록 방아쇠에 장치가 연결된 휴대용 총기 및 발사화약과 그 공간속에서 별도로 구분되어 작용하도록 폭약 점화물로 구성된 폭약이 충전되어 있는 휴대용 총기에 사용되는 산탄에 관한 것이다.
산탄은 총구를 떠나가서 상당히 먼거리까지 완전히 분산되지 않을 뿐더러 목표물을 향해 탄환의 분산 및 탄착 지점을 정확히 조정할 수가 없다는 폐단이 있었다.
이와 같은 기술구성으로 독일특허 제2 44 935호 및 독일 특허 명세서 244-395호(1912.3.19)등이 있었으나 이 또한 여러가지로 방아쇠를 구성해 두어 방아쇠를 당겨 발사 화약과 폭약을 동시에 점화시키든가 근접 산포(散布) 사격 내지 원격 산포 사격형식으로 차례로 점화시키게 하는 소총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따른 산탄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산포 사격"이란 맨 먼저 발사화약을 점화시킨 다음 상응하는 폭약점화물에 있는 폭약을 폭파시켜 주는 것인데 이렇게 함으로써 조준을 맞춘 목표물에 대하여 근접된 지점에 산탄을 분산시킬 수 없게 될 때가 많으며, 독일 특허제 3 26 639 호에 나온 선택사격용 총기 역시 점화 가능성이 크게 조절이된 것이지만 각 목표물에 대하여 선택된 영역에다 산탄을 분산시킬 수 없는 것이었으며, 독일 특허제 12 10 360호와 제 12 58 766호는 레이저에 의한 목표물 조준 망원경이 장비된 대전차 병기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는 목표물 폭착을 정밀하게 할 수 있지만 탄환을 목표물에 근접하여 분산되게 하는 문제점에 관해서는 아무런 기술을 하고 있지 않으며,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소 36-3293(61.12.11)가 있었으나 이 또한 그 구성이 너무 단순하고 점화약(5)과 화약(11)이 너무 이격되어 도화지(10)로 연결됨으로서 각 목표물에 대하여 선택된 영역에다 산탄을 분산시킬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의 총기와 공지의 산탄을 발전시켜 멀리 떨어져 있는 목표물에 대하여 탄환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산탄 고유의 유리한 화력 범위에서 전투를(또는 사격)을 할 수 있게 하고 산탄이 총신을 나가서 목표물 근접지역에 골고루 분산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조준 망원경으로 조준한 목표물에 대하여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조준 망원경에 장치하고, 레이저 거리 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거리에 비례하여 여러가지 시간 간격을 두고 발사화약을 점화시켜 이에 사용하는 시간 간격으로 폭약을 점화시켜 폭발하도록 하는 점화조종에 이용되는 전자식 조종장치를 구성하며, 전기 공급장치로 전기부품 내지 전자부품에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총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여 휴대용 총기에 제공되는 산탄의 특징은 폭약 점화물의 점화시점에 대해 폭약의 폭발시점이 시간적으로 적절히 지연되어 폭발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폭약 점화물의 점화에 비례하여 폭약의 폭발 시점의 시간적인 지연은 사격거리로 볼 때 약 500m에 상응하는 것이다. 또한 발사화약 점화물 및 폭약 점화물은 기계식, 전기식, 또는 전자식으로 점화된다.
따라서 발사화약 점화물은 링(ring)형상의 점화물로 형성되고 폭약 점화물은 중심부가 점화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폭약 점화물은 폭약과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폭약은 단지 발사화약이 연소됨에 따라서만 폭발이되는 것이다. 폭약 점화물에는 뇌관 및 이 뇌관에 종속되어 있는 고속 연소성 도화선이 있고 이 도화선에는 점화 지연물이 연결되어 있고 폭약과 점화지연물 사이에는 폭약 점화물이 구성되어 있다.
뇌관 및 고속 연소성 도화선이 불발인 경우에는 발사 화약에 의하여 점화 지연물이 점화된다.
특히 점화 지연물과 폭약 점화물은 탄환의 종축을 따라 위치한 점화관과 평행하게 폭약이 장전된 탄두속에 구성되는데 점화관은 폭약으로 둘러쌓인 점화 케이스로 되어 있고, 발사 화약통에 접하여 있는 구조물속의 한쪽끝에 스프링이 들어 있다. 폭발 점화물 부분의 점화관과 점화케이스는 때때로 최소한 하나의 구멍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것은 탄두와 발사 화약통사이 상호간에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 점화 케이스속 끝단에 위치한 스프링이 작용에 의하여 점화 케이스에서 점화관이 밀려나게 되므로 해서 발사 화약 통과 탄두가 분리된다.
본 발명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점화케이스와 발사화약통의 점화 케이스쪽에 있는 점화관을 베이스토격리시키고 한쪽 점화관의 저면과 다른쪽 점화케이스의 저면 사이에 스프링을 넣어 서로 버티어 주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는 점이다.
고속 연소성 도화선은 뇌관에서부터 발사 화약통의 탄두쪽을 향해 있는 분리면까지 탄화축에 대하여 동심(同心)으로 연장되어 보호 케이스의 내부 위치에 있으며, 보호케이스는 실제로 완전히 발사화약으로 둘러쌓여 있고, 점화케이스는 탄화축과 동심으로 되어 있다.
탄두내의 폭약은 발사 화약으로부터 분리되어 목표 부근에서 폭발하기 때문에 탄환 전체의 탄도 특성을 계속 유지하면서 먼 거리에 있는 목표물도 이런 산탄에 의하여 극히 양호한 화력 범위내에서 살상 또는 파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점은 탄두내부 폭약의 폭발시점이 점화자연물에 의하여 적절히 지연됨으로써 탄두가 총기의 총신을 이탈하여 목표물(탄착점)에 근접된 상태에서 폭약이 폭발하여 결국, 탄두표피가 파괴됨과 동시에 산탄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산탄의 지연시간 조절은 시간적으로 점화가 지연되게 한 폭약으로 탄약을 만들어 사격 거리에 따라 탄착점 조절을 복잡하게 하는 것 보다는 오히려 총기에 부착된 전자식 조종장치에 의하여 조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약 제작이 경제적이고 조립이 간단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제 1 도에서 도시된 총기는 전체 길이가 1120㎜이고 중량이 5.8kg이며 구경(口徑)이 19.4㎜로서 전지(10)형태의 전기 공급장치가 장치된 총 개머리를 가지고 있다. 이 전지(10)는 조준망원경(12)과 레이저 거리 측정기(14)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며 이 측정기(14)는 때때로 자동적으로 거리를 측정하여 조준망원경(12)에 의하여 조준이된 목표물에 따라 그 값을 조준 망원경(12)에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전지(10)에 의하여 전지 에너지를 공급받는 전기 부품 또는 전자부품으로 되어 있는 전자식 조종장치(16)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14)에 의하여 측정된 거리와 앙각/복각 자동 탐색용 장치에 테이터를 추가로 조준 망원경(12)으로 보내어 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인다.
전자식 조종장치(16)는 2단계로된 방아쇠(18)를 작동시킴으로써 탄창(20)속에 들어있는 탄알은 발사되어 총신(20)으로부터 나가게 된다. 탄창(20)속의 탄알은 탄도특성를 알수 있게 특징적인 코우드(code)값으로 코우드화하여 이 코우드값이 자동적으로 전자식 조종장치(16)에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총기에 사용되는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 3 도 같이 공간속에서 발사화약통(32)의 발사화약(24)과 탄두(34)의 폭약(26)은 엄격히 분리되어 있으며 폭약(26)에는 산탄알(62)이 내부에 다수개 포함된 상태이다. 발사화약(24)은 고리(ring)모양의 점화물 형태로된 발사화약 점화물(28)이 부가되어 있는 반면에 폭약(26)은 폭약점화물(46)에 의하여 점화된다. 폭약 점화물(46)은 500m의 사격거리에 상당하는 시간상의 지연을 가지고서, 날아가서 폭약(26)을 폭발시키도록 만든 것인 반면, 발사화약 점화물(28)은 발사화약(24)이 사실상 시간적인 지연없이 폭발되도록 만든 것이다.
발사화약통(32)에 혼압된 발사화약점화물(28)과 폭약 점화물(30)이 동시에 점화되면 발사화약통(32)에서 발사된 탄두(34)의 폭약은 사격 거리 500m에서 폭발하게 된다. 사격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발사화약 점화물(28)의 점화는 폭약 점화물(30)의 점화에 따라 상응하는 정도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총기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탄알과 관련하여 사격의 정확성이 크고 실제로 정확히 목표지점 20㎝이내에서 폭발하도록 조준이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산탄이 목표 지점까지 피갑탄 같은 것들처럼 명확한 탄도를 가지는 반면, 마음대로 목표지점에 산탄을 도달하게 하는 장점도 있다.
사용된 탄알은 앞서 나온 방법으로 각각의 코우드 값에 따라 식별이 가능하다. 산탄 대신에 화살탄, 파열탄 같은 것도 물론 사용할 수 있다. 전지(10)의 효능이 없어졌을 경우에 보병부대용으로서 근접전에서 관례적인 방식으로 사용되는 보편적인 산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총신(22)은 종래의 방식으로 활강총신(滑腔銃身)형식으로 작동하도록 하던지 가늘고 길쭉한 형식으로 해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탄창(20)은 회전 탄창이나 막대모양 탄창으로 하여도 된다. 더우기 보병용 병기는 물론이거니와 수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총기에 종래의 기계, 전기 및, 전자 부품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도에 있는 산탄에 있어서 폭약이 있는 산탄을 유리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렵용 및 보병용으로서의 특별한 안전장치를 설치할 수 있겠는데 발사 화약 점화물(28)이 불발되므로 해서 총신(22) 내부에서만 폭약(26)이 폭발되면 이와 동시에 발사 화약(24)이 점화되어 사수에게 위험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하므로해서 안전장치도 필요하다. 제 3 도에서 제 6 도까지 나온 바와 같이 폭발력이 큰 폭약(26)을 중금속구 같은 것과 함께 탄두에 삽입하여 만들어 목표물을 향하여 사격한다. 발사화약통(32) 및 이것과 결합되어 있는 탄두(34)로 되어 있는 속에 구성된 폭약점화물(30)은 점화핀(38)에 의하여 작용을 하는 뇌관(36)과 이 뇌관속에 있는 고속 연소성 도화선(40) 및 보호케이스(42)로 구성되어 있고 이 보호케이스(42)는 발사 화약통(32)내부에서 탄환축을 따라 동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점화지연물(44)과 제 3 도, 제 5 도 및 제 6 도에 나와있는 T자 형상의 폭발 점화물(46) 역시 탄환축을 따라 고속 연소 도화선(40)에 연결되어 있다. 관(36)과 동심으로 링 모양의 발사화약 점화물(28)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점화링(48)에 의하여 작용을 받는다. 점화지연물(44)과 폭발점화물(46)은 점화관(50)속에 위치하여 있는데 이것은 탄두의 정점쪽을 향한 부분 가까이에서 두개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점화구(52)쪽에서 위치하고 있다. 제 3 도, 제 5 도 및 제 6 도에 나와 있는 것처럼 T자 형상의 속에는 폭발점화물(46)이 채워져 있는 반면, 제 4 도에 있는 폭발 점화물은 오직 점화관(50)의 구멍속에 있어서 점화구(52)가 개방되어 있다. 제 3 도의 단계에서는 탄두(34)와 발사화약통(32)은 결합되어 있고 점화구(5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폭발 점화물(46)이 점화될때에 폭약(26)은 아직 폭발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제 3 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점화 케이스(54)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스프링(58)이 탄두의 정점쪽을 향하여 있는 점화관(50)의 끝을 밀어주고 있고, 점화구(52)와 관벽(56)에서는 서로가 범위를 한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점화관(50)과 고속 연소성 도화선의 보호케이스(42)는 일직선으로 인접되어 있다.
점화케이스(54)는 발사화약(24)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접촉고정부(60)를 가지고 있다. 폭약(26)은 중금속으로 되어 있는 약간의 산탄알(62)로 쌓여 있어서 폭발이 되면 표적을 공격하게 된다.
제 3 도에서부터 제 6 도까지 나와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산탄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즉 정상적인 작용방식으로서는 우선 점화핀(38)이 폭약 점화물(30)의 뇌관(36)에 충격을 주어 고속연소성 도화선(40)을 연소시키고 점화관(50)속에 있는 점화 지연물(44)을 일정한 시간으로 연소시킨다. 그 사이에 본 발명에 선택된 시간 지연에 따라 점화링(48)이 발사화약점화물(28)의 뇌관에 충격을 주었을 때 뇌관은 링 모양의 발사화약 점화물(28)을 점화시키고 이에 따라 발사화약(24)가 점화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탄두는 발사화약통(32)으로부터 분리되어 총신으로 발사된다. 발사화약통(32)과 고속 연소성 도화선(40)의 보호케이스(42)끝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점화관(50)은 탄두(34)가 발사화약통(32)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같이 분리되며 이때 점화관(50)의 점화구(52)가 점화케이스(54)의 관벽(56)에 의하여 위치를 바로 잡을 수 있을 정도로 스프링(58)이 점화케이스(54)내부에 있는 점화관(50)을 밀어주게 된다.
이러한 점화관(50)과 점화케이스(54)의 상대적인 위치에 있어서 연소중인 점화지연물(44)은 폭발 점화물(46)까지 도달하여 이것을 점화시켜 줌으로써 (제 4 도에 있는 바와 같이)폭약(26)은 총신(22)을 나간후 정확한 목표지점에서 폭발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발사화약(24)이 그 어떤 이유로 해서 점화가 되지 않을때는 제 5 도에 있는 바와 같이 탄두(34)가 발사화약통(32)과 결합된 상태에서 총신(22)속에 있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한편으로는 점화관(50)의 점화구(52)와 다른 한편으로는 점화케이스(54)의 벽면(56)의 구멍 폐쇄로 폭발 점화물(46)이 불발되기 때문에 폭약(26)을 폭발시키지 않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어떤 이유로 해서 폭약점화물(30)내의 고속 연소성 도화선(40)이 점화가 되지 않으면 연소중인 발사화약(24)에 의하여 제 6 도의 오른쪽에 화살표로 나타낸 쪽에서 점화 지연물(44)이 점화되어 탄알이 총신을 나간 후에 폭약(26)은 최대한의 폭발 지연시간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장전된 산탄에 관하여 앞에서 상술한 예는 폭발력이 큰 폭약 정전물(26)과 이에 상응한 탄두(34)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그 예로는 견고한 목표물에 대한 공격시 총기와 사격자에게 최대한의 성능 보장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종래의 총기류에서 볼 수 있는 총신속에서 폭약(26)을 점화 폭발시킨다던지 또는 임의로 폭발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폭발한다던지 하는 일이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 공급장치는 방아쇠(18)를 작동시킬 때 발생하는 기계적인 에너지의 최소한 일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격시에 발사화약과 폭약의 점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확실히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발전장치인 것이다.
바람직한 것은 유도전기 발전장치나 압전(piezoeletric)발전장치를 사용하여 방아쇠(18)조작시에 많은 전기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전반적으로 필요한 전기 공급이나 수시로 필요로 하는 전기 에너지 보충을 총기에 다 해줄 수 있도록 전체적인 전기 공급장치(10)를 구성하고 조립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 공급장치에는 방아쇠(18)작동시에 위에서 상술한 방법으로 재충전이 되는 축전지 같은 것을 병용하여 기계적인 진동장치(자이로 원리(gyro-principle)에 의함)도 포함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발사화약 점화물(28)에 의하여 점화되는 발사화약(24)과 이 발사화약(24)과는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작용을 하며 폭약 점화물(30)이 있는 폭약(26)으로 구성되어 있고, 폭약 점화물(30)의 점화 시점에 대하여 폭약(26)의 폭발 시점이 시간적으로 일정하게 지연되도록 하는 휴대용 총기에 사용되는 산탄에 있어서, 상기 폭약(26)과, 뇌관(36)에 종속되어 있는 고속 연소성도화선(40)과 연결된 점화지연물(44)사이에 폭발 점화물(46)이 구성되며, 상기 뇌관(36)이나 고속 연소성 도화선(40)중 한쪽 또는 모두가 불발시에 발사화약(24)에 의하여 점화지연물(44)을 점화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탄.
  2. 제 1 항에 있어서, 발사화약 점화물(28)과 폭약 점화물(30)이 전기식 또는 전자식으로 점화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탄.
  3. 제 1 항에 있어서, 발사화약 점화물(28)과 폭약 점화물(30)이 기계식으로 점화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탄.
  4. 제 2 항에 있어서, 발사화약 점화물(28)을 고리(ring)모양 점화물로 만들고 폭약 점화물(30)을 중심지점화물 형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탄.
  5. 제 3 항에 있어서, 폭약 점화물(30)을 폭약(26)과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탄.
  6. 제 4 항에 있어서, 폭약(26)이 발사 화약(24)의 연소에 의해서만 폭발이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탄.
  7. 제 1 항에 있어서, 점화 지연물(44)과 폭발 점화물(46)은 탄환의 종축을 따라 위치한 점화관(50)과 평행하게 폭약(26)이 장전된 탄두(34)속에 구성되며 점화관(50)은 폭약(26)으로 둘러쌓인 점화 케이스(54)로 되어 있으며, 발사 화약통(32)에 접하여 있는 구조물속의 한쪽 끝에는 스프링(58)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58)의 탄성에 의하여 점화관(50)에 압력을 가하고, 탄두(34)와 발사 화약통(32)은 상호간에 접합되어 있으며, 점화케이스(54)속에 있는 스프링(58)의 작용에 의하여 점화케이스(54)에서 점화관(50)이 밀려나가게 되므로서 발사 화약통(32)과 탄두(34)가 분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탄.
  8. 제 6 항에 있어서, 점화케이스(54)내에 삽설된 점화관(50)의 선단을 점화케이스(54)내부 바닥면으로부터 격리시키고 한쪽 점화관(50)의 선단과 점화 케이스(54)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스프링(58)을 넣어 서로 버티어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탄.
  9. 제 7 항에 있어서, 고속 연소성 도화선(40)을 뇌관(36)에서부터 발사화약통(32)의 탄두(32)쪽을 향해 있는 분리면까지 탄환축에 대하여 동심으로 연장시켜 보호 케이스(42)의 속에 구성하며, 실질적으로 완전히 발사화약(24)으로 둘러쌓고 점화 케이스(54)를 탄환축과 동심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탄.
  10. 제 8 항에 있어서, 점화관(50)이나 점화케이스(54)의 발사화약통(32)쪽을 향해 있는 끝쪽을 확장시켜 주어 개발된 접촉 고정부(60)를 만들어 발사화약(24)의 가스가 방출될 수도 있고 점화지염물(44)이 밀려나갈 수도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탄.
KR1019860001563A 1985-03-05 1986-03-05 휴대용 총기의 산탄 KR920004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507705 1985-03-05
DE19853507758 DE3507758A1 (de) 1985-03-05 1985-03-05 Handfeuerwaffe sowie schrotmunition hierfuer
CH86101927.1 1986-02-14
DEP86101927 1986-02-14
EP86101927A EP0193766B1 (de) 1985-03-05 1986-02-14 Handfeuerwaffe sowie Schrotmunition hierfür
CHP3507758.1-15 1986-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166A KR870008166A (ko) 1987-09-24
KR920004613B1 true KR920004613B1 (ko) 1992-06-11

Family

ID=626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563A KR920004613B1 (ko) 1985-03-05 1986-03-05 휴대용 총기의 산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4852457A (ko)
EP (1) EP0193766B1 (ko)
JP (1) JPS61252499A (ko)
KR (1) KR920004613B1 (ko)
DE (2) DE3507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7758A1 (de) * 1985-03-05 1986-09-18 Obisco Textil Trading & Consulting S.A., Küsnacht Handfeuerwaffe sowie schrotmunition hierfuer
DE3728362A1 (de) * 1987-08-25 1989-03-09 Rainer Achterholt Huelsenlose patrone
DE3810048A1 (de) * 1988-03-25 1989-10-05 Obisco Trading And Consulting Handfeuerwaffe und patrone fuer eine solche handfeuerwaffe
EP0364666B1 (de) * 1988-10-21 1992-06-03 Rheinmetall GmbH Vorrichtung zur Zündereinstellung
ES2111728T3 (es) * 1992-09-10 1998-03-16 Giat Ind Sa Dispositivo de disparo del tiro de un arma de fuego mediante un detector infrarrojo.
JPH06272455A (ja) * 1993-03-24 1994-09-27 Jiyuuken Sangyo:Kk 反りを防止した扉の製造方法
JPH08232549A (ja) * 1995-02-25 1996-09-10 Nippon Flash Kk 反りの少ないフラッシュドア
US6269581B1 (en) * 1999-04-12 2001-08-07 John Groh Range compensating rifle scope
DE10018369A1 (de) * 2000-04-13 2001-10-25 Joergen Brosow Vorrichtung zum Auslösen eines Schusses aus einer Schußwaffe
DE10102624B4 (de) * 2001-01-20 2011-01-05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Patrone
ES2279906T5 (es) * 2002-03-01 2012-04-13 Carl Zeiss Optronics Gmbh Mira telescópica con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interno
DE10248697A1 (de) * 2002-03-23 2003-10-02 Rheinmetall W & M Gmbh Patrone
US6931775B2 (en) * 2002-06-05 2005-08-23 Lockheed Martin Corporation Remote control module for a vehicle
US7021187B1 (en) * 2004-03-24 2006-04-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Low velocity air burst munition and launcher system implemented on an existing weapon
DE102005019594B4 (de) * 2005-04-27 2007-06-14 Heckler & Koch Gmbh Feuerwaffe und Lauf hierfür
US7357082B1 (en) * 2005-09-27 2008-04-15 Jeffrey Racho Modified shotgun and modified shotgun shell ammunition
US9322622B2 (en) * 2010-01-15 2016-04-26 Olin Corporation Shotshell with combination slug and shot load
US10488164B1 (en) * 2018-03-29 2019-11-26 Larry Utt Firearm system configured to fire a cartridge of reduced length
JP2022501567A (ja) * 2018-09-07 2022-01-06 エヌエル エンタープライゼズ,エルエルシー 非致死性発射体構造および発射装置
US11561075B2 (en) * 2018-12-13 2023-01-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rojectile with pyrotechnically timed release of a secondary payload
US20210095940A1 (en) * 2019-09-27 2021-04-01 Nl Enterprises, Llc Lethal Projectile Construction and Launch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4395C (ko) *
DE299798C (ko) *
US949063A (en) * 1909-08-03 1910-02-15 Hans Dorn Ammunition for selective shooting.
DE326639C (de) * 1919-07-22 1920-10-01 Carl Rieble Wahlschusspatrone
FR850572A (fr) * 1938-08-31 1939-12-20 Arme à feu et son projectile
DE1210360B (de) * 1964-11-07 1966-02-03 Leitz Ernst Gmbh Mit einem Laser-Entfernungsmesser gekoppelte Visiervorrichtung
US3283719A (en) * 1965-06-03 1966-11-08 Andrew J Grandy Multiple purpose ammunition
US3952658A (en) * 1968-09-26 1976-04-27 Broyles Howard F Electrically fired superimposed projectile
US3844217A (en) * 1972-09-28 1974-10-29 Gen Electric Controlled range fuze
US3995376A (en) * 1975-04-03 1976-12-07 Cerberonics, Inc. Small arms laser training device
DE3246173A1 (de) * 1982-12-14 1984-06-14 Rheinmetall GmbH, 4000 Düsseldorf Munition, insbesondere fuer steilfeuer
DE3309147A1 (de) * 1983-03-15 1984-09-20 Rainer Dipl.-Phys. 6901 Gaiberg Berthold Verfahren und anordnung zur korrektur eines zuendzeitpunktes
US4561204A (en) * 1983-07-06 1985-12-31 Binion W Sidney Reticle display for small arms
DE3325755A1 (de) * 1983-07-16 1985-01-24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12 Ottobrunn Nachtkampf-zielhilfe fuer panzerabwehr-handwaffen
DE3507758A1 (de) * 1985-03-05 1986-09-18 Obisco Textil Trading & Consulting S.A., Küsnacht Handfeuerwaffe sowie schrotmunition hierfu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252499A (ja) 1986-11-10
US5001962A (en) 1991-03-26
DE3660605D1 (en) 1988-09-29
DE3507758C2 (ko) 1987-03-26
US4864935A (en) 1989-09-12
DE3507758A1 (de) 1986-09-18
US4852457A (en) 1989-08-01
KR870008166A (ko) 1987-09-24
EP0193766A1 (de) 1986-09-10
EP0193766B1 (de) 1988-08-24
JPH0532680B2 (ko) 199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613B1 (ko) 휴대용 총기의 산탄
US8899139B2 (en) Explosive device disruptor system with self contained launcher cartridges
RU2549599C1 (ru) Безгильзовое оружие
US20220373277A1 (en) Hovering firearm system for dron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RU2079096C1 (ru) Боеприпас для ствольных систем
US8544203B2 (en) Laser aimed small arms ammunition
US9228803B2 (en) Universal tube launched munitions system
RU2118788C1 (ru) Надкалиберная граната
US7481145B1 (en) Cruise munitions detonator projectile
RU187777U1 (ru) Гранатометный выстрел с готовыми поража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US7089865B2 (en) Bullet
RU2515939C1 (ru) Кассетный боеприпас "городня"
JPS62299700A (ja) 装甲を施した標的物と戦うためのミサイル
RU2308656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гранатомет и комплект гранат к нему
US20110167700A1 (en) Light activated cartridge and gun for firing same
RU2346228C2 (ru) Телескопический патрон
RU208738U1 (ru) Кассетный многоцелевой снаряд
RU2192610C2 (ru) Выстрел раздельного заряжания
RU2818743C1 (ru) Гранатометный выстрел для противодейсвия малогабаритным беспилотным летательным аппаратам
RU2810104C2 (ru) Способ метания объекта, боеприпас и 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15774U1 (ru) БОЕПРИПАС С СОВМЕЩЕНИЕМ РЕЖИМОВ ОБНАРУЖЕНИЯ И ПОРАЖЕНИЯ ЦЕЛИ К 82-мм МИНОМЁТУ
US20170205214A1 (en) Dual-mode Projectile
US2892400A (en) Projectile for simulating firing of automatic weapons
Shingte et al. Design Concept Of Electronic Detonation Of VOG-25 Grenade.
RU2203473C2 (ru) Гранатометный выстр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