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380Y1 -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380Y1
KR920004380Y1 KR2019900006442U KR900006442U KR920004380Y1 KR 920004380 Y1 KR920004380 Y1 KR 920004380Y1 KR 2019900006442 U KR2019900006442 U KR 2019900006442U KR 900006442 U KR900006442 U KR 900006442U KR 920004380 Y1 KR920004380 Y1 KR 920004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reset
uni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6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169U (ko
Inventor
전종백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6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380Y1/ko
Publication of KR910020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1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
제 1 도는 종래 인텔계열 프로세서의 동작전원 입력회로도.
제 2 도는 종래 모토롤라계열 프로세서의 동작전원 입력회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 회로도.
제 4 도 (a) 및 (b)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전원감시부 102 : 시정수부
103 : 전원감시표시부 104 : 클럭발생부
105 동작전원확립버퍼 106 : 중앙처리장치
11, 12 : 인버터 LEDI : 발광다이오드
ANDI : 앤드게이트
본 고안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동작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원안정화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잡음등에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전원을 확실한 하이(HIGH), 로우(LOW)로 하여 전원의 초기안정에 적당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동작하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전원회로를 인텔 (INTEL)계열과 모토롤라(MOTOROLAR)계열이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종래 인텔(INTEL)계열 프로세서의 동작전원 입력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워부(1)의 전원을 저항(R2)을 통해 준비신호입력(RDY1)및 구동전원(Vcc)을 인가받음과 아울러 그 파워부(1)로부터 전원을 저항(R1)및 콘덴서(C1)에 의한 시정수(Ra, C1)시간 후 리세트해제신호()로 인가받고, 발진기(X-TAL)를 통해 발진하는 클럭 구동부(2)가 준비신호(READY), 클럭신호(CLK) 및 리세트신호 (RESET)를 중앙처리장치(CPU)(3)에 출력하도록 하며, 그 중앙처리장치(3)는 데이타버스 및 어드레스버스를 통해 제어부(4)에 데이타버스 및 어드레스버스를 통해 출력하고, 그 제어부(4)는 데이타처리부(4-1)및 어드레스처리부(4-2)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 (3)와 콘트롤러(4-4)를 위한 롬 및 램(4-3)을 구비하여 구성되었다.
제 2 도는 종래 모토롤라(MOTOROLAR)계열 프로세서의 동작전원 입력회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워부(11)로 부터 전원전압을 저항(R) 및 콘덴서(C)에 의한 시정수(R, C)를 거쳐 인가받는 전원감시부(12)가 중앙처리장치(13)에 구동신호 및 리세트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그 중앙처리장치(13)와 데이타버스 및 어드레스버스를 통해 제어받는 디코더(14)의 리세트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인텔계열 및 모토롤라계열의 초기전원 안정화회로의 작용 및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서와 같은 인텔계열 중앙처리장치를 사용했을 경우, 엘리베이터의 전체 파워부(1)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인 중앙처리장치(3)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전압 (Vcc)이 인가되고, 저항(R1) 및 콘덴서(C1)의 시정수 시간 경과후 클럭구동부(2)의 리세트해제신호단자()에 파궈공급전압이 걸리게 되어 이 시정수(R1, C1)지연후의 전압이 구동전압(약 4.7V)이상이 되면, 리세트출력단자(RESET)에 저전위(LOW)신호가 걸리게 되므로 중앙처리장치(3)는 구동하게 된다.
즉, 클럭구동부(2)에서는 리세트해제신호입력단자()에 구동전압(4.7V)이상만 걸리게 되면 중앙처리장치(3)를 구동시키므로 외부잡음등에 의해 입력전원전압 (Vcc)에 외부잡음이 실렸는지를 감시할 수 없어 오동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2 도에서와 같은 모토롤라계열에서는 전원감시 소자인 전원감시부(12)에 파워부(1)로 전원전압(Vcc)을 공급받음과 아울러 저항(R) 및 콘덴서(C)의 시정수에 의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중앙처리장치(13)의 구동제어를 위한 감지입력을 인가받는데, 중앙처리장치(13)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이 이 감지입력에 의한 기준전압(4.7V)보다 높으면 그 전원감시부(12)는 출력포트(RS)에서 고전위를 출력하여 중앙처리장치(4)의 리세트()를 해제함과 아울러 인에이블(RE)시킨다. 그러나,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그의 출력포트(RS)이 저전위가 되어 중앙처리장치(13)는 리세트()되어 동작하지 않는다. 즉, 전원감시소자인 전원감시부(12)에서 중앙처리장치(13)에서 안전구동전압을 감시하여 시정수(R, C)에 의한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만 중앙처리장치(13)의 리세트()를 해제시킨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초기전원 안정화회로에 있어서, 인텔계열에서는 전원감시없이 리세트()해제만 되면 클럭구동부(2)에서 중앙처리장치(3)를 구동시키므로 입력전원에 잡음등이 실려 리세트()해제되는 경우 프로세서 동작전원보다 낮은 전원전압(4.7V 이하)에서 중앙처리장치(3)를 구동시킬 수 있어 오동작의 원인이 되고, 즉, 전원초기 온시 순간정전등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모토롤라계열에서는 전원감시용 소자를 사용하여 프로세서 구동전압을 확립시켜주고 있지만 전원감시소자의 복잡성과 감시입력단의 시정수(R, C)선정에서 오는 정확하지 못한 기준전압의 설정이 발생될 수 있어 정확한 구동 및 리세트를 시킬 수 없고, 타 프로세서와 호환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입력전원 전압을 감시하고, 리세트해제신호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도록 동작전원 확립버퍼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중앙처리장치의 리세트 해제시켜 구동시킴과 아울러 동작전원의 감시를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알수 있도록 한 동작전원 감시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전원전압(V)을 입력(IN)받아 규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에따른 출력을 하는 전원감시부(101)의 출력(OUT)측에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1)를 연결한 후 그 출력(OUT)을 저항(R11)및 콘덴서(C11)에 의한 시정수부(102)를 통해서 발광다이오드(LED1)에 의한 전원감시표시부(103)의 제어신호, 동작전원 확립버퍼 (105)의 제어신호 및 클럭구동부(104)의 리세트신호()로 인가하며, 그 클럭구동부 (104)의 리세트(RESET)출력을 동작전원확립버퍼(105)의 인버터(11)를 통해 상기 시정수부(102)를 통한 전원감시부(101)의 제어출력을 일측에 인가받는 앤드게이트 (AND1)의 타측입력으로 인가하고, 그 앤드게이트(AD1)의 출력을 인버터(12)를 통해 그 동작전원 확립버퍼(105)의 출력으로 중앙처리장치(106)의 리세트(RESET)신호로 인가하여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의 시스템 전체의 전원부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저전압부에서 프로세서부로 전원전압(5V)이 공급되면, 전원감시소자인 전원감시부(101)에서 입력(IN)받는 전원전압(5V)이 프로세서의 구동에 충분한 전압을 기준전압으로 입력전압(IN)과 비교하여 입력전압(IN)이 기준전압보다 크면 그의 출력단자(OUT)를 통해 논리레벨 고전위 출력이 된다.
이 전원감시부(101)의 고전위출력(OUT)이 되면 저항(R11)을 통해 콘덴서 (C11)에 충전전위가 생기면서 시정수(R11, C11)시간 지연후 표시부(103)의 발광다이오드(LED1)를 오프시키고, 클럭구동부(104)의 리세트신호()를 고전위로 인가하여 그 클럭구동부(104)를 리세트 해제시킴과 아울러 동작전원확립버퍼(105)의 앤드게이트(AND1)에 고전위를 인가시킨다.
클럭구동부(104)가 리세트 해제되면, 그의 리세트출력(RESET)은 고전위가 되어 동작전원확립버퍼(105)의 인버터(11)를 통해 저전위로 반전되어 앤드게이트 (AND1)에 인가되므로 시정수부(102)에 의한 고전위를 일측에 인가받는 그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은 저전위가 되고, 이 앤드게이트(AND1)의 저전위 출력은 인버터(I2)를 다시통해 고전위로 반전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중앙처리장치(106)의 리세트 (RESET)를 해제시켜 구동시킨다.
제 4 도 (a) 및 (b)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밍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전원감시부(101)가 전원입력(IN)을 받아 규정전압(제 4 도 Vs)과 비교하여 출력하는데, 그 전원감지부(101)의 출력(OUT)은 규정전압(Vs)이 되기전까지 저전위를 유지하므로 전원감시표시부(103)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오프되며, 저항(R11) 및 콘덴서(C11)에 의한 시정수부(102)의 지연시간(ta)를 클럭구동부(104)의 리세트()단자에 제 3 도의 b와 같은 고전위 출력이 되어 리세트 해제되고, 이에따라 동작전원확립버퍼(105)를 통해 프로세서인 중앙처리장치(106)가 리세트 해제되어 구동된다.
여기서 동작전원확립버퍼(105)는 중앙처리장치(106) 구동용 리세트(RESET)해제신호의 논리레벨을 정확하게 고전위(High) 또는 저전위(LOW)로 유지시켜 주며, 잡음등의 유입시 한번더 제거시켜 보다 정확한 프로세서의 동작제어를 한다.
따라서, 전원감시부(101)를 통해 입력전원을 감시하고, 시정수부(102)를 통해 외부잡음등을 제거하여 클럭구동부(104)를 동작시킨 후 동작전원확버퍼(105)를 통해 다시한번 프로세서인 중앙처리장치(106)의 동작전원 상태를 정확히 구별 확립시켜 주므로 안정된 중앙처리장치(10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입력전원감시와 아룰러 초기전원 공급시 외부잡음 및 순간정전등 오동작하지 않도록 시정수부 및 전원확립버퍼를 통해 프로세서인 중앙처리장치를 제어하므로 오동작을 방지할 뿐아니라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동작전압 감시상태를 표시해 주므로 사용자가 동작전원 상태를 알 수 있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에 있어서, 입력(IN)전원을 규정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출력(OUT)을 하는 전원감시부(101)의 출력 (OUT)을 시정수부(102)를 통해서, 발광다이오드(LED1)를 통해 전원감시상태를 표시하는 전원감시표시부(103) 및 동작전원확립버퍼(105)에 제어신호로 인가함과 아울러 클럭구동부(104)의 리세트()신호로 인가하고, 그 클럭구동부(104)의 리세트(RESET)출력을 상기 동작전원확립버퍼(105)를 통해 프로세서인 중앙처리장치(106)의 리세트(RESET)신호로 인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
KR2019900006442U 1990-05-15 1990-05-15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 KR920004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442U KR920004380Y1 (ko) 1990-05-15 1990-05-15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6442U KR920004380Y1 (ko) 1990-05-15 1990-05-15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169U KR910020169U (ko) 1991-12-19
KR920004380Y1 true KR920004380Y1 (ko) 1992-06-29

Family

ID=1929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6442U KR920004380Y1 (ko) 1990-05-15 1990-05-15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3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169U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7658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4503841A (en) Endoscope system
KR920004380Y1 (ko) 엘리베이터의 프로세서 동작전원 감시회로
US4611271A (en) Control system with a microprocessor
KR960042351A (ko) 씨피유 리셋회로
ATE31585T1 (de) Spannungsversorgung fuer zeitverzoegerungsschaltung mit fluessigkristallanzeige.
JP2002351501A (ja) 駆動制御装置
EP3416059A1 (en) Hardware watchdog circuit and method
JPH02146992A (ja) 電動機の制御装置
JPH04303594A (ja) インバータ制御システム
KR920014981A (ko) 전기세탁기의 순간정전시 오동작방지회로
KR0154999B1 (ko) 전원레벨 감지에 의한 리세트회로
JP2604675Y2 (ja) ランプ負荷駆動装置
KR910001307Y1 (ko) 개인용 콤퓨터의 하드디스크 사용상태 표시장치
KR930003909Y1 (ko) 마이콤의 래치 업 발생시 리셋트 회로
KR910006278Y1 (ko) 펌프운전 제어회로
KR890001716B1 (ko) 마이크로 컴퓨터 전원 자동 제어회로
JPH10145970A (ja) 画像形成装置
KR900005893Y1 (ko)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오동작 방지회로
JP3090866B2 (ja) 電源シーケンス制御回路
KR900009228Y1 (ko) 전원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백업회로
KR950008279Y1 (ko) 워치독 회로의 에러상태 표시장치
KR910001885Y1 (ko) 전원 인가시 메모리 보호회로
KR100284425B1 (ko)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
KR940001421Y1 (ko) 연소기의 이상상태 검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