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228Y1 - 전원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백업회로 - Google Patents

전원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백업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228Y1
KR900009228Y1 KR2019870013938U KR870013938U KR900009228Y1 KR 900009228 Y1 KR900009228 Y1 KR 900009228Y1 KR 2019870013938 U KR2019870013938 U KR 2019870013938U KR 870013938 U KR870013938 U KR 870013938U KR 900009228 Y1 KR900009228 Y1 KR 900009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backup
backup battery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742U (ko
Inventor
공영배
박화수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3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228Y1/ko
Publication of KR8900057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7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15Redundant power suppl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1Battery and back-up supp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Source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백업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일정전압 감시용 집적회로 2 : 전원전압감시부
3 : 백업밧데리 전환부 4 : 비교기
5 : 백업밧데리 감시부 BAT : 백업용 밧데리
본 고안은 컴퓨터나 전자제어장치등의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전압의 변동으로 인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밧데리 백업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전압을 감시하여 밧데리 백업전원으로 전환해 줌과 더불어 백업용 밧데리의 전압상태를 감시하여 이를 외부에 표시해 주도록 된 전원 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 백업회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나 전자제어장치등의 시스템에서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램(RAM)으로 구성되는 메모리영역에 일시보관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전원전압에 변동이 생겨 전압강하가 되면 랩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들이 파괴되어 임의의 데이터를 변화되어버린다.
그래서 종래에는 이러한 폐단을 막기위해 백업용 밧데리를 구비해 놓고서 전원전압에 이상이 생기면 중앙처리장치등의 시스템은 리세트 상태가 되게하고 램에는 백업용 밧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게 하이 램에 기록된 데이터를 보관하도록 된 밧데리 백업회로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밧데리 백업회로에서는 전원 전압이 강하될때 시스템에 리세트신호를 공급하면서 램에 밧데리전원을 공급하도록만 되어있어서 백업용 밧데리가 수명이 다 됐는지를 알 수 없으며, 따라서 수명이 다 된 백업용 밧데리로 백업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밧데리백업회로로서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정전압 감시용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공급전원이 변동을 검출해서 시스템을 리세트시킴과 더불어 공급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백업용 밧데리로 램의 기억데이터를 계속 보존하게하고, 한편으로는 비교기에 의해 백업용밧데리의 전압상태를 감시하여 허용전압이상 백업용밧데리의 전압강하가 있을때 발광다이오드나 알람신호등으로 그를 외부에 표시하여 백업용밧데리를 교체하도록 하므로써 전원변동시램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된 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 백업회로를 제공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원 전압 감시부(2)를 구성하는 일정전압감시용 집적회로(1)는 T1사이에서 제공하는 집적회로번호 7705를 사용한 것으로서, 입력단(IN)에 일정전압이상이 공급되면 출력단(Q)에 하이레벨신호를 출력시키다가 입력단(IN)에 공급되는 전압이 일정전압이하가 되면 출력단(Q)은 로우레벨로되고, 출력단은 하이레벨로 된다.
이와같은 "하이"신호는 일정전압감시용 집적회로(1)의 출력단을 통하여 "로우"신호가 발생하지만 제너다이오드(ZD)에 의하여 제한되는 전압까지는 트랜지스터(TR1)는 "턴온"되지않고 상기 제너다이오드(ZD)의 제한전압이 이하로 떨어지면 트랜지스터(TR1)는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TR2)와 (TR3)도 "턴오프"된다.
이때 리세트(RST)신호는 발생하게되고, Vcc 전원은 다이오드(D1)와 단자(RAMV)를 통해 램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이용하여 Vcc전원이 일정전압 이하로되면 중앙처리장치등에 리세트신호(RST)를 공급하여 불안정한 동작을 방지한다.
중앙처리장치등을 리세트시킴과 동시에 백업밧데리 전환부(3)에서는 백업용밧데리(BAT)의 전원을 램에다 공급해주게 되는데, 직접회로(1)의 출력단이 하이레벨로 되는 순간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면서 트랜지스터(TR2)(TR3)가 턴온되게 되어 공급전원인 Vcc전원을 차단하고 밧데리(BAT)로부터의 전원이 다이오드(D2)와 단자(RAMV)를 통해 램에 데이터를 유지시켜 주기위한 전원으로 공급된다.
이후 공급전원 Vcc가 정상으로되면 일정전압감시용 집적회로(1)는 다시 정상상태로 되고, 그에따라 중앙처리장치의 리세트(RST)신호는 풀리면서 Vcc전원이 다이오드(D1)와 단자(RAMV)를 통해 램에 공급되어 이전에 사용하고 있던 데이터들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가 있게된다.
이때 밧데리(BAT)로부터 공급되던 전원은 Vcc전원에 의해 다이오드(D2)에서 역전압으로 걸리게되므로 차단된다.
한편 이와같은 백업용밧데리(BAT)는 통상 3.6V정도로 하여 램의 테이터를 보관하도록 하고 있는데,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출력전압이 떨어지게되면 램이 테이터를 보관하기에 충분한 전압이 되지 못하게 되므로 백업용 밧데리로서의 효과를 볼수가 없게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외부로 표시해주는 것이 백업밧데리 감시부(5)이다.
백업밧데리감시부(5)는 Vcc전원을 저항(R10)(R11)으로 분압시켜 기준전압을 형성해서 비교기(4)에 입력시키고, 저항(R9)을 통해 공급되는 밧데리(BAT)의 전압과 비교한다.
밧데리(BAT)의 전원이 정상이어서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비교기(4)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시켜 발광다이오드(LED)나 부져(BZ)등을 구동시키지 않고 있다가, 밧데리(BAT)의 전원이 기준전압보다 낮게 강하되면 비교기(4)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시키게되어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부저(BZ)를 구동시켜 백업용 밧데리(BAT)의 전원전압에 이상이 생겼음을 외부로 표시해준다.
이때 사용자의 백업용 밧데리(BAT)를 교체해 주므로써 항상 백업용 밧데리(BAT)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게 하여 전원 전압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램에 기록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유지시킬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백업용 밧데리로 전원전압 이상시 램의 데이터를 계속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백업용 밧데리의 상태를 점검하여 외부로 표시해주도록 되므로써 백업용 밧데리의 이상에 의한 램데이터의 파괴까지 방지하여 어떠한 순간의 전원변동에서도 램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 유지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정 전압감시용 집적회로(1)와 저항(R1)(R2) 및 콘덴서(C1-C3)로 구성되어 Vcc전압이 일정전압 이하로 강하될때 리세트신호(RST)를 출력하는 전압감시부(2)와, 트랜지스터(TR1-TR3)와 저항(R3-R9), 다이오드(D1)(D2) 및 제너다이오드(ZD)로 구성되어 Vcc전압이 강하될때 전원전압을 차단하고 밧데리(BAT)로부터의 전압을 메모리에 공급하는 백업밧데리전환부(3) 및, 비교기(4)와 저항(R10-R12), 콘덴서(C4) 및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어 백업밧데리(BAT)의 전압상태를 감시하는 백업밧데리 감시부(5)가 상호결합되어 구성된 전원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 백업회로.
KR2019870013938U 1987-08-20 1987-08-20 전원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백업회로 KR900009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938U KR900009228Y1 (ko) 1987-08-20 1987-08-20 전원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백업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938U KR900009228Y1 (ko) 1987-08-20 1987-08-20 전원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백업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742U KR890005742U (ko) 1989-04-21
KR900009228Y1 true KR900009228Y1 (ko) 1990-10-06

Family

ID=1926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938U KR900009228Y1 (ko) 1987-08-20 1987-08-20 전원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백업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2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161B1 (ko) * 1998-07-31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형컴퓨터의백-업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742U (ko) 198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7658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20001952B1 (ko) 전지 선택 제어 방법 및 장치
KR900009228Y1 (ko) 전원감시기능을 구비한 밧데리백업회로
US5243577A (en) Electronic apparatus
KR910001885Y1 (ko) 전원 인가시 메모리 보호회로
JP2524937B2 (ja) 赤外線式リモコンユニットにおける電池切れ検知方法
JPS5838432Y2 (ja) メモリ用電源装置
JPH0624900Y2 (ja) メモリ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
US7751167B2 (en) Protective circuit for a supersonic humidifier
KR910006689Y1 (ko) 전원의 공급상태 표시회로
KR200225208Y1 (ko) 백업 배터리 스위치 상태 감지 장치
JPS5843408Y2 (ja) 記憶装置の保護装置
JP2576448Y2 (ja) 電源の異常表示回路
KR880002184Y1 (ko) 시모오스(cmos)마이콤의 정전시 절전회로
KR940008205B1 (ko)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보호회로
KR930005745Y1 (ko) 마이콤 오동작시 리셋트 회로
GB2239747A (en) Data protection device
JP2892208B2 (ja) メモリバックアップ回路
KR950014898B1 (ko) Vcr의 예약 녹화시 주전원 공급중단 경보방법
KR960005586Y1 (ko) Plc의 밧데리 백업회로
KR900001523Y1 (ko) 모니터의 입력 케이블 이탈시 경보회로
KR950002105Y1 (ko) 백업 배터리 교체 시점 알람 회로
KR910006792Y1 (ko) 백 업(Back-Up)보호회로
JPS63288309A (ja) 電子機器の電源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
JPS62128087A (ja) 磁気バブルメモリカセツ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