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425B1 -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 - Google Patents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425B1
KR100284425B1 KR1019940006580A KR19940006580A KR100284425B1 KR 100284425 B1 KR100284425 B1 KR 100284425B1 KR 1019940006580 A KR1019940006580 A KR 1019940006580A KR 19940006580 A KR19940006580 A KR 19940006580A KR 100284425 B1 KR100284425 B1 KR 100284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quid crystal
frequency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691A (ko
Inventor
문성학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06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425B1/ko
Priority to DE19511810A priority patent/DE19511810A1/de
Priority to CN95104512A priority patent/CN1115399A/zh
Publication of KR95002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425B1/ko

Links

Landscapes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입력신호에 이상이 있을 때 가령, 입력신호가 전혀 입력되지 않거나, 입력되더라도 실제 사용하는 주파수이외의 주파수를 갖는 입력신호가 입력될 때에 램프가 소등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점등되기 때문에 램프의 수명이 단축되고 세트가 과열될 뿐만 아니라 액정표시구동부 등이 오동작할 수 있으며, 그리고 세트에서 이상발생시 램프를 자동으로 소등시키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신호가 전혀 입력되지 않거나 입력되도라도 실제 사용되는 주파수이외의 주파수를 갖는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엑정표시구동부와 램프구동부를 오프시켜 액정표시소자 및 램프가 구동 또는 점등되지 않도록 하여 램프의 수명단축과 세트의 과열 및 액정표시구동부 등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고, 램프입력신호검출부를 이용하여 세트에서 이상발생시 액정표시소자 및 램프를 자동으로 소등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
제1도는 본 발명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의 상세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주파수/전압변환부의 입출력 관계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디오신호입력부 101 : 신호처리부
102 : 액정표시구동부 103 : 램프구동부
104 : 액정프로젝터 105 : 램프전압검출부
106 : 주파수/전압변환부 107 : 주파수상하한검출부
108 : 카운터발생/시간지연부 109 : 램프입력신호검출부
110 : 액정/램프구동제어부
본 발명은 투사형 액정프로젝터의 램프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램프의 점등동작을 제어하여 램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투사형 액정프로젝터의 램프제어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입력신호에 이상이 있을 때 가령, 입력신호가 전혀 입력되지 않거나, 입력되더라도 실제 사용하는 주파수이외의 주파수를 갖는 입력신호가 입력될 때에 램프가 소등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점등되기 때문에 램프의 수명이 단축되고 세트가 과열될 뿐만 아니라 액정표시구동부 등이 오동작할 수 있으며, 그리고 세트에서 이상발생시 램프를 자동으로 소등시키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신호가 전혀 입력되지 않거나 입력되더라도 실제 사용되는 주파수이외의 주파수를 갖는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것과 같이 입력신호에 이상이 있을 때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막아 램프의 수명의 수명단축을 막을 수 있고, 세트에서 이상발생시 램프를 자동으로 소등시킬 수 있는 투사형 액정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투사형 액정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는,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입력부와, 상기 영상신호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에 비례하는 변환전압을 출력하는 주파수/전압변환부와, 상기 주파수/전압변환부가 출력하는 변환전압이 상한주파수전압과 하한주파수전압사이에 있을 때만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상하한주파수검출부와, 상기 상하한주파수검출부로터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카운터신호를 발생하고 그 카운터신호를 소정시간지연시켜 출력하는 카운터발생/시간지연부와, 상기 카운터발생/시간지연부의 카운터신호로 트리거되게 액정표시구동부와 램프구동부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액정/램프구동제어부와, 램프전압을 검출하는 램프전압검출부와, 상기 램프전압검출부의 검출전압과 상기 카운터발생/시간지연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구동부와 램프구동부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램프입력신호검출부로 구성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신호처리부(101)는 비디오신호입력부(10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신호처리를 거친 후 액정표시구동부(102)로 보내게 되고, 이와같이 신호처리된 비디오신호를 입력받은 액정표시구동부(102)는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이하, 액정프로젝터라 한다 )(104), 보다 정확하게는 제2도의 액정프로젝터(104)의 액정표시소자(104-2)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램프구동부(103)는 액정프로젝터(104)의 램프(104-4)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비디오신호입력부(100)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가 실제 사용하는 주파수를 갖는 수평동기신호, 가령 제3도의 그래프에서 하한주파수(f1)와 상한주파수(f2)사이에 있는 주파수(f0)를 갖는 수평동기신호이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저항(R1)(R2)과 콘덴서(C1-C3)와 주파수/전압변환기(106-1)로 구성되어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입력된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주파수/전압변환부(106)는 상기 주파수(f0)에 대응하는 변환전압(V0)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이 주파수/전압변환부(106)에서 출력된 변환전압(V0)은 주파수상/하한검출부(107)의 상한검출기(IC1)의 비반전단자(+)와 하한검출기(IC2)의 반전단자(-)에 입력되어 비교되는데, 이때 전원전압(Vcc) 및 저항(R3-R5)에 의해, 상한검출기(IC1)의 비반전단자(+)에는 상한주파수(f2)에 상응하는 상한주파수전압(V2)이 그리고 하한검출기(IC2)의 반전단자(-)에는 하한주파수(f1)에 상응하는 하한주파수전압(V1)이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한검출기(IC1)는 비반전단자(+)에 입력된 변환전압(V0)이 상한주파수전압(V2)보다 작으므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하한검출기(IC2)는 반전단자(-)에 입력된 상기 변환전압(V0)이 하한주파수전압(V1)보다 작으므로 역시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상하한검출부(107)의 출력측에 있는 오아게이트(OR1)에서는 로우신호가 출력되고 이 로우신호는 시간지연/카운터발생부(108)에 어떠한 영향도 줄 수 없어 액정표시구동부(102)와 램프구동부(103)는 정상동작한다.
그러나, 비디오신호입력부(100)에서 수평동기신호 자체가 아예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주파수/전압변환부(106)가 로우신호를 출력하므로, 이 로우신호를 입력받은 주파수상하한검출부(107)의 상한검출기(IC1)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하한검출기(IC2)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주파수상하한검출부(107)의 출력단에 있는 오아게이트(OR1)를 통해 하이신호가 출력되게 되므로, 이 하이신호에 의해 카운터발생/시간지연부(108)의 카운터발생기(108-2)가 트리거되어 카운터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카운터신호가 시간지연기(108-1)에 의해 원하는 만큼 일정시간 지연되어 그 지연된 카운터신호에 의해 3상태소자(IC3)가 트리거된다.
이렇게 3상태소자(IC3)가 트리거됨에 따라 앞서 주파수상하한검출부(107)에서 출력된 하이신호가 그 3상태소자(IC3)를 거쳐 저항(R6-R8) 및 콘덴서(C4)를 통해 액정/램프구동제어부(110)에 있는 에스씨알(SCR)의 게이트단자에 인가되어 그 에스씨알(SCR)을 트리거시킨다.
이와같이 액정/램프구동제어부(110)의 에스씨알(SCR)이 트리거되어 구동됨에 따라 주파수상하한검출부(107)에서 출력된 하이신호가 그 에스씨알(SCR) 및 오아게이트(OR2)를 통해 액정표시구동부(102) 및 램프구동부(103)에 공급되어 액정표시구동부(102) 및 램프구동부(103)를 오프시킴에 따라 액정프로젝터(104)의 액정표시소자(104-2) 및 램프(104-4)가 구동 또는 점등되지 않게 된다.
한편, 비디오신호입력부(100)가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f2 < fH< f1)의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를 살펴 보면, 이때도 수평동기신호가 아예 출력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파수상하한검출부(107)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결국 액정표시소자(104-2) 및 램프(104-4)는 구동 또는 점등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중에 비디오신호입력부(100)로 부터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에 이상이 있거나 세트가 오동작할 경우에는, 주파수상하한검출부(107)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도록 수평동기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카운터발생/시간지연부(108)에서도 하이신호가 출력되므로, 램프입력신호검출부(109)는 그 카운터발생/시간지연부(108)의 하이신호와, 정상적인 상태일 때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램프전압검출부(105)의 출력신호에 의한 비교기(IC4)의 하이신호에 대해 앤드게이트(AND1)에서 앤드논리연산하여 얻은 하이신호를 액정/램프구동제어부(110)의 오아게이트(OR2)를 거쳐 시간지연없이 바로 액정표시구동부(102)와 램프구동부(103)에 인가하여 액정표시구동부(102)와 램프구동부(103)를 오프시킨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입력신호(수평동기신호)가 전혀 입력되지 않거나 입력되도라도 실제 사용되는 주파수이외의 주파수를 갖는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액정표시구동부와 램프구동부를 오프시켜 액정표시소자 및 램프가 구동 또는 점등되지 않도록 하여 램프의 수명단축과 세트의 과열 및 액정표시구동부 등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고, 램프입력신호검출부를 이용하여 세트에서 이상발생시 액정표시소자 및 램프를 자동으로 소등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입력부와, 상기 영상신호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에 비례하는 변환전압을 출력하는 주파수/전압변환부와, 상기 주파수/전압변환부가 출력하는 변환전압이 상한주파수전압과 하한주파수전압사이에 있을 때만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상하한주파수검출부와, 상기 상하한주파수검출부로부터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카운터신호를 발생하고 그 카운터신호를 소정시간지연시켜 출력하는 카운터발생/시간지연부와, 상기 카운터발생/시간지연부의 카운터신호로 트리거되어 액정표시구동부와 램프구동부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액정/램프구동제어부와, 램프전압을 검출하는 램프전압검출부와, 상기 램프전압검출부의 검출전압과 상기 카운터발생/시간지연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액정표시구동부와 램프구동부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램프입력신호검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
KR1019940006580A 1994-03-30 1994-03-30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 KR100284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580A KR100284425B1 (ko) 1994-03-30 1994-03-30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
DE19511810A DE19511810A1 (de) 1994-03-30 1995-03-30 Lampen-Betriebseinrichtung für einen LCD-Projektor vom Projektions-Typ
CN95104512A CN1115399A (zh) 1994-03-30 1995-03-30 用于投影式lcd投影机的灯操作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580A KR100284425B1 (ko) 1994-03-30 1994-03-30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691A KR950026691A (ko) 1995-10-16
KR100284425B1 true KR100284425B1 (ko) 2001-03-02

Family

ID=6667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580A KR100284425B1 (ko) 1994-03-30 1994-03-30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4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691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0570B2 (ja) 放電灯点灯回路
US59037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failure of a system clock in a data processing system
KR100284425B1 (ko)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의 램프제어회로
US6979086B2 (en) Projector and status protection method thereof
JPH09196991A (ja) 故障検出回路及びその検出方法
JP2633810B2 (ja) インバータ調理器の過熱防止方法及び装置
JP3317027B2 (ja) 放電灯点灯装置
US3968489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heater controllers
JPH05189272A (ja) コントローラ
JPH0789399B2 (ja) エンコーダ伝送路異常検出回路
JP7244737B2 (ja) モータ制御回路及びモータ制御装置
KR950024619A (ko) 전자식 안정기의 램프상태 감지회로와 이를 이용한 안정기 제어장치 및 전자식 안정기
JP2860817B2 (ja) Pwm制御装置
SU1361559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ключени и перезапуска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а при сбо х питани
JP3734908B2 (ja) 水平偏向回路の異常動作検出回路
JP2000010825A (ja) マイコン故障監視システム
JPH0537254Y2 (ko)
JPH04272681A (ja) ヒータ温調安全装置
JPS63191175A (ja) 電子写真式印刷装置
JP2925853B2 (ja) 光検出器
KR100186603B1 (ko) 정착램프 제어회로
KR0120009B1 (ko) 재봉기의 정전보호장치
JPH0250695B2 (ko)
JPH06111159A (ja) 電源異常監視回路
JPH06303777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