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661Y1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661Y1
KR920003661Y1 KR2019890001949U KR890001949U KR920003661Y1 KR 920003661 Y1 KR920003661 Y1 KR 920003661Y1 KR 2019890001949 U KR2019890001949 U KR 2019890001949U KR 890001949 U KR890001949 U KR 890001949U KR 920003661 Y1 KR920003661 Y1 KR 920003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chamber
operating chamber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1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426U (ko
Inventor
후미유끼 야마오까
우라 다모쯔 야마
Original Assignee
아쯔기 지도우샤 부힝 가부시끼가이샤
나까무라 히로미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2217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322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285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962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4649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9624Y2/ja
Application filed by 아쯔기 지도우샤 부힝 가부시끼가이샤, 나까무라 히로미찌 filed Critical 아쯔기 지도우샤 부힝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7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4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6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6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2Combination of sealing and guide arrangements for piston rods
    • F16F9/364Combination of sealing and guide arrangements for piston rods of multi-tube damp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완충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의 제1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단면도.
제2도는 밀봉 부재의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의 제2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의 제3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완충기의 제3실시예에 사용된 밀봉 부재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완충기의 제4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완충기의 제4실시예에 사용된 고정 부재의 저면도.
제9도는 제6도의 완충기의 제4실시예에 사용된 밀봉 부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측 실린더 12 : 외측 실린더
16 : 저장실 18 : 피스톤
20 : 상부 작동실 22 : 하부 작동실
24 : 피스톤 로드 30, 100, 136 : 상부 단부 플러그
46 : 밀봉 조립체 50, 134 : 탄성 밀봉부
62, 90 : 밀봉 하우징 부재 68, 116, 156 : 밀봉링
72 : 베어링 슬리이브 76 : 바운딩 전달 통로
78 : 리바운딩 전달 통로 80 : 판 스프링 밸브
110, 150 : 고정 링 부재 118, 158 : 오리피스 링
120 : 스페이서 링 132 : 밀봉 리테이너
본 고안은 자동차 현가 시스템(automotive suspension system)용 완충기(shock absorber)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체 저장기내의 기체상 작동 유체가 작동실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용 밀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1983년(소화 58년) 일본국 특허 공개 제156739호에는 유압 작동 유체 및 공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 저장실을 형성하는 동축으로 형성된 내측 및 외측 실린더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체 저장실이 상기 내측과 외측 실린더들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기가 내재되어 있다. 상기 완충기는 유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을 연통시키기 위한 통로를 가지고 있다. 통로 내에는 유압 유체가 작동tlf로부터 유체 저장실로 유동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공압 유체가 유체 저장실로부터 작동실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밀봉 구조물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완충기를 위한 종래의 밀봉 구조물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유체 전달을 허용 및 차단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작동실내의 유압 유체 압력은 유체 저장실내의 공압 유체 압력보다 더 높고, 또한, 선택적으로, 피스톤 리바운딩 행정(rebounding stroke)에 있어서, 유체 저장실내의 공압은 작동실내의 유압 유체 압력보다 더 높게 된다. 따라서, 1983년(소화 58년) 일본국 특허 공개 제156739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통상적인 밀봉 구조물에 있어서는, 밀봉 부재상에 하나 이상의 요홈부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작동실내의 유압작동 유체 중 일부가 피스톤 복귀 행정 중에만 유체 저장실내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밀봉 구조물에 있어서는, 여러 결점들이 야기되어 왔다. 예를 들면, 밀봉 부재가 구조적인 시이트 부재와 면 대 면 접촉에 의해 기밀 밀봉을 설정하는 경우에, 밀봉 부재 및 시이트 부재의 결합 표면들은 상당히 높은 표면 정밀도를 필요로 한다. 반면에, 밀봉 부재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에, 수지 밀봉 부재의 마모는 작동실내로의 공압 작동 유체의 누설을 야기시켜서 결국 공기 유통(aeration)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떤 완충기 작동 모우드에서도 공압 작동 유체가 작동실내로 누설되는 것을 만족스럽게 저지할 수 있는 완충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들 및 그 밖의 다른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는, 유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며 피스톤이 내부에 배치되는 작동실과, 유압 작동 유체 및 공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 저장실을 형성하는 실린더 조립체와,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위해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을 연결하는 전달 통로와,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차단하도록 전달 통로내에 배치된 첵(check) 및 유동 억제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는 직렬로 배열된 첵 장치 및 유동 억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피스톤 바운딩 행정중에 유체 저장실로의 공압 및 유압 유체 유동을 허용하며 또한 유압 유체 유동에 대한 유동 억제를 제공하고, 상기 첵 장치는 피스톤 리바운딩 행정 중에서 유체 저장실과 작동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차단하며 또한 피스톤 바운딩 행정 중에 유압 유체 유동을 허용하게 한다.
유동 억제 장치는 피스톤 로드의 외측 주연부와 첵 장치의 내측 주연부 사이에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된 오리피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첵 장치는 밀봉링으로 구성된다.
달리,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는 밀봉링 및 리테이너로 구성되고, 또한 유동 억제 장치는 유동 억제 장치 역할을 하는 유동 억제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리테이너 장치와 협력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요홈부로 구성된다. 또한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는 밀봉링 및 리테이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유동 억제장치는 유동 억제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밀봉링과 리테이너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평판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른 완충기는, 유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며 피스톤이 내부에 배치되는 작동실과, 유압 작동 유체 및 공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 저장실을 형성하는 실린더 조립체와,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위해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을 연결하는 전달 통로 및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차단하도록 전달 통로내에 배치된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는 직렬로 배열된 첵 장치 및 유동 억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억제 장치는 그곳을 통한 유체 유동에 대한 유동 억제를 제공하고, 상기 첵 장치는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 사이의 압력차에 반응하며, 유체 저장실과 작동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유동 차단 밀봉을 탄성적으로 확립하도록 작동실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유체 저장실내의 압력에 반응하고, 또한 유압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유체 저장실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작동실 내의 압력에 반응한다.
유동 억제 장치는 피스톤 로드의 외측 주연부와 밀봉링의 내측 주연부 사이에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된 오리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첵 장치는 전달 통로의 내측 주연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밀봉부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탄성 밀봉부는 작동 유체실내의 압력이 탄성 밀봉부와 전달 통로의 내측 주연부 사이의 밀봉 접촉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밀봉부상에 가해지고, 유체 저장실내의 압력이 전달 통로의 내측 주연부 상으로 밀봉부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밀봉부 상에 가해지도록 설계된다. 달리, 첵 장치는 전달 통로의 내측 주연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밀봉부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탄성 밀봉부는 작동 유체실내의 압력이 탄성 밀봉부와 전달 통로의 내측 주연부 사이의 밀봉 접촉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밀봉부 상에 가해지고, 유체 저장실내의 압력이 전달 통로의 내측 주연부 상으로 밀봉부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밀봉부 상에 가해지도록 기하학적으로 위치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완충기는, 유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며 피스톤이 내부에 배치되는 작동실과, 유압 작동 유체 및 공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 저장실을 형성하는 실린더 조립체와,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위해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을 연결하는 전달 통로 및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차단하도록 전달 통로 내에 배치된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는 직렬로 배열된 첵 장치 유동 억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억제 장치는 첵 장치보다 유체 저장실에 더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작동실내의 감쇠력의 발생을 돕도록 유동 억제 장치를 통한 유압 유체 유동을 억제하게 되어있고, 상기 첵 장치는 작동실과 유체 저장실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유체를 차단하며, 또한 상기 첵 장치는 상기 유체 저장실과 작동실 사이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작동실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유체 저장실내의 압력에 반응하고, 또한 유압 유체 유동을 가능케 하도록 유체 저장실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작동실내의 압력에 반응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로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설명 및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의 제1실시예는 동축으로 배열된 내측 및 외측 실린더(10, 12)들을 가지고 있다.
내측 실린더(10)은 그 속에 유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내부 공간을 내부에 형성한다. 내측 실린더(10)의 내부 공간을 작동실(14)로서 작용한다. 환형실은 내측 실린더(10)과 외측 실린더(12) 사이에 형성된다. 환형실은 유압 유체 및 공압 유체로 충전되며 또한 저장실(16)으로서 작용한다. 피스톤(18)은 작동실(14)내에 추력을 받고 또한 밀봉되게 배치되어 작동실을 상부 작동실(20)과 하부 작동실(22)로 분할한다. 피스톤(18)은 피스톤 로드(24)의 하부 단부 부분상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24)에는 체결 보울트(28)을 수납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된 나사부로 된 개구부(26)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는 내측 및 외측 실린더들(10, 12)들로부터 상기 실린더들의 상부 단부들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피스톤 로드(24)를 지지하기 위하여, 피스톤 로드 안내부 역할을 하는 상부 단부 플러그(30)은 내측 및 외측 실린더(10, 12)들의 상부 단부들 상에 끼워 맞춤된다. 상부 단부 플러그(30)은 외측 실린더(12)의 상부 단부 부분의 내측 주연부와 밀봉 결합되는 상부 대직경 부분(3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부 단부 플러그(30)은 내측 실린더(10)의 상부 단부와 밀봉 맞물림 되는 하부 소직경 부분(34)도 가지고 있다. 상방으로 개구된 리세스(36)은 상부 단부 플러그(30)내에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36)은 상부 대직경 부분(38) 및 하부 소직경 부분(40)으로 구성된다. 상부 단부 플러그(30)에는 한쪽 단부가 리세스(36)의 대직경 부분(38)로 개구되고 그 반대쪽 단부는 저장실(16)으로 개구된 요홈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부(42)는 저장실(16)과 리세스(36) 사이의 유체 전달을 위한 전달통로(44)를 형성한다.
밀봉 조립체(46)은 피스톤 로드(24)의 외측 주연부와의 사이에 수밀 및 기밀 밀봉을 확립하도록 상부 단부 플러그(30) 위에 마련된다. 밀봉 조립체(46)은 환형 강체 보강 부재(48) 및 탄성 밀봉부(50)으로 구성된다. 탄성 밀봉부(50)은 환형 강체 부재(48)의 상부 평면상에 체결된 부분(52), 피스톤 로드(24)와 밀봉 접촉되는 내측 립(lip), (54) 및 리세스(36)의 대직경 부분(38)을 형성하는 벽부분(58)과 접촉하는 외측 립(56)을 가지고 있다. 외측 립(56)은 상부 작동실(20)으로 부터 유체 저장실(16)으로의 유체 유동을 가능케하고 또한 그 반대방향으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첵 립(check lip) 역할을 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구조물에 있어서, 외측 립(56)이 벽 부분(58)과 접촉하는 접촉 지점은 유체 저장실(16)을 통해 전달된 압력이 외측 립(56)을 벽 부분(58)상에 가압하여 상기 외측 립(56)과 벽부분(58) 사이의 밀봉 접촉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전달 통로의 개방 단부에 대해 하부에 위치되어 있다. 반면에, 내측 립(54)는 스프링 링(60)에 의해 피스톤 로드쪽으로 바이어스된다. 탄성밀봉부(50)은 고무재료로 제조되며 강체보강부재(48)상에 기류(valcanizing) 된다. 밀봉하우징 부재(62)는 리세스(36)내에 배치된다. 밀봉하우징부재(62)는 리세스의 하부 소직경 부분(40)과 맞물리는 하부 부분을 가지며, 또한 상부 연부가 내측 립(54)와 외측 립(56) 사이의 위치에서 탄성 밀봉부(50)과 접촉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된다. 밀봉 하우징 부재(62)의 상부 연부내에는 상부 작동실(20)과 유체 저장실(14) 사이의 유체 유동을 위한 관통 통로(64)를 형성하도록 다수의 절개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요홈부(66)은 밀봉 하우징 부재(62)의 하부 부분 내측 주연부 상에 형성되어 있다. 밀봉링(68)은 환형 요홈부(66)내에 배치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링(68)은 밀봉 및 활주 접촉을 허용하도록 피스톤 로드(24)의 외경과 사실상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있다. 밀봉링(68)에는 다수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요홈부(70)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슬리이브(72)는 (비록 제1도에 간극을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피스톤 베어링 슬라이브(72) 사이에 환형 간극을 형성하도록 피스톤 로드(24)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큰 내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달 통로(44), 관통 통로(64)를 통해 유체 저장실(16)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공간 즉, 밀봉 하우징 부재(62)와 밀봉조립체(46) 사이에 형성된 공간(74)는 밀봉링(68)의 요홈부(70)들 및 베어링 슬리이브와 피스톤 로드(24)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상부 작동실(20)과 연통되어 있다.
반면에, 피스톤(18)에는 바운딩 전달통로(bounding communication path)(76) 및 리바운딩 전달통로(rebounding communication path)(78)이 형성되어 있다. 바운딩 전달 통로(76)의 하부 단부는 피스톤 바운딩 운동 중에 상부 작동실(20)으로 부터 하부 작동실(22)로의 작동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고, 그와 반대 방향으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는 판 스프링 밸브(80)에 의해 폐쇄된다. 반면에, 리바운딩 전달통로(78)의 상부 단부는 피스톤 리바운딩 운동 중에 하부 작동실(22)로 부터 상부 작동실(20)으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고, 그와 반대 방향으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는 판 스프링 밸브(82)에 의해 폐쇄된다. 전달통로(76, 78)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면, 피스톤(18)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은 감쇠력으로서 발생된다. 이와 같은 감쇠력은 자동차 현가 시스템내에 사용될때 차체와 현가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반면에, 피스톤 바운딩 행정에 있어서, 상부 작동실(20) 내의 유체 압력은 피스톤(18)의 상향 이동에 따라 증가된다. 이는 베어링 슬리이브(72)와 피스톤 로드(24) 사이의 간극, 밀봉 부재(68)의 요홈부(70)들, 공간(74), 관통 통로(64) 및 전달 통로(44)를 통해 상부 작동실(20)으로부터 유체 저장실(16)으로의 유체 유동을 야기시킨다. 상부 작동실(20)으로부터 유체 저장실(16)으로의 유체 유동을 위해, 밀봉 부재(68)내의 요홈부(70)들은 요홈부(70)들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 억제 오리피스들로서 작용함으로써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반면에, 피스톤 리바운딩 행정에 있어서, 상부 작동실(20)내의 압력은 체적 팽창에 의해 감소된다. 반면에, 하부 작동실(22)내의 유체는 압축되어 리바운딩 전달 통로(78)들을 통해 상부 작동실(20)내로 제한된 양이 유동하게 된다. 또한, 하부 작동실(22)내의 유체 압력은 유체 저장실 내의 유압 유체로 전달되어 공압 유체를 압축시킨다. 따라서, 유체 저장실의 상부 부분으로서의 공압은 증가된다. 이는 유체저장실(16)으로 부터 전달통로(44)를 통한 가스 유동을 야기시킨다.
그러나, 유체 저장실(16)으로 부터 전달된 압력은 벽 부분(58)상으로 외측 립(56)을 가압하는 힘을 증가시켜 벽 부분(58)과 외측 립(56) 사이에 기밀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유체 저장실(16)내의 공압 유체는 상부 작동실내로 조금도 누설되지 않는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기술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공통된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한다.
본 제2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하우징 부재(90)은 제1실시예에 도시한 형상에서 변형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하우징 부재(90)에는 기밀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외측 립(56)과 협력하는 벽 부분으로써 작용하도록 외측 립(56)과 결합하는 평면(94)를 가지고 있는 플렌지 부분(92)가 일체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 전술한 제1실시예와 사실상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제1실시예와 공통된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 안내부 역할을 하는 상부 단부 플러그(100)은 최하부 소직경 부분(104), 최상부 대직경 부분(106) 및 최하부 소직경 부분(104)와 최상부 대직경 부분(106) 사이의 중간 부분(108)을 형성하는 계단식 요홈부(102)를 가지고 있다. 고정 링 부재(110)은 중간 부분(108)에 견고하게 끼워 맞춤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 링 부재(110)은 밀봉부 수납 요홈부(114)를 형성하도록 최하부 부분(104)를 형성하는 상부 단부 플러그(100)의 벽부분(112)와 협력한다. 밀봉부 수납 요홈부(114)내에는, 밀봉링(116)이 유체 저장실(16)과 상부 작동실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축방향으로 추력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밀봉부 수납 요홈부(114)내에는 오리피스 링(118) 및 스페이서 링(120)도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하게 배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 링(120)은 최상부 위치에 위치되며, 밀봉링(116)은 최하부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오리피스 링(118)은 스페이서 링(120)과 밀봉링(116)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오리피스 링(118) 및 스페이서 링(120)은 사실상 최하부 부분(104)의 내경과 대체로 일치하는 사실상 동일한 외경들로 마련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링(120)은 피스톤 로드(24) 둘레에 환형 공간(122)를 형성하도록 피스톤 로드(24)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오리피스 링(118)은 피스톤 로드(24)의 외경보다 약간 크나 스페이서 링(120)의 내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오리피스 링(118)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절개부(124)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절개부(124)들의 내측 부분들은 스페이서 링에 의해 형성된 환형 공간(122)와 중첩된다. 반면에, 밀봉링(116)은 상부 단부 플러그(10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 부분(126)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 상부 작동실내의 체적의 압축에 의해 상부 작동실내의 유압 작동 유체 압력이 증가하는 피스톤 바운딩 행정에 있어서, 밀봉링(116)은 상방으로 들어올려져서 플랜지 부분(126)으로 부터 멀리 위치된다. 다음에, 상부 작동실(20)내의 작동 유체는 오리피스 링(118)의 절개부(124) 및 스페이서 링(120)의 환형 공간(122)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오리피스 링(118) 및 스페이서 링(120)에 의해 형성된 통로의 통로 면적은 통로를 통한 유체 유동을 억제하기에 충분하도록 작으므로, 감쇠력이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피스톤 리바운딩 행정에 있어서, 상부 작동실(20)내의 압력은 저장실(16)내의 공압보다 더 작게 된다. 그 결과, 밀봉링(116)은 기밀 밀봉을 확립하도록 상부 단부 플러그(100)의 플랜지 부분(126)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유체 저장실(16)내의 공압 유체가 상부 작동실내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제4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리테이너(132) 및 탄성 밀봉부(134)로 구성된 밀봉 조립체(130)은 외측 실린더(12)의 상부에 수밀 및 기밀 밀봉을 확립하도록 결합된다. 반면에, 내측 실린더(10)의 상부 단부는 상부 단부 플러그(136)에 의해 폐쇄된다. 밀봉 조립체(130)과 상부 단부 플러그(136) 사이에는 격실(138)이 형성된다. 격실(138)은 전달 통로(140)을 통해 유체 저장실(16)과 항시 연통되어 있다.
로드 안내부 역할을 하는 상부 단부 플러그(136)은 최하부 소직경 부분(144), 최상부 대직경 부분(146) 및 최하부 부분(144)와 최상부 부분(146) 사이의 중간 부분(148)을 형성하는 계단식 요홈부(142)를 가지고 있다. 고정 링 부재(150)은 중간 부분(148)에 견고하게 끼워 맞춤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링부재(150)은 밀봉부 수납 요홈부(154)를 형성하도록 최하부 부분(144)를 형성하는 상부 단부 플러그(136)의 벽 부분(152)와 협력한다.
밀봉부 수납 요홈부(114)내에는, 밀봉링(156)이 유체 저장실(16)과 상부 작동실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축방향으로 추력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추력 이동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밀봉링(156)은 밀봉부 수납 요홈부(154)의 높이 l2보다 더 작은 높이 l1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밀봉부 수납 요홈부(14) 및 오리피스 링(158)도 서로 축방향 정렬되게 배치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링 부재(150)의 하부 표면상에는 환형 요홈부(160) 및 하나 이상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요홈부(162)들이 형성되어 있다.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요홈부(162)들은 고정 링 부재(150)의 내측 주연부와 피스톤 로드(24) 사이에 형성된 유체 통로로 개방되어 있으며, 또한 그 반대쪽 단부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 요홈부(160)으로 개방되어 있다. 환형 요홈부(160)의 내측 주연부는 밀봉링(156)의 반경 방향 길이 d2보다 더 큰 거리 d1및 밀봉링의 횡방향 편위 가능량 d3를 갖도록 축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반면에,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 링(158)에는 다수의 절개부(166)들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링 부재(150)의 요홈부(160, 162)들 및 오리피스 링(158)의 절개부(166)들은, 피스톤 바운딩 행정 중에 상부 작동실(20) 및 격실(138)로 부터의 유체 유동을 가능케하기 위한 유동 억제 통로 역할을 한다. 반면에, 피스톤 리바운딩 행정에 있어서, 밀봉링(156)은 기밀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상부 단부 플러그의 플랜지 부분(168)상에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 전술한 제3실시예로부터 얻어지는 효과와 사실상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진의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진의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실시될 수 있는 모든 실시예들 및 변경예들을 포함한다.

Claims (15)

  1. 유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며 피스톤(18) 내부에 배치되는 작동실(14)와, 유압 작동 유체 및 공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 저장실(16)을 형성하는 실린더 조립체와, 상기 작동실(14)와 상기 유체 저장실(16) 사이의 유체 전달을 위해 상기 작동실(14)와 상기 유체 저장실(16)을 연결하는 전달통로(44, 140) 및 상기 작동실(14)와 상기 유체 저장실(16) 사이의 유체 전달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차단하도록 상기 전달 통로(44, 140)내에 배치된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첵 및 유동억제 조립체는 직렬로 배열된 첵 장치 및 유동 억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피스톤 바운딩 행정중에 상기 유체 저장실(16)으로의 공압 및 유압 유체 유동을 허용하고 또한 유압 유체 유동에 대한 유동억제를 마련하며, 상기 첵 장치가 피스톤 리바운딩 행중 중에 상기 유체 저장실(16)과 상기 작동실(14) 사이의 유체 전달을 차단하고 또한 피스톤 바운딩 행정 중에 유압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피스톤 로드(24)의 외측 주연부와 상기 유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며 피스톤(18)이 내부에 배치되는 작동실(14)와, 유압 작동 유체 및 공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 저장실(16)을 형성하는 실린더 조립체와, 상기 작동실과 상기 유체 저장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위해 상기 작동실과 상기 유체 저장실을 연결하는 전달통로(44, 140) 및 상기 작동실(14)와 상기 유체 저장실(16) 사이의 유체 전달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차단하도록 상기 전달 통로내에 배치된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는 직렬로 배열된 첵 장치 및 유동 억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그곳을 통한 유체 유동에 대한 유동 억제를 마련하고, 상기 첵 장치가 상기 작동실(14)와 상기 유체 저장실(16) 사이의 압력차에 반응하며, 상기 유체 저장실(16)과 상기 작동실(14) 사이의 유체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유동 차단 밀봉을 탄성적으로 확립하도록 상기 작동실(14)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상기 유체 저장실(16)내의 압력에 반응하고 또한 유압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유체 저장실(16)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상기 작동실(14)내의 압력에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첵 장치가 밀봉 링으로 구성된 완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가 밀봉 링 및 리테이너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상기 유동 억제 장치 역할을 하는 유동 억제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리테이너 장치와 협력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요홈부로 구성된 완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가 밀봉 링 및 리테이너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유동 억제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밀봉링과 상기 리테이너 상이에 배설된 복수개의 평판 부재로 구성된 완충기.
  6. 유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며 그 속에 피스톤이 배설되는 작동실 및 유압 작동 유체 및 공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 저장실을 형성하는 실린더 조립체, 상기 작동실과 상기 유체 저장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위해 상기 작동실과 상기 유체 저장실을 연결하기 위한 전달 통로 및 상기 작동실과 상기 유체 저장실 사이의 압력차에 반응하며 상기 유체 저장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선택적으로 확립 및 차단하도록 상기 전달 통로내에 배설된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첵 및 유동억제 조립체는 첵 장치 및 이와 연속하게 배설된 유동 억제 장치를 포함며, 상기 유동억제 장치가 그곳을 통한 유체 유동에 대한 유동 억제를 마련하고, 또한 상기 첵 장치가 상기 작동실과 상기 유체 저장실과 상기 작동실 사이의 유체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유동차단 밀봉을 탄성적으로 확립하도록 상기 작동실 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상기 유체 저장실 내외 압력에 반응하고 또한 유압 유체 유동을 가능케 하도록 상기 유체 저장실 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상기 작동실내의 압력에 반응하는 완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피스톤 로드(24)의 외측 주연부와 밀봉링(48)의 내측 주연부 사이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연장된 오리피스(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첵 장치가 상기 전달통로(44)의 내측 주연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밀봉부(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밀봉부는 상기 작동 유체실(14) 내의 압력이 상기 탄성 밀봉부(50)과 상기 전달통로(4)의 상기 내측 주연부 사이의 밀봉 접촉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밀봉부상에 가해지고, 상기 유체 저장실(16)내의 압력이 상기 전달 통로(44)의 상기 내측 주연부 상으로 상기 밀봉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밀봉부 상에 가해지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첵 장치가 상기 전달통로(140)의 내측 주연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밀봉부(134)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밀봉부(134)는 상기 작동 유체실(16)내의 압력이 상기 탄성 밀봉부(134)와 상기 전달 통로(140)의 상기 내측 주연부 사이의 밀봉 접촉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밀봉부 상에 가해지고, 상기 유체 저장실(16)내의 압력이 상기 전달 통로(140)의 상기 내측 주연부 상으로 상기 밀봉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밀봉부 상에 가해지도록 기하학적으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상기 밀봉링(18)의 내측 주연부 상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연장된 요홈부(7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봉링(68)의 내측 주연부의 일반 표면은 상기 피스톤 로드(24)의 외측 주연부와 밀봉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유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며 피스톤(18)이 내부에 배치되는 작동실(14)와 유압 작동 유체 및 공압 작동 유체가 충전되는 유체 저장실(16)을 형성하는 실린더 조립체와, 상기 작동실(14)와 상기 유체 저장실(16) 사이의 유체 전달을 위해 상기 작동실(14)와 상기 유체 저장실(16)을 연결하는 전달 통로(44, 140) 및 상기 작동실(14)와 상기 유체 저장실(16) 사이의 유체 전달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차단하도록 상기 전달 통로(44, 140)내에 배치된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는 직렬로 배열된 첵 장치 및 유동 억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상기 첵 장치보다 상기 유체 저장실(16)에 더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실(14)내의 감쇠력의 발생을 돕도록 상기 유동억제 장치를 통한 유압 유체 유동을 억제하게 되어 있고, 상기 첵 장치가 상기 작동실(14)와 상기 유체 저장실(16)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유체를 차단하며, 또한 상기 첵 장치가 상기 유체 저장실(16)과 상기 작동실(14) 사이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작동실(14)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상기 유체 저장실(16)내의 압력에 반응하고, 또한 유압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유체 저장실 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상기 작동실 내의 압력에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피스톤 로드(24)의 외측 주연부와 상기 첵 장치의 내측 주연부 사이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연장된 오리피스(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첵 장치가 밀봉링(68, 116, 1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가 밀봉링(68) 및 리테이너(48)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상기 유동억제 장치 역할을 하는 유동 억제 오피리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리테이너(48) 장치와 협력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요홈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첵 및 유동 억제 조립체가 밀봉링(116, 156) 및 리테이너(48, 132)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 억제 장치가 유동 억제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밀봉링(116, 156)과 상기 리테이너(48, 132)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평판 부재(118, 120, 1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KR2019890001949U 1988-02-22 1989-02-22 완충기 KR9200036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22172U JPH0633226Y2 (ja) 1988-02-22 1988-02-22 液圧緩衝器
DE63-22172 1988-02-22
JP1988028589U JPH0519623Y2 (ko) 1988-03-03 1988-03-03
DE63-28589 1988-03-03
JP1988046493U JPH0519624Y2 (ko) 1988-04-06 1988-04-06
DE63-46493 1988-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426U KR890017426U (ko) 1989-09-06
KR920003661Y1 true KR920003661Y1 (ko) 1992-06-08

Family

ID=2728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1949U KR920003661Y1 (ko) 1988-02-22 1989-02-22 완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89701A (ko)
EP (2) EP0609909B1 (ko)
KR (1) KR920003661Y1 (ko)
AU (1) AU606265B2 (ko)
DE (2) DE6892034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5892A (en) * 1988-09-27 1992-05-26 Atsugi Unisia Corporation Hydraulic shock absorber with piston seal structure for enhancement of initial response
US5176229A (en) * 1989-09-29 1993-01-05 Atsugi Unisia Corporation Hydraulic shock absorber with a rod guide having an annular doubled wall section
DE4106651A1 (de) * 1991-03-02 1992-09-03 Fichtel & Sachs Ag Fuehrungskoerpereinheit mit schraegliegender dichtung
GB9126728D0 (en) * 1991-12-17 1992-02-12 Hampton Ind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hock absorbers
DE4230238A1 (de) * 1992-09-10 1994-03-17 Fichtel & Sachs Ag Zweirohrdämpfer
ES2114358B1 (es) * 1993-04-03 1999-01-01 Fichtel & Sachs Ag Guia de biela de chapa de una sola pieza para un amortiguador de vibraciones.
DE4345116C2 (de) * 1993-12-18 1995-11-16 Bilstein August Gmbh Co Kg Hydraulischer Schwingungsdämpfer für Kraftfahrzeuge
US5810130A (en) * 1997-03-14 1998-09-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Suspension damper with rebound cut-off
KR19990049113A (ko) * 1997-12-11 1999-07-05 오상수 쇽업소버 장치
GB2336646A (en) * 1998-02-13 1999-10-27 Tenneco Automotive Inc Monostrut having a "burp" valve
US6209691B1 (en) 1998-08-04 2001-04-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uspension damper with self-aligning rebound cut-off
US6325187B1 (en) 1999-05-12 2001-12-04 Tenneco Automotive Inc. Dirt wiper system for suspension damper
JP3702416B2 (ja) * 2000-03-16 2005-10-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圧緩衝器
GB2374129B (en) * 2001-04-05 2004-08-25 Delphi Tech Inc Hydraulic damper for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6510930B2 (en) * 2001-04-30 2003-01-28 Delphi Technologies, Inc. Floating rod guide
US6443436B1 (en) 2001-05-29 2002-09-03 Tenneco Automotive Inc. Air spring assembly on shock absorber with combined seal
ITMI20011759A1 (it) * 2001-08-09 2003-02-09 Nuovo Pignone Spa Dispositivo raschiaiolo per asta di stantuffo di compressori alternativi
US6616426B1 (en) * 2002-03-28 2003-09-09 Chi-Wang Liang Airlift piston mechanism
DE10230499C1 (de) * 2002-07-06 2003-11-13 Thyssen Krupp Bilstein Gmbh Dichtungs- und Führungseinheit für einen Zweirohrstoßdämpfer oder ein Zweirohrfederbein
US6896110B2 (en) * 2003-09-25 2005-05-24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Temperature compensated dual acting slip
JP2005337382A (ja) * 2004-05-27 2005-12-08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のピストン組付構造
US20060219505A1 (en) * 2005-03-31 2006-10-05 Zdeb David T Shock absorber including supplemental friction generating device
US20070040310A1 (en) * 2005-07-26 2007-02-22 Chao-Chun Wu Gas Spring
US7621382B2 (en) * 2006-06-28 2009-11-24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Shock absorber
JP2008045595A (ja) * 2006-08-11 2008-02-28 Kayaba Ind Co Ltd チェックシール構造
US8561768B2 (en) * 2007-08-31 2013-10-22 Honda Motor Co., Ltd. Vehicle damper and method
KR101337583B1 (ko) * 2011-12-12 2013-12-0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더스트 씰 구조
US9062734B2 (en) * 2013-02-25 2015-06-2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hock absorber and vehicle using the same
TWI596287B (zh) * 2013-07-26 2017-08-21 Damper
JP5957514B2 (ja) * 2014-12-26 2016-07-27 Kyb株式会社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5785345B1 (ja) * 2015-03-25 2015-09-30 株式会社ショーワ 圧力緩衝装置
US10072723B2 (en) * 2015-04-24 2018-09-11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Closing assembly for a magneto-rheological damper
DE102016104595A1 (de) 2016-03-14 2017-09-14 Festo Ag & Co. Kg Rückschlagventil
DE102017206824A1 (de) * 2017-04-24 2018-10-25 Zf Friedrichshafen Ag Dichtungs- und Führungsanordnung
CN107101409B (zh) * 2017-05-17 2018-01-23 宁利平 双作用α型斯特林制冷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07174B (it) * 1978-03-21 1985-11-25 Iao Industrie Riunite Spa Perfezionamenti negli ammortizzatori idraulici del tipo telescopico
DE2905928A1 (de) * 1979-02-16 1980-08-28 Fichtel & Sachs Ag Hydropneumatischer zweirohrschwingungsdaempfer mit entlueftungsventil
IT1144348B (it) * 1981-05-08 1986-10-29 Iao Industrie Riunite Spa Perfezionamenti negli ammortizzatori idraulici telescopici del tipo bitubo
GB2111636B (en) * 1981-11-04 1985-06-12 Woodhead Ltd Jonas Hydropneumatic shock absorber with gas return valve
DE3206124A1 (de) * 1982-02-20 1983-09-01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Hydropneumatischer zweirohr-schwingungsdaempfer mit einem im bereich einer kolbenstangenfuehrung angeordneten oelabstreifring
DE3210518C2 (de) * 1982-03-23 1986-01-02 August Bilstein GmbH & Co KG, 5828 Ennepetal Hydropneumatischer Zweirohr-Schwingungsdämpfer, insbesondere als Vorderachsbein für Kraftfahrzeuge
US4527673A (en) * 1982-09-16 1985-07-09 Chicago Rawhide Manufacturing Company Multi-purpose fluid seal for movement control dampers and the like
JPS5947142U (ja) * 1982-09-21 1984-03-29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シヨツクアブソ−バ
US4653618A (en) * 1983-05-25 1987-03-31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Twin tube shock absorber gas seal
DE3432606A1 (de) * 1984-09-05 1986-03-13 Stabilus Gmbh, 5400 Koblenz Pneumatische oder hydropneumatische zugf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0449B1 (en) 1995-01-04
KR890017426U (ko) 1989-09-06
DE68927650D1 (de) 1997-02-20
DE68927650T2 (de) 1997-04-24
EP0609909B1 (en) 1997-01-08
AU606265B2 (en) 1991-01-31
EP0330449A2 (en) 1989-08-30
EP0609909A1 (en) 1994-08-10
DE68920340T2 (de) 1995-08-03
US4989701A (en) 1991-02-05
AU3023189A (en) 1989-08-24
EP0330449A3 (en) 1990-09-19
DE68920340D1 (de)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661Y1 (ko) 완충기
KR100221563B1 (ko) 포핏밸브
US4921223A (en) Car suspension system
US5176229A (en) Hydraulic shock absorber with a rod guide having an annular doubled wall section
US4108287A (en) Double-cylinder buffer
US4795009A (en) Twin-tube type shock absorber
GB1590608A (en) Shock absorber
GB2065266A (en) Filling a gas spring via a liquid chamber
EP0896174B1 (en) Piston ring arrangement for shock absorber
US6622832B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4583722A (en) Nitrogen die cylinder
US4815576A (en) Twin-tube type shock absorber with a base valve portion structure coupled by caulking
US4414882A (en) Pneumatic drive for switching elements and control elements
US4442926A (en) Simplified hydraulic damper
US4274517A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20210010557A1 (en) Valve and shock absorber
JPS5912438Y2 (ja) 油圧緩衝器
KR102629916B1 (ko) 2방향 밸브
KR900700791A (ko) 가변비 완충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4556092A (en) Gas charging fixture for hydropneumatic shock absorbers and the like
JPH08326924A (ja) リップパッキン及びシール構造
JPH04312226A (ja) 減衰器
CA1324156C (en) Shock absorber
CA1320223C (en) Hydraulic shock absorber with piston seal structure for enhancement of initial response
JPS6334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