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296B1 - 무선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296B1
KR920003296B1 KR1019880015884A KR880015884A KR920003296B1 KR 920003296 B1 KR920003296 B1 KR 920003296B1 KR 1019880015884 A KR1019880015884 A KR 1019880015884A KR 880015884 A KR880015884 A KR 880015884A KR 920003296 B1 KR920003296 B1 KR 92000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ontroller
radiotelephone
uni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151A (ko
Inventor
히로시 사토
마고토 호시노
다카아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오디오·비디오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오시마 아츠타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도시바 오디오·비디오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오시마 아츠타로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0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해 놓은 블럭도.
제2도는 이 자동차 전화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자동차의 단면도.
제3도는 이 자동차 전화장치의 무선기의 구성을 도시해 놓은 블럭도.
제4도는 이 자동차 전화장치의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해 놓은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7도는 제5도나 제6도의 흐름도에 따른 무선부(310)로의 전원 공급의 제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차 전화장치 200 : 안테나
300 : 무선기 310 : 무선부
312 : 복조기 314 : 변조기
316 : 전원증폭기 318 : 송/수신 공용기
320 : 신디사이져 330 : 무선기 콘트롤러
331 : CPU 332 : 발진기/분주기
333 : 어드레스 디코더 334 : ROM
335 : RAM 336 : 무선부 콘트롤러
337 : 오디오회로 337a : 언밸런스/밸런스 변환기
337b : 밸런스/언밸런스 변환기 338 : 제어신호 프로세서
339 : 오디오회로 콘트롤러 340 : 디지탈 인터페이스
341 : 전원부 콘트롤러 342 : 인터럽트 콘트롤러
343 : 데이터 버스 344 : 어드레스 버스
345 : 제어버스 350 : 음성다이얼/응답회로
370 : ID ROM 390 : 전원부
400 : 전화기 400a : 전화기 본체
400b : 핸드셋트 410 : 오디오 콘트롤러
411 : 밸런스/언밸런스 변환기 412, 421 : 언밸런스/밸런스 변환기
411a : 밸런스선 411b : 언밸런스선
413, 414 : 증폭기 415 : 에코 소거기
415a, 415c, 420 : 감쇄기 415b, 415d : 감쇄기 콘트롤러
415e : 제어량 계산기 416, 417 : 스위치
418 : 핸드셋트 콘트롤러 419a~419c : 증폭기
422 : 음성 스위치부 423, 424 : 스위치
430 : 키부 450 : 표시부
452 : 액정 표시기 454 : LCD 드라이버
470 : 스위치부 472 : 후크 스위치
474 : 온/오프 스위치 490a, 490b : 음성 입/출력부
492 : 라우드 스피커 494 : 핸드프리 마이크로폰
496 : 핸드셋트 마이크로폰 498 : 핸드셋트 수신기
500 : 자동차 502 : 트렁크
504 : 운전석 506 : 밧데리
508 : 휴즈 510 : 차양판
600 : 무선챈널 701, 702 : 경로
703 : 전송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 전화장치, 휴대용 전화장치 및 코드리스 전화장치 등과같은 무선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무선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최근, 각종 무선전화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 바, 그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즉, 차량, 열차 및 선박 등에 탑재되는 자동차 무선전화장치는 안테나를 갖춘 송/수신기와, 핸드셋트와 본체로 이루어진 전화기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들 장치는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또 서로 신호선을 통해 접속시킬 수가 있다.
무선전화시스템의 다른 종류로서는 휴대용 전화장치가 알려져 있는 데, 이러한 휴대용 전화장치는 차량 휴대용 전화장치와 인력 휴대용 전화장치의 2그룹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차량 휴대용 전화장치에 있어서는, 송/수신기는 전화기의 주장치(본체)에 결합되고, 안테나는 상기 주장치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딜 가든지 차량 휴대용 전화장치를 가지고 다녀야만 한다. 그 반면에, 인력 휴대용 전화장치에 있어서는, 모든 부품은 사용자의 손에 휴대할 수 있도록 된 하나의 장치로 소형화되어 있다. 이들 무선전화시스템은 모두 밧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여러 종류의 무선전화시스템과 구별되는 다른 종류의 무선전화시스템으로서 코드리스(cordless) 전화장치가 있다. 이 코드리스 전화장치는 하나 이상의 지상라인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본체(고정장치)와 하나 이상의 휴대장치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 휴대장치는 본체와 무선챈널을 먼저 설정함으로써 다른 전화장치와 통신을 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코드리스 전화장치의 휴대장치도 또한 밧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무선전화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밧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 밧데리의 전력 용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무선전화시스템에서의 전력의 소비를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차량의 자동차 전화장치의 경우,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밧데리는 차량이 주행되는 한 재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 점화를 턴오프시키고 차량을 주차시킬 때에는, 사용자는 기패드상에서 소정의 명령을 입력시킴으로써 턴온된 자동차 전화장치를 떠날 수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동차 전화장치는 헛되이 밧데리의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이 전력 소비는 자동차가 출발하지 못할 정도까지 밧데리를 소모시키게 된다.
종래의 자동차 전화장치가 해결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은, 자동차가 자동차 전화 서비스 공급자의 서빙(serving) 영역으로부터 이동하게 될 때에 초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비록 자동차 전화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밧데리의 전력이 계속 소모되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전화장치라든지 코드리스 전화장치의 휴대장치의 경우 밧데리의 전력 용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밧데리의 전력 소비가 중대한 문제로 되게 된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밧데리의 전원을 저감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동작시키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전원 공급을 컷오프시킬 수 있으며, 또 밧데리의 전원을 저감시키기 위해 전원 공급을 컷오프시킨다고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된 무선전화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선전화시스템은, 제1 및 제2무선챈널을 설정함과 더불어 기지국과 각종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부의 동작에 관계되는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입력수단, 상기 무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입력 수단에서의 입력에 따라 플래그신호를 발생시키는 래지스터,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구간내에서 플래그신호의 존재(存在) 또는 부재(不在)를 검출하여 플래그신호의 부재가 얼마나 오랫동안 계속하여 검출되는가를 카운트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카운트된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값을 넘을 때 최소한 한 사용자에게 알람을 표시해 주는 알람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무선전화시스템은, 제1 및 제2무선챈널을 설정함과 더불어 기지국과 각종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부의 동작에 관계되는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응답해서 상기 무선부를 제어하는 CPU, 상기 무선부 및 상기 CPU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입력수단이 최종적으로 조작되었을 때의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측정된 시간경과가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장치의 최소한 한 사용자에게 알람을 표시해주는 알람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무선전화시스템은, 제1 및 제2무선챈널을 설정함과 더불어 기지국과 각종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부의 동작에 관계되는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입력수단, 상기 무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미리 설정된 소정 기간이 상기 입력수단이 최종적으로 조작되었을 때의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경우 전원 공급을 종료시키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부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무선전화시스템이 갖고 있던 결점들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전원이 턴오프되기 전에 임박한 전원 턴오프를 자신의 무선전화시스템에 경고하게 되고, 또 전화장치가 소정 기간동안 동작하지 않을 때마다 무선전화시스템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턴오프시키게 된다. 즉, 2단계 공정으로 전원을 턴오프시키게 되는 바, 사용자는 먼저 임박한 전원 턴오프를 전화장치의 비사용 기간 후에 경고하게 되고, 그후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 기간 다음에 전원을 최종적으로 턴오프시키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무선전화시스템은 자동차의 구성요소, 즉, 시ㆍ청각 경보장치로 이루어진 계기판과 자동차 경보 제어시스템으로 집적화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 전화장치의 구성을 도시해 놓은 블럭도로, 온도에 나타낸 자동차 전화장치(100)는 안테나(200), 무선기(300) 및 전화기(400)로 구성되어 있는 바, 예컨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200)는 자동차(500)의 외부 몸체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무선기(300)는 자동차(500)의 트렁크(502)내에 탑재되어 있으며, 전화기(400)는 자동차(500)내의 운전석(504) 근방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중 참조부호 506은 밧데리이고, 510은 차양판(sun visor)이다.
먼저, 무선기(300)는 안테나(200)을 매개해서 기지국(도시되어 있지않음)과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무선챈널(600)을 설정함과 더불어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부(310)와, 이 장치의 모든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무선기 콘트롤러(330),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을 수행함과 더불어 음성패턴신호를 기억하는 음성다이얼/응답회로(350), ID번호와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ID ROM(370) 및, 자동차에 탑재되어 있는 밧데리(506; 제2도 참조)로부터 휴즈(508)를 매개해서 상술한 각 회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90)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화기(400)는 상기 무선기(300)의 무선기 콘트롤러(330)로 부터 공급되는 명령 등에 따라 이 전화기(400) 전체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와, 소정의 키입력이 행해지는 키부(430), 상기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제어에 따라 숫자 또는 문자등을 표시하는 표시부(450), 각종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는 스위치부(470) 및, 가청음을 입력 또는 출력시키는 선택가능한 음성 입/출력부(490a, 490b)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화기(400)는 전화기 본체(400a)와 핸드셋트(400b)로 나뉘어지는 바, 전화기본체(400a) 측에는 스위치부(470)가 구비됨과 더불어 음성 입/출력부(490a)를 구성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 : 492)가 구비되고, 예컨대 제2도에 도시된 운전석(504) 근방의 차양판(510)등에 장착되는 핸드프리 마이크로폰(hands-free microphone)인 마이크로폰(494)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핸드셋트(400b) 측에는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와 키부(430) 및 표시부(450)가 구비됨과 더불어 음성입/출력부(490b)를 구성하는 핸드셋트 마이크로폰(496)과 핸드셋트 수신기(49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무선기(300)와 전화기 본체(400a) 및 핸드셋트(400b)의 각 부로는 상기 무선기(300)의 전원부(390)로부터 연장된 전원선(1005)을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 전화기 본체(400a)에 있는 스위치부(470)의 개폐상태에 따라 선로(1000,1001)를 통해 무선기(300)의 전원부(390)또는 무선기 콘트롤러(330)로 각종 신호가 각각 전송되게 되고, 제어신호 및 코멘드신호는 선로(1002)를 통해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와 무선기 콘트롤러(330) 사이에서 전송되게 되며, 음성신호는 선로(1003)를 통해 음성 입/출력부(490a, 490b)로 전송되게 되고, 제어신호는 선로(1004)를 통해 무선기(300)의 무선기 콘트롤러(330)로부터 음성 입/출력부(490a)로 전송되게 된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무선기(3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해 놓은 블럭도로서, 동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부(310)는 복조기(312), 변조기(314), 전원 증폭기(316), 송/수신 공용기(318) 및 신디사이져(synthesizer; 320)로 구성되어 있는 바, 그중 복조기(312)는 무선챈널(600), 안테나(200)및 송/수신 공용기(318)를 매개해서 입력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복조한다. 여기에서, 무선신호에는 가청음 신호 및 제어신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변조기(314)는 무선기 콘트롤러(330)로부터 출력된 가청음 신호 및 제어신호 등을 변조해서 송신신호로서 발생시키고, 전원 증폭기(316)는 상기 변조기(314)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증폭한다. 여기에서, 이 전원 증폭기(316)에서의 증폭률은 예컨대 8단계로 절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송/수신 공용기(318)는 무선챈널(600)과 안테나(200)를 매개해서 수신된 신호를 복조기(312)로 송출함과 더불어 변조기(314)와 전원 증폭기(316)를 매개해서 입력된 신호를 안테나(200)로 송출하고, 신디사이져(320)는 챈널선택용 국부발진기로서, 복조기(312)에서 복조해야 할 주파수 및 변조기(314)에서 변조해야 할 주파수를 지정해 준다. 여기에서, 이 신디사이져(320)에 의해 지정되는 챈널은 예컨대 666챈널 정도이다.
무선기 콘트롤러(330)는, CPU(331), 발진기/분주기(332), 어드레스 디코더(333), ROM(334), RAM(335), 무선부 콘트롤러(336), 오디오회로(337), 제어신호 프로세서(338), 오디오회로 콘트롤러(339), 디지탈 인터페이스(340), 전원부 콘트롤러(341) 및 인터럽트 콘트롤러(342)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면중 참조부호 343은 예컨대 8비트의 데이터 버스, 344는 어드레스 버스, 345는 제어버스를 각각 나타낸다. CPU(331)는 이 무선기 콘트롤러(330) 전체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고, 발진기/분주기(332)는 CPU(331)에 클럭신호를 공급함과 더불어 이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적당히 분주된 펄스를 타이밍펄스로서 자동차 전화장치의 각 부에 공급하며, 어드레스 디코더(333)는 CPU(331)로부터의 명령신호에 따라 각 부에 소정의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ROM(334)은 CPU(331)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RAM(335)은 CPU(331)의 처리시에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며, 무선부 콘트롤러(336)는 CPU(331)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해서 무선부(310)를 제어하는 것으로, 예컨대 이 무선부 콘트롤러(336)는 무선부(310)의 신디사이져(320)가 지정해야 할 주파수와 전원 증폭기(316)가 증폭해야 할 증폭률 및 변조기(314)가 변조해야 할 변조도 등을 지시함과 더불어, 오동작 방지대책으로서 신디사이져(320)로부터 출력되는 어긋난 동기신호와 전원증폭기(316)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검출신호 등을 입력받아 이들 신호를 CPU(331)로 전송한다.
오디오회로(337)는 무선부(310)의 복조기(312)에서 복조된 수신신호로부터 제어신호와 오디오신호를 추출해 낸 다음, 그중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프로세서(338)로 송출하고, 오디오신호를 음성다이얼/응답회로(350) 및 전화기(400)로 각각 송출한다. 또한, 오디오회로(337)는 제어신호 프로세서(33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더불어 전화기(400) 및 음성 다이얼/응답회로(35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변조기(314)로 송출한다. 여기에서, 오디오회로(337)는 제어신호 프로세서(338)로 송출하는 제어신호의 파형정형 및 변조기(314)로 송출해야 할 제어신호의 필터링기능도 갖추고 있다.
제어신호 프로세서(338)는 상기 오디오회로(33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와의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를 취하고, 또한 직렬신호인 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데이터를 병렬신호로서 받아들이는 한편 기지국으로 송출해야 할 병렬신호로서의 제어데이터를 직렬 신호인 제어신호로서 오디오회로(337)에 송출한다. 오디오회로 콘트롤러(339)는 오디오회로(337)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에컨대 이 오디오회로 콘트롤러(339)는 수신신호를 오디오 회로(337)로부터 제어신호 프로세서(338), 음성다이얼/응답회로(350), 전화기(400)중 어떤 한 부로 송출하도록 하는 절환제어와 더불어 송신신호를 제어신호 프로세서(338), 프로세서(338), 음성다이얼/응답회로(350), 전화기(400)중 어떤 한 부로부터 오디오회로(337)로 받아들이도록 하는 절환제어를 수행한다. 디지탈 인터페이스(340)는 이 무선기(300)와 전화기(400)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인터페이스 시키고, 전원부 콘트롤러(341)는 전원부(39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전원부 콘트롤러(341)는 전원부(390)에 밧데리(506)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설정해서 이 소정 레벨의 전압을 각 부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인터럽트 콘트롤러(342)는 각 부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해서 CPU(331)에 인터럽트를 건다.
제4도는 상술한 전화기(4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해 놓은 것으로, 동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 본체(400a)는 오디오 콘트롤러(410)와 음성 입/출력부(490a) 및 스위치부(470)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는 바, 그중 오디오 콘트롤러(410)는 밸런스/언밸런스 변환기(411), 언밸런스/밸런스 변환기(412), 증폭기(413, 414), 에코 소거기(415) 및 스위치(416, 417)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고, 음성 입/출력부(490a)는 핸드프리 마이크로폰(494) 및 라우드 스피커(492)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위치부(470)는 후크 스위치(472) 및 온/오프 스위치(474)로 구성되어 있다.
밸런스/언밸런스 변환기(411)는 무선기(300)의 오디오회로(377)로부터 밸런스선(411a)을 매개해서 전송되어 온 음성신호를 언밸런스선(411b)상의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언밸런스선(411b)상의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온상태의 스위치(416)와 감쇄기(415a)를 거친 후 증폭기(413)에서 증폭되어 라우드 스피커(492)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에서는, 무선기(300)의 오디오회로(337)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언밸런스 선상의 신호이기 때문에, 이 음성신호를 오디오회로(337)의 직접 출력단에 설치된 언밸런스/밸런스 변환기(337a)에 의해 밸런스선(411a)상의 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핸드프리 마이크로폰(494)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증폭기(414)에 의해 증폭된 후 감쇄기(415c)를 거쳐 언밸런스선(412a)상으로 출력되어 언밸런스/밸런스 변환기(412)에 의해 밸런스선(412b)상의 신호로 변환되게 된다. 이어, 밸런스선(412b)상의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밸런스선(412b)을 매개해서 오디오회로(337)로 송출되게 되는데, 이 무선기(300)의 오디오회로(337)로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언밸런스상의 신호이기 때문에, 이 음성신호를 오디오회로(337)의 직접 출력단에 설치된 밸런스/언밸런스 변환기(337b)에 의해 언밸런스선상의 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에코소거기(415)는, 밸런스/언밸런스 변환기(411)로부터 증폭기(413)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감쇄시키는 감쇄기(415a)와, 이 감쇄기(415a)의 감쇄율을 제어하는 감쇄기 콘트롤러(415b), 증폭기(414)로부터 언밸런스/밸런스 변환기(412)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감쇄시키는 감쇄기(415c), 이 감쇄기(415c)의 감쇄율을 제어하는 감쇄기 콘트롤러(415d) 및, 각 선로상의 음성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감쇄기 콘트롤러(415b, 415d)의 제어량을 계산하는 제어량 계산기(415e)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416)는 밸런스/언밸런스 변환기(411)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라우드 스피커(492)로부터 출력시킬 것인가의 여부에 따라 절환이 이루어지고, 스위치(417)는 핸드프리 마이크로폰(494)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무선기(300)의 오디오 회로(337)로 송출할 것인가의 여부에 따라 절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이들 스위치(416, 417)의 절환은 무선기(300)의 무선기 콘트롤러(33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해서 이루어진다.
후크 스위치(472)는 핸드셋트(400b)의 온후크 또는 오프후크 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렇게 검출된 신호는 무선기(300)의 무선기 콘트롤러(330)로 송출된다. 온/오프 스위치(474)는 자동차 전화장치(100)전체의 온/오프의 절환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온/오프 스위치(474)로 부터의 절환신호는 무선기(300)의 무선기 콘트롤러(330)로 송출된다.
핸드셋트(400b)는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와 표시부(450), 키부(430) 및 음성 입/출력부(490b)로 구성되어 있는 바, 그중 표시부(450)는 액정 표시기(452)와 LCD 드라이버(454)로 이루어지고, 키부(430)는 키패트에 배열된 복수개의 키로 이루어지며, 음성 입/출력부(490b)는 증폭기(419a~419c)와 감쇄기(420), 언밸런스/밸런스 변환기(421), 음성 스위치부(422), 스위치(423, 424), 핸드셋트 마이크로폰(496) 및 핸드셋트 수신기(498)로 이루어진다.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는 F레지스터(418a)와 프로세서(418b), A레지스터(418c), B레지스터(418d) 및 C레지스터(418e)로 이루어져, 무선기(300)의 무선기 콘트롤러(33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해서 이 핸드셋트(400b)의 전체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키부(43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등을 무선기(300)의 무선기 콘트롤러(330)로 송출한다. 증폭기(419a, 419b)는 전화기 본체(400a)의 밸런스/언밸런스 변환기(411)로부터 송출된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감쇄기(420)는 증폭기(419a)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를 감쇄시킨다. 증폭기(419a), 감쇄기(420) 및 증폭기(419b)를 매개해서 출력된 음성신호는 핸드셋트 수신기(498)로부터 출력된다. 증폭기(419c)는 핸드셋트 마이크로폰(496)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언밸런스/밸런스 변환기(421)는 언밸런스선(421a)상의 증폭된 음성신호를 밸런스선(421b)상의 신호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밸런스선(421b)상의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밸런스선(421b, 421c)을 매개해서 무선기(300)의 오디오회로(337)로 송출된다.
스위치(423)는 밸런스/언밸런스 변환기(411)로부터의 음성신호를 핸드셋트 수신기(498)로부터 출력할 것인가의 여부에 따라 절환이 이루어지고, 스위치(424)는 핸드셋트 마이크로폰(496)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무선기(300)의 오디오신호(337)로 송출할 것인가의 여부에 따라 절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이들 스위치(423,424)의 절환은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해서 이루어지고, 또 전화기 본체(400a)의 스위치(416,417)와 연동해서 이루어진다. 즉, 자동차 전화장치(100)의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모든 스위치(416,417,423,424)가 턴오프되고, 키입력에 대한 확인음 발생모드에서는 스위치(416)는 턴온되고 스위치(417,423,424)는 턴오프되며, 핸드셋트(400b)를 오프후크 상태에서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위치(416,417)는 턴온되고 스위치(423,424)는 턴오프된다.
음성 스위치부(422)는 레벨검출기(422a)와 오아게이트(422b) 및 스위치(422c)로 구성되어 있는 바,. 그중 레벨검출기(422a)는 핸드셋트 마이크로폰(496)으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신호레벨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한편 신호레벨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보다 높으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오아게이트(422b)는 레벨검출기(422a)로 부터의 출력신호(로우 또는 하이레벨)와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로부터 출력되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어신호를 공급받아 그중 어느 하나의 입력신호가 존재하면(하이레벨이면)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스위치(422c)는 오아게이트 (422b)로부터의 로우레벨의 신호에 응답해서 턴온되어 음성신호선(421a)을 접지시킨다. 그에 따라, 핸드셋트 마이크로폰(496)으로부터의 음성신호가 무선부(300)의 오디오회로(337)로 전송되지 않게 되어 핸드셋트 마이크로폰(496)은 오프상태로 설정되게 된다. 또한 스위치(422c)는 오아게이트(422b)로부터의 하이레벨의 신호에 응답해서 턴오프되어 핸드셋트 마이크로폰(496)을 온상태로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로부터 오아게이트(422b)의 한쪽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스탠바이 모드나 통상적인 통신시에는 로우레벨로 설정되고, 음성다이얼링을 허용하는 음성인식 모드시에는 하이레벨로 설정된다. 따라서, 통화중 상태(busy state)에서 핸드셋트 마이크로폰(496)으로 음성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핸드셋트 마이크로폰(496)이 오프상태로 설정되게 되므로, 자동차(500)에서의 잡음이 상대방에게 송출되지 않게 되어 조용한 통신을 성취할 수 있게 된다.
액정 표시기(452)는 여러 표시디지트부를 갖춘 숫자표시부(452a)와 각종의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452b)로 이루어지고, LCD 드라이버(454)는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제어하에 액정 표시기(452)를 구동시키며, 키부(430)는 최소한 "0"~"9"의 숫자키와 "*", "#", "SND", "STO", "END", "RCI", "FCN", "CLR", "EMR", "MUTE", "TONE"의 기능키 등의 키패드로 이루어진다. 이 캐패드가 눌려지면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에 의해 눌려진 키가 검출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원 제어동작을 제5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전화기 본체(400a)의 온/오프 스위치(474)가 턴온된 후(501단계), 핸드셋트(400b)의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는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기간(t1)동안 키부(430)에서 어떤 키가 동작되는가를 검출한다(504단계,506단계). 즉, 최소한 한 키가 동작되었다면, 키동작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F레지스터(418a)에 설정되게 되고, 그때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프로세서(418b)는 플래그가 설정되었는가를 점검하게 된다(504단계). 이 점검은 주기적으로, 예컨대 8msec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최소한 한 키가 동작된 경우에는 핸드셋트 콘트롤러(418)가 주기적인 검검을 계속 실행하게 되는 한편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그 레지스터가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프로세서(418b)에 의해 점검될때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내의 F레지스터(418a)의 카운트값을 증가시키게 된다(505단계). 따라서, 초기상태(502단계)에서 제로인 이 카운트값은, 플래그가 설정된 것을 검출하지 않고 여러번 계속적으로 점검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A레지스터(418c)에 기억된다.
그리고, 506단계에서 카운트값이 무선기 콘트롤러(330)의 CPU(331)에 의해 RAM(335)으로부터 독출되는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값(X)을 넘는가의 여부를 결정해서 무선기 콘트롤러(330)의 디지탈인터페이스(340)와 선로(1002)를 통해 핸드셋트(400b)의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로 전송하여 미리 B레지스터(418d)에 기억시켜 놓는다(502단계), 이때,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값(X)보다 크지도 않고 같지도 않다면,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동작은 504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504단계에서 키동작을 나타내는 플래그의 설정이 검출되면,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프로세서(418b)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값이 제로로 리셋트되게 된다. 그 반면에, 506단계에서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값(X)보다 크거나 같다면 그 동작은 507단계로 진행된다. 또, 504단계에서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는 액정표시기(452)가 구동되도록 LCD드라이버(454)를 제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액정표시기(452)는 상기 핸드 셋트 콘트롤러(418)의 제어에 의해 점멸되어, 예컨대, "POWER TURNED OFF SOON. PRESS ANY ONE KEY"와 같은 알람 메세지를 표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450)에서 표시되는 디지트 수가 10디지트로 제한되기 때문에, 알람 메세지의 문장 또는 구를 단어그룹으로 적당히 분할하게 되고, 이 단어그룹은 순차적이면서 계속적으로 액정 표시기(452)상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와 CPU(331)의 제어하에 핸드셋트 수신기(498)와 라우드 스피커(492)를 통해 경보음(beeptone)이 발생되게 되는데, 이 경보음은 알람 메세지가 표시되는 동안 계속 발생되거나, 혹은 이 알람 메세지가 처음에 표시될 때에만 발생되도록 되어 있다. 만일 사용자가 이 장치의 근방에 있다가 이 장치의 임의의 한 키를 누르게 되면, 키동작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되게 되는데, 이 플래그의 설정은 이하에서 설명할 508단계에서 검출되게 될 것이다.
표시부(450)가 점멸표시된 후의 동작은 508단계로 진행된다. 508단계 내지 510단계에서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는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기간(t2)동안 키부(430)에서 어떤 키가 동작되는가를 검출하게되는데, 이때 최소한 한 키가 동작되었다면 키동작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F레지스터(418a)에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프로세서(418b)는 플래그가 설정되었는가의 여부를 점검하게 되는데(508단계), 이 점검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최소한 한 키가 동작된 경우에는, 핸드셋트 콘트롤러(418)가 LCD드라이버(454)를 제어하여 액정 표시기(452)의 점멸표시를 종료시키고(511단계), A레지스터(418c)의 카운트값을 제로로 리셋트시키게된다(503단계). 그 다음의 동작은 504단게로 진행된다. 한편,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그 레지스터가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프로세서(418b)에 의해 점검될때 A레지스터(418a)의 카운터값을 증가시키고, 그 동작은 510단계로 진행된다.
510단계에서 카운트값이 무선기 콘트롤러(330)의 CPU(331)에 의해 RAM(335)으로부터 독출되는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값(Y)을 넘는가의 여부를 결정해서 무선기 콘트롤러(330)의 디지탈 인터페이스(340)와 선로(1002)를 통해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로 전송하여 미리 C레지스터(418e)에 기억시켜 놓는다. (502단계). 이때,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값(Y)보다 크지도 않고 같지도 않다면,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동작은 508단계로 되돌아간다. 그 반면에, 510단계에서,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값(Y)보다 크거나 같다면,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의 동작은 512단계로 진행된다. 이 512단계에서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는 선로(1002)를 통해 무선기 콘트롤러(330)로 자동전원공급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 신호는 무선기(300)의 디지탈 인터페이스(340)를 거쳐 CPU(331)로 입력되고, 이 신호에 응답해서 CPU(331)는 제어버스(345)를 통해 전원부 콘트롤러(341)로 전원 공급 종료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 종료 신호에 응답해서 전원부 콘트롤러(341)는 각 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컷오프되도록 전원부(390)를 제어하게 되고, 그에따라 이 자동차 전화장치와 각 부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이 종료되게 된다(512단계). 사용자는 밧데리(506)를 축적시키기 위하여, 스위치(474)를 활성화시켜서 전원공급을 자동적으로 컷오프시킴으로써 이장치를 용이하게 리셋트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제6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전화기 본체(400a)의 온/오프 스위치(474)가 턴온된 후(601단계), 무선기 콘트롤러(330)의 CPU(331)는 내부 타이머를 제로로 셋트시키게 된다(602단계). 여기에서, 내부 타이머는 발진기/분주기(332)로부터 공급되는 클럭펄스신호에 따라 클럭화되는 프리 런닝(free running)타이머이다. 그 후, 핸드셋트 콘트롤러(418)가 키부(430)에서 어떤 키가 동작되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게 되는데(603단계), 최소한 한 키가 키부(430)에서 동작되었다면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는 선로(1002)를 통해 접속된 디지탈 인터페이스(340)를 거쳐 CPU(331)로 검출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 검출신호에 응답해서 CPU(331)는 내부 타이머를 다시 셋트시키게 된다(602단계). 이 경우, 검출신호를 수신하지 않고서도 CPU(331)의 내부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기간(t1)을 넘는다면, CPU(331)는 디지탈 인터페이스(340)를 거쳐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로 표시코멘드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이 표시 코멘드신호에 응답해서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는 알람 메세지가 액정 표시기(452)에 표시되도록 표시부(450)를 제어하게 된다. 또, CPU(331)는 오디오회로 콘트롤러(339)로 음성 코메트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이 음성 코멘드 신호에 응답해서 오디오회로 콘트롤러(339)는 발진기/분주기(332)로부터 오디오회로(337)로 공급되는 펄스신호가 경보음을 내기 위하여 선로(1003)를 통해 전화기 본체(400a)의 라우드 스피커(492) 또는 핸드셋트(400b)의 핸드셋트 수신기(498)로 전송되도록 오디오회로(337)를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알람표시는 시각적이면서 청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605단계). 알람표시가 턴온된 후에 CPU(331)는 다시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다리게 된다(606단계). 이때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CPU(331)는 핸드셋트 콘트롤러(418)와 오디오회로 콘트롤러(339)로 종료 코멘트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이 종료 코멘트신호에 응답해서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는 표시부(450)를 제어하여 알람표시를 종료시키게 된다. 또, 오디오 회로 콘트롤러(339)는 오디오회로(337)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내기 위한 펄스 신호의 공급을 종료시키게 된다. 이 경우, 검출신호를 수신하지 않고서도 CPU(331)의 내부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기간(t2)을 넘는다면(607단계), CPU(331)는 제어버스(345)를 거쳐 전원부 콘트롤러(341)로 전원공급의 종료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 종료신호에 응답해서 전원부 콘트롤러(341)는 전원부(390)를 제어하여 각 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컷오프시키게 된다(609단계).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알람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혹은 경보음, 음성 메세지 , 예컨대 "PLEASE PRESS ANY ONE KEY, OR POWER WILL BE TURN/ED OFF SOON"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지시를 하도록 되어 있지만, 미리 기억시켜 놓은 데이터에 기초해서 인공적으로 합성한다거나, 혹은 음성다이얼/응답회로(350)에 설치된 음성합성장치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기억된 기록 데이터에 기초해서 재생할 수도 있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기간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장치의 모든 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종료되도록 했지만, 무선부(310)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로의 전원 공급만을 종료시킬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부(310)의 전원공급경로를 2개의 경로(701,702)로 분할하고 있다. 즉,변조기(314)와 전원 증폭기(316)로 이루어진 전송부(703)는 경로(70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무선부(310)의 다른 부들은 경로(70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바, 전원부 콘트롤러(341)는 종료신호에 응답해서 다른 부 또는 장치로는 전원이 계속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전송부(703)의 경로 (702)만을 컷오프시키게 된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누군가 소유자의 장치 근방에 있다면, 그사람은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호출을 조용히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사용자는 밧데리 전원을 축적하기 위해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호출만을 수신하도록 된 긴 시간동안 호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호출이 수신되어 사용자가 핸드셋트(400b)를 들거나, 혹은 센드(send)키를 눌러서 호출에 응답하게 되면, CPU(331)는 이 상태를 검출해서 전송부(703)로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전원부 콘트롤러(341)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키부(430)의 최소한 한 키의 동작에 응답해서 타이머가 리셋트되도록 했지만, 핸드셋트(400b)가 캐리지(carriage;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되돌아 갈때처럼 후크 스위치(472)의 오프에 응답해서 리셋트시킬 수도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후크 스위치(472)의 오프후크 상태를 선로(1001)를 경유해서 무선기(300)의 무선기 콘트롤러(330)에서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무선기 콘트롤러(330)로부터의 온후크 상태의 검출신호에 응답해서 핸드셋트 콘트롤러(418)가 키동작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전화장치에 적용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밧데리 전원을 사용하는 임의의 차량 휴대용 무선전화장치 또는 휴대용 무선전화장치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즉, 차량 휴대용 무선전화장치의 경우에는 무선기(300)와 안테나(200)를 전화기(400) 본체(400a)의 케이스내에 일체화시켜도 좋은바, 그에 따라 무선기와 안테나로 이루어진 전화기를 사용자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용 무선전화장치 또는 코드리스 전화장치의 이동부인 경우에는 전화기(400)와 무선기(300) 및 안테나(200)를 단일의 케이스내에 함께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은 그러한 모든 경우에 적용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무선챈널을 사용하는 무선전화장치나 셀룰러(cellular)무선시스템에서의 셀룰러 무선전화장치와 같은 지상선로 전화장치에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무선전화장치의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되는 입력부와 표시부를 제어하는 자동차 콘트롤러 및 동일한 기능을 갖는 임의의 종류의 처리부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한편,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기간(t1)과 제2의 소정기간(t2)은 서로 다른 지속기간을 갖게 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각 상태에 의존하게 된다. 자동차 전화장치의 경우에는, 예컨대 t1이 대략 2시간이고, t2가 2시간 3분이다. 그리고, 휴대용 전화장치의 경우에는, 예컨대 t1이 대략 1시간이고, t2가 1시간 1분이다. 따라서, 휴대용 전화장치에서 밧데리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 기간(t1)과 제2의 소정기간(t2)이 동일한 지속기간을 가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 장치의 근방에 있고 이 장치가 전원공급이 자동적으로 컷오프된 후에 동작되기를 원한다면, 임의의 키 또는 후크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대신에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복구시키게 된다. 더욱이, 사용자가 스스로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기간(t1)과 제2의 소정기간(t2)을 리셋트시킬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RAM(335)에 미리 기억시켜 놓은 t1과 t2에 대응하는 카운트값(X, Y)으로 변환되도록 키부(430)에서 키입력을 일정한 순서로 실행함으로써 그들을 리셋트시키게 된다. 예컨대, 카운트값(X)을 변환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FCN, 8, 0, *, 1, 0, *순으로 키를 누르게 된다. 이 경우, FCN. 8, 0의 키입력에 응답해서 핸드셋트콘트롤러(418)는 카운트값(X)를 변환시키려는 사용자의 요구를 인식하게 되고, *와, *사이의 1, 0의 키입력에 응답해서 핸드셋트 콘트롤러(418)는 10시간에 해당하는 값으로 RAM(335)의 카운트값(X)을 변환시키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전화시스템에 의하면,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이상 계속될때 소정의 상태유지 혹은 소정의 전원공급을 컷오프시키게 되므로, 소비전력을 저감시켜 밧데리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9)

  1. 제1 및 제2무선챈널을 설정함과 더불어 기지국과 각종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부(31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부(310)의 동작에 관계되는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입력수단, 상기 무선부(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90), 상기 입력수단에서의 입력에 따라 플래그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지스터(418a),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내에서 플래그신호의 존재(存在) 또는 부재(不在)를 검출하여 플래그신호의 부재가 얼마나 오랫동안 계속하여 검출되는가를 카운트하는 프로세서(418b) 및, 상기 프로세서(418b)에 의해 카운트된 카운트값이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값을 넘을 때 최소한 한 사용자에게 알랍을 표시해주는 알람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390)는, 상기 프로세서(418b)에 의해 카운트된 값이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값을 넘을 경우 적어도 상기 무선부(310)로의 전원 공급을 종료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값이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값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값이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수단이 수신기(498)와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4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수단이 미리 설정된 음성패턴을 함성시키는 음성다이얼/응답회로(350)에 설치된 음성합성장치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수단이 적어도 한 알람 메세지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기(4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숫자데이터 또는 코멘드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키패드(4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온후크 또는 오프후크 상태를 검출하는 후크스위치(4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값은 상기 입력수단(430)에서의 입력의 일정한 순서에 응답해서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값은 상기 입력수단(430)에서의 입력의 일정한 순서에 응답해서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2. 제1 및 제2무선챈널을 설정함과 더불어 기지국과 각종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부(31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부(310)의 동작에 관계되는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응답해서 상기 무선부(310)를 제어하는 CPU(331), 상기 무선부(310) 및 상기 CPU(33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90), 상기 입력수단이 최종적으로 조작되었을 때의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는 콘트롤러(418) 및, 상기 콘트롤러(418)에 의해 측정된 시간경과가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장치의 최소한 한 사용자에게 알람을 표시해주는 알람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390)는, 상기 콘트롤러(418)에 의해 측정된 시간 경과가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 기간을 초과할때 적어도 상기 무선부(310)로의 전원공급을 종료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 기간이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 기간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 기간의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 기간보다 더 긴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수단이 수신기(498)와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4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수단이 미리 설정된 음성패턴을 합성시키는 음성다이얼/응답회로(350)에 설치된 음성합성장치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수단이 적어도 한 알람 메세지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기(4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숫자데이터 또는 코멘트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키패드(4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온후크 또는 오프후크 상태를 검출하는 후크스위치(4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21. 제1 및 제2무선챈널을 설정함과 더불어 기지국과 각종 신호를 교환하는 무선부(31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부(310)의 동작에 관계되는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입력수단(430), 상기 무선부(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90) 및, 미리 설정된 소정 기간이 상기 입력수단(430)이 최종적으로 조작되었을때의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경우 전원 공급을 종료시키도록 상기 전원부(390)를 제어하는 전원부 콘트롤러(341)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 콘트롤러(341)가, 적어도 상기 무선부(310)로의 전원공급을 종료시키도록 상기 전원부(39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23. 레지스터(418c)에서 카운트를 제로로 설정하는 단계와, 키의 동작을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단계, 상기 키의 동작을 감지할 수 없는 경우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값을 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값을 넘을 경우 장치의 사용자에게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원의 공급을 종료시키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값을 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값을 넘을 경우 적어도 전원 증폭기(316) 및 변조기(314)로의 전원 공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원의 공급을 종료시키는 방법.
  25.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전화장치의 동작에 관계되는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입력수단(430)과, 이 입력수단(430)이 최종적으로 조작되었을 때의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는 콘트롤러(418), 이 콘트롤러(418)에 의해 측정된 시간경과가 미리 설정된 제1의 소정 기간을 넘을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CPU(331) 및, 상기 알람신호에 응답해서 무선전화장치로의 전원공급의 종료를 지시하는 지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원공급 종료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CPU(331)는, 상기 콘트롤러(418)에 의해 측정된 시간경과가 미리 설정된 제2의 소정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화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종료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종료신호를 더 발생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원공급 종료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이 수신기(498)와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스피커(4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원공급 종료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수단이 미리 설정된 음성패턴을 합성시키는 음성다이얼/응답회로(350)에 설치된 음성합성장치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원공급 종료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이 적어도 한 알람 메세지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기(4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에서 사용되는 전원공급 종료장치.
KR1019880015884A 1987-11-30 1988-11-30 무선전화시스템 KR920003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01836 1987-11-30
JP62301836A JPH0710052B2 (ja) 1987-11-30 1987-11-30 無線電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151A KR890009151A (ko) 1989-07-15
KR920003296B1 true KR920003296B1 (ko) 1992-04-27

Family

ID=1790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884A KR920003296B1 (ko) 1987-11-30 1988-11-30 무선전화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33963A (ko)
EP (1) EP0319211B1 (ko)
JP (1) JPH0710052B2 (ko)
KR (1) KR920003296B1 (ko)
CA (1) CA1285993C (ko)
DE (1) DE385432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9436B2 (ja) * 1989-10-31 1997-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車載電子機器用電源装置
US5175759A (en) * 1989-11-20 1992-12-29 Metroka Michael P Communications device with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US5226090A (en) * 1989-12-29 1993-07-06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Voice-operated remote control system
JP2806589B2 (ja) * 1990-01-23 1998-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電話装置
JP2901195B2 (ja) * 1990-04-05 1999-06-0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方式
GB2255258B (en) * 1991-04-25 1995-03-08 Technophone Ltd Radio telephone
US5526526A (en) * 1992-02-27 1996-06-11 Acr Electronics, Inc. Survival radio
JPH07294844A (ja) * 1994-04-22 1995-11-10 Canon Inc 表示装置
USH1560H (en) * 1994-09-06 1996-07-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Crash site locator beacon
US5594951A (en) * 1994-10-07 1997-01-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in a radiotelephone
JP2914425B2 (ja) * 1994-12-27 1999-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電源制御機能付き携帯電話機
US5812954A (en) * 1995-11-27 1998-09-22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telephone power key lock function
SE507449C2 (sv) * 1996-03-01 1998-06-08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ktivering och automatisk inaktivering av knappsats till en mobilradioterminal
US6324592B1 (en) 1997-02-25 2001-11-27 Keystone Aerospace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puter architecture and input/output management system
KR19990059547A (ko) * 1997-12-30 1999-07-26 윤종용 디바이스 제어용 키입력장치를 갖는 디바이스 베이 장치
KR100310346B1 (ko) 1998-12-19 2001-11-05 윤종용 텔레비전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
DE19925152A1 (de) * 1999-06-02 2000-12-07 Pro Elektronik Gmbh Batteriebetriebene Freisprecheinrichtung
US6662026B1 (en) * 2000-09-28 2003-1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2002135406A (ja) * 2000-10-19 2002-05-10 Nec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
GB0207732D0 (en) * 2002-04-03 2002-05-15 Ttpcomm Lt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TWM266648U (en) * 2004-08-27 2005-06-01 Universal Scient Ind Co Ltd Mobile phone with multi-functional power switch key
FR2888705A1 (fr) * 2005-07-13 2007-01-19 France Telecom Terminal mobile equipe d'une alimentation automatique
US7899418B2 (en) * 2006-02-22 2011-03-01 Fujifilm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GB0815322D0 (en) * 2008-08-21 2008-09-24 Symbian Software Ltd A diagnostic tool
US20140365073A1 (en) * 2013-06-05 2014-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vehicle passenge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6346U (ko) * 1980-08-29 1982-03-15
JPS57147622A (en) * 1981-03-10 1982-09-11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Portable camera with electronic clock
JPS58117734A (ja) * 1981-12-30 1983-07-13 Iwata Electric:Kk 携帯用無線機の電源装置
JPS58225743A (ja) * 1982-06-23 1983-12-27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US4471492A (en) * 1982-11-01 1984-09-11 General Electric Company Voltage indicating arrangement for a radio transceiver
US4513446A (en) * 1983-02-09 1985-04-23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circuit for a radio transceiver
US4745408A (en) * 1983-04-09 1988-05-17 Nec Corporation Radio paging system and receiver therefor
US4521912A (en) * 1983-06-09 1985-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power indicating circuit for a radio transmitter
JPS6070833A (ja) * 1983-09-27 1985-04-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電話装置の着呼信号送出方式
JPS6081928A (ja) * 1983-10-12 1985-05-10 Nec Corp キ−ボ−ド操作確認装置を有する移動無線機
JPS60182825A (ja) * 1984-02-29 1985-09-18 Nec Corp 無線電話方式
JPS6281133A (ja) * 1985-10-03 1987-04-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電話装置の連続送信禁止方式
JPS62116027A (ja) * 1985-11-15 1987-05-27 Nec Eng Ltd 自動車電話機
US4731814A (en) * 1986-02-21 1988-03-15 AT&T Information Systems Inc. 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Computer-controlled cordless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43527A (ja) 1989-06-06
EP0319211A3 (en) 1990-09-26
US4933963A (en) 1990-06-12
KR890009151A (ko) 1989-07-15
DE3854322D1 (de) 1995-09-21
EP0319211B1 (en) 1995-08-16
DE3854322T2 (de) 1996-04-04
CA1285993C (en) 1991-07-09
JPH0710052B2 (ja) 1995-02-01
EP0319211A2 (en) 198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296B1 (ko) 무선전화시스템
EP0319210B1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EP0454814B1 (en)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and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US5175759A (en) Communications device with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JPH10271199A (ja) 携帯電話機
JPH1084404A (ja) 携帯電話
USRE36712E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JPH05183621A (ja) 電話機
JP3103400B2 (ja) 無線電話装置
JP3151280B2 (ja) 無線電話装置
KR19990049847A (ko) 휴대폰의 온도측정 장치 및 방법
JPH09238376A (ja) 携帯端末装置
KR1005033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원격시동방법
JP2000197128A (ja) 無線通信機
KR200325730Y1 (ko) 핸드폰용 양방향 무선이어폰 단말기
JP2870077B2 (ja) 自動車電話装置
KR100316177B1 (ko) 무선 핸즈프리 키트의 절전 제어 장치
JP2000184035A (ja) 音声アナウンス機能付電話装置
KR20060057425A (ko) 음성신호를 이용한 디티엠에프톤 송신 기능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266290Y1 (ko)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
KR860001649A (ko) 차량용 확성전화장치
KR200214683Y1 (ko) 핸드프리장치
KR200500252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6164447A (ja) 無線通信装置
JPH0349322A (ja) 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